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544A -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와 처리방법 및 그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와 처리방법 및 그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544A
KR20050071544A KR1020057005871A KR20057005871A KR20050071544A KR 20050071544 A KR20050071544 A KR 20050071544A KR 1020057005871 A KR1020057005871 A KR 1020057005871A KR 20057005871 A KR20057005871 A KR 20057005871A KR 20050071544 A KR20050071544 A KR 2005007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rew
treated
product
extrus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드리쿠스 코엔라아드 알베르투스 마이저
빌렘 로데비즈크 프린스
마아르텐 파아프
로페즈 파올라 소라야 가르존
Original Assignee
다니엘리 코루스 테크니컬 서비시스 베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리 코루스 테크니컬 서비시스 베뷔 filed Critical 다니엘리 코루스 테크니컬 서비시스 베뷔
Publication of KR2005007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1/00Making pig-iron other than in blas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7/00Coke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for the raw material inside the oven
    • C10B7/10Coke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for the raw material inside the oven with conveyor-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or more helices in the same receptacle
    • B01F27/72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or more helices in the same receptacle the helices closely surrounded by a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a single helix closely surrounded by a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0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in the form of helices, e.g. screw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6/00Heat treatments such as Calcining; Fusing ; Pyrolysis
    • B01J6/008Pyrolysis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73Selection or treatment of the reduc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C22B5/10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by solid carbonaceous 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압출 스크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은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방법 및 상기 장치와 상기 처리방법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와 처리방법 및 그 이용방법{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 MATERIAL UNDER PYROLYTICAL CONDITION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3단계는 재료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 재료가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반응단계 그리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처리된 생성물이 형성되는 제 3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 및, 또는 처리방법의 이용방법에도 관련이 있다.
열분해 조건에서의 처리로는 석탄(coal)에서 숯(char)을 만들어내는 3단계로 이루어지 처리과정이 잘 알려져 있고, 이와 같은 예로는 미국특허 제5,296,005호 또는 국제공개번호 제WO 02/310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처리과정에서, 석탄에 열을 가하고, 그 후에 상기 석탄은 부분적으로 경화되어 휘발성 물질을 잃게 된다(가열은 계속 유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경화된 석탄은 일정량의 휘발성 물질을 잃게되고 화학적 조성이 변하며, 휘발성 물질은 계속 소실되면서 취성을 갖게 되어 숯이 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보통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우징에서 실시되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석탄과 숯을 이동한다.
상기 처리과정은 석탄이 경화될 때 서로 들러붙어 조밀한 질량체를 형성하게 되어 더 이상 하우징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고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에 커다란 덩어리로 남아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반응 단계동안 혼합이 없다. 혼합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석탄으로의 열전달이 좋지 않고, 결국 (가열되는) 하우징 근처의 석탄은 과열되고 하우징에서 멀리 떨어진 석탄은 가열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때로는 경화된 석탄의 점착성 때문에 하우징이 막히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되면, 반응단계에 있는 석탄이 천천히 가열되어, 결국에는 처리시간이 길어지고 장치 또한 크거나 길어지게 된다. 열분해 조건에서 치리되고 처리과정에서 경화되는 다른 재료에 대해서도 상기한 것과 같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여 처리되는 생성물의 제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여 반응단계에서 상기 재료에 대한 양호한 가열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여 재료의 온도특성 및 체재 시간의 양호한 조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는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counter rotating intermeshing double extrusion screw)가 제공된다.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에 상기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를 사용함으로써 하우징 내의 처리된 생성물 및 재료, 특히 하우징에서 재료로의 양호한 열전달로 인해 부분적으로 경화된 재료를 효과적으로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중 압출 맞물림스크류는 압출형이고, 나란한 두 개의 스크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는 두 개의 인접한 블레이드간 거리의 반 이상이 되고, 또한 스크류의 축간 거리는 두 개의 스크류 상의 블레이드 높이보다 약간 크다.
