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161A - 액정패널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패널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161A
KR20050068161A KR1020030099323A KR20030099323A KR20050068161A KR 20050068161 A KR20050068161 A KR 20050068161A KR 1020030099323 A KR1020030099323 A KR 1020030099323A KR 20030099323 A KR20030099323 A KR 20030099323A KR 20050068161 A KR20050068161 A KR 2005006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liquid crystal
circuit board
crystal panel
t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8161A/ko
Publication of KR2005006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액정패널의 검사장치는 검사가 진행될 액정패널에 공급할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사패턴 발생부와;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가요성인쇄기판과; 상기 가요성인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실장한 복수의 TCP와; 상기 TC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접속되는 입력핀과 액정패널의 패드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출력핀을 가진 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액정패널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액정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패널 패드들의 간격이 변화에 따라 검사비용을 줄이면서 정확하게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한 액정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Display)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발광형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으로 나눌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이나 전계방출디스플레이와 함께 최근에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여 일정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 기판 및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과, 그 두 기판사이의 일정한 셀-갭에 충진된 액정층으로 구성된 액정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액정패널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패널의 액정층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는 횡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종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이 서로 교차하며, 그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서로 교차하여 구획하는 영역들에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된다. 상기 화소에는 스위칭소자와 화소전극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데이터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화상신호를 화소에 인가되도록 하는 개폐역할을 하며,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컬러필터에 구비되는 공통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으로 혼합하여 다양한 컬러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며,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의 외곽에는 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들의 외곽으로 빛이 새어나오는 빛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가 그물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컬러필터 기판의 전면에는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화소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여, 액정분자들의 배열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공급되는 빛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액정패널에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액정패널에 주사신호와 화상신호를 공급하여,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데, 상기 구동부는 데이터구동부와 게이트구동부로 구분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가 각 게이트라인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면, 주사신호가 인가된 게이트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소자들은 턴-온(turn on)되고, 턴-온된 스위칭소자들은 데이터라인들로부터 화상신호를 인가받는다. 이때, 화상신호는 스위칭소자를 통해 화소에 인가되며, 화소 내에 구비된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최근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대량생산되어 나오고 있다. 제품의 대량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제품의 불량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작과정에 있어서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을 합착하고, 그 합착된 공간에 액정층을 충진한 액정패널 모듈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 액정패널 상에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패터닝된 상태이다.
상기 액정패널을 테스트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과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조립된 완제품과 동일한 환경의 테스트 설비로 이동시켜 검사를 진행한다.
상기 검사 설비로 이동된 액정패널에는 실제 완제품을 구동시킬 때와 동일한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화상이 표시되므로, 상기 액정패널의 불량이 발생되는 영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액정패널과 그 검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패널(10)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화상표시부(13)와, 그 화상표시부(13)의 게이트라인(40)들과 접속되는 게이트 패드부(14) 및 데이터라인(42)들과 접속되는 데이터 패드부(15)를 포함한다. 이때, 게이트 패드부(14)와 데이터 패드부(15)는 제 2기판(12)과 합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제 1기판(11)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며, 게이트 패드부(14)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를 화상표시부(13)의 게이트라인(40)들에 공급하고, 데이터 패드부(15)는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정보를 화상표시부(13)의 데이터라인(42)에 공급한다.
여기서, 도면상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상표시부(13)의 제 1기판(11)에는 화상정보가 인가되는 데이터라인(42)들과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라인(40)들이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그 교차부에 화소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와, 그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화소를 구동하는 화소전극과, 이와같은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에 형성된 보호막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부(13)의 제 2기판(12)에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화소별로 분리되어 도포된 컬러필터들과, 상기 제 1기판(11)에 형성된 화소전극의 상대전극인 공통전극이 구비된다.
