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065A - 공공 작업 기계의 용기 공구에 마모편을 결합하기 위한장치 - Google Patents

공공 작업 기계의 용기 공구에 마모편을 결합하기 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065A
KR20050070065A KR1020057006618A KR20057006618A KR20050070065A KR 20050070065 A KR20050070065 A KR 20050070065A KR 1020057006618 A KR1020057006618 A KR 1020057006618A KR 20057006618 A KR20057006618 A KR 20057006618A KR 20050070065 A KR20050070065 A KR 20050070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dapter
skirt
contac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를르 빠스깔리니
쟝-마르크 노아이이
Original Assignee
아프 므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 므딸 filed Critical 아프 므딸
Publication of KR2005007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4Flexible member is join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18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separably interposed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10T403/7077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for telescoping members
    • Y10T403/7079Transverse pin
    • Y10T403/7083Transverse pin having means to prevent removal of re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10T403/7077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for telescoping members
    • Y10T403/7079Transverse pin
    • Y10T403/7086Wedge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10T403/7077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for telescoping members
    • Y10T403/7079Transverse pin
    • Y10T403/7088Sliding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10T403/7077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for telescoping members
    • Y10T403/7079Transverse pin
    • Y10T403/7091Expansible re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anipulator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D)는 스커트(2)를 구비하는데 상기 스커트는 키이 통과 영역을 지나서 어댑터 돌출부를 보호하고 경계 가장자리(2.7)를 구비하는, 복귀 벽(2.2)에 연결된 구성부(2.1)를 가진다. 상기 벽은 스커트의 폭 안에 제공되며 키이의 통과와 위치 선정에 대응한다. 상기 측부 벽의 단부에 근접하여 스커트의 두께에는, 작동시에는 맞닿는 기능이 결여되고 키이가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될 때만 안내 및 정지 기능이 보장되는 키이의 통과 개구(2.3, 2.4)가 제공된다. 키이는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2 개의 구성 요소(4.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공 작업 기계의 용기 공구에 마모편을 결합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coupling wear pieces to reception tools of a public works machine}
본 발명은 육상용 또는 해상용 공공 작업 기계를 가지고 주어진 위치로부터 다른 작업 위치로 재료들 또는 다른 품목들을 움직일 목적으로 상기 재료들 또는 다른 품목들을 긁어모으고, 들어올리고 그리고 움직일 수 있는 통(bucket), 스쿠프(scoop) 또는 다른 용기들을 가지는 공공 작업용 기계의 장비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 있어서, 맞춤 형상의 제거 가능한 치(tooth)를 수용할 수 있는 어댑터 돌출부(adapter nose)들을 상기에 언급된 통, 스쿠프, 용기 및 그와 유사한 것의 위에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치(teeth)는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긁어모아야하는 재료 및 물질들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결과적으로 그것의 사용상의 압력에 기인하여 급속한 마모의 원인이 된다. 통, 스쿠프 및 다른 용기들 위에 형성된 어댑터 돌출부는 통, 스쿠프 또는 미리 형성된 용기의 립(lip)에 단단하게 부착된 수컷의 일편이며, 스쿠프, 통 또는 용기나 또는 다른 특정의 공구들이 형성될 때 분리되거나 또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끼워진 치는 암컷의 일편으로서, 그들의 형태가 어댑터 돌출부(adapter nose) 또는 돌출부들에 맞도록 제조됨으로써, 어댑터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이 그 위에 맞물릴 수 있다. 치들이 마모되었을 때 치를 교환하는 필요 조건은 마모편(wear piece)과 대응하는 어댑터 돌출부 사이에 연계를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에서 많은 제조자들에 의해서 제공된 연계는 금속이거나 또는 유연성 재료에 의한 유연성을 포함하는 혼합된 것일 수 있는 키이(key)이다.
선행 기술에서 제안된 모든 시스템들은 맞춰진 치와 대응 어댑터 돌출부 사이의 파지부에서 균형을 나타내고 적합화시키고 그리고 제공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사용 요건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작업에서 스트레스를 밀고 당기는데 적절한 치와 어댑터 돌출부 사이의 일정하고 확고한 연계부가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2 개 작업편들 사이의 연계부는 치와 어댑터 돌출부 사이에서 획득된 연계부에 전방의 접촉 영역과 반대편 후방의 접촉 영역이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키이 형상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 412 186 에는 그에 대한 해법이 제안되어 있다.
