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981A - 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981A
KR20050069981A KR1020057002307A KR20057002307A KR20050069981A KR 20050069981 A KR20050069981 A KR 20050069981A KR 1020057002307 A KR1020057002307 A KR 1020057002307A KR 20057002307 A KR20057002307 A KR 20057002307A KR 20050069981 A KR20050069981 A KR 2005006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water treatment
wall
wat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몬 제임스 도넬리
빈센트 조셉 가베이
Original Assignee
스트릭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릭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트릭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6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9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15Bayonet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Cooker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의 단면에 주축(major axis)과 보조 축(minor axis)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장착용 돌기가 카트리지의 상부 단부에 제공되고, 카트리지의 주축과 전체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물 처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 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물 처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품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가정에 공급되는 물의 맛과 향기를 향상시키도록 사용된다. 카트리지는 이온 교환 매체, 활성탄, 미네랄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처리 매체는 카트리지의 상부 및 하부 단부에 제공된 격자에 의해서 카트리지 안에 유지된다.
통상적으로 카트리지는 수도 꼭지 물이 도입되는 유입 깔때기 안에 위치하며 수도 꼭지 물은 다음에 카트리지를 통하여 아래의 집수 용기로 삼투된다. 집수 용기는 단순히 물병(jug)일 수 있으며 그로부터 처리된 물이 분배되거나 또는 보다 최근에 제안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주전자 또는 그와 유사한 물 가열 용기일 수 있다. 그러한 제안은 본 출원인의 국제 특허 출원 WO 01/47399 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물 처리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카트리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의 카트리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도 1 의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도 1 의 카트리지의 하부를 도시한다.
도 6 은 도 2 의 선 VII-VII를 따른 수직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도 2 의 선 VII-VII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도 1 의 카트리지의 장착 돌기의 다양한 선들을 따른 부분을 도시한다.
도 9 는 도 1 의 카트리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용기 안에 장착된 도 1 의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도 11 은 도 10 의 일부를 아래로부터 도시한다.
도 12 는 도 10 의 선 XII-XII을 따른 수직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 은 도 10 의 선 XIII-XIII를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 는 제 2 용기에 장착된 도 1 의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도 15 는 다른 용기 안에 장착된 도 1 의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액체 가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20 은 카트리지 상의 다양한 키이 배치를 도시한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카트리지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많은 적용예에서, 수집 용기내의 처리된 물은 분배에 앞서서 냉장기 안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주축상에 배치된, 따르는 주둥이 및 핸들과 함께 평면에서 주축(major axis)과 보조 축(minor axis)을 가져서 신장되는 경향이 있는 집수 용기로 이어졌다. 동시에, 특히 물 가열기에서, 세워져 있거나 또는 부을 때 카트리지가 처리된 물과 접촉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그리고 또한 안정성의 목적을 위해서 장치들을 보다 집약적으로 유지하도록, 카트리지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소망스럽다.
제 1 의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평의 단면에서 주축과 보조 축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카트리지의 주축과 정렬되어 카트리지의 상단부에 제공된 장착용 돌기를 가진다.
그러한 배치를 가지고,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타원형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어서, 그것이 신장된 물 집수 용기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카트리지 보다 덜 깊을 수도 있고, 그것의 신장된 주축에 기인하여 주어진 깊이로 카트리지 동체 안에 보다 많은 양의 처리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처리되지 않은 물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하는 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챔버는 유출 개구를 가지고 그리고 처리를 위한 챔버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유체 소통되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카트리지를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의 그 어떤 다른 부분으로부터도 장착용 돌기가 연장되지 않음으로써 그것의 보조 축의 치수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에 장착용 돌기의 반경 내측으로 배치된 시일링 면이 제공되고,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원형의 시일링 표면이 제공된다. 이것은 또한 카트리지의 보조 축의 외측으로 연장된 시일링 수단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물 처리 카트리지의 장착 부분 또는 그것을 위한 장착 부분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장착 부분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시일링 표면을 가지고, 장착의 신장된 방향을 따라서 그것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배치된 장착용 돌기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장착 부분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로 연장되는데, 상기 장착 부분은 그것의 일체형 부분이거나 또는 분리된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 동체, 또는 적어도 그것의 장착 부분이 평면의 단면에서 적어도 타원형이다. 이것은 신장된 물병(jug) 및 그와 유사한 것에서 사용될 때 특히 미감의 배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동체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의 단면일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착 돌기가 평탄하고 카트리지의 주위 둘레에서 현저한 거리로 연장되며,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주위 둘레에서 15°로 연장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착 돌기가 카트리지에 대한 포장을 관통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위생 상태를 파괴시킬 수 있는 예리한 코너부를 회피하기 위하여 원호형의 형상이 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착 돌기가 꽂아넣기 유형(bayonet type)의 고정으로 카트리지를 장착시킨다. 따라서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에 대한 장착 위치가 돌기를 수용하는 표면을 가진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장착 돌기가 그것의 수용 표면상으로 회전될 때 모따기 부분이 카트리지를 시일 또는 다른 시일과 시일링 맞물림으로 캠 작용을 이루도록 돌기 주위의 하부 가장자리가 모따기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모따기의 형상이 전체 돌기 주위의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같다.
카트리지 또는 적어도 그것의 돌기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돌기들이 카트리지의 중심으로부터 상당한 간격으로 있다는 사실(카트리지의 주축의 단부에 있음)과 함께, 이것은 시일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어느 정도로 굽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가 증기를 쬐게 되는 물 끓이는 장치안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료가 내열성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를 살균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분해에 대하여 플라스틱이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출원인은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삼성의 HJ730+ 및 바젤 몹렌(Basell Moplen)의 HP371(감마선 안정)이 다른 측면으로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분해를 겪지 않는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동체를 구비한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특히 내부가 보이는 물병에 있어서) 사용 중에 용이하게 더럽혀지고, 연화될 수 있거나 또는 감마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의 대안으로서, 카트리지 동체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의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동체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처리 알루미늄과 같은 박판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박판 재료는 적절한 형상으로 인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의 상부와 같은 카트리지의 다른 부분들은 여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박판 금속 재료로 제작된 동체를 구비하는 가정용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 처리 카트리지와 그것의 장착부 사이의 시일은 카트리지 주위의 내측을 향하게 제공되고 그리고 시일이 바람직스럽게 원형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것은 취급중에 주위의 시일링 표면에 받은 긁힘과 흠집들이 누수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점을 회피시킨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에 시일링 표면이 제공되어서, 시일링 표면이 물 처리 장치상에 제공된 탄성의 시일 부재와 협동하여 시일을 이룬다.