한편, 도2에는 상기 도1의 액정패널(10)이 검사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는 액정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액정패널(11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frame, 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10)의 게이트 패드부(114)에 대향하는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 121)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110)의 데이터 패드부(115)에 대향하는 프레임(120)의 타측에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21)과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은 인터페이스 케이블(123)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은 신호공급 케이블(124)을 통해 외부의 검사패턴 발생부(test pattern generator, 16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 패드부(114)와 대향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21)의 일측에는 복수의 가요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125)가 부착되며, 그 가요성인쇄회로(125)의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130)가 연결된다. 상기 TCP(130) 상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129)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TCP(130)에는 니들(needle, 126)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부(115)와 대향하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의 일측에는 복수의 가요성인쇄회로(127)가 부착되고, 그 가요성인쇄회로(127)의 일측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131)가 실장된 TCP(132)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TCP(132) 끝단에는 니들(12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160)에서는 실제적으로 액정패널(110)에 표시될 수 있는 여러가지 화상패턴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신호공급 케이블(124)을 통해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에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은 인터페이스 케이블(123)을 통해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16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신호를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23)에 인가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1기판(미도시) 상에 종횡으로 배열되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은 상기 게이트 패드부(114)와 데이터 패드부(115)까지 형성되는데, 상기 게이트 패드부(114)와 데이터 패드부(115)까지 연장된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끝단에는 패드가 형성되며, 이 패드에 대응하여 게이트TCP나 데이터TCP가 부착된다.
상기 액정패널 검사장치는 상기 패드를 통해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액정패널 상에 정확한 화상패턴이 구현되는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의 패드까지 전달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160)에서 발생된 구동신호는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21)과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에 전달된다.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21)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에는 가요성인쇄회로(125,127)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가요성인쇄회로(125,127)의 타측은 상기 TCP(130,1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가요성인쇄회로(125,127)에는 복수의 라인들이 미세하게 패터닝되어 있어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121)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122)에 인가된 구동신호를 상기 TCP(130,132)까지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TCP(130,132)에 공급된 구동신호는 상기 TCP(130,132)상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129) 및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131)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어 출력되며, 그 출력된 구동신호는 상기 TCP(130,132)와 연결된 니들(126,128)을 통해 액정패널(110)의 패드에 인가된다. 상기 패드에 인가된 구동신호는 각각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화상표시부(미도시)에 인가되어 화상으로 표시된다.
도3은 검사장치의 니들과 액정패널의 패드가 접촉된 것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은 니들본체(270)와, 그 니들본체(270)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아래방향으로 절곡되는 복수개의 출력핀(272)들로 구성되며, 상기 니들에 구비된 출력핀(272)들은 각각 패드(219)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핀(272)을 통해 패드(219)로 인가된 구동신호는 상기 패드(219)에 연결된 라인을 통해 화상표시부로 인가된다. 여기서, 라인은 게이트라인 또는 데이터라인을 통칭한 것이다.
한편, 상기 출력핀(272)들의 간격과 상기 패드(219)들의 간격은 동일하므로, 상기 출력핀(272)과 패드(219)들은 정확하게 일대일로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니들에 구비되는 입력핀(미도시)는 상기 TCP(130,132)에서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출력라인(미도시)들과 일대일로 대응하여 접속된다. 즉, TCP(130,132) 출력라인의 간격과 니들의 입력핀의 간격이 동일하고, 니들의 출력핀의 간격가 패드들의 간격이 동일해야 정확하게 구동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해상도를 구현하도록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화상표시부를 구성하는 게이트라인의 수와 데이터라인의 수가 서로 상이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라인들이 서로 이격된 간격과 데이터라인들이 서로 이격된 간격이 다르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의 끝단에 형성되는 패드들의 간격(pitch)도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각 제품의 해상도에 따라 패드들의 간격이 달라진다. 또한, 최근 액정표시장치에 많이 적용되는 있는 방식인 LOG A방식이나 LOG B방식을 액정패널 상에 적용하게 되면, 동일한 해상도에서도 패드간의 간격이 상이해질 수 있다.
종래에는 액정패널의 모델이나 해상도에 따라 각각 다른 패드간의 간격에 맞추기 위하여 각각 인쇄회로기판, TCP 및 니들을 새로 제작하여 액정패널 검사장치에 적용하였다. 즉, 액정패널의 패드들의 간격이 달라지면, 이에 일대일로 접속되는 니들의 출력핀 간격도 달라져야 하므로, 변화된 패드들의 간격과 동일한 출력핀 간격을 갖는 니들로 교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니들을 교환할 경우 니들 입력핀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어 이에 대응하는 출력라인의 간격을 갖는 TCP로 교환하여야 한다. 결국, 상기 TCP와 입출력라인이 일대일로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도 교환하여야 한다.