키이의 구성 요소들의 압력을 적합화시킬 수 있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패킹(packing)을 파지하는 금속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 샌드위치로 불리우는 키이의 공지된 개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FR 2204741 은 그러한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외부의, 수직이나 수평의, 단일의 것이거나 또는 2 중의 횡단 접촉에 의하여 어댑터와 간섭하는 키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인이 되는 문제는 교체용 치를 현존하는 어댑터 돌출부에 어떻게 부착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 과정은, 규격품인 어댑터 돌출부의 가변적인 형상에 기초하여, 특히 새로운 치의 형상이 그 어떤 유형의 어댑터 돌출부에 위치되고 부착될 수 있는 신규한 조립 및 결합 방법을 착상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치가 어댑터 돌출부상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치의 형상과 특징들 및 전용 키이에 의한 연계부 시스템이 없이도 가능한 해법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어댑터 돌출부에서, 실제로 키이에서 신규의 연계부 개념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디자인이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이러한 장비의 유형에서 고유한 다양한 외부 스트레스들을 장기간 만족스러운 유지 상태로 지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의 부위를 증가시키고 최적화시킴으로써 어댑터 돌출부와 치에 대한 키이의 위치상의 안정성을 극히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의 형상을 다시 고려하는 것에 기초하여, 어댑터 돌출부의 보호를 향상시키고, 따라서 외부 환경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목적들과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도면들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및 결합용 키이를 위한 치-어댑터 돌출부(tooth-adapter nose) 조립체를 조립 이전에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조립 이전에 키이를 2 개의 분리된 부분들을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키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조립된 키이의 후방도이다.
도 5 는 조립된 키이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조립된 키이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조립된 키이의 선행하는 도면의 반대측에 대한 도면이다.
도 8 은 키이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 12 의 선 8.8을 따른 치 어댑터 돌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키이의 최종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도 12 의 선 9.9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a, 10b, 10c 는 치-어댑터 돌출부 조립체 안으로 키이를 점진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부분적인 확대 축적 도면이다.
도 11 은 치와 어댑터 돌출부를 함께 결합시키기 위하여 키이의 위치 선정을 도시하는, 도 10 에 따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치-어댑터 돌출부를 도시하는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5 의 화살표(F)의 방향에서의 부분적인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1 의 선 14.14 를 따른 부분적인 단면도이지만, 치-어댑터 돌출부의 연계부에서 키이의 위치 선정 이후에 도시한 것이며, 조립 결합 이후에 키이의 구성 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새로운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 는 치의 입구부(throat)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화살표(F)의 방향에 대한 부분적인 도면이다.
도 17 은 도 16 에서 선 17-17을 따라서 도시한 정면 부분의 치의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6 의 선 18-18 에 따른 후방 부분의 치의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의 선 19-19 를 따른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서, 육상 또는 해상의 공공 작업용 기계에서 사용되는 용기 공구들의 단부에서 마모편들 사이에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는 치를 구비하며, 상기 치는 어댑터 돌출부상으로 맞춰지고 어댑터상의 전방 접촉 영역과 치 위의 대향하는 후방 접촉 영역을 가진 키이에 의해 결합되며, 어댑터 돌출부는 키이가 통과되는 횡방향의 수직 또는 수평의 절제부를 가진 영역을 가지고 맞닿음 평면을 형성하는 횡방향 경계를 한정하며, 상기 장치는 긁어모으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그것의 후방 단부에서 어댑터 돌출부를 덮는 감싸는 스커트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는 경계 융기부를 구비한, 직선의 평탄한 복귀 벽과 연결되는 형상화된 구성을 가지고, 상기 복귀 벽은 스커트의 폭 안에 확립되어 키이의 통과와 위치 선정에 대응하고, 상기 복귀 벽의 단부들에 근접하여 스커트의 두께에는, 작동 상황에서 맞닿음 기능 없이 키이가 통과되며 키이가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될 때만 안내 및 맞닿음 기능을 수행하는 개구가 있으며, 키이는 2 개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여 횡방향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키이는 각각의 그들 구성 요소들상에, 큰 길이의 접촉 영역과 대향하는 접촉 맞닿음 영역을 가져서, 키이가 통과되는 개구들 사이에 위치된 공간에서, 융기부를 형성하는 그것의 경계의 장소에서, 한편으로는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부분에 대하여 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복귀 벽에 대하여 접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장치는 키이가 횡단 평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조절 가능한 2 개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고, 치와 어댑터 돌출부에 대하여 접촉 및 대향 접촉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정의 형태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요소들이 패칭 재료를 수용하고, 상기 패킹 재료는 그들을 연계시키고 키이의 위치 선정 이후에 탄성의 이완에 의해서, 각각의 상기 구성 요소들이 복귀 벽의 위치에서 치와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면들에 대하여 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주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제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치와 어댑터 돌출부, 스쿠프(scoop) 및, 육상 또는 해상의 공공 작업용 기계를 위하여 적합화되고 사용되는 그 어떤 유사한 마모편과, 재료를 가공하고 처리하며 그것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품목의 장비의 설치에 적용된다.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을 치와 어댑터 돌출부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D 로 식별되는 치와, 전체적으로 A 로 식별되는 어댑터 돌출부 사이의 결합 연계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연계 수단은 C 로 식별된다.