카트리지 시일 표면은 적절하게 상방향,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면하는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스럽게는 시일 표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트리지의 내측으로 면하는 벽 위에 제공되는데, 이러한 벽은 사용중에 장치상의 매달린 벽(depending wall)의 둘레에 연장된다. 이러한 배치는 시일이 예를 들면 그것을 벽의 위로 신장시켜서 가능하게는 그것을 그러한 벽의 홈 안에 유지함으로써, 매달림 벽의 외측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그 주위의 내측으로 배치된 시일 표면을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상기 시일 표면은 내측으로 면하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상의 연속적인 벽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하방향으로 매달린 벽과, 물 처리 카트리지상에 제공된 시일링 표면과 맞물리는 벽의 외측으로 면하는 표면상에 장착된 시일을 구비하는 물 처리 장치에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스러운 배치는 시일 표면이 카트리지의 상부 부분의 상방향으로 면하는 표면과 내측으로 면하는 표면 사이에서 코너 둘레에 형성된 것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반경 방향과 축방향의 시일의 힘이 시일에 가해지는 것을 허용한다. 코너는 둥글게 되거나 또는 모따기되어서(chamfered)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내측으로 면하는 벽이 상부로부터 저부로 내측으로 테이퍼져서 카트리지를 장치상의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보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측으로 면하고 하방향으로 매달린 벽을 가진 상부 표면을 구비한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상기 벽은 장치상의 매달린 벽 위로 카트리지를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내측으로 면하는 벽이 고리형 채널의 반경상으로 외측 벽을 형성하는데, 이것은 카트리지의 상부 둘레로 연장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물 유입 개구들이 내측으로 면하는 벽 안에 제공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물 유입 개구들이 채널의 반경상으로 내측의, 외측으로 면하는 벽 안에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내측 벽은 외측보다 작은 개방 부위를 가진다. 내측 벽의 개방 부위가 바람직스럽게는 외측 벽의 개방 부위의 80 % 보다 적으며,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외측 벽의 개방 부위의 약 65% 이다.
카트리지의 넓은 부위에 걸쳐서 물을 받아들여서, 국부적인 건조 부위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점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고리형 채널이 제공된 상부 표면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물 유입 개구들은 고리형 채널의 적어도 일 벽에, 그리고 바람직스럽게는 고리형 채널의 내측과 외측 벽들 모두에 제공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내측 개구들이 외측 벽의 하부 부분과 내측 벽의 상부 부분 안에 제공된다. 이것은 카트리지가 충전될 때 상부 개구를 통하여 카트리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므로 유리하다.
유입 슬롯은 고리형 채널의 상부로 연장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공기가 채널에 의해 감싸인 부위의 상부에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의 다른 배출 개구들을 감싸인 부위의 상부에 제공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바람직스럽게는 이러한 개구들이 슬롯에 의해 제공되는데, 상기 슬롯들은 감싸인 부위의 상부 코너 둘레에 연장된다. 이것은 충분한 배출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슬롯을 강화시켜야할 필요성을 회피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rib)들이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들은 카트리지의 상부에 견고성을 부가할 수 있지만 채널의 반경상 외측으로의 영역으로부터 배출 개구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한쌍의 리브들이 제공되며,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장착용 돌기와 정렬된다.
위에서 설명된 유입 개구들은 물 처리 입자들을 카트리지 안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작은 치수이어야 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이들이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롯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통상적으로 약 0.25 mm 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슬롯의 실제 크기는 사용된 처리 매체 미립자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될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상단부가 캡에 의해서 폐쇄된 카트리지 동체를 구비하는데, 상기 캡은 물 유입 개구들, 시일 표면등을 구비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캡이 정위치에 용접되는데,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된다. 액체 처리 매체를 카트리지 안에 유지하기 위하여 격자가 콘테이너 동체의 저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격자는 카트리지의 저부 벽을 형성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의 이미 언급된 국제 특허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콘테이너 동체의 베이스 안의 제한된 개구로부터 이탈되게 처리 입자들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하부 격자가 콘테이너 동체 안에 스냅 끼움(snap fitted)되는데, 콘테이너 동체에는 적절한 유지 수단이 제공되며, 예를 들면 그것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유지용 립(lip)이 제공된다.
그러한 배치에서 드러났던 문제는 공기가 격자 안에 또는 그 둘레에 포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격자를 차단하고, 그리고 일단 해제된 포획 공기가 처리 재료의 동체의 중앙 부분을 통하여 상승하게 될 수 있어서, 물이 그러한 영역내로 침투할 수 없게 되어 처리 재료를 건조하게 두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한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스럽게는, 격자에 상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외측 부위가 형성되어서, 격자 표면 보다는 오히려 상기 외측 부위 안에 공기가 집적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부분은 콘테이너 동체 안에 배치되었을 때 공기가 격자의 움푹한 부분과 콘테이너 동체 사이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콘테이너 동체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카트리지 동체와 상기 동체의 베이스에 배치된 격자를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며, 상기 격자는 움푹 들어간 외측 부분을 가지고, 상기 외측 부분은 콘테이너 동체 안에 배치되었을 때 공기가 콘테이너 동체와 격자의 움푹 들어간 부분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콘테이너 동체로부터 이격된다.
