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48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480A
KR20050068480A KR1020030099942A KR20030099942A KR20050068480A KR 20050068480 A KR20050068480 A KR 20050068480A KR 1020030099942 A KR1020030099942 A KR 1020030099942A KR 20030099942 A KR20030099942 A KR 20030099942A KR 20050068480 A KR20050068480 A KR 2005006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dish
basket
dish baske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남
우제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8480A/ko
Publication of KR2005006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바스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마련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척실, 식기가 적재되도록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상부식기바스켓과 하부식기바스켓, 각 식기바스켓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각 식기바스켓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분사노즐과 하부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하부식기바스켓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부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밥그릇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1적재부가 마련되고, 상부식기바스켓의 중앙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부식기비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접시와 복수의 국그릇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2적재부가 마련되며, 제2적재부 양측의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에는 상부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컵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2적재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바스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마련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마련된 장치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에 식기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실이 마련되고, 본체의 개방된 전면에는 세척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는 식기들이 안정적으로 적재되어 세척실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도록 하는 상부식기바스켓과 하부식기바스켓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식기세척기를 통해 세척되는 식기는 통상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밥그릇, 국그릇, 접시, 컵 등이 주류를 이루게 되므로, 각 식기바스켓에는 밥그릇이나 컵 등을 거꾸로 엎어서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밥그릇 적재부 및 컵 적재부와, 접시나 국그릇 등을 옆으로 세워서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접시 적재부 및 국그릇 적재부 등이 형성된다.
세척실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집수하는 집수통과,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집수통의 일측과 연결된 순환펌프, 그리고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집수통의 타측에 연결되는 배수펌프가 설치된다.
또 상부식기바스켓과 하부식기바스켓의 하부에는 각 식기바스켓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다수의 분사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분사노즐과 하부분사노즐이 각각 배치되는데, 각 분사노즐은 순환펌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각각 순환펌프와 연결된다.
여기서 하부분사노즐은 순환펌프와 직접 연결되고, 상부분사노즐은 순환펌프로부터 세척실의 상부로 연장된 연결덕트를 통해 순환펌프와 연결되며, 연결덕트가 없이 순환펌프에 직접 연결된 하부분사노즐은 상부분사노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또 이러한 각 분사노즐은 그 중심이 각 식기바스켓의 중심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 세척실은 사용자가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보다 좌우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되고, 각 바스켓 역시 이러한 세척실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각 분사노즐은 바스켓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그 길이가 대략 식기바스켓의 전후길이 정도가 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식기세척기는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각 분사노즐 측으로 세척수가 공급되고, 이러한 세척수는 각 분사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각 바스켓 측으로 분사되며 식기바스켓 내부 식기가 세척되도록 하고, 식기바스켓 측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다시 집수통으로 집수된 후 순환펌프의 동작에 따라 다시 분사노즐로 공급되며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배수펌프가 작동하게 되며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식기바스켓에 적재되는 각 식기는 내부에 담게 되는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세척되기 용이한 것과 세척되기 어려운 것들이 있다. 이중 가장 세척되기 어려운 것이 밥그릇인데, 이러한 밥그릇은 밥풀이 자주 말라붙게 되어 가장 세척하기 어려우며, 육수나 기름진 음식 등을 주로 담게 되는 국그릇, 접시 등이 다음으로 세척되기 어렵고, 물이나 음료수를 담는 컵 등이 가장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식기세척는 상기 밥그릇 적재부, 국그릇이나 접시 적재부, 그리고 컵 적재부 등이 상부식기바스켓의 일측과 하부식기바스켓의 일측에 무분별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하부분사노즐은 연결덕트를 통해 순환펌프와 연결된 상부분사노즐에 비해 높은 수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만큼, 하부식기바스켓에 적재된 식기가 상부식기바스켓에 적재되는 식기보다 상대적으로 보다 깨끗하게 세척된다. 