공지의 방식에 있어서, 치(D)를 취하도록 의도된 어댑터 돌출부(A)는 4 개의 연속적인 부분들을 구비하는데, 전체적인 조립체는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통 또는 다른 용기에 부착되는 견고한 일편(solid piece)을 형성한다. 돌출부의 단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방법에 따라서 그 어떤 것일 수도 있다는 점을 표시하도록 해칭으로 표시되었다.
부분(1a)은 테이퍼져 있으며 치의 저부에 도달하는데, 이러한 부분은 그 어떤 적절한 형상이 된다. 이것의 다음에는 치의 대향하는 벽과 접촉하는 보다 큰 단면의 부분(1b)이 이어진다. 다음의 부분(1c)은, 공지의 방식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키이(C)가 통과되는 절제부(1e)를 가지는데, 이것은 맞닿는 평면을 형성하는 횡방향의 경계(1f)를 한정한다. 이러한 절제부의 폭은 키이가 통과하기에 적절한 것이다. 다음 부분 또는 단부 부분(1d)은 돌출부를 통 또는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댑터 돌출부의 복귀 벽(return wall)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 돌출부(A)는 치(D)의 안으로 끼워질 수 있는데, 이것은 한편으로 응력의 힘을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종래 기술의 접촉 및 대항 영역들보다 크고 그와 상이한 접촉 및 대항 영역이 획득될 수 있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댑터 돌출부의 최적화된 보호가 가능하도록 특정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치(D)는 마찰 지점 부분으로부터 이탈된 그것의 후방 단부에 치와 같은 주조품의 일 부분인 감싸는 형상의 스커트(2)를 가진다. 이러한 스커트는 키이가 통과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어댑터 돌출부의 부분(1c)을 실질적으로 지나서 도달하면서 어댑터 돌출부의 전체적인 윤곽에 걸쳐서 어댑터 돌출부를 가능한 한 많이 덮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스커트는 형상화된 감싸는 구성부(2.1)를 가지는데, 그것의 형태는 어댑터의 형태에 무관하게 어댑터의 형태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면의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점에서 어댑터 돌출부와 접촉함이 없이 간극과 함께 입구부를 형성하도록 넓혀진다. 스커트의 다른 부분은 융기부(2.7)를 형성하는 경계를 가지고 직선의 평탄한 복귀 벽(2.2)을 형성한다. 이러한 직선의 복귀 벽은 스커트의 전체적인 폭 안에 확립되며 키이(C)의 통과 및 접촉 위치 선정에 대응한다. 상기 복귀 벽의 단부에 근접하여, 그리고 스커트의 두께에 있어서, 키이가 통과되는 개구(2.3-2.4)들은 키이가 개구들중 하나를 통하여 맞물려서 복귀 벽의 내측 부분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들 개구들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2.3a - 2.4a)를 가지며 하나 또는 2 개의 부가적인 돌출 톱니 부분들(2.3b-2.3c-2.4b-2.4c)이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수하게 형상화된 키이의 통과를 위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서 대향되어 위치된다.
키이가 삽입되거나 또는 추출될 때, 개구들은 맞닿음 벽(2.3d-2.4d)을 나타낸다는 점이 특정되어야 하며, 맞닿는 벽의 상태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벽(2.2)은 복귀 벽의 내측 평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제 1 의 직선 정면 안내 경사부(2.5)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 1 경사부는 어댑터 돌출부와 접촉되고 수용 부분 안으로 들어가는 치의 내측 벽(2.6) 다음에 있게 된다.