따라서, 액정패널의 모델이나 해상도에 따라 니들, 인쇄회로기판 및 TCP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액정패널의 검사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패널의 모델이나 해상도가 달라질 경우에도 니들만 교환하고, 니들 및 TCP를 연결할 새로운 연결매체를 제작하여 니들과 TCP를 연결함으로써, 액정패널을 검사할 수 있게되어 검사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액정패널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패널 검사장치는 검사가 진행될 액정패널에 공급할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사패턴 발생부와;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가요성인쇄기판과; 상기 가요성인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실장한 복수의 TCP와; 상기 TC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접속되는 입력핀과 액정패널의 패드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출력핀을 가진 니들(niddl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액정패널(31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frame, 3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310)의 게이트 패드부(314)에 대향하는 프레임(320)의 일측에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 321)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패널(310)의 데이터 패드부(315)에 대향하는 프레임(320)의 타측에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1)과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은 인터페이스 케이블(323)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은 신호공급 케이블(324)을 통해 외부의 검사패턴 발생부(36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 패드부(314)와 대향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1)의 일측에는 복수의 가요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325)가 부착되며, 그 가요성인쇄회로(325)의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TCP(330)가 연결된다. 상기 TCP(330) 상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329)가 실장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TCP(330)에는 상기 가요성인쇄회로(325)에 형성된 라인간격과 일치하여 일대일로 접속되는 입력라인(미도시)들이 형성되며, 입력라인들을 통해 인가받아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신호는 TCP(330)의 출력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부(382)의 입력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연결부(382)의 출력라인들은 상기 니들(326)의 입력핀들과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연결부(382)는 가요성인쇄회로를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상기 연결부(382)의 기능은 재질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기타 다양한 물질로 제작가능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 패드부(315)에 대향하는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의 경우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1)의 연결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360)에서는 실제적으로 액정패널(310)에 표시될 수 있는 여러가지 화상패턴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신호공급 케이블(324)을 통해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에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은 인터페이스 케이블(323)을 통해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36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신호를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3)에 인가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1기판(미도시) 상에 종횡으로 배열되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은 상기 게이트 패드부(314)와 데이터 패드부(315)까지 형성되는데, 상기 게이트 패드부(314)와 데이터 패드부(315)까지 연장된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끝단에는 패드가 형성되며, 이 패드에 대응하여 게이트TCP나 데이터TCP가 부착된다.
상기 액정패널 검사장치는 상기 패드를 통해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액정패널 상에 정확한 화상패턴이 구현되는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신호가 상기 액정패널의 패드까지 전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360)에서 발생된 구동신호는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1)과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에 전달된다.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1)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에는 가요성인쇄회로(325,327)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가요성인쇄회로(325,327)의 타측은 상기 TCP(330,3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가요성인쇄회로(325,327)에는 복수의 라인들이 미세하게 패터닝되어 있어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321) 및 데이터 인쇄회로기판(322)에 인가된 구동신호를 상기 TCP(330,332)까지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가요성인쇄회로(325,327)의 출력라인들의 간격은 TCP(330,332)에 형성된 입력라인들의 간격과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가요성인쇄회로(325,327)의 출력라인과 TCP(330,332)의 입력라인은 개별적으로 매칭된다.
상기 TCP(330,332)에 공급된 구동신호는 상기 TCP(330,332)상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329) 및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331)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어 출력되어 상기 TCP(330,332) 출력라인들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TCP(330,332)의 출력라인들은 상기 연결부(380,382)의 입력라인들과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TCP(330,332)의 출력라인들의 간격과 상기 연결부(380,382)의 입력라인들의 간격은 동일하여야 한다.
액정패널은 모델이나 해상도에 따라, 액정패널에 패드들의 간격이 상이하게 제작되며, 이러한 패드들의 간격에 따라 니들의 출력핀들의 간격도 동일해야 하므로, 액정패널의 모델이나 해상도에 따라 패드들의 간격과 동일한 출력핀 간격을 갖는 니들로 교환한다.
