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540A -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 Google Patents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540A
KR20050073540A KR1020050000353A KR20050000353A KR20050073540A KR 20050073540 A KR20050073540 A KR 20050073540A KR 1020050000353 A KR1020050000353 A KR 1020050000353A KR 20050000353 A KR20050000353 A KR 20050000353A KR 20050073540 A KR20050073540 A KR 2005007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ire
reinforcing wire
styren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마마사토시
호리이토모히데
나카마타케이지
Original Assignee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reinforcements not embedded in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Abstract

선재의 형상에 연구를 가하여 일부에 결손부를 갖는 특수한 형상으로 하며,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기포의 존재 여부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한 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을 얻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합성수지 소재제의 원통형의 관벽(1)과, 이 관벽(1)의 외주면상에 나선으로 감겨져 일체로 연결된 수지보강선재(2)로 이루어지는 수지관으로, 이 보강선재(2)는 경질합성수지제의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외주면의 일부에 길이방향을 따른 요입홈(3)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Description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RESIN PIPE HAVING REINFORCED-WIRE MATERIALS MADE OF RESIN}
본 발명은 경질합성수지제의 보강선재를 나선으로 감아 관형상의 유지와 보강이 행해지고 있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경질합성수지제의 보강선재를 투명선재로 하고 있는 보강선재가 있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 종류의 경질합성수지제의 보강선재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은 이미 여러종류의 형상의 것이 제조되어 일반적으로 주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경질합성수지제 보강선재의 대부분은 수지소재에 착색제를 혼합하여 불투명하게 한 것이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합성수지관에서의 수지보강선재가 불투명한 것으로서 제조되었던 요인은 제조시에 수지보강선재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수단이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래에서는 보강선재를 이와같이 불투명한 것으로 해 둠으로써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선재가 기포를 내포하고 있는 지 여부의 확인을 외관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 수지보강선재가 기포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기의 내압편평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고, 특히 기포내포부분의 강도를 저하하여 크랙발생의 원인(原因) 또는 원인(遠因)도 되기 쉬우며 성형시에 있어 기포의 발생을 전혀 없게 하고, 또 동시에 기포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했었다.
이 기포발생의 메카니즘은 도 6과 같이 선재의 급냉에 의해 우선 외표면이 고화되고, 그것이 압력탱크와 같은 역할을 이루게 되어 순차 중심부를 향하는 서냉각에 따른 재료의 결정화 등에 의한 내부용적의 수축에도 불구하고 외주각(殼)이 축소화되지 않으므로 내부의 압력이 내려가 소재중에 포함되는 휘발성분이 기화하거나 또는 극미세상태에서 존재하는 기체가 팽창하기 위함임을 알았다.
그러나 이런 종류 수지관제에서의 수지보강선재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주목이나 연구나 배려가 현상태에서는 전혀 행해지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317672호 공보
(비특허문헌 1) 호리노 마사토시저「재료역학입문」124~127페이지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수지관에서의 수지보강서재를 갖고 있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재의 형상에 연구를 가하고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며 기포의 존재 여부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한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의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의 구성을 설명하면 합성수지소재제의 원통형의 관벽(1)과, 이 관벽(1)의 외주면상에 나선으로 감겨져 일체로 연결된 수지보강선재(2)로 이루어지는 수지관으로 이 보강선재(2)는 경질합성수지제의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외주면의 일부에 길이방향을 따른 요입홈(3)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의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의 보강선재를 얻는 데에는 단면의 개략형상을 저면이 편평한 반원형 또는 터널형과 같은 것으로 하여 실시하면 관벽(1)에 대한 융착자세를 일정하게 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 선재의 형성소재로서는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린(PE), 폴리에틸렌 테레부타레이트(PET), 폴리테트라풀오로에틸렌(PEFE), 폴리아세타르(POM), 폴리아미드(PA)등의 비염비계의 결정성 수지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폐기처분 후의 폐재처리시에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관벽(1)의 형성소재에 있어서도 예를들어 올레핀계 엘라스토마,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스틸렌계 엘라스토마 예를들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블록 공중합체(SBS), 이 공중합체 수첨물(SEBS),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블록 공중합체(SIS), 이 공중합체 수첨물(SEPS), 스틸렌 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수첨물(SEP) 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마,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마 등의 비염비계 수지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같은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관벽과 선재와의 관계를 도시한 관체의 부분단면도, 도 2는 관벽의 일부를 절제한 관벽의 정면도, 도 3은 선재의 형상을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4는 동 선재의 절단단면도이다.