카트리지 동체가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격자의 영역내에서 만곡되어서, 격자의 움푹 들어간 주위와 동체 벽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콘테이너 동체를 만곡시키는 것은 다른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 카트리지는 물병 안에서 처리된 물과 접촉되지 않게 유지되는 것이 소망스럽다. 상대적으로 높은 종래의 카트리지는 카트리지가 콘테이너 안에서 물의 수위보다 위에 현저한 거리로 배치되어야 하여, 그래서 가열 장치에서 특히 불리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높은 콘테이너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동체를 카트리지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만곡된 방식으로 테이퍼지게 함으로써 물이 용기로부터 부어졌을 때 카트리지가 젖을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카트리지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만곡된 방식으로 테이퍼지는 카트리지 동체를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상기의 장치는 또한 만곡부가 카트리지 동체에 견고함을 부여하는 장점을 가져서, 최소한의 벽 두께가 선행 기술에 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것은 재료 비용 절감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위에서 설명된 주축과 보조 축을 가지는 카트리지와 관련하여, 테이퍼가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의 주축과 정렬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만곡부가 실질적으로 카트리지의 중심선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가 회전 구성으로 콘테이너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의 "전방"과 "후방" 벽들이 테이퍼진다.
액체 가열 장치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와 관련하여, 용기의 가열 능력에 따라서 카트리지로부터 가열 용기로의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소망스러울 수 있다. 예를 들면, 1.2 킬로와트와 같은 낮은 와트수(wattage)의 요소에서, 물을 끓이는데는 상대적으로 시간이 걸리며 이것은 카트리지를 통한 유동이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유출 오리피스를 가진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높은 와트수의 요소로써 보다 급속하게 물을 끓일 수 있으며 이는 물을 끓인 이후에 상대적으로 작은 유출 오리피스를 가지고 물이 여전히 카트리지를 통하여 통과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것은 소망스럽지 않은 것이며 따라서 보다 큰 유출 오리피스가 그러한 장치에 필요하다. 따라서 상이한 카트리지가 상이한 장치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가 부적절한 장치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물 처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부정확한 카트리지가 그 안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이(key)들이 카트리지의 일부에 제공되고 대응하는 키이가 장착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키이들은 그 어떤 적절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서 키이들은 카트리지의 주위 표면상에서,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용 돌기 또는 카트리지의 내측 벽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 처리 카트리지가 물을 처리해야하는 용기의 저부에 부착된 물 처리 물병을 위한 물 처리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카트리지가 적절한 장착부에 부착된 액체 가열 장치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적절한 장착부는 장치 자체나 또는 처리되어야 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상에 제공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카트리지가 바람직스럽게는 가열 용기의 벽에, 예를 들면 가열 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데, 여기에는 적절한 시일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에는 또한 물을 처리 카트리지에 공급하도록 깔때기(hopper)가 장착 수단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시일링 수단이 제공될 것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착부가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의 가장자리(lip)를 구비하는데, 탄성의 가장자리는 호퍼와 장착부 사이에서 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깔때기에 제공된 매달림 벽에 대하여 시일하게 된다.
이것은 그 자체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부터의 신규한 배치로서, 본 발명은 물 처리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하며, 상기 장착부는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수단을 가지며 그 위에 수용될 수 있는 물 수용 깔때기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을 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깔때기에 밸브가 제공되어서 깔때기가 장착부와 시일 맞물림으로 되었을 때 밸브가 작용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카트리지의 상부 부분은 밸브에 작용하여 그것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처리되지 않은 물을 포함하기 위한 깔때기를 수용하는 물 수용 용기 안에 장착된 물 처리 카트리지를 가지는 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깔때기는 깔때기가 용기상에 배치되었을 때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에 의해 개방되는 밸브 수단을 가진다.
처리 카트리지는 그것을 계수기와 관련지을 수 있는데, 상기 계수기(counter)는 카트리지의 사용 정도를 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카트리지가 사용될 때마다 증가된다. 카트리지가 제거되거나 또는 교체될 때 이러한 계수기를 다시 설정하는 자동 메카니즘이 소망스럽다.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가 정위치로 또는 그로부터 벗어나게 회전되었을 때 카운터를 재설정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맞물리는 수단이 카트리지에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카트리지가 정위치로 또는 그로부터 벗어나게 회전되었을 때 카트리지를 위한 사용 계수기를 재설정하는 액튜에이터와 맞물린 수단을 구비한 물 처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처리 카트리지의 계수기 표시 사용을 구비한 물 처리 장치 및, 카트리지가 제거되거나 또는 교체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상기 계수기를 재설정하는 액튜에이터로 연장된다.
물 공급이 특정의 물질을 포함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카트리지에는 또한 입자 필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것은 카트리지 안에 적절하게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공성 시이트 또는 부재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물 처리 카트리지(2)는 물 처리 미립자(미도시)의 덩어리를 구비하는 동체(4)를 구비한다. 미립자들은 이온 교환 수지, 활성탄 입자, 미네랄, 다른 처리 물질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는 3 개의 구성부들을 구비하는데, 주 동체, 캡(8) 및, 격자(10)를 구비한다. 캡(8)과 격자(10)는 카트리지 동체(6) 안에 액체 처리 입자를 유지한다.
카트리지 동체(6)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타원형이고, 그것의 상단부(12)로부터 그것의 하단부(14)로 원호형의 방식으로 테이퍼져 있다. 오리피스(16)는 카트리지 동체(6)의 저단부(14)에 제공된다. 위에 언급된 국제 특허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오리피스(16)는 물의 유동을 카트리지를 통해서 제한하여 물이 카트리지 체류되는 소망의 시간을 부여한다.
카트리지 동체(6)에는 또한 사용자를 위한 손가락 파지부로서 작용하는 4 개의 톱니가 제공된다.
카트리지 동체(6)의 상단부(12)에는 적절한 장치 또는 용기 안에 카트리지(2)를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2 개의 장착용 돌기(20)가 제공된다.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로서, 이러한 돌기들이 전체적으로 원호형의 형상이며 도 3 및 도 8 로부터 알 수 있는 바로서 이들은 모따기된 외측 가장자리(22)를 가진다. 장착 돌기(20)는 카트리지 동체(6)의 주축과 정렬되어 배치된다. 모따기된 가장자리(22)는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로서 장착되었을 때 카트리지를 정위치로 캠 작용시킨다.