또 식기바스켓은 좌우 길이가 전후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각 분사노즐의 길이가 식기바스켓의 전후길이 정도가 되도록 마련된 만큼, 식기바스켓의 각 모서리 측과 좌우 양단부 측이 세척수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지대를 형성하게 되므로, 각 식기바스켓의 사각지대에 적재된 식기가 사각재대가 아닌 다른 부위에 적재된 식기보다 덜 세척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식기세척기의 식기바스켓에는 밥그릇 적재부가 상부식기바스켓의 사각지대 측에 마련되거나 컵 적재부가 하부식기바스켓의 사각지대 내측에 설치되는 등 무분별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컵과 같이 세척되기 용이한 식기는 필요 이상으로 깨끗하게 세척되는 반면, 밥그릇과 같이 세척되기 어려운 식기는 덜 세척되는 등 식기의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바스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척실, 식기가 적재되도록 상기 세척실에 마련된 복수의 식기바스켓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식기바스켓 중앙부에는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밥그릇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1적재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머지 하나의 식기바스켓 중앙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접시와 국그릇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2적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적재부 양측의 상기 식기바스켓에는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컵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3적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기바스켓은 상기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상부식기바스켓과 하부식기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식기바스켓의 하부에는 상기 각 식기바스켓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분사노즐과 하부분사노즐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적재부는 상기 하부식기바스켓에 마련되고, 상기 제2적재부와 상기 제3적재부는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기바스켓은 좌우 측의 길이가 전후방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되, 상기 분사노즐의 중심은 상기 식기바스켓의 중심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는 대략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 길이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분사노즐은 상기 상부분사노즐보다 높은 수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적재부는 상기 접시와 국그릇이 옆으로 세워져 적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적재부와 제3적재부는 상기 밥그릇과 컵이 거꾸로 업어져 적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적재부에는 옆으로 세워진 상기 각 접시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1지지돌기와 옆으로 세워진 상기 각 국그릇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2지지돌기가 각각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적재는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적재는 각각 층계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적재부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층계부 및 제2층계부와, 상기 각 층계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계부는 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층계부는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층계부는 상기 제1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계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계단은 상기 하부식기바스켓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적재부의 중앙 측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계단의 경사는 상기 제1적재부의 중앙 측에 가까운 계단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 내부에 식기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실(2)이 마련되고, 본체(1)의 개방된 전면에는 세척실(2)을 개폐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도어(3)가 설치된다.
세척실(2)의 상부와 하부에는 내부에 다수의 식기를 적재하도록 마련된 상부식기바스켓(4)과 하부식기바스켓(5)이 각각 마련되고, 이러한 각 식기바스켓(4,5)은 세척수가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격자형상의 와이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 상부식기바스켓(4)의 양측과 세척실의 양측 내벽에는 각각 로울러(4a)와 안내레일(4b)이 마련되어 상부식기바스켓(4)이 로울러(4a)를 통해 안내레일(4b)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하부식기바스켓(5)의 하부에도 역시 로울러(5a)가 마련되어 하부식기바스켓(5)이 개방된 도어(3)의 배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로울러(4a,5a) 및 안내레일(4b)의 구조를 통해 각 식기바스켓(4,5)은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척실(2)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식기바스켓(4)과 하부식기바스켓(5)의 하부에는 각 식기바스켓 (4,5)측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6a,7a)이 형성된 상부분사노즐(6)과 하부분사노즐(7)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분사노즐(6,7)은 그 중심이 식기바스켓(4,5)의 중심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세척실(2)의 하부에는 각 분사노즐(6,7)을 통해 각 식기바스켓(4,5) 측으로 분사된 후 세척실(2) 바닥으로 모이게 되는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통(2a)이 마련되고, 집수통(2a)의 일측에는 이렇게 집수통(2a)에 집수된 세척수를 다시 각 분사노즐(6,7) 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b)가 연결되며, 집수통(2a)의 타측에는 식기 세척이 종료된 상태에서 세척실(2)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펌프(2c)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순환펌프(2b)를 작동시키게 되면 집수통(2a) 내부의 세척수는 각 분사노즐(6,7) 측으로 공급되어 분사노즐(6,7)의 각 분사공(6a,6b)을 통해 각 식기바스켓(4,5) 측으로 분사되고, 식기바스켓(4,5) 측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실(2) 바닥으로 떨어지며 집수통(2a)으로 모아진 후 다시 각 분사노즐(6,7) 측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이 반복되며 식기바스켓(4,5) 내부의 식기가 세척된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배수펌프(2c)가 작동되어 집수통(2a)에 모인 세척수가 세척실(2) 외부로 배수되도록 한다.
