KR101294400B1 - 후드 개방 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400B1
KR101294400B1 KR1020110112101A KR20110112101A KR101294400B1 KR 101294400 B1 KR101294400 B1 KR 101294400B1 KR 1020110112101 A KR1020110112101 A KR 1020110112101A KR 20110112101 A KR20110112101 A KR 20110112101A KR 101294400 B1 KR101294400 B1 KR 10129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andle
hood opening
opening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215A (ko
Inventor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4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후드 핸들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의 설치에 따른 와이어를 대폭 줄인 차량의 후드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 개방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10)와, 후드의 스트라이커(S)를 구속하는 록킹부(20)와, 상기 핸들부(10)의 작동력을 상기 록킹부(20)로 전단하는 작동케이블(30)을 구비하는 후드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10)에는, 상기 핸들부(10)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계기판(50)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후드 개방 센서(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드 개방 장치{Apparatus for opening hood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의 개방시키는 후드 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후드 핸들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센서의 설치에 따른 와이어를 대폭 줄인 차량의 후드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드를 개방시키는데 사용되는 후드 개방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핸들부(110)와, 차체에 설치되어 후드를 구속하는 록킹부(120)와, 상기 핸들부(110)와 록킹부(120)를 연결하는 작동케이블(130)이 구비되어, 핸들부(110)의 핸들브라켓(1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핸들(112)을 작동시키면, 상기 작동케이블(130)이 록킹부(120)의 래치레버(122)를 잡아당기고, 래치레버(122)가 록커(123)를 해제시키면, 상기 록커(123)가 후드의 스트라이커(S)를 해제시켜 후드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후드 개방 장치(100)에는 후드의 개방여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후드 개방 장치(100)에 후드 개방 센서(140)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100)에서 후드 개방 센서(140)는, 상기 록커(123)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후드의 스트라이커(S)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록커(123)가 회전하면 록커(123)의 일측이 후드 개방 센서(140)에 접촉됨으로써, 후드 개방 센서(140)로부터 후드 개방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드 개방 센서(140)는 차량의 계기판(150)의 경고등에 점등되도록 하기 위해서 후드 개방 센서(140)와 계기판(150) 사이에는 와이어(141)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100)에서는 후드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록킹부(120)에서 계기판(150)까지 와이어(141)가 연결되어야 하므로, 와이어(141)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후드 개방 장치(100)는 차량에 전단에 설치되므로 와이어(141)는 차량의 엔진룸의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계기판(150)으로 연결되므로 와이어(141)의 길이가 길어진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후드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기술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KR 10-1997-003769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후드의 개방을 감지하는 후드 개방 센서를 핸들부에 설치함으로써, 후드 개방 센서와 계기판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후드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와, 후드의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록킹부와, 상기 핸들부의 작동력을 상기 록킹부로 전단하는 작동케이블을 구비하는 후드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계기판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후드 개방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핸들브라켓과, 상기 핸들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의 일측이 상기 작동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작동케이블을 록킹부로 당겨지도록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록킹부에 구비된 리턴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후드를 개방하는 조작력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드 개방 센서에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후드 개방 센서는 접촉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케이블 상에는 상기 핸들이 조작 후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후드 개방 센서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후드 개방 센서는 출력단이 와이어에 의해서 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는, 후드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핸들부가 작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는 후드 개방 장치의 핸들부에 후드 개방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후드 개방 센서와 계기판을 연결하는 후드 개방 신호를 전기적으로 전달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를 차량에 설치하는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와이어의 길이가 줄어듦으로 인하여, 단선과 같은 고장 발생 확률을 감소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의 핸들부 및 록킹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에서 상기 핸들부 및 록킹부에 작동케이블과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에서 핸들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에서 핸들부 및 록킹부에 작동케이블과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5는 후드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핸들부 및 록킹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후드가 개방동작 중일때의 핸들부 및 록킹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후드의 개방동작이 완료되었을 때의 핸들부 및 록킹부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1)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들부(10)와, 후드에 인접하도록 차체에 설치되어 후드를 구속하는 록킹부(20)와, 상기 핸들부(10)와 록킹부(20)를 연결하는 작동케이블(30)을 구비하고, 후드의 개방을 감지하는 후드 개방 센서(40)가 상기 핸들부(10)에 구비되도록 한다.
핸들부(10)는 차체에 고정되는 핸들브라켓(11)과, 상기 핸들브라켓(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으로 작동케이블(30)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12a)가 돌출형성되는 핸들(12)을 포함한다.
록킹부(20)는 차체에 고정되는 록킹브라켓(21)과, 상기 록킹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후드의 스트라이커(S)를 파지하여 구속하는 록커(23)와, 록킹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작동케이블(30)에 의해서 상기 록커(23)를 구속하는 래치레버(22) 및 상기 록커(23)와 래치레버(22)를 작동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스프링(24, 25)를 포함한다.
작동케이블(30)은 상기 핸들(12)의 와이어 연결부(12a)와 록커(23)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12)의 조작력을 상기 록커(23)의 일단으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1)에서는 후드의 개방을 감지하는 후드 개방 센서(40)를 핸들부(10)에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후드 개방 센서(40)와 계기판(50)를 연결하는 와이어(41)의 길이가 대폭 감소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개방 센서(40)를 핸들브라켓(11)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후드 개방 센서(40)를 작동시킬 센서 가동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후드 개방 센서(40)는 핸들부(10)의 일측에 구비되되, 구체적인 센서의 종류에는 한정을 하지 않아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개방 센서(40)를 대상물이 접촉되어야만 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센서로 마련하고, 상기 접속센서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접촉부재(40a) 및 상기 작동와이어(30)의 일측으로 상기 접촉부재(40a)에 접촉될 수 있게 구비되는 작동돌기(31)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돌기(31)는 후드가 잠긴 상태나 후드가 개방되는 동안에는 상기 후드 개방 센서(40)를 작동시키지 않았다가, 후드의 개방이 완료되면, 후드 개방 센서(40)에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후드 개방 센서(40)는 출력단이 차량 실내의 계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드 개방시 계기판(50)의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후드가 개방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돌기(31)가 핸들(12)쪽으로 후드 개방 센서(40)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후드 개방 센서(40)로부터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도 6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을 회전시켜 록킹부(20)를 작동시키더라도, 작동케이블(30) 상에 구비된 작동돌기(31)는 후드 개방 센서(40)와 더욱더 이격되므로, 후드 개방 센서(40)로부터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즉, 후드 개방을 위해서 핸들(12)을 회전시키면, 작동케이블(30)은 핸들(12)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돌기(31)는 초기 상태에서 더욱더 후드 개방 센서(40)와 이격된다.
한편, 핸들(12)을 회전시키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30)은 래치레버(22)를 일차적으로 회전시키고, 이후에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레버(22)가 회전시키면서, 록커(23)도 구속이 해제되어 록커 구동스프링(24)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후드의 스트라이커(S)를 해제시켜 후드가 개방된다.
이후,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을 통한 후드의 개방동작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상기 핸들(12)을 놓게 되므로, 상기 작동케이블(30)의 타단에 연결된 리턴스프링(25)이 작동케이블(30)을 록킹부(20) 쪽으로 당긴다. 작동케이블(30)이 록킹부(20)쪽을 당겨지면, 작동케이블(30)은 핸들(12)을 잡아당겨 핸들(12)을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작동케이블(30)이 록킹부(20) 쪽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작동케이블(30)상에 형성된 작동돌기(31)가 후드 개방 센서(40)의 일측에 접촉함(도 7의 (a)에 원으로 표시된 부분 참조)으로써, 상기 후드 개방 센서(4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후드 개방 센서(40)에서 출력된 신호는 와이어(41)를 통하여 계기판(50)으로 전달되어 계기판(50)의 후드 개방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후드 개방 센서(40)와 계기판(50)을 연결하는 와이어(41)를 도 2에 도시된 바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41)가 줄어듦으로 인하여 생산공정이 줄어든다.
한편, 후드 개방 센서(40)의 설치위치가 변하더라도, 실질적으로 후드의 개방 완료의 인식에는 변함이 없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후드 개방 센서가 록커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드 개방 센서(40)가 록커를 작동되도록 하는 핸들(12)에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후드의 개방인식에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후드 개방 장치 10 : 핸들부
11 : 핸들브라켓 12 : 핸들
12a : 와이어 연결부 20 : 록킹부
21 : 록킹브라켓 22 : 래치레버
23 : 록커 24 : 록커 구동스프링
25 : 리턴 스프링 30 : 작동케이블
31 : 작동돌기 40 : 후드 개방 센서
41 : 와이어 50 : 계기판