상기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를 이용하면 재료를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지만, 단일 스크류는 마찰에 의한 항력(frictional drag)을 이용하여 재료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단일 스크류로 이동시키게 되면 바람직하지 못한 마찰특성을 갖는 많은 재료들은 이송에 있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는 많은 양의 액체와 입자형 재료, 특히 부분적으로 경화된 재료를 매우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스크류는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열분해 조건에서의 처리는 재료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고, 상기 가열 중에는 산소가 없거나 또는 낮은 부분압력에서만 존재하도록 하여 다양한 화학반응을 통해 오일 및, 또는 가스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응 액체 및 처리된 생성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생성물의 재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압출 스크류는 8자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상기 스크류는 하우징 내에서 근접하게 위치되고, 처리될 재료는 상기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특정 재료에 있어서는 8자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대신에 오메가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 스크류는 중공축을 갖는다. 상기 중공축을 통해 가열된 가스나 액체를 이송함으로써 스크류를 이용하여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의 가열이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을 더욱 광범위하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중공축 상의 블레이드 또한 중공이다. 이와 같이 중공으로 하여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에 더욱 양호한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전체 길이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스크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는 추가적인 면을 가져 상기 재료를 더욱 빠르게 가열하고 또 스크류를 더 짧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출 스크류에 가변 피치의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처리과정의 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출 스크류에 짧은 피치와 긴 피치의 전환 부분을 갖는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피치를 갖는 부분은 처리된 재료를 가열 및 혼합하는 데에 이용되고, 긴 피치를 갖는 부분은 재료의 불휘발화(devolatization)시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 스크류는 짧은 피치를 갖는 한 부분과 긴 피치를 갖는 한 부분, 바람직하게는 단부 피치를 갖는 단부 영역을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는 산화 금속(예를 들면, 철광석 내지 강철), 타르, 중유, 아스팔트, 폐기물, 플라스틱, 바이오매스(예를 들면, 나무 내지 바이오디젤)와 같은 열분해 재료에 이용할 수 있다.
긴 피치의 블레이드를 갖는 압출 스크류의 각 부분 앞에, 압출 스크류의 축과 하우징 사이에 단접 요소(kneading element)가 제공된다. 상기 단접 요소는 단접 요소의 상류 영역에 압력을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형성된 가스 및, 또는 형성된 생성물 배출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구를 갖는다. 처리과정 중의 다른 단계동안에 처리결과 다른 생성물이 형성되면, 상기 다른 생성물은 개별적으로 배출된다.
긴 피치의 블레이드를 갖는 압출 스크류의 각각의 부분에 있어, 형성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상기 가스는 긴 피치의 블레이드를 갖는 압출 스크류 부분으로 방출된다.
상기 스크류의 축과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두 개의 연속한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와 같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축과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상기 두 개의 연속한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료와 생성물에 대한 열전달이 최적의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는 패들(paddle) 및, 또는 로드(rod)와 같은 내부요소(internal)가 제공된 축을 갖는다. 상기 내부요소로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을 단접한다. 상기 재료와 생성물을 단접함으로써 재료와 생성물을 완전히 혼합하게 되어 매우 효과적인 열전달을 할 수 있다.
하우징은 2중 벽으로 구성된다. 이 때 가열된 가스 또는 가열된 유체가 재료와 생성물을 가열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벽 전체에 효과적으로 안내된다.
하우징 및, 또는 압출 스크류는 주철, 바람직하게는 구상흑연주철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과정에 필요한 반응온도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 및, 또는 하우징은 구상흑연주철의 주물로 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저가의 장치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압출 스크류 및, 또는 하우징을 강철 또는 기타 금속(합금)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면, 하우징은 1 ~ 25m사이의 길이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8 ~ 15m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12m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르면 재료의 가열단계, 재료가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반응단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된 생성물이 형성되는 제 3단계로 구성되는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처리된 생성물은 하우징 내의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에 의해 강제로 이송된다.
하우징 내의 재료에 대한 강제 이송으로 인해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의 제어가 양호해지고,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의 온도특성이 고정되어 과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를 이용하게 되면 재료가 각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의 C자 형상의 영역에 유지되기 때문에 반응단계에서 부분적으로 경화된 재료를 매우 효과적으로 혼합하게 되고, 다른 스크류는 전반적인 혼합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압출 스크류의 형상 및 구조는 이미 위에서 언급하였고, 또한 이후에도 설명할 것이다.