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관체(P)는 그 관벽(1)을 올레핀계 엘라스토마에 의해 단면형상 횡일자 모양으로 한 띠모양 소재를 도면 외의 수지압출기로부터 압출하고, 그 측연부분의 일부를 겹치게 하여 융착시키면서 나선으로 감아 원통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형성한 원통모양 관벽(1)의 외주면상에 백색투명한 경질폴리에틸렌수지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것과 같이 단면형상의 개형(槪形)을, 저면(2a)이 평탄하고 상부를 산모양으로 돌출시킨 대략 대략 반원형 또는 돔모양이며, 저면(2a)의 폭방향 중간부분을 위쪽으로 움푹들어가게 하여 길이방향을 따른 요입홈(3)을 형성하고 있는 형상으로 한 선재(2)를, 도면 밖의 수지압출기로부터 압출하고 상기 관벽(1)에서의 띠모양 소재의 융착부상에 겹치게 하면서 나선으로 감아 그 저면(2a)을 관벽(1)과 융착시킨 것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체(P)에 대해 관벽(1)의 외경사이즈(φ)마다 실험하여 얻은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선재(2)에 대해 선재의 높이를 A, 가로 폭을 B, 요입홈(3)의 요입깊이(홈높이)를 C, 선재 높이에 차지하는 비율을 D, 요입홈(3)의 가로 폭을 E, 선재의 가로 폭에 차지하는 비율을 F로 하여 일람표에 도시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사이즈 A B C D E F
경질높이(mm) 경질폭(mm) 홈 높이(mm) % 홈 폭(mm) %
φ32 2.5 3.1 0.21 8.40 0.57 18.39
φ38 3.0 3.6 0.26 8.67 0.46 12.78
φ50 3.3 4.3 0.28 8.48 0.71 16.51
φ65 4.0 4.7 0.45 11.25 0.85 18.09
φ75 4.0 4.0 0.61 15.25 0.85 21.25
φ90 4.2 4.8 0.65 15.48 0.92 19.17
φ100 4.2 4.8 0.69 16.43 1.13 23.54
φ125 5.7 6.7 0.71 12.46 1.34 20.00
φ150 5.0 5.9 0.74 14.80 2.25 38.14
φ200 5.0 5.7 0.59 11.80 1.90 33.33
계속해서 선재의 별도 실시예 형상에 대한 대표예를 도 5에 도시한다. 본 발명에 말하는 바의 선재(2)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저면(2a)이 평탄한 것으로 도시했지만 도 5의 도 A의 것은 저면(2a)의 양 외단부분을 크게 원호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도 B의 것은 전체적으로 거의 원호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예를들어 상부 좌우 구석을 원호상으로 형성한 대략 정방형상의 것, 마찬가지로 상부 좌우구석과 하부좌우구석을 원호상으로 형성한 대략 사다리형상의 것 등으로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요입홈(3)의 형상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로로 긴 장방형상의 것으로서 도시했지만 도 C와 같이 안쪽구석부를 원호상으로 한 대략 역 U자형의 것으로 하는 등 적절한 형상으로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관의 보형력의 점에서는 선재의 전 높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며 한편 호스생산시의 심재의 위치안정성 점에서는 폭넓은 형상으로 저면이 편평한 형상이 바람직하므로 그것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으로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이라고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각 실시예에 도시한 구조의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미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의 상기 구성요건을 충족하고 목적을 달성하며,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절히 개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은 보강선재(2)를 경질합성수지제의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하며, 보강선재(2)의 단면형상을 요입홈(3)을 구비한 구조의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이 냉각되어 고화했을 때 발생하는 외주각은 완전한 것은 아니고 일부를 결손시킨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순차 중심부를 향하는 서냉각에 따른 재료의 결정화 등에 의한 내부용적의 수축에 따라 외주각이 축소화되며, 내부의 압력이 내려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소재중에 포함되어있던 휘발성분이 기화하거나 극미세 상태에서 존재한 기체가 팽창하는 경우는 없으며 기포가 없는 외관상 깨끗한 선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기포를 내포하지 않은 수지보강선재는 선재의 전체가 균일하게 원하는 강도를 구비한 것이 되며, 내포기포의 존재에 의해 부분적 또는 국부적으로 강도가 저하하거나 크랙발생의 원인이 되는 무르고 약한부분이 없는 균질한 것이 되며, 이와같은 선재에 의해 보강된 관체는 내압편평강도에 뛰어나고 경시열화가 적은 관으로서 장기간에 걸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재자체는 경질합성수지에 의한 투명체 또는 착색체를 가한 반투명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포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제조시에 있어 선재내에 기포가 발생한 경우에는 바로 기계의 수리조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를 내포하지 않는 뛰어난 선재를 늘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경질합성수지제 내압나선관은 내압변형성능에 뛰어나며 경량으로 저가로 시장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파이프 등의 특정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범위의 산업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한 실시예의 관체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의 관체의 관벽의 일부를 절제한 정면도.
도 3은 선재의 사시도.
도 4는 동 선재의 단면도.
도 5는 선재의 별도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선재의 경화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벽 2: 보강선재
2a: 저면 3: 요입홈
F: 관체

Claims (5)