도 6, 도 7 및, 도 9 로부터 알 수 있는 바로서, 격자(10)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베이스(24)를 구비하는데, 평탄한 베이스에는 0.25 mm 정도로 넓은 복수개의 홈(26)이 제공된다. 지지용 리브(rib, 26)는 홈(26)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그들의 변형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처리 입자들이 홈(26)을 통하여 이탈한다. 격자(10)가 홈(26)과 함께 도시되었을지라도, 다른 형상의 개구가 홈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격자(10)의 주위 영역(28)은 평탄한 베이스(24)로부터 각도를 가지고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콘테이너 동체(6)로 조립되었을 때, 주위 영역(28)의 상부 가장자리는 콘테이너 동체(6)의 내측 표면 둘레에 연장된 리브(32)의 뒤에 물린다. 격자(10)의 베이스(24)는 카트리지 동체(6)의 내측상에 제공된 상승된 리브(36)의 내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2)의 캡(8)은 카트리지 동체(6)의 상방향 단부(12) 내측에 끼워지는 하방향으로 매달린 플랜지(40)를 가진다. 캡(8)은 전체적으로 42 로 표시된 영역에서 카트리지 동체(6)의 상부 부분(12)에 용접되는데, 예를 들면 초음파로 용접된다.
캡(8)의 상부 표면(44)은 그 어떤 개구들도 없는 외측 영역(46)을 가진다. 중앙의 영역(48)은 고리형 채널(50)에 의해 외측 영역(46)으로부터 이격된다. 채널(50)은 반경상의 외측 벽(52), 반경상의 내측 벽(54) 및 베이스(56)를 가진다.
도 6 및 도 7 에서 가장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로서, 반경상의 외측 벽(52)의 하부 부분(58)은 그것의 전체 주위 둘레에 복수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60)이 제공된다. 이러한 홈들은 대략 0.25 mm 로 넓다. 그러나 벽(52)의 상부 영역(62)은 연속적이며 그러한 홈을 구비하지 않는다.
채널(50)의 베이스(56)는 또한 내측 벽(54)의 하부 영역(64)에서와 같이 홈들이 없이 연속적이다. 그러나, 내측 벽(54)의 상부 영역(66)에는 외측 벽(52) 안에 이들 홈(60)과 같은 치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68)이 제공된다. 홈(68)은 상부 표면(48)으로 연장되지 않지만 그로부터 간격을 두고 종료된다. 다른 4 개의 배출 홈(70)들이 표면(48)에 제공된다.
이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2)가 물 수용 용기(80)의 저부에 수용되도록 의도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용기는 외측 벽(82), 베이스(84) 및 매달린 플랜지(86)를 구비한다. 개구(88)는 베이스(84) 안에서 중앙에 형성되고, 매달린 원형의 가장자리(lip, 90)는 개구(88)의 둘레에 형성된다. 원형의 시일 부재(91)는 벽(90)의 상부 외측 표면 둘레에 장착된다. 외측 벽(86)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이며 반대편 단부들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92)들이 형성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92)는 카트리지(2)의 장착 돌기(20)를 수용한다. 특히, 외측 벽은 플랜지(92)에 근접하여 2 개의 조개 형상 영역(96)을 가지는데, 이들은 돌기(20)를 수용할 수 있어서 돌기를 플랜지(92) 위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카트리지(2)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회전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0)가 벽(86)의 단부 표면(98)과 맞물릴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카트리지(2)를 정위치로 회전시키는 작용은 카트리지(2)를 정위치에 시일한다. 특히, 카트리지 상부 표면의 벽(46,52)들 사이의 코너(100)는 시일 링(91)과 시일 맞물림된다. 돌기(20)의 모따기 부분(22)은 플랜지(92)의 가장자리(102) 위로 회전될 때 카트리지(2)를 상방향으로 민다. 표면(102)의 가장자리의 특정 형상에 따라서, 돌기(20)는 상이한 압축 특성을 부여할 것이다. 도 8 로부터 알 수 있는 바로서, 모따기(22)의 외관상의 각도는 돌기(20)를 따르는 상이한 측방향 및 축방향 위치들(lateral and axial positions)에서 변화하며, 따라서, 돌기가 처음에 표면(102)과 맞물리는 곳에 따라서 가파른 경사 또는 보다 신장된 경사의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이것은 사용된 특정한 시일에 대하여 적절한 압축 특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2)는 플라스틱이고, 돌기(20)가 시일 위치들로부터 변위되므로, 탄성의 정도는 시일(91)상의 시일 압력을 유지하는 돌기(20)에 의해서 발생된다.
외측 벽은 그것이 카트리지를 매달리는 벽(90)의 위로 정위치에 안내하도록 테이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현예에서, 카트리지(2)가 장착부(150)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는 예를 들면 주전자 또는 고온의 물병과 같은 물 가열 용기의 상부 영역내에 제공된 장착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장착부는 카트리지(2) 뿐만 아니라, 물을 담고 밸브(154)를 가지는 용기(152)도 수용하는데, 상기 밸브는 용기(152)가 장착 플레이트(150)상에 아래로 배치되는 것과 같은 시간까지 폐쇄되게 유지된다.