더욱이, 치의 복귀 벽(2.2)은 그 단부에서, 스커트의 외측 윤곽에 연결되는 개구의 평면에 근접하여 놓여있는 상기 직선의 경계 융기부(2.7)로 구성됨으로써, 스커트의 완전한 폐쇄 형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계 융기부(2.7)는 내측의 단차(2.7a)를 통하여, 상기 단차의 전체 길이(2.7a)를 따라서 키이의 맞닿음 부분 후방 영역을 구성한다. 더욱이, 상기 경계 융기부에는 그것의 내측면상에,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키이의 정지 및 위치 걸쇠 작용 영역을 형성하는 특정 영역을 위한 시이트(seat, 2.7b)를 형성하는 부분이 제공된다. 따라서,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에서, 그러한 하나의 특정한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키이가 통과되는 상기의 개구들은 작동 상황에서 맞닿거나 접촉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접촉 기능이 없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개구(2.3)들중 하나는 일 면(2.3d)에 의해서 키이가 삽입될 때만 키이의 횡방향 운동을 제한하고 맞닿는 영역을 형성하고, 다른 개구(2.4)는 키이의 안내와 제거 또는 그 반대를 위한 동일한 맞닿음 면(2.4d)을 가진다.
이제 도면들에서 모든 키이들의 형태로써 도시된 키이(C)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키이는 2 개의 구성 요소(4-5)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키이의 위치에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고, 다음에 결합된 상황과 그리고 동등하게는 마모의 상황에서 치-어댑터 돌출부의 쌍 안으로 삽입된다.
키이를 소정의 방향으로 삽입하는 국면에 더하여, 상기 키이는 그것의 위치 선정 국면에서 횡방향 운동을 할 수 있다.
2 개 구성 요소들의 작동 관계에 있어서, 구성 요소들중 하나(4)는 고정되고, 다른 것은(5)은 상기의 것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2 개의 구성 요소들은 특정의 형태에 의해 상호 안내되며, 이후에 설명될 엘라스토머 재료(6)의 삽입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는데, 상기 구성 요소들 각각에는 특정의 형상이 제공되어서, 결합의 확고한 연계와, 따라서 치-어댑터 돌출부의 확고한 연계를 보장하기 위하여 치와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맞닿는 면들 위에서 접촉 및 대항하는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구성 요소(4)가 키이의 길이를 한정하는 보다 큰 길이의 동체로서 구성되고, 위에 언급된 개구(2.3-2.4)를 통과하는 스커트(3) 안의 내측 복귀 벽(2.2)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이러한 동체는 그것의 정면에서, 그리고 대응하는 수직의 측부(4.1)에서, 특별한 두께의 평탄한 얇은 조각 부분(4.2)을 가지는데, 그것의 단부(4.3)는 경사져 있다. 키이가 삽입될 때 상기 평탄한 조각 부분(4.2)은 벽(2.3d)과 맞닿기 위한 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정의 형상은, 그것의 내측 단차(2.7a)와 시이트 부분(2.7b)에 의해서 상기 복귀 벽의 횡방향 경계 융기부(2.7)에 대응하는 형상에 가압될 때 그 자체의 중심을 맞추고 걸쇠 작용을 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더욱이, 주 동체(4)는 제 2 구성 요소(5)가 움직일 수 있도록 내측 공간이 개방되어 있고 안내 홈(4.5)을 가진 횡방향 절제부(4.4)를 가진다. 신장된 개구(4.6)는 2 중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즉, 엘라스토머 재료의 삽입과 팽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주 동체의 상부면상에 설정된다.
제 2 의 이동 구성 요소(5)는 L 형상의 윤곽을 가지며 주 동체(4)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 2 의 동체는 평탄한 고원부(5.1)를 가지며 그것의 단부(5.2)들은 안내 홈(4.5)에 맞물리도록 테이퍼진다. 고원부(plateau)는 가려져 있는 내측의 공동(5.3)을 가지며 상기 공동은 상기 조립된 키이의 전체를 함께 유지하는 연계부 재료(6)를 수용할 수 있다. 제 2 동체의 고원부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로서,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는 맞닿는 면(5.6)을 가지는 직각의 날개부(5.4)와 함께 연장된다. 이러한 날개부(5.4)는 어댑터 돌출부의 맞닿는 경계의 위에 위치될 수 있는 직선의 경계부(5.5)를 가질 수 있다. 제 2 동체(5)는, 어댑터 돌출부에 대한 맞닿는 부분의 면과 그것의 접촉면의 양 측부상에,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경사부를 형성하는 평탄부(5.7)를 가진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하며, 경사부의 기능은 키이(E)에 대한 설명과 설치와 함께 특정될 것이다.