한편, 세척실(2)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분사노즐(7)은 순환펌프(2b)와 직접 연결되고, 세척실(2)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분사노즐(6)은 세척실(2) 상부로 길게 연장된 연결덕트(6b)를 통해 순환펌프(2b)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데, 연결덕트(6b)가 없이 순환펌프(2b)에 직접 연결된 하부분사노즐(7)은 상부분사노즐(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아울러 식기바스켓에 적재되는 식기는 밥그릇 국그릇 접시 컵 등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 각 식기는 내부에 담게 되는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세척되기 용이한 것과 세척되기 어려운 것들이 있다. 이중 가장 세척되기 어려운 것이 밥그릇인데, 이러한 밥그릇은 밥풀이 자주 말라붙게 되어 가장 세척하기 어려우며, 육수나 기름진 음식 등을 주로 담게 되는 국그릇, 접시 등이 다음으로 세척되기 어렵고, 물이나 음료수를 담는 컵 등이 가장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많은 량의 각종 식기를 한번에 세척시키고자 할 경우 밥그릇과 같이 세척되기 어려운 식기는 세척수의 분사력이 강한 하부분사노즐(7)을 통해 세척되도록 하고 밥그릇에 비해 세척되기 용이한 기타 다른 식기들은 하부분사노즐(7)보다 세척수의 분사력이 약한 상부분사노즐(6)을 통해 세척시키는 것이 식기의 세척 효율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이러한 식기의 세척효율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그릇을 집중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1적재부(10)가 하부식기바스켓(5)에 마련되고, 국그릇이니 접시를 집중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2적재부(20)와 컵을 집중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제3적재부(30)가 상부식기바스켓(4)에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적재부(10)에 밥그릇을 집중적으로 적재시키고 제2 및 제3적재부(20,30)에 기타 식기들을 집중적으로 적재신 후 식기세척기를 동작시키면 밥그릇은 세척수 분사력이 강한 하부분사노즐(7)을 통해 세척되게 되고 기타 다른 식기는 하부분사노즐(7)에 비해 세척수의 분사력이 약한 상부분사노즐(6)을 통해 세척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식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세척실(2)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보다 좌우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되고, 각 식기바스켓(4,5) 역시 이러한 세척실(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각 분사노즐(6,7)은 식기바스켓(4,5)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그 길이가 대략 식기바스켓(4,5)의 전후길이 정도가 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사노즐(6,7)이 회전하며 그리게 되는 원궤적의 지름은 대략 식기바스켓(4,5)의 전후방 길이와 대응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식기바스켓(4,5)에 있어서 각 모서리 측과 좌우 양단부 측은 중앙 측보다 세척수의 공급이 덜 원활하게 되는 사각지대(X)를 형성하게 되며, 사각지대(X) 안쪽 식기바스켓(4,5)의 중앙부는 사각지대(X)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척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식기바스켓(5)에 마련되는 상기 제1적재부(10)는 밥그릇의 세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사각지대(X)를 피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식기바스켓(4)에 마련되는 제2적재부(20)와 제3적재부(30)는 컵보다 세척되기 어려운 접시와 국그릇이 적재되는 제2적재부(20)가 사각지대(X)를 피해 마련되고 컵이 적재되는 제3적재부(30)가 사각지대(X) 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적재부(10)는 복수의 밥그릇이 적재되도록 하부식기바스켓(5)의 중앙부에 하부식기바스켓(5)의 전후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적재부(10)에 적재되는 밥그릇은 세척수의 분사력이 강한 하부분사노즐(7)을 통해 세척됨과 동시에 하부식기바스켓(5)에서도 세척수의 분사공급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부위에 적재됨으로써 보다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제2적재부(20)는 상부식기바스켓(4)의 중앙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부식기바스켓(4)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접시와 복수의 국그릇이 적재되도록 마련되어 사각지대(X)를 피해 배치되고, 제3적재부(30)는 제2적재부(20) 양측에 상부식기바스켓(4)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컵이 적재되도록 마련되어 사각지대(X)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밥그릇보다 세척이 용이한 접시 국그릇 컵과 같은 식기들은 상기 제2적재부(20)와 제3적재부(30)를 통해 하부분사노즐(7)보다 세척수의 분사력이 다소 약한 상부분사노즐(6)을 통해 세척되고, 또 이들 중 더 세척하기 용이한 컵은 상부식기바스켓(4)의 사각지대(X) 측에 배치되며, 또 컵보다 다소 세척하기 힘든 접시나 국그릇은 사각지대(X)를 피해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제2 제3적재부(10,20,30)는 각 식기바스켓(4,5)에 적재되는 각 식기기 세척하기 힘든 정도에 따라 이에 알맞은 세척수의 분사공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식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 접시와 국그릇이 적재되는 제2적재부(20)는 이러한 접시와 국그릇이 옆으로 세워져 적재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접시와 국그릇이 제2적재부(20) 내부에 보다 많이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제2적재부(20)의 일측에는 옆으로 세워지는 각 접시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1지지돌기(21)가 상부식기바스켓(4)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적재부(20)의 타측에는 역시 옆으로 세워지는 각 국그릇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2지지돌기(22)가 상부식기바스켓(4)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제3적재부(30)에는 컵이 거꾸로 업어진 상태로 적재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3적재부(30)는 상부분사노즐(6)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인해 외측으로 휘어지며 분사되는 세척수가 컵 내부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상부식기바스켓(4)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적재부는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층계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적재부(10)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층계부(11) 및 제2층계부(12)와, 각 층계부(11,12)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층계부(11,12)는 제1적재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계단(11a,12a)을 구비하며, 각 계단(11a,12a)과 상기 연결부(13)에는 복수의 밥그릇이 거꾸로 엎어져 나란히 적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계단(11a,12a)을 통해 층계모양으로 마련되는 층계부(11,12)는 제1적재부(10) 내부에 엎어진 상태로 적재되는 다수의 밥그릇이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제1적재부(10) 내부 공간에 보다 많은 밥그릇이 적재되도록 한다.