특히, 장착부(150)의 하부 표면은 이전의 설명된 구현예에서 용기의 하부 표면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설명이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장착부(150)는 용기(152)의 하방향으로 매달린 벽(158)을 수용하는 중앙의 원형 개구(156)를 구비한다. 장착부(150)의 개구(156)는 도립의 U 자 형상 벽(160)에 의해 둘러싸이는데, 상기 벽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핀 시일(fin seal, 162)을 그것의 채널 안에 장착시킨다. 용기(152)가 장착 플레이트(150)상에 배치되었을 때, 그것은 벽(160)의 만곡된 가장자리(164)에 의해 정위치로 안내되고 시일은 벽(158)과 핀 시일(162)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시일이 핀 시일(162)과 벽(158) 사이에서 이루어질 때까지 밸브(154)가 개방되지 않도록 밸브(154)가 위치된다. 일단 그것이 발생되면, 밸브의 저단부(166)는 카트리지(2)의 표면(48)과 접촉하여 밸브 부재를 상방향으로 강제함으로써 물이 용기로부터 카트리지(2) 안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물이 용기(152)나 용기(82)로부터 카트리지(2) 안으로 배출되었을 때, 물은 시일(91)에 의해서 카트리지(2)의 상부 표면 둘레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물은 카트리지(2)의 상부를 넘어서 채널(50) 안으로 유동한다. 물의 압력 수두는 채널(50)의 하부 영역에서 보다 크고 이러한 영역에는 보다 큰 개구 부위가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안으로의 대부분의 유동은 하부 외측 벽(52)을 통하여 발생한다. 물은 또한 내측 채널 벽(54) 안의 홈(68)을 통하여 카트리지로 들어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역에서의 하부 압력 수두 및 보다 작은 홈의 부위에 기인하여, 이러한 영역에서 유동은 그렇게 크지 않을 것이다. 이는 카트리지가 채워질 때 카트리지 안에 포획될 수 있는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카트리지(2)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일단 카트리지(2)가 실질적으로 채워지면, 그 어떤 잔류의 포획된 공기라도 배출구(7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음에 물은 콘테이너 안에 포함된 처리 미립자를 통하여 그리고 격자(10)를 통해서 밖으로 유동한다. 카트리지 베이스 안에 있는 제한된 개구(16)에 기인하여 카트리지 안에는 사실상 배압이 있게 될 것이다. 이것은 하부 격자(10)의 부위 둘레에 공기가 포획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카트리지(2)를 통한 물의 유동에 해롭다. 그러나, 간극(34)이 격자 주위(28)와 동체(6)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영역 안에 집적된 공기는 이러한 간극을 통해서 상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어서 잠재적인 막힘을 방지한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이것은 용기가 원형일 필요가 없으며 사실상 냉장고 안에 저장되도록 의도된 물병과 같은 특정의 장치에서는 그것이 소망스럽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5 는 물의 용기(200)가 주 접근부(major access)와 보조 접근부(minor access)를 가진 배치를 도시한다.
도 16 은 전기줄이 없는 액체 가열 장치(300)에 장착된 카트리지(2)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카트리지(2)를 위한 장착부는 액체 가열 용기(304)의 뚜껑(302) 안에 형성되는데, 이것은 처리되지 않은 물을 위한 깔때기(306)를 수용한다. 카트리지, 장착부 및 깔때기의 상호 맞물림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14 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17 내지 도 20 을 참조하면, 단지 하나의 형태의 카트리지가 하나의 형태의 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소망스럽다면, 적절한 키이 수단이 카트리지(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높은 출력의 가열 용기에서 너무 느린 유동 특성을 가진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도 17 은 키이(250)가 카트리지(2)의 주위 부분에서 A, B, C 및 D 의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는 제 1 의 배치를 도시한다. 적절한 위치에 키이(250)를 가지는 카트리지만을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 베이스의 플랜지 안에 대응하는 개구가 제공될 것이다.
도 18 에는 다른 키이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장착용 돌기의 형상은 상이한 카트리지들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장착용 돌기는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300,302,304,306 및 308)을 취할 수 있다. 장착용 플레이트 또는 용기의 벽 안에 있는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는 이들 각각을 위해서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특정의 예에서 단지 키이(308)만이 용기 동체 안의 모든 개구에 맞을 것이며 마스터 키이로서 간주될 것이다.
도 19 는 다른 개념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장착용 돌기(400)에 노취(402,404,406 또는 408)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대응하는 부분은 노취를 수용하는 대응의 펙(peg)을 가진다.
도 20 은 돌기(500)가 카트리지(2)의 벽(52)에 제공된 배치를 도시하는데, 대응하는 벽(90)에는 이들 돌기를 수용하는 절제부(502)가 제공된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카트리지(600)는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이고, 연장된 장착 돌기(602)와 원형의 시일 표면(604)을 가진다. 돌기와 시일 표면의 형상은 카트리지가 위에서 설명된 타원형 카트리지(2)를 위한 장착부에 맞도록 되어 있다.
카트리지 동체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각형 단면의 동체는 도 1 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타원형 장착 부분 안으로 적절하게 조화될 수 있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카트리지(700)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다. 그러나, 이러한 구현예에서, 한쌍의 리브(702)는 카트리지 상부에서 고리형 채널(704)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리브(702)는 채널의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포획된 공기가 채널의 베이스 아래의 영역 및 채널의 반경상 외측으로의 영역으로부터 배출구(708)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중공형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도, 채널의 내측벽 안에 있는 홈(710)은 채널의 베이스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현예로써, 카트리지가 그 위에 맞춰지는 베이스(84)의 매달린 벽(90)은 높이가 감소될 수 있거나 적어도 리브(702)의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제거될 수 있어서 카트리지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동체(6)와 바람직스럽게는 전체 카트리지(2)가 사용중에 플라스틱 재료의 탈색을 방지하도록, 삼성의 HJ730+ 및 Basell Molpen HP371 (감마선 안정화)와 같은, 내열성과 감마선 조사에 내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캡이 이전과 같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면서 카트리지 동체(6)가 적어도 금속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정수하고 저장하는 장치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4)

  1. 수평의 단면에 주축(major axis)과 보조 축(minor axis)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장착용 돌기가 카트리지의 상부 단부에 제공되고, 카트리지의 주축과 전체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물 처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용 돌기는 카트리지의 그 어떤 다른 부분으로부터도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에는 시일 표면이 제공되며, 바람직스럽게는 장착용 돌기의 반경상 내측으로 배치된 원형의 시일 표면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4. 물 처리 카트리지의, 또는 물 처리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용 부분으로서, 상기 장착용 부분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시일링 표면을 가지고, 장착의 신장된 방향을 따라서 그것의 반대되는 단부들에 배치된 장착용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용 부분.
  5. 제 4 항에 따른 장착용 부분을 일체화된 부분이나 또는 분리된 요소로서 가지는 물 처리 카트리지.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동체나, 또는 적어도 그것의 장착용 부분은 수평의 단면에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용 돌기는 평탄하며 카트리지의 주위 둘레에서 현저한 거리로 연장되며,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주위 둘레에 적어도 15°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용 돌기들은 원호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용 돌기는 카트리지를 꽂아넣기 유형(bayonet type)의 고정으로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기 주위의 하부 가장자리는 장착용 돌기가 수용 표면상으로 회전될 때 모따기 부분이 카트리지를 하나의 시일 또는 그 시일과 시일 맞물림되게 캠 작용하도록 모따기(chamfer)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모따기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돌기의 주위 둘레에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또는 그것의 적어도 돌기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되며, 바람직스럽게는 내열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가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분해에 내구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분해를 겪지 않는 내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동체를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동체는 금속으로부터 제조되고, 바람직스럽게는 스테인리스 강철 또는 처리된 알루미늄과 같은 얇은 박판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박판 금속 재료로 제조된 동체를 구비하는 가정용 물 처리 카트리지.