변형예로서, 치의 융기부와 접촉하는 키이의 면은 도 7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이거나, 직선이거나 또는 일직선일 수 있다. 곡선은 키이를 정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며, 하우징은 그에 맞는 형상이다.
패킹 재료(packing material, 6)는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으며,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동체 안에 형성된 신장된 통공들의 레벨과 같은 높이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면서, 주 동체 및 제 2 동체의 내측 체적의 공간의 전체를 충전시킨다. 재료는 키이가 조립될 준비가 되도록 응고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맞닿는 영역에 접촉하는 후방측은 주 동체의 정면과 같은 평면에 있도록 제 2 동체가 주 동체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키이는 도 5 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패킹 재료는 그것이 다음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충족시키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 고체의 일편이 되는 키이의 완전성
- 사용상의 응력에도 불구하고 치-어댑터 돌출부의 연계가 유지됨
- 키이를 설치할 때의 다양한 환경을 충족시키도록 팽창 및 수축의 특성을 가져야 하지만, 시간이 경과되고 마모된 이후에, 치와 어댑터 돌출부를 서로에 대하여 여전히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 2 개의 키이 구성 요소들을 서로에 대하여 움직임으로써 유지 및 전단 특성을 가진다.
이제 키이를 조립하고 설치하는 작동을 수행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10b, 11을 참조하면, 설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2 개의 구성 요소(4-5)와 패킹 재료(6)로 완전한 일체의 단편을 형성하는 키이는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치와 어댑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자유 공간 안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키이의 후방면이 스커트상에 형성된 상기 언급된 복귀 벽의 경계 융기부에 대향할 때까지 키이는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키이는 그것의 일부(4.2)에 의해서 개구(2.3)의 벽과 맞닿게 되고 안내 접촉을 이루게 된다. 도 10b 에 따른 국면에서는, 패킹 재료의 압축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 2 동체상에 형성된 램프(5.7)가 어댑터 돌출부상에 형성된 맞닿음 부분(1f)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키이가 위치된다. 키이를 삽입하는 제 3 의 국면(도 10c)은 부분적이다. L 형상 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제 2 동체(5) 상에 설정된 립(lip, 5.6)은 어댑터 돌출부상에 형성된 맞닿음 부분(1f)에 대하여 오게 되지만, 키이와 상기 언급된 개방 벽(2.3d) 사이에는 여전히 접촉이 있다. 키이가 삽입되면, 그것의 제 2 동체는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기울여지는 경향이 있어서, 패킹 재료를 압축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야기한다. 도 11 에 도시된 다음의 국면에서, 키이는 완전히 삽입되어 그것이 개구(2.3)의 벽(2.3d)을 이탈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 동체(4) 상에 형성된 돌출 부분(4.2)은 걸쇠 작용의 상황에서 복귀 벽의 경계 융기부(2.7)상에 설정된 단차 부분(2.7a) 및 대응 시이트 부분(2.7b)과 중심상으로 접촉하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키이는 정확하게 위치되는 반면에 그것의 주 동체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전진된다. 더욱이, 이러한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팽창되는 압축된 패킹 재료는 키이 위에 형성된 처음의 채워지지 않은 신장된 개구의 영역을 채우며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돌출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의 구성 요소들은 상기에 언급된 상태에서 맞닿으면서 서로로부터 수 밀리미터로써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2 개 구성 요소들의 분리는 도 7 에 도시된 거리(d)에 대응하는 대략 5 밀리미터의 정도이다.
따라서 재료의 압축 효과가 있게 되며 조립은 확고하게 유지된다. 키이는 한편으로는 어댑터 돌출부에 대향하는 맞닿음 영역(1f) 및 스커트의 복귀 벽 위에 형성된 경계 융기부(2.7)에 대향하는 후방 맞닿음 영역에서 치와 어댑터 돌출부 사이에 단단하고 정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맞닿음 영역은 종래 기술에 비교할 때 매우 큰 길이이다. 따라서 조립은 확고하게 유지된다. 개방 영역(2.3-2.4)은 키이의 설치 이후에 작동 상황에서 맞닿음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 기억되어야 한다.
키이는 타격 작용에 의해서 제거되는데, 이는 재료가 압축되게 하고, 키이를 수용 시이트와 형상부(2.7a-2.7b)로부터 걸쇠 작용이 해제되게 하여 키이가 해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안된 장치는 위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추구되는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한다.
개구(2.4)는 그것의 일측에 벽(2.3d)과 동일한 안내면(2.4d)을 가지며, 이는 해제를 위해서 키이와 접촉되는데 사용된다.