또 제1층계부(11)는 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되고, 제2층계부(12)는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지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제1적재부(10)에 마련되는 층계부가 일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된 하나의 층계부로 구성되거나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될 경우보다 층계부(11,12)의 각 계단(11a,12a)을 하부분사노즐(7)에 밀착시켜 보다 원활한 세척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분사노즐(7)의 각 분사공(7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부분사노즐(6)에서와 같이 하부분사노즐(7)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영향으로 외측방향으로 다소 휘어지며 분사되게 되고, 엎어진 상태로 제1적재부(10)에 적재된 밥그릇은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수와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적재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계단(11a,12a)은 하부식기바스켓(5)의 내측으로 다소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하부분사노즐(7)의 각 분사공(7a)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각 계단(11a,12a)에 적재된 밥그릇에 거의 수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세척수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현상은 중앙측보다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는 하부분사노즐(7)의 외측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하게 되므로, 각 계단(11a,12a)은 제1적재부(10)의 중앙 측에서 멀리 떨어진 계단(11a,12a)의 경사가 제1적재부(10)의 중앙 측에 가까운 계단(11a,12a)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 각 식기바스켓(4,5)을 세척실(2) 외부로 인출한 후 각 식기바스켓(4,5)에 다수의 각종 식기를 적재시킨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식기바스켓(5)의 중앙부에 마련된 제1적재부(10)에는 세척하기 힘든 밥그릇이 거꾸로 업어진 상태에서 집중적으로 적재되고, 상부식기바스켓(4)의 중앙부에 마련된 제2적재부(20)에는 밥그릇 보다 덜 세척하기 어려운 접시와 국그릇이 옆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집중적으로 적재되며, 또 제2적재부(20) 외측의 각 제3적재부(30)에는 다소 세척이 용이한 컵이 밥그릇과 같이 엎어진 상태에서 집중적으로 적재되고,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밖의 다른 식기는 제1적재부(10) 외측의 하부식기바스켓(5)에 적재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 식기바스켓(4,5)을 세척실(2) 내부로 밀어넣고 도어(2)를 폐쇄한 후 순환펌프(2b)를 작동시키게 되면 집수통(2a) 내부의 세척수는 각 분사노즐(6,7) 측으로 공급되어 분사노즐(6,7)의 각 분사공(6a,7a)을 통해 각 식기바스켓(4,5) 측으로 분사되고, 식기바스켓(4,5) 측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실(2) 바닥으로 떨어지며 집수통(2a)으로 모아진 후 다시 각 분사노즐(6,7) 측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이 반복되며 식기바스켓(4,5) 내부의 각종 식기가 세척된다.