  1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에는 시일용 표면이 제공되고, 시일용 표면은 그것이 장착된 물 처리 장치상에 제공된 탄성의 시일 부재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시일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트리지의 내측으로 면하는 벽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카트리지의 내측으로 배치된 시일링 표면을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상기 시일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면하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벽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20. 하방향으로 매달린 벽과, 물 처리 카트리지상에 제공된 시일 표면과 맞물리도록 벽의 외측으로 면하는 표면상에 장착된 시일을 구비하는 물 처리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시일 표면은 카트리지의 상부 부분의 상방향과 내측으로 면하는 표면 사이에서 코너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코너는 둥글게 되거나 또는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면하는 벽은 상부로부터 저부로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내측으로 면하고 하방향으로 매달린 벽을 가진 상부 표면을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상기 벽은 내측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25. 제 19 항 내지 제 2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면하는 벽은 카트리지의 상부 둘레에 연장된 고리형 채널의 반경상 외측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물 유입 개구들이 내측으로 면하는 벽 안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물 유입 개구들이 채널의 반경상으로 내측의, 외측으로 면하는 벽 안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내측 벽은 외측보다 작은 개방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고리형 채널이 제공된 상부 표면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물 유입 개구들이 고리형 채널의 내측과 외측 벽들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에 있어서,
    유입 개구들은 외측 벽의 하부 부분과 내측 벽의 상부 부분 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5 항 내지 제 30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개구들은 둘러싸인 부위의 상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5 항 내지 제 30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rib)들이 고리형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동체를 구비하며 그것의 상부 단부는 캡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 동체의 저부에 제공된 격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격자는 콘테이너 동체의 베이스에서 제한된 개구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처리 입자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격자는 적절한 유지용 수단이 제공된 콘테이너 동체 안으로 스냅 끼움되며, 상기 적절한 유지용 수단은 예를 들면 그것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유지용 가장자리(l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4 항,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격자에는 상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외측 부분이 형성되고, 외측 부분 안에는 공기가 격자 표면에 우선하여 수집되고, 격자의 움푹 들어간 부분과 콘테이너 동체 사이에서 공기가 이탈될 수 있도록 콘테이너 동체 안에 배치되었을 때 외측 부분은 콘테이너 동체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카트리지 동체와 동체의 베이스에 배치된 격자를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상기 격자는 움푹 들어간 외측 부분을 가지며, 공기가 콘테이너 동체와 격자의 움푹 들어간 부분 사이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외측 부분은 콘테이너 동체의 안에 배치되었을 때 콘테이너 동체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동체는 적어도 격자의 영역에서 만곡되어, 동체 벽과 격자의 움푹 들어간 주위 사이에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카트리지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만곡된 방식으로 테이퍼진 카트리지 동체를 가지는 물 처리 카트리지.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주축과 보조 축을 가지며 카트리지의 주축과 정렬된 테이퍼(taper)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39 항,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만곡은 실질적으로 카트리지의 중심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39 항 내지 제 41 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전방 벽과 후방 벽들은 모두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전기항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부적절한 장치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카트리지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물 처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가열 장치로서, 부정확한 카트리지가 그 안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 위치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장치.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이들이 카트리지의 일부에 제공되고 보완의 키이가 장착용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키이(들)는 카트리지의 주위 표면상에,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용 돌기 안에, 또는 카트리지의 내측 벽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카트리지는 그것을 계수기와 연관시키며, 상기 계수기는 카트리지의 사용 정도를 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정위치로 또는 그로부터 벗어나게 회전되었을 때 사용 계수기를 재설정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맞물리는 수단이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카트리지가 정위치로 또는 그로부터 벗어나게 회전되었을 때 카트리지를 위하여 사용 계수기를 재설정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맞물리는 수단을 구비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51. 처리 카트리지의 사용을 표시하는 계수기와, 카트리지가 제거되거나 또는 교체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상기 계수기를 재설정하기 위한 액튜에이터를 구비하는 물 처리 장치.
  52.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또한 입자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처리되지 않은 물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하는 물 처리 장치로서, 상기 챔버는 유출 개구를 가지며, 처리를 위해서 챔버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개구와 유체 소통되게 장착된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처리 카트리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장치.
  54. 처리되어야 하는 물을 위한 용기의 저부에 부착된 제 1 항 내지 제 53 항의 어느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물 처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물 처리용 물병.
  55. 처리되어야 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나 또는 장치 자체에 제공될 수 있는 장착부에 부착된 제 1 항 내지 제 53 항의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가열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가열 용기의 벽에 맞춰지며, 예를 들면 가열 용기의 뚜껑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장치.
  57.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물을 처리 카트리지로 공급하도록 깔때기가 장착 수단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게끔 시일링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의 가장자리(lip)를 구비하며, 물이 깔때기와 장착부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의 가장자리는 깔때기상에 제공된 매달린 벽에 대하여 시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장치.
  59. 물 처리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부로서, 상기 장착부는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수단을 가지며 또한 그 위에 수용될 수 있는 물 수용 깔때기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용 장착부.
  60. 제 58 항에 있어서,
    깔때기에는 밸브가 제공되며 밸브는 깔때기가 장착부와 시일 맞물림으로 진입했을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상부 부분은 밸브상에 작용하여 그것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장치.
  62. 처리되지 않은 물을 포함하기 위한 깔때기를 수용하는 물 수용 용기내에 장착된 물 처리 카트리지를 가지는 물 처리 장치로서, 상기 깔때기는 깔때기가 용기상에 배치되었을 때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에 의해 개방되는 밸브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장치.