상기 스크류는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을 이송하는 동안에 자정(self-cleaning)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가 자정하게 되면 어떠한 재료 또는 처리된 생성물도 상기 스크류에 남아있지 않게되므로 스크류로부터 재료 또는 생성물로의 열전달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은 이송하는 동안에 단접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재료와 생성물을 단접함으로써 재료와 생성물의 완전한 혼합을 할 수 있고, 따라서 열전달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 스크류는 25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고, 바람직하게는 1rpm의 속도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비교적 느린 회전속도로 인해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혼합하게 된다.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은 최대온도 300℃에서 1000℃까지, 바람직하게는 400℃에서 700℃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의 온도로 가열된다. 물론 상기 온도는 처리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하우징 내에서 재료를 효과적으로 가열 및 혼합하기 때문에 하우징과 스크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된 가스나 액체의 온도를 상기 재료의 최대 온도보다 높게 할 필요가 없다.
상기 하우징 내의 재료와 처리된 제품의 이송시간은 10분 내지 60분이다. 생성물은 혼합을 우수히 마쳤기 때문에 빠르게 형성되고, 결국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처리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처리과정에서,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은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0.5 내지 5bar의 압력하에 처리된다. 높은 압력 때문에 상기 재료의 처리과정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재료 및, 또는 처리된 생성물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장치 내에 필수 내부요소가 제공된다. 혼합, 단접, 이송 또는 열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들, 로드 또는 다른 수단과 같은 내부요소를 상기 장치에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요소는 상기 압출 스크류의 블레이드를 대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재료의 처리를 촉진하기 위해 하우징 전반에 걸친 온도구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른 이용방법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장치 및, 또는 제 2관점에 따른 처리방법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료인 석탄이 생성물인 숯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은 석탄을 처리하는 데에 매우 적절한데, 이는 부분적으로 경화된 석탄이 잘 혼합되어 열전달 및 하우징을 통한 이송이 양호하게 실시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은 열분해 조건에서 다른 처리과정 또는 화학적 변환을 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또는 처리방법을 통해 거의 모든 종류의 재료에 대해 고온상태에서의 화학반응, 상전이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치 및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산화금속의 환원을 실시할 수 있다. 적당한 조건에서의 높은 전환율을 위해 환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처리에 적합하다.
산화금속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는 철 또는 강철, 아르신 옥시드 농축물, 또는 산화납함유 광성(또는 산화납함유 농축물 또는 폐기물)을 생성하기 위한 산화철(철광석 또는 농축물, 또는 산화철함유 잔여물 내)을 들 수 있고, 아르신 또는 납을 감소시킬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또는 산화구리를 알루미늄, 아연 또는 구리로 환원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또는 적절한 환원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모든 산화금속은 금속으로 환원될 수 있다.
효과적인 전환을 하는 데에 이용되는 환원제는 석탄, 숯, 코크스, 폴리머, 잔여물 또는 탄소함유 기타 물질과 같은 탄소함유 물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은 경유, 디젤연료 또는 다른 운송연료, 및, 또는 기타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타르 및, 또는 오일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다. 타르와 중유는 석유화학 산업에서의 잔여물로 취급되는 생성물이다. 이들 잔여물은 유용한 생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고온에서 균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으로 타르와 중유를 열분해하게 되면 원하는 생성물을 빠르고 비교적 값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물은 경유, 디젤연료 및, 또는 페놀레이트, 나프탈렌, 메틸 나프탈렌, 안트라센, 크레오소트 오일, 소프트 피치, 하드 피치, 함침 피치(impregnation pitch), 양극 피치 및 흑연 피치와 같은 화학물질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은 오일 및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어 또는 플라스틱 잔여물과 같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은 폐기물에 대한 연화 열분해(mild pyrolysis)에 매우 적합하고, 70%의 오일, 15%의 가스 및 15%의 숯과 같은 잔여물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장치 및 처리과정은 열분해 조건에서 폐타이어를 처리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이는 종래의 열분해 장치에서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과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사용가능한 가스 및 오일로 전환할 수 있다.