더욱이, 완전한 스커트는 어댑터 돌출부와 키이 시스템의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보호를 제공하고 치의 유지 영역을 강화하며 물질의 유입에 대한 스크린(screen)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물질의 유입은 키이 시스템이나 또는 치의 제거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치와 그것의 어댑터 지지부 사이에 확립된 접촉 영역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장과 관련하여, 치는 2 개의 대향하는 키이들의 통과를 위하여 적합화된다는 점이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어댑터에는 2 개의 대향하는 절제부(1e)가 주어진다.
본 발명은 치와 어댑터 돌출부를 확고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공공 작업용 기계에서 사용되는 용기 공구의 단부에서 마모편들 사이에 연계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어댑터 돌출부(A)상으로 끼워지는 치(D)를 구비하고 어댑터상의 전방 접촉 영역 및 치 위의 대향하는 후방 접촉 영역을 가지는 키이(C)에 의해 결합되는 유형의 것이고, 어댑터 돌출부는 키이가 통과하는 횡단 수직 또는 수평의 절제부(1e)가 있는 영역(1c)을 가지고,
    상기 장치는 치(D)가 그것의 긁어모으는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그것의 후방 단부에서 키이가 통과하는 영역을 지나서 어댑터 돌출부를 덮는 감싸는 스커트(2)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는 경계 융기부(2.7)를 구비하는 직선의 평탄 복귀 벽(2.2)에 연결된 형상화된 구성부(2.1)를 가지고,
    상기 복귀 벽은 스커트의 폭 안에 설정되고 키이의 위치 선정 및 통로에 대응하고, 상기 복귀 벽의 단부들에 근접하여 그리고 스커트의 두께 안에, 작동 상황에서 맞닿음 기능 없이 그리고 키이가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될 때만 안내 및 맞닿음 기능을 수행하면서 키이가 통과되기 위한 개구(2.3-2.4)가 존재하고,
    키이는 횡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2 개의 구성 요소(4-5)를 구비하고, 상기 키이는, 이들 구성 요소들 각각에, 한편으로는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부분에 대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복귀 벽에 대하여, 키이가 통과하는 개구들 사이에 위치된 공간 안에 융기부를 형성하는 그것의 경계 장소에, 큰 길이의 접촉 및 대향하는 접촉 맞닿음 영역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커트는 어댑터 돌출부와의 접촉 없이 입구를 형성하도록 넓혀진 형상화된 감싸는 구성부(2.1)를 가지고 스커트의 다른 부분은 복귀 벽(2.2)을 형성하며,
    키이가 통과하는 개구(2.3-2.4)는 키이가 통과하는 맞춤 돌출 개구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벽(2.2)은 치의 내측 벽(2.6)의 다음에 복귀 벽의 내측 평면에 대하여 돌출부로서 위치된 제 1 의 직선 안내 경사부(2.5) 및, 스커트의 외측 형상과 연결되고 스커트의 완전한 폐쇄 형상을 제공하는 개구의 평면에 근접하여 위치된 직선의 경계 융기부(2.7)를 구비하며, 상기 경계 융기부는 그것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서 키이를 위한 맞닿음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경계 융기부는 키이가 통과되는 개구상에 형성된 톱니 부분의 위치에 있는 내측 단차부(2.7a) 및, 키이의 특정한 영역을 위한 시이트(2.7b)를 형성하고 키이의 위치상의 걸쇠 작용과 정지의 영역을 형성하는 양측상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키이는 2 개의 구성 요소(4-5)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은 서로에 대하여 조절 가능하며 치와 어댑터 돌출부에 대하여 접촉의 기능 및 대향 접촉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정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구성 요소들은 패킹 재료(6)를 수용하여, 패킹 재료가 구성 요소들을 연결시키고 전체적인 상기 키이를 확고하게 함께 유지하며, 이완에 의해서, 각각의 상기 구성 요소들이 복귀 벽의 위치에서 치와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면들에 대하여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고정된 구성부(4)는 키이의 길이를 한정하고 스커트(2) 안의 내측 복귀 벽(2.2)에 대하여 맞춰질 수 있는 큰 길이의 동체로서 만들어지고, 상기 동체는, 그것의 정면에서 수직의 측부(4.1)를 따라서, 단부들이 경사진 잉여 두께의 평탄 스트립(4.2)을 가지고, 형상은 복귀 벽의 경계 융기부(2.7)에 대응하는 형상에 가압되어 그 위로 걸쇠 작용을 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된 구성 요소의 주 동체는 그것의 내측 공간이 개방되어 있고 제 2 구성 요소가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안내 홈(4,5)을 가진 횡방향 절제부(4.4)를 가지며,
    신장된 개구(4.6)는 상기 동체의 상부면상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8. 제 5 항, 제 6 항 및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구성 요소(5)는 평탄한 고원부(5.1)를 가진 L 형상을 가지고 평탄한 구성부의 단부(5.2)는 주 동체상에 형성된 안내 홈(4.5) 안에 맞물리도록 테이퍼지며, 상기 고원부는 연계부 재료를 수용하는 가려진 내측 공동(5.3)을 가지고, 상기 고원부는 맞닿는 면(5.6)이 어댑터 돌출부의 대향하는 면과 접촉되는 직각의 날개부(5.4)를 가지고,