  63. 고리형 채널이 제공된 상부 표면을 가진 물 처리 카트리지로서, 물 유입 개구들은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처리 카트리지.
  64. 카트리지의 상부 단부에 제공된 평탄한 장착용 돌기를 가지는 물 처리 카트리지.
KR1020057002307A 2002-08-07 2003-08-07 물 처리 장치 KR20050069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18318.4A GB0218318D0 (en) 2002-08-07 2002-08-07 Water treatment apparatus
GB0218318.4 2002-08-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586A Division KR100832446B1 (ko) 2002-08-07 2003-08-07 물 처리 장치
KR1020077004585A Division KR100832448B1 (ko) 2002-08-07 2003-08-07 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981A true KR20050069981A (ko) 2005-07-05

Family

ID=994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307A KR20050069981A (ko) 2002-08-07 2003-08-07 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454826B2 (ko)
EP (2) EP2436431A3 (ko)
JP (1) JP4642464B2 (ko)
KR (1) KR20050069981A (ko)
CN (3) CN2806429Y (ko)
AT (1) ATE555837T1 (ko)
AU (1) AU2003251372B2 (ko)
DE (1) DE20380258U1 (ko)
ES (1) ES2389152T3 (ko)
GB (1) GB0218318D0 (ko)
MX (1) MXPA04012734A (ko)
PL (1) PL212908B1 (ko)
PT (1) PT1526909E (ko)
RU (1) RU2335327C2 (ko)
WO (2) WO2004014801A2 (ko)
ZA (1) ZA2004099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6314B2 (en) 2000-08-11 2009-01-13 Reid Roger P Keyed system for connection of filter cartridge to filter holder
US9314722B2 (en) 2000-08-11 2016-04-19 Omnipure Filter Company, Inc. Keyed system for connection of filter cartridge to filter holder
US20110203985A1 (en) * 2009-08-21 2011-08-25 Omnipure Filter Company, Pllc Keyed system for connection of filter to filter holder
DE102004026166B3 (de) * 2004-05-28 2006-02-09 Brita Gmbh Filterkartusche und Vorrichtung zur Filtration von Flüssigkeiten
DE102004026188A1 (de) 2004-05-28 2005-12-29 Brita Gmbh Filterkatusche und Vorrichtung zur Filtration von Flüssigkeiten
DE102004026167A1 (de) * 2004-05-28 2005-12-22 Brita Gmbh Filterkartusche und Vorrichtung zur Filtration von Flüssigkeiten
GB0427825D0 (en) * 2004-12-17 2005-01-19 Strix Ltd Water treatment vessels and cartridges therefor
CN101594922B (zh) 2006-08-10 2013-03-20 阿奎斯水空气系统有限公司林道雷布斯坦分公司
DE202007002786U1 (de) * 2007-02-22 2008-06-26 Mann+Hummel Gmbh Fluidfilter mit einem in ein Filtergehäuse einsetzbaren Filterelement
DE102008015112B9 (de) 2008-03-20 2010-08-12 Brita Gmbh Behälter für die Filtration von Flüssigkeit
DE102009000231B4 (de) * 2009-01-14 2020-11-19 Brita Gmbh Ventilbetätigungseinrichtung eines Ventils, Flüssigkeitsbehälter einer Flüssigkeitsbehandlungsvorrichtung, Flüssigkeitsbehandlungsvorrichtung sowie Verwend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USD712007S1 (en) 2010-03-03 2014-08-26 Omnipure Filter Company, Inc. Filter for liquid
WO2012020838A1 (ja) 2010-08-12 2012-02-16 三菱レイヨン・クリンスイ株式会社 開口部構造および、浄水カートリッジ
DE102010041664A1 (de) 2010-09-29 2012-03-29 Brita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Flüssigkeit
DE102010063088B3 (de) * 2010-12-14 2012-02-23 Brita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Flüssigkeit
GB201107426D0 (en) * 2011-05-04 2011-06-15 Strix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GB201107428D0 (en) 2011-05-04 2011-06-15 Strix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43933B1 (ko) 2011-09-08 2014-01-15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무동력 초기우수 처리장치
EP2570165A3 (en) * 2011-09-15 2013-11-06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unit
US20130068684A1 (en) 2011-09-15 2013-03-21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unit
US8845896B2 (en) 2011-09-15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Water filter system
US8950052B2 (en) 2011-09-15 2015-02-1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filter unit
WO2013044079A1 (en) 2011-09-21 2013-03-28 Hydros Bottle, Llc Water bottle
DE102012210830A1 (de) * 2012-06-26 2014-01-02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r Wasserreinigung
WO2017053588A1 (en) 2015-09-24 2017-03-30 Hydros Bottle, Llc Gravity-flow filter assembly
CN106361142A (zh) * 2016-11-08 2017-02-01 天津市山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底部上水防干烧的电热水壶
USD877565S1 (en) 2017-03-23 2020-03-10 Hydros Bottle, Llc Container with a cap and filter assembly
US10525387B2 (en) 2017-04-06 2020-01-07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artridge
US10584040B2 (en) 2017-10-06 2020-03-10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artridge
DE102017221507A1 (de) 2017-11-30 2019-06-06 Robert Bosch Gmbh Strukturelemente, Gehäusestruktur und Heizvorrichtung
US10807025B2 (en) 2018-08-06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Blind attachment interface for filter hous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655A (en) * 1901-07-20 1902-01-21 John F Malloy Water-cooler.