열분해 조건에서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의 처리는 모노머, 폴리머가 존재하는 빌딩 블록을 생산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과정 및 장치는 혼합 및 이송 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전환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열분해 조건에서 바이오매스의 처리는 바이오매스를 오일 및 가스(그리고 숯과 같은 형태의 미네랄)로 전환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바이오디젤과 같은 운송연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과정 및 장치는 열전달, 단접, 혼합 및, 또는 이송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상기 전환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CO2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서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장치의 주요부분을 보다 자세히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이중 압출 스크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석탄을 숯과 같은 재료로 전환하기에 적합하다. 장치(1)는 이중 벽으로 된 하우징(2)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두 개의 압출 스크류(3)가 제공되고,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기술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압출 스크류(3)만 보이고 있다. 스크류(3)는 뜨거운 가스 또는 액체를 입구 화살표 'A'와 출구 화살표 'B'로 안내하기 위해 중공으로 형성한다.
하우징(2)은 여러 개의 입구와 출구를 갖는다. 하우징의 두 개의 벽사이로 뜨거운 가스를 안내(화살표 'C')하기 위해 입구(4)가 제공되고 상기 뜨거운 가스를 배출(화살표 'D')하기 위해 출구(5)가 제공된다. 하우징의 내측으로 처리된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입구(6)가 제공된다. 상기 재료는 저장통(10)으로부터 입구(6)로 공급된다(화살표 'E'). 재료를 처리하는 동안에 가스가 형성되어 출구(7,8)를 통해 배출된다(화살표 'F','G'). 출구(9)는 처리된 생성물을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많은 생성물이 형성될 경우 많은 출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스크류(3)와 하우징(2)을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중공 스크류(3)는 나선형 블레이드(11)를 갖는 튜브와 같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하나의 배출 출구(7/8)만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부분에 대한 표시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장치에 사용되는 이중 압출 스크류를 더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스크류(3,3')는 중공축과 블레이드(11,11')를 갖고, 상기 블레이드 또한 뜨거운 가스가 스크류를 통해 안내될 때 처리되는 재료에 최대한의 열을 전달하기 위해 중공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는 매우 작은 틈을 갖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8자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3)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내벽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는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다른 피치로 구성된다. 스크류의 블레이드 부분은 패들 또는 로드와 같은 내부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료의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열분해 조건에서의 재료의 처리는 소정 온도까지 재료를 가열하고, 이렇게 가열하는 동안에 산소가 없거나 또는 낮은 부분압에서만 존재하게 하여 다양한 화학반응 및 전환을 일으켜 처리된 생성물 및 반응 가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재료에 대해 고온에서의 화학반응, 상전이 및 고온에서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입구(6)를 통해 재료가 저장통(10)에서 하우징(2)으로 공급되고 압출 스크류(3)에 의해 하우징(2)을 통해 이송되어 출구(9)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이송중에, 상기 재료는 스크류와 하우징을 통해 이송된 뜨거운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처리과정은 3개의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이 3개의 단계는 가열단계, 반응단계 및 처리된 생성물과 가스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각각의 단계는 하우징 길이의 1/3을 사용한다. 가열단계는 입구(6)에서 적합하고, 생성단계는 출구(9)가 제공된 하우징의 단부에서 적합하다.
스크류의 상부 절반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도록 반전형태로 이용되는, 도 3에 도시한 이중 압출 맞물림스크류가 있기 때문에 상기 재료가 스크류의 블레이드 간의 부분영역에서 잘 혼합된다. 이것은 특히 처리과정 중 반응단계에서 중요하고, 이때에 처리되는 많은 재료가 높은 온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화하며, 상기 온도는 300℃에서 최대 1000℃ 사이가 보통이다. 상기 부분적으로 경화된 재료는 점성이 매우 높고 혼합이 어려워 가열조차도 어렵기 때문에 벽과 스크류 근처의 온도는 매우 높고 상기 부분영역의 중간의 온도는 매우 낮다. 또한 상기 점성으로 인해 상기 장치가 막히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압출 스크류는 반응단계에서 점성 경화 재료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스크류 간의 작은 틈으로 인해, 각각의 부분영역이 실질적으로 매우 가깝다. 따라서 상기 부분영역의 내측에서 재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고, 결국 열전달이 양호하게 진행된다. 압출 스크류에 의해 하우징을 통해부분영역 인접하게 되어 막힘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어된 이송이 실시되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처리되는 재료의 종류와 스크류의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스크류는 약 1rpm의 속도로 느리게 회전한다. 대부분의 경우 길이가 12m인 장치면 충분하다.