  1. 합성수지소재제의 원통형의 관벽(1)과, 이 관벽(1)의 외주면상에 나선으로 감겨져 일체로 연결된 수지보강선재(2)로 이루어지는 수지관으로 이 보강선재(2)는 경질합성수지제의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외주면의 일부에 길이방향을 따른 요입홈(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2. 제 1항에 있어서,
    보강선재(2)의 단면형상은 대략 반원형 또는 터널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보강선재(2)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린, 폴리에틸렌 테레부타레이트, 폴리테트라풀오로에틸렌(PEFE), 폴리아세타르(POM), 폴리아미드(PA)등의 비염비계의 결정성 수지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벽(1)은 올레핀계 엘라스토마,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스틸렌계 엘라스토마,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마,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마 등의 비염비계 수지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5. 스틸렌계 엘라스토마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블록 공중합체, 이 공중합체 수첨물,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블록 공중합체, 이 공중합체 수첨물, 스틸렌 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수첨물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KR1020050000353A 2004-01-09 2005-01-04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KR20050073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3724A JP2005195130A (ja) 2004-01-09 2004-01-09 樹脂補強線材付樹脂管
JPJP-P-2004-00003724 2004-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40A true KR20050073540A (ko) 2005-07-14

Family

ID=3479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353A KR20050073540A (ko) 2004-01-09 2005-01-04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63956A1 (ko)
JP (1) JP2005195130A (ko)
KR (1) KR20050073540A (ko)
CN (1) CN16449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640B2 (ja) * 2006-04-17 2011-09-21 東拓工業株式会社 識別機能を有するホース
US9669593B2 (en) 2007-06-14 2017-06-06 The Boeing Company Light weight thermoplastic flex foam and hybrid duct system
JP2009085334A (ja) * 2007-09-28 2009-04-23 Evuc Kk 合成樹脂製二重管とその製造方法
JP2012026524A (ja) * 2010-07-26 2012-02-09 Kanaflex Corporation 管路更生管
JP5617136B2 (ja) * 2012-09-24 2014-11-05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JP6177066B2 (ja) * 2013-09-19 2017-08-09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ホース
CN105179829A (zh) * 2015-09-29 2015-12-23 江苏广通管业制造有限公司 一种软管
KR101931527B1 (ko) * 2017-06-14 2018-12-21 주식회사 상봉코포레이션 향상된 내구성과 복원력을 가지는 복합호스
CN108953783A (zh) * 2018-08-27 2018-12-07 广东永高塑业发展有限公司 异形带材及缠绕型内肋波纹管及制备方法与专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886A (en) * 1965-09-15 1971-08-10 Borg Warner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JPS5616418Y2 (ko) * 1975-12-26 1981-04-16
US4383555A (en) * 1976-04-20 1983-05-17 Plastiflex Company International Helically wound hose from co-extruded profile with reinforcing ribs interlocked at adjacent convolutions
JPS52137718A (en) * 1976-05-13 1977-11-17 Shirou Kanao Flexible expansion pipe
US4471813A (en) * 1980-04-04 1984-09-18 Dayco Corporation Hose construction
US4395811A (en) * 1980-05-09 1983-08-02 Frye Richard D Hose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applying same
JPH0419274Y2 (ko) * 1986-09-19 1992-04-30
JP3029777B2 (ja) * 1994-11-16 2000-04-04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複合ホース
WO1997024543A1 (en) * 1996-01-03 1997-07-10 Flexfab Horizons International, Inc. Lightweight hose with a helically-wound reinforcing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2257269A (ja) * 2000-11-07 2002-09-11 Dainippon Plastics Co Ltd 合成樹脂製コルゲートパイ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4971A (zh) 2005-07-27
JP2005195130A (ja) 2005-07-21
US20050163956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3540A (ko) 수지보강선재가 있는 수지관
JP2008055808A (ja) 多層ブロー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JP5120800B2 (ja) ポンプ付き二重容器
CN101978177A (zh) 螺钉护孔环
CN1706317A (zh) 使用挤压螺管的气床
TW201245604A (en) Wind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015769A (zh) 双层桁架双色复合管
CN104747811A (zh) Hdpe螺旋波纹管及制造方法
CN205205965U (zh) 高强度防堵pvc下水管
CN1040860C (zh) 盛放流体的袋
KR100926328B1 (ko) 프로파일 합성수지관
BRPI0506288B1 (pt) Barrel with bate
KR101160647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JP2015143560A (ja) 排水パイプ、連通パイプおよび連通パイプの配設方法
KR100787208B1 (ko) 강도 향상형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9028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0904550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와 그 성형방법
JP2017083104A (ja) 貯蔵タンク、および、貯蔵タンクの製造方法
EA022225B1 (ru) Полый профиль, используемый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трубы
CN214574151U (zh) 一种用于智能井盖的中空嵌入式密封结构
KR200339776Y1 (ko)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MXPA04002805A (es) Conjunto tubular.
CN215568546U (zh) 一种轴向中空壁管材
KR200423965Y1 (ko) 합성수지 나선관
JP2007119039A (ja) 畳み可能なプラスチック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