또 이때 각 적재부(10,20,30)는 제3적재부(30) 제2적재부(20) 제1적재부(10) 순서로 점점 더 강력하고 원활한 세척수의 분사공급이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식기는 세척되기 쉬운 컵이 제3적재부(30)에, 다음으로 세척되기 용이한 접시나 국그릇은 제2적재부(20)에, 그리고 가장 세척하기 어려운 밥그릇은 제1적재부(10)에 적재되는 만큼, 각종 식기가 그 세척되기 어려운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세척수의 분사공급을 받게 되어 전체적인 식기의 세척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각 적재부의 구성을 통해 식기바스켓에 적재되는 각종 식기가 세척되기 어려운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세척수의 분사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식기의 세척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각 식기바스켓과 분사노즐의 구조를 발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와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부식기바스켓과 하부식기바스켓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 회전하는 분사노즐의 구조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를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 세척수의 분사구조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를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 세척수의 분사구조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각 식기바스켓과 분사노즐의 구조를 발취하여 나타낸 사시도로, 식기들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세척실
4: 상부식기바스켓 5: 하부식기바스켓
6: 상부분사노즐 7: 하부분사노즐
6a, 7a: 분사공 10: 제1적재부
20: 제2적재부 21: 제1지지돌기
22: 제2지지돌기 30: 제3적재부

Claims (9)

  1. 세척실, 식기가 적재되도록 상기 세척실에 마련된 복수의 식기바스켓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식기바스켓 중앙부에는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밥그릇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1적재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머지 하나의 식기바스켓 중앙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접시와 국그릇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2적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적재부 양측의 상기 식기바스켓에는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컵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제3적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바스켓은 상기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상부식기바스켓과 하부식기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식기바스켓의 하부에는 상기 각 식기바스켓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분사노즐과 하부분사노즐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1적재부는 상기 하부식기바스켓에 마련되고, 상기 제2적재부와 상기 제3적재부는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바스켓은 좌우 측의 길이가 전후방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되, 상기 분사노즐의 중심은 상기 식기바스켓의 중심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는 대략 상기 식기바스켓의 전후방 길이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분사노즐은 상기 상부분사노즐보다 높은 수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부는 상기 접시와 국그릇이 옆으로 세워져 적재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적재부와 제3적재부는 상기 밥그릇과 컵이 거꾸로 업어져 적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부에는 옆으로 세워진 상기 각 접시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1지지돌기와 옆으로 세워진 상기 각 국그릇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2지지돌기가 각각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적재는 상기 상부식기바스켓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는 각각 층계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적재부의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층계부 및 제2층계부와, 상기 각 층계부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계부는 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층계부는 후방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층계부는 상기 제1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계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계단은 상기 하부식기바스켓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부의 중앙 측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계단의 경사는 상기 제1적재부의 중앙 측에 가까운 계단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30099942A 2003-12-30 2003-12-30 식기세척기 KR20050068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42A KR20050068480A (ko) 2003-12-30 2003-12-3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42A KR20050068480A (ko) 2003-12-30 2003-12-3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480A true KR20050068480A (ko) 2005-07-05

Family

ID=3725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942A KR20050068480A (ko) 2003-12-30 2003-12-3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84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97B1 (ko) * 2007-12-27 2009-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변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용 랙
CN110292339A (zh) * 2018-03-21 2019-10-01 惠而浦公司 洗碗机
US11596289B2 (en) 2018-03-21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97B1 (ko) * 2007-12-27 2009-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변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용 랙
CN110292339A (zh) * 2018-03-21 2019-10-01 惠而浦公司 洗碗机
CN110292339B (zh) * 2018-03-21 2021-12-21 惠而浦公司 洗碗机
US11395574B2 (en) 2018-03-21 2022-07-26 Whirlpool Corporation Dish rack and wash assembly for dishwasher
US11596289B2 (en) 2018-03-21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221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구조
US20110186085A1 (en) Upper spray arm water deflector
KR101026578B1 (ko) 식기 세척기
KR20050105711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050105706A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2076613B1 (ko) 수압과 초음파를 이용한 다기능 식기세척기
JP5006716B2 (ja) 食器洗浄機
CN101416859A (zh) 洗碗机
JP4483670B2 (ja) 食器洗い機
KR20050068480A (ko) 식기세척기
KR100652263B1 (ko) 식기세척기의 랙 지지장치
TWI292705B (ko)
KR100567509B1 (ko) 식기 세척기
JP4770564B2 (ja) 食器洗い機
KR19990075791A (ko) 식기세척기의 바구니
KR20050070426A (ko) 식기세척기
JP2019030514A (ja) 食器洗い機
JP4144115B2 (ja) 食器洗い機
KR102091187B1 (ko) 식기세척기
CN220494969U (zh) 一种家用电器
KR20230083765A (ko) 승하강 구조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JPH11290261A (ja) 食器洗浄機用食器籠
KR102075387B1 (ko) 수압과 초음파를 이용한 다기능 식기세척기
JP2022103926A (ja) 洗浄システム
JP2003325428A (ja) 食器洗い機および食器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