처리할 재료로는 어떠한 재료도 가능하다. 열분해 조건에서의 처리는 숯 또는 코크스를 생산하기 위한 석탄 처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처리과정 및 장치는 경유, 디젤연료 및, 또는 기타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타르 또는 오일을 처리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과정 및 장치는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기 위해 타이어를 처리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정 쓰레기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특정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재료 외에도, 상기 처리과정 및 장치는 오일 또는 가스 형태의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처리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열분해 조건에서 처리하는 동안에 가스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가스의 종류는 처리과정 중의 단계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처리 재료에 있어, 상기 가스는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다른 단계에서 발생한 가스로부터 한 단계동안 발생한 가스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 1에 두 개의 출구(7,8)를 도시하였다. 상기 출구의 정확한 위치는 재료의 열분해에 따라 다르고, 두 개 이상의 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재료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출구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형성된 생성물에 대한 출구는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이중 압출 스크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가능한 구조체 중 하나일 뿐이다. 예를 들면, 전체 길이에 대한 일부에 있어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스크류를 사용하거나, 또는 가변 피치를 갖는 블레이드를 갖는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크류의 축간 거리는 블레이드가 맞물리는 길이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나 그 결과 혼합이 양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길이도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7)

  1.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8자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중공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중공축 상의 블레이드는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일부의 길이에 있어 이중 스크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가변 피치의 블레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짧은 피치와 긴 피치로 전환하는 영역을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짧은 피치를 갖는 한 영역, 긴 피치를 갖는 한 영역, 바람직하게는 단부 피치를 갖는 단부 영역을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긴 피치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압출 스크류의 각 영역 앞에, 상기 압출 스크류의 축과 하우징 사이에 혼합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성된 가스용 출구 및,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성된 생성물용 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긴 피치를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압출 스크류의 각각의 영역에 있어, 형성된 가스용 출구가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축과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두 개의 연속한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와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과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두 개의 연속한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패들 및, 또는 로드와 같은 내부요소가 제공되는 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중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또는 상기 압출 스크류는 주철, 바람직하게는 구상흑연주철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1 내지 25m 사이의 길이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m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2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재료의 가열 단계, 상기 재료가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반응 단계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된 생성물이 형성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는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생성물은 하우징 내의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재료와 생성물은 이중 반전 압출 맞물림스크류에 의해 강제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을 이송하는 동안에 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은 이송 중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스크류는 25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고, 바람직하게는 1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21. 제 17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은 최대 온도 300℃ 내지 1000℃까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00℃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까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22. 제 17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의 이송시간은 10분 에서 60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23. 제 17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와 처리된 생성물은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0.5 내지 5bar의 압력하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방법.
  24. 상기 재료인 석탄을 상기 생성물인 숯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장치의 이용방법 및,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처리방법.
  25. 상기 재료인 철광석을 상기 생성물인 강철로 처리하거나, 또는 기타 산화 금속이 환원제에 의해 관련 금속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이용방법 및,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처리방법.
  26. 상기 재료인 타르 및, 또는 오일을 상기 생성물인 경유, 디젤 연료 및, 또는 기타 화학물질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이용방법 및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처리방법.
  27. 상기 재료인 바이오매스, 타이어 또는 폐기물을 상기 생성물인 오일 및 가스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이용방법 및,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처리방법.