Claims (4)

  1.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와, 후드의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록킹부와, 상기 핸들부의 작동력을 상기 록킹부로 전단하는 작동케이블을 구비하는 후드 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작동이 완료되면, 계기판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후드 개방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핸들브라켓과, 상기 핸들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일측이 상기 작동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작동케이블을 록킹부로 당겨지도록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록킹부에 구비된 리턴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후드를 개방하는 조작력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드 개방 센서에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개방 센서는 접촉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작동케이블 상에는 상기 핸들이 조작 후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후드 개방 센서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개방 센서는 출력단이 와이어에 의해서 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방 장치.
KR1020110112101A 2011-10-31 2011-10-31 후드 개방 장치 KR10129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101A KR101294400B1 (ko) 2011-10-31 2011-10-31 후드 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101A KR101294400B1 (ko) 2011-10-31 2011-10-31 후드 개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215A KR20130047215A (ko) 2013-05-08
KR101294400B1 true KR101294400B1 (ko) 2013-08-08

Family

ID=4865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101A KR101294400B1 (ko) 2011-10-31 2011-10-31 후드 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4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544A (ko) * 2004-01-09 2005-07-14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KR20070059662A (ko) *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개방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544A (ko) * 2004-01-09 2005-07-14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KR20070059662A (ko) *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개방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215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6902B (zh) 手势启动式发动机罩释放系统
US20160076277A1 (en) Vehicle door latch control device
US9458649B2 (en) Vehicle door open/close operation apparatus
US20150259952A1 (en) Motor-vehicle door lock
JP2011529535A5 (ko)
CN105960497A (zh) 具有提高的运行安全性的电动的机动车门闭锁系统
WO2008128672A3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installationsschaltgerät
WO2008146733A1 (ja) 車両用制御装置
US10107012B2 (en) Controller for energizing vehicle door lock indicator
US20150001861A1 (en) Vehicle door latch release device
JP2013136874A (ja) 開閉体の駆動装置
KR20180014777A (ko) 차량 도어 래치
KR20180014783A (ko) 차량 도어 래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ATE482121T1 (de)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iertem getriebe und einem elektrisch betätigten parkbremssystem
KR101294400B1 (ko) 후드 개방 장치
US20190211590A1 (en) Wirelessly controlled vehicle hood latch lock system
ATE431480T1 (de) Kraftfahrzeug mit einer zentralverriegelung
CN111042674A (zh) 用于运行开启机构的方法
ATE552398T1 (de) KRAFTFAHRZEUGTÜRSCHLOß
US10119306B2 (en) Multiple engagement locking device
US11299918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2013133640A (ja) 車両用開閉体の検知機能付ロックシステム
WO2016035225A1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及び該ドアラッチ装置を備えているドアシステム
JP2007063847A (ja) ドアラッチ装置
JP2010095164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