    상기 이동 구성 요소(5)는, 어댑터 돌출부에 대하여 접촉하고 맞닿아 있는 그것의 면의 양측부상에,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경사부를 형성하는 평탄부(5.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킹 재료는 엘라스토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개구(2.3-2.4)는 키이가 삽입되어 추출될 때 맞닿음과 안내의 면(2.3d-2.4d)을 가지고,
    개구(2.3 및 2.4)는 키이가 삽입된 이후에는 맞닿음과 안내의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부를 결합시키는 장치.
KR1020057006618A 2002-10-17 2003-10-08 공공 작업 기계의 용기 공구에 마모편을 결합하기 위한장치 KR20050070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3172A FR2846017B1 (fr) 2002-10-17 2002-10-17 Dispositif de liaison d'accouplement entre des pieces d'usure aux extremites d'outils receptacles en usage sur les engins de travaux publics
FR0213172 2002-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065A true KR20050070065A (ko) 2005-07-05

Family

ID=3205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618A KR20050070065A (ko) 2002-10-17 2003-10-08 공공 작업 기계의 용기 공구에 마모편을 결합하기 위한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86185B2 (ko)
EP (1) EP1563147B1 (ko)
KR (1) KR20050070065A (ko)
CN (1) CN100393950C (ko)
AT (1) ATE445049T1 (ko)
AU (1) AU2003301453B2 (ko)
CA (1) CA2502561C (ko)
DE (1) DE60329624D1 (ko)
ES (1) ES2332408T3 (ko)
FR (1) FR2846017B1 (ko)
WO (1) WO2004035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32006A (en) * 2004-03-29 2006-11-30 Rodney Warwick Sharp Tooth tip, typically for wood hogging apparatus, with tapered bottom face configured to interact with complementary base portion top face
CA2523513A1 (en) * 2005-10-14 2007-04-14 Amsco Cast Products (Canada) Inc. Tooth and adaptor assembly for a dipper bucket
EP2246489B1 (en) * 2006-08-16 2016-11-30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system
US7390139B2 (en) * 2006-09-28 2008-06-24 Valeo Sylvania Llc Boss assembly for threaded coupling
US8061064B2 (en) 2007-05-10 2011-11-22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xcavating equipment
AU2012201808B2 (en) * 2007-05-10 2014-08-21 Esco Group Llc Wear assembly for excavating equipment
CA2597277C (en) * 2007-08-14 2011-11-08 Neil Douglas Bentley Retainer pin and tooth for tooth and adaptor assembly
NO334868B1 (no) * 2008-04-10 2014-06-23 Komatsu Kvx Llc Skuffesliteenhet omfattende en slitedel og en adapter
PL2494113T3 (pl) 2009-10-30 2019-08-30 Esco Group Llc Zespół podlegający zużyciu dla sprzętu wydobywczego
EP2507438A1 (en) * 2009-12-11 2012-10-10 CQMS Pty Ltd Mounting of wear members
US9074349B2 (en) * 2010-01-20 2015-07-07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US8770311B2 (en) * 2011-09-30 2014-07-08 Caterpillar Inc. Ripper shank assembly
US8943717B2 (en) 2011-10-08 2015-0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9062436B2 (en) 2011-10-07 2015-06-2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9057177B2 (en) 2011-10-08 2015-06-16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8943716B2 (en) 2011-10-10 2015-0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KR101140326B1 (ko) * 2012-02-08 2012-05-03 김영환 조립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용 완구
US9518379B2 (en) * 2014-02-28 2016-12-13 Caterpillar Inc. Shroud retention system having replaceable lug insert
WO2016019193A2 (en) * 2014-07-30 2016-02-04 Itr America Llc Cutting link for mining chain and mining pin retention system
US10106960B2 (en) 2015-11-25 2018-10-23 Caterpillar Inc. Lock assembly for ground engaging tool
US10508418B2 (en) 2016-05-13 2019-12-17 Hensley Industries, Inc. Stabilizing features in a wear member assembly