KR1020057005871A 2002-10-04 2003-10-03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와 처리방법 및 그이용방법 KR20050071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20079164 EP1405895A1 (en) 2002-10-04 2002-10-04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 material under pyrolytical conditions, and use thereof
EP02079164.6 2002-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544A true KR20050071544A (ko) 2005-07-07

Family

ID=3198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871A KR20050071544A (ko) 2002-10-04 2003-10-03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와 처리방법 및 그이용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143977A1 (ko)
EP (2) EP1405895A1 (ko)
KR (1) KR20050071544A (ko)
CN (1) CN100532502C (ko)
BR (1) BR0314528A (ko)
CA (1) CA2501262A1 (ko)
RU (1) RU2326926C2 (ko)
UA (1) UA81782C2 (ko)
WO (1) WO2004031324A1 (ko)
ZA (1) ZA20050307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085B1 (ko) * 2005-11-22 2006-06-1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유기성 폐기물 탄화로
US9586341B2 (en) 2008-11-17 2017-03-07 Xyleco, Inc. Processing biomass
KR20200056058A (ko) * 2018-11-14 2020-05-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혼합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50432A1 (it) * 2005-06-29 2006-12-30 Giorgio Pecci Procedimento di trasformazione di sostanze organiche solide aventi legami chimici in catene lunghe in miscugli di componenti solidi e/o liquidi e/o gassosi organici e/o inorganici a catene corte ed apparecchiatura per attuarlo
AU2007278127A1 (en) * 2006-07-25 2008-01-31 Brian Anthony Evans Biomass reactor
AU2007340053B2 (en) * 2006-12-26 2012-03-08 Nucor Corporation Pyrolyzer furnace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US20090007484A1 (en) * 2007-02-23 2009-01-08 Smith David G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verting biomass feed materials into reusable carbonaceous and hydrocarbon products
US7893307B2 (en) * 2007-02-23 2011-02-22 Smith David G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verting feed material into reusable hydrocarbons
EP1970424A1 (fr) * 2007-03-15 2008-09-17 Pro-Natura International Dispositif et procédé de pyrolyse d'une biomasse
AU2014271224B2 (en) * 2008-11-17 2017-05-25 Xyleco, Inc. Processing biomass
US8518146B2 (en) 2009-06-29 2013-08-27 Gb Group Holdings Limited Metal reduction processes, metallurgical processes and products and apparatus
CA2767059A1 (en) * 2009-07-02 2011-01-06 Gershon Ben-Tovim Torrefaction apparatus
CN101634452A (zh) * 2009-08-13 2010-01-27 牛斌 连续除氯工艺及设备
EP2560806A1 (en) * 2010-04-21 2013-02-27 Giorgio Pecci Screw reactor for transforming long molecular chain organic matter
CN101984024B (zh) * 2010-11-08 2011-09-21 西峡龙成特种材料有限公司 复合螺旋仓式煤物质分解设备
TWI417374B (zh) * 2010-11-25 2013-12-01 Univ Nat Taiwan Rapid Pyrolysis System of Biogenic Raw Material into Biomass Oil and Its
FR2983203B1 (fr) * 2011-11-30 2015-03-27 Sarp Ind Installation de traitement comprenant un reacteur de thermolyse
US9222612B2 (en) 2012-01-06 2015-12-29 Vadxx Energy LLC Anti-fouling apparatus for cleaning deposits in pipes and pipe joints
JP2015512965A (ja) 2012-02-09 2015-04-30 バドックス エナジー エルエルシーVadxx Energy Llc ポリマー廃棄物を転換するための区画分けされたパイロリシス装置
BR112014020088A8 (pt) 2012-02-15 2017-07-11 Vadxx Energy LLC Aparelhagem de pirólise zona-delineada com duplo, estágio
CN102618303A (zh) * 2012-03-28 2012-08-01 苏忠 煤低温热解反应器
CN103212361B (zh) * 2012-12-23 2015-07-22 苏氏工业科学技术(北京)有限公司 易于控制反应条件的非整体中空螺旋式结构的节能反应炉
EP2789677A1 (en) 2013-04-12 2014-10-15 Kymi Baltic Consulting Oü Torrefaction plant, its operation and maintenance
PL227338B1 (pl) * 2013-07-12 2017-11-30 Fluid Spółka Akcyjna Sposób przetwarzania biomas w paliwo odnawialne i urzadzenie do przetwarzania biomas w paliwo odnawialne
CN105018123B (zh) * 2014-04-30 2017-12-19 代建军 一种提高生物质受热均匀性和热效率的烘焙方法和系统
US9624439B2 (en) * 2014-08-10 2017-04-18 PK Clean Technologies Conversion of polymer containing materials to petroleum products
ES2873523T3 (es) 2014-12-17 2021-11-03 Pilkington Group Ltd Horno
MX2018010452A (es) * 2016-03-01 2019-03-28 Sika Tech Ag Mezcladora, sistema para aplicar un material de construccion y metodo para producir una estructura a partir de material de construccion.