DE8525643U1 (ko) * 1985-10-05 1987-01-22 Alhaeuser, Erich, 5412 Ransbach-Baumbach, De
DE8808609U1 (ko) * 1988-07-05 1989-12-14 Surex Gmbh, 6204 Taunnusstein, De
US5076922A (en) * 1990-10-12 1991-12-31 Wilton Industries, Inc. Water-filtration apparatus
JPH04363191A (ja) 1991-02-28 1992-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浄水装置
CA2098127C (en) * 1993-06-10 1997-03-18 Brian Feeney Air inlet valve for water cooler
JPH0725988U (ja) * 1993-10-25 1995-05-16 アップルウェアー株式会社 浄水容器
JPH07171558A (ja) * 1993-12-16 1995-07-11 Toray Ind Inc 浄水器及び浄水器用タワー
US5525214A (en) * 1994-03-08 1996-06-11 Recovery Engineering, Inc. Filter cartridge for water treatment device
US5469708A (en) * 1994-09-23 1995-11-28 Harrison; Howard R. Water cooler
JP3069267B2 (ja) * 1995-04-17 2000-07-24 大日興産株式会社 シール部の構造
CN2258196Y (zh) * 1995-12-13 1997-07-23 朱国柱 水龙头净水器
US5609033A (en) * 1996-01-16 1997-03-11 Chung Ho Nais Incorporation Water cooling device for water purifiers
US5811004A (en) * 1996-04-30 1998-09-22 Syratech Corporation Water filtration cartridge
US5882507A (en) 1996-04-30 1999-03-16 Recovery Engineering, Inc. Water filter cartridge end-of-life mechanism
JPH1034138A (ja) 1996-07-20 1998-02-10 Bridgestone Corp 冷却機能を備えた浄水器
US20020036162A1 (en) * 1996-08-08 2002-03-28 Magnusson Jan H. Appliance with iodinated water source
US5753107A (en) * 1996-08-08 1998-05-19 Wtc Ecomaster Corporation Dripless purification manifold and cartridge
DE69721176T2 (de) 1996-10-16 2004-03-25 Thermovonics Co. Ltd., Kawasaki Wasserkühler
US5842353A (en) * 1996-12-13 1998-12-01 Kuo-Liang; Lin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drinks
US5873995A (en) * 1997-05-06 1999-02-23 The Clorox Company End-of-life indicator for water treatment device
JPH10328658A (ja) * 1997-05-30 1998-12-15 Samsung Electron Co Ltd 水分配器
JPH1183271A (ja) 1997-09-05 1999-03-26 Bridgestone Corp 冷水器
US6103114A (en) * 1998-01-09 2000-08-15 Recovery Engineering, Inc. Pour-through water treatment carafe
JP2002500944A (ja) * 1998-01-21 2002-01-15 ザ・クロロックス・カンパニー 給水栓取付けウォーターフィルタ
US6237345B1 (en) * 1998-04-17 2001-05-29 Home Pure L.L.C. Water cooler and dispenser
US6003318A (en) * 1998-04-28 1999-12-21 Oasis Corporation Thermoelectric water cooler
US6099735A (en) * 1998-06-04 2000-08-08 Kelada; Maher I. Counter top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DE19861175B4 (de) * 1998-10-09 2005-01-05 Brita Gmbh Wasserfiltervorrichtung mit einer Auffangkanne und mit Heizelement
IL132316A0 (en) * 1999-10-11 2001-03-19 Fitoussi Mayer Water purification device
AU2204801A (en) * 1999-12-23 2001-07-09 Strix Limited Electric water heating appliances
AU2001268342A1 (en) 2000-06-23 2002-01-08 Innova/Pure Water Inc Water-filter lifetime indicator
AU2001292741A1 (en) 2000-09-26 2002-04-08 Oasis Corporation Removable reservoir cooler
WO2002051755A1 (en) * 2000-12-25 2002-07-04 Mitsubishi Rayon Co., Ltd.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GB0116878D0 (en) * 2001-07-11 2001-09-05 Timestrip Ltd Time indicator
US6651824B2 (en) 2001-08-17 2003-11-25 Dart Industries Inc. Filter pitcher with ice hopper
RU2004129624A (ru) * 2003-10-03 2006-03-10 Стрикс Лимитед (Gb) Сосуд для хранения вод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218318D0 (en) 2002-09-11
US20060169629A1 (en) 2006-08-03
RU2004136288A (ru) 2005-07-10
AU2003251372A1 (en) 2004-02-25
MXPA04012734A (es) 2005-08-15
CN101844818A (zh) 2010-09-29
EP2436431A3 (en) 2012-07-11
WO2004014519A8 (en) 2005-03-24
PL373770A1 (en) 2005-09-19
ES2389152T3 (es) 2012-10-23
WO2004014801A3 (en) 2004-10-28
JP2005534491A (ja) 2005-11-17
EP1526909A2 (en) 2005-05-04
EP2436431A2 (en) 2012-04-04
WO2004014519A3 (en) 2004-09-23
WO2004014801A2 (en) 2004-02-19
PT1526909E (pt) 2012-06-01
PL212908B1 (pl) 2012-12-31
EP1526909B1 (en) 2012-05-02
ATE555837T1 (de) 2012-05-15
WO2004014519A2 (en) 2004-02-19
JP4642464B2 (ja) 2011-03-02
DE20380258U1 (de) 2005-04-07
US8454826B2 (en) 2013-06-04
ZA200409949B (en) 2006-02-22
AU2003251372B2 (en) 2009-07-23
CN2806429Y (zh) 2006-08-16
RU2335327C2 (ru) 2008-10-10
CN1665580A (zh) 2005-09-07
CN101844818B (zh) 2012-11-21
CN100593430C (zh)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9981A (ko) 물 처리 장치
AU2003251372A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7103941B2 (ja) 重力流式フィルタアセンブリ
AU747674B2 (en) Water filter device having a collecting pot and a heating element
RU2715187C2 (ru) Клапан,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клапана, картридж и переходник для системы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CA2055232A1 (en) Bottle and filter
KR100832448B1 (ko) 물 처리 장치
KR100832446B1 (ko) 물 처리 장치
JP5715631B2 (ja) ボトルドウォーターを製造するための水処理装置
CN105819535B (zh) 液体处理芯、液体处理系统以及将液体处理芯放置在芯座内的方法
US20200095029A1 (en) Gravity-flow filter assembly
US20220098055A1 (en) Filtering container for liquids
KR100723924B1 (ko) 생수 안전배출장치
GB225577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ter treatment devices
WO2017005840A1 (en) Assembly for storing and pouring a liquid and liquid treatment system
WO2023139020A1 (en) Capsule for liquid treatment media
JP2018520860A (ja) 液体を貯めて注ぐための組立体、及び液体処理システム
KR200199940Y1 (ko) 밀크 포트
WO2017005839A1 (en) Assembly for storing and pouring a liquid and liquid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