EP3483350A1 (en) * 2016-07-06 2019-05-15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Wear or protection system for a tool of a machine for moving earth and corresponding pin
US11846187B2 (en) 2017-08-30 2023-12-19 Itr America, Llc Mining pin retention system
USD918965S1 (en) 2018-06-19 2021-05-11 Hensley Industries, Inc. Ground engaging wear member
US11492784B2 (en) 2019-04-15 2022-11-08 Hensley Industries, Inc. Position-biased locking pin assembly for a ground engaging wear member
US11634892B2 (en) 2019-11-27 2023-04-25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tooth assembly with releasable lock pi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1900A (en) * 1986-12-04 1988-08-09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assembly
US5469648A (en) * 1993-02-02 1995-11-28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US5456029A (en) * 1993-11-01 1995-10-10 Caterpillar Inc. Tooth to adapter coupler
US5561925A (en) * 1995-07-25 1996-10-08 Caterpillar Inc. Tooth assembly and retaining mechanism
AU739857B2 (en) * 1996-11-15 2001-10-25 Componenta Wear Parts Aktiebolag Tooth arrangement
US6030143A (en) * 1997-12-18 2000-02-29 Esco Corporation Locking pin for excavating equipment
ES2146186B1 (es) * 1998-12-02 2001-04-01 Metalogenia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elementos de anclaje y retencion destinados a maquinaria de obras publicas y similares.
NL1015772C2 (nl) * 2000-07-21 2002-01-22 Ihc Holland Nv Samenstel van een tand en een adapter voor een grondbewerkings-machine, zoals een cutter of dergelijke.
FR2815059B1 (fr) * 2000-10-11 2003-03-21 Charles Pasqualini Dispositif et procede de fixation de boucliers protecteurs des lames et flancs lateraux des bennes, godets et autres receptables d'engins de travaux publ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46017B1 (fr) 2005-02-11
CN1714208A (zh) 2005-12-28
CN100393950C (zh) 2008-06-11
US7086185B2 (en) 2006-08-08
EP1563147A1 (fr) 2005-08-17
CA2502561C (fr) 2011-09-27
AU2003301453B8 (en) 2004-05-04
CA2502561A1 (fr) 2004-04-29
ATE445049T1 (de) 2009-10-15
DE60329624D1 (de) 2009-11-19
WO2004035945A8 (fr) 2004-10-14
AU2003301453A1 (en) 2004-05-04
ES2332408T3 (es) 2010-02-04
WO2004035945A1 (fr) 2004-04-29
EP1563147B1 (fr) 2009-10-07
FR2846017A1 (fr) 2004-04-23
AU2003301453B2 (en) 2007-08-23
US20050144817A1 (en)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0065A (ko) 공공 작업 기계의 용기 공구에 마모편을 결합하기 위한장치
KR970001731B1 (ko) 탄력있는 자물쇠를 갖춘 굴착기의 마모 날
CN110753771B (zh) 用于器具的边刃保护系统
CN110730845B (zh) 边刃护罩及用于从器具移除边刃护罩的方法
EP0032790B1 (en) Locking device for excavating equipment
EP0626025A1 (en) Lock assembly for wearable structure
US20080256832A1 (en) Tip Assembly for Earth Moving Machinery
US9074349B2 (en) Excavation tooth assembly
EP0855765A2 (en) Water-proof connector
US4077729A (en) Holding construction for detachable connection of the tooth tip of a dredge tooth
RU2343278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струга с цепной тягой
JP7208295B2 (ja) ポケット付きウェッジを有する工具保有システム
CN210520232U (zh) 防水袋
JP2017188322A (ja) コネクタ
KR100792684B1 (ko) 매립스위치
US9493199B2 (en) Master link mating surface cover
SU894220A1 (ru) Не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800000581Y1 (ko) 케이블 접속기
JP2572005B2 (ja) 配線用合成樹脂ダクト
WO2021141779A1 (en) Excavating tooth assembly for earth-digging equipment
JP2008285847A (ja) 軒樋内継手
GB2043198A (en) A locking member for replaceable parts subject to wear in earth-moving machines
JPH05304716A (ja) フロアパネル開口の塞ぎ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