GB201719688D0 (en) 2017-11-27 2018-01-10 Pyrogenesys Ltd Pyrolysis
FI129499B (en) * 2018-02-26 2022-03-31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Procedure for performing thermolysis and thermolysis equipment
CN109022001B (zh) * 2018-08-16 2023-04-14 湖北师范大学 一种自重螺旋渐进式生物质高效节能热解炉装置
CN109135831B (zh) * 2018-10-31 2021-01-19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加热式生物质气化炉的热解筒输送装置
CN109908800A (zh) * 2019-04-14 2019-06-21 萍乡市信源电瓷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电瓷绝缘子榨离设备及其榨离方法
CN110396449A (zh) * 2019-07-02 2019-11-01 任永飞 一种用于原煤高效脱水和热值提升的生产装置和方法
CN112624552A (zh) * 2019-09-24 2021-04-09 王其成 一种低含液油泥裂解处理装置及工艺
KR102272034B1 (ko) * 2019-11-07 2021-07-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형 폐기물 연료(srf)의 열분해 가스화 및 알루미늄 재활용 장치
CN110951499A (zh) * 2019-12-19 2020-04-03 阳光机电(寿光)有限公司 一种废旧轮胎整胎连续裂解设备
RU207663U1 (ru) * 2021-04-23 2021-11-10 Дмитрий Витальевич Соколов Мобильный модуль реактора пиролиза для комплексов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RU2767464C1 (ru) * 2021-10-01 2022-03-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кон Констракшн" Система подготовки и подачи материал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3d принтера
CN113816081A (zh) * 2021-10-18 2021-12-21 西安西热锅炉环保工程有限公司 利用高温烟气或热风加热以辅助输送固废的装置及方法
CN114160376B (zh) * 2021-12-16 2023-05-09 福建晶谱瑞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led生产点胶设备
CN116441340B (zh) * 2023-04-26 2024-05-21 唐山曹妃甸区通鑫再生资源回收利用有限公司 热压铁块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5061A (en) * 1919-05-31 1922-05-09 Internat Coal Products Corp Furnace-retort
US1468379A (en) * 1920-06-02 1923-09-18 John Leslie Cloudsley Screw conveyer
US1458492A (en) * 1920-11-19 1923-06-12 Paul L Mathews Apparatus for mixing
US3178361A (en) * 1960-12-15 1965-04-13 Bailey Inv S Inc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rbonizing coal
US3471369A (en) * 1968-01-08 1969-10-07 Suburban Mechanical Contractor Production of char
JPS5665084A (en) * 1979-08-30 1981-06-02 Jensen Frank C Thermal decomposition and device
DE3337622A1 (de) * 1983-10-15 1985-04-25 Veba Oel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4660 Gelsenkirchen-Buer Verfahren zur schwelung von rueckstaenden der kohlehydrierung
US5296005A (en) * 1990-11-15 1994-03-22 Coal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converting coal into liquid fuel and metallurgical coke
US5151159A (en) * 1990-11-15 1992-09-29 Co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al into liquid fuel and metallurgical coke
GB9109814D0 (en) * 1991-05-07 1991-06-26 Christian Engineering Apparatus for continuously mixing and heating flowable materials
JP3482838B2 (ja) * 1997-09-30 2004-01-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移動型炉床炉の操業方法
NL1009664C2 (nl) * 1998-07-15 2000-01-18 Rollepaal B V Maschf De Werkwijze voor gefaseerde warmtebehandeling 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ie werkwijze.
JP2000273460A (ja) * 1999-03-25 2000-10-03 Japan Steel Works Ltd:The 可燃性廃棄物の合成石炭化方法および合成石炭化装置
CA2303795A1 (en) * 2000-03-27 2001-09-27 Zenon Todorski Process for continuous pyrolysis of wood chips and other cellulosic materials with the objective of maximizing the yield of methanol, other liquid organics, and activated carb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085B1 (ko) * 2005-11-22 2006-06-1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유기성 폐기물 탄화로
US9586341B2 (en) 2008-11-17 2017-03-07 Xyleco, Inc. Processing biomass
KR20180018837A (ko) * 2008-11-17 2018-02-21 질레코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오매스의 가공처리방법
KR20180082644A (ko) * 2008-11-17 2018-07-18 질레코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오매스의 가공처리방법
KR101880417B1 (ko) * 2008-11-17 2018-07-19 질레코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오매스의 가공처리방법
KR20200056058A (ko) * 2018-11-14 2020-05-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와 고분자 폐기물의 혼합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분해 오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314528A (pt) 2005-07-26
RU2005113720A (ru) 2005-09-20
CN100532502C (zh) 2009-08-26
EP1405895A1 (en) 2004-04-07
CA2501262A1 (en) 2004-04-15
AU2003280367A1 (en) 2004-04-23
ZA200503070B (en) 2006-07-26
EP1551939A1 (en) 2005-07-13
US20060143977A1 (en) 2006-07-06
UA81782C2 (uk) 2008-02-11
WO2004031324A1 (en) 2004-04-15
CN1711337A (zh) 2005-12-21
RU2326926C2 (ru)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1544A (ko) 열분해 조건에서 재료를 처리하는 장치와 처리방법 및 그이용방법
US20050039651A1 (en) Variable speed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KR101914366B1 (ko) 이중 스크류 구조를 갖는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US4316873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coal to hydrocarbons by hydrogenation
CA2529581C (en) Mixing device
JP5175721B2 (ja) 固体材料の有機分子の炭素鎖の切断方法及び関連装置
WO2013171510A1 (en) Processing waste polymeric material
AU200328036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 material under pyrolytical conditions, and use thereof
NL2028704B1 (nl) Methode voor pyrolyse van afvalmateriaal in industrieel proces
KR20210083492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 장치
CN219922974U (zh) 一种油剂生产酯化反应罐
CN219540011U (zh) 一种利用油泥生产再生橡胶设备
CN218642679U (zh) 非等温加热桨叶推进裂解炉
EP0907492A1 (en) Port device for extruder
KR102603124B1 (ko) 용융염 방식의 다단 연속 열분해 반응기
JPH11116730A (ja) 熱可塑性樹脂の熱分解装置
JPH08252696A (ja) 圧縮成形装置
JP2001070775A (ja) 混合機
RU2247654C1 (ru) Смеситель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нефтяных битумов
WO2023172976A1 (en) Fouling mitigation of delayed coker heaters
CA2009304A1 (fr) Procede de production d'une pate carbonee destinee a etre mise en forme en sortie d'un malaxeur
CH706818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Pyrolyse von kohlenstoffhaltiger Organik, aufgelöst in einem heissen Ölbad unter Vakuum und Sauerstoffausschluss mit Beigabe von Katalysatoren zur Erzeugung von Flüssigkraftstoffen, Koks oder Holzkohle und Brenngasen zur Deckung des Prozessenergiebedarfs.
JPS5922988A (ja) 重質油の熱改質方法
CH706819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Pyrolyse von kohlenstoffhaltiger Organik, aufgelöst in einem heissen Ölbad unter Vakuum und Sauerstoffausschluss mit Beigabe von Katalysatoren zur Erzeugung von Flüssigkraftstoffen, Koks oder Holzkohle und Brenngasen zur Deckung des Prozessenergiebedarf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