한편, TCP의 경우에는 그 TCP상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출력핀 수, 즉, 채널수와 동일하게 출력라인과 입력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니들이 교환될 경우 니들의 입력핀들의 간격도 달라지게 되므로, 니들의 입력핀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던 TCP의 출력라인들의 간격도 변화되어야 상기 니들의 입력핀들과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의 교환에 따라 TCP도 교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니들의 교환으로 인해 상기 니들과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매체들을 모두 교환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검사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니들의 교환에 따른 다른 연결매체들의 교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연결매체가 제안되었으며, 그 연결매체가 연결부이다.
상기 연결부를 제작하기에 앞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채널별로 공용으로 사용될 인쇄회로기판과 TCP를 하나씩 제작하는 것이다. 통상,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256채널 및 300채널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액정패널의 모델이나 해상도가 달라질 경우, 패드들의 간격이 달라진다. 그런데, 액정패널에 적용되는 복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채널 수가 액정패널의 패드들의 수보다 많거나 동일할 때,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TCP의 출력라인들의 간격과 니들의 입력핀들의 간격을 대응시키는 문제가 남게될 뿐이다.
상기와 같은 TCP의 출력라인들의 간격과 니들의 입력핀들의 간격을 동일하게 맞춰주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TCP 자체를 교환하는 방법대신 TCP의 출력라인 간격과 니들의 입력핀 간격을 중간에서 완충시킬 연결부를 새로 제작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결부는 도5a 및 도5b에 도시되어 있다.
도5a는 저해상도 액정패널에 적용가능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5b는 고해상도 액정패널에 적용가능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연결부(480)에는 복수의 입력라인과, 복수의 출력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480)의 입력라인 간격과 출력라인 간격은 서로 상이한데, 즉, TCP와 접속되는 입력라인들이 니들의 입력핀들과 개별적으로 접속될 출력라인들로 갈수록 그 라인들의 간격이 넓어지고 있다. 이는 액정패널이 저해상도를 갖는 것으로, 해상도가 낮아지게 되면 액정패널의 게이트라인들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패드들의 간격도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패드들의 간격과 동일한 출력핀 간격 및 입력핀 간격을 갖는 니들로 교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니들의 입력핀 간격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연결부(480)의 출력라인 간격이 넓어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도5b를 보면, 고해상도 액정패널에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부(480)이다. 상기 연결부는 입력라인 간격보다 출력라인 간격이 좁아진다.
한편, 액정패널의 패드들의 간격과 TCP의 출력라인 간격이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480)의 입력라인 간격과 출력라인 간격이 동일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80)의 입력라인 간격을 TCP 출력라인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연결부(480)의 출력라인 간격을 니들의 입력핀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TCP 교환없이 TCP와 니들을 원활하게 연결하여 구동신호가 니들을 통해 정확하게 패드들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채널별로 공용으로 사용할 인쇄회로기판 및 TCP를 하나씩 제작하고, 액정패널의 모델이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지는 패드들의 간격에 대응하기 위해 니들의 입력핀과 TCP의 출력라인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및 TCP의 교환이 필요없게 되므로, 액정패널 검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액정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도2는 액정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3은 검사장치의 니들과 액정패널의 패드가 접촉된 것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5a는 저해상도 액정패널에 적용가능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5b는 고해상도 액정패널에 적용가능한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액정패널 314: 게이트 패드부
315: 데이터 패드부 320: 프레임
321: 게이트 인쇄회로기판 322: 데이터 인쇄회로기판
323: 인터페이스 케이블 324: 신호공급 케이블
325: 가요성인쇄회로 326,328: 니들
330,332: TCP 329: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331: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 360: 검사패턴 발생부
380,382: 연결부

Claims (8)

  1. 검사가 진행될 액정패널에 공급할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사패턴 발생부와; 상기 검사패턴 발생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복수의 가요성인쇄기판과; 상기 가요성인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실장한 복수의 TCP와; 상기 TC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접속되는 입력핀과 액정패널의 패드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출력핀을 가진 니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TCP는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채널별로 하나씩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가요성인쇄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입력라인들의 간격과 출력라인들의 간격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서서, 상기 연결부의 입력라인들의 간격과 출력라인들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은 데이터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제 2인쇄회로기판은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인쇄회로기판 및 제 2인쇄회로기판은 인터페이스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니들은 액정패널의 모델 또는 해상도에 따라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의 검사장치.
KR1020030099323A 2003-12-29 2003-12-29 액정패널 검사장치 KR20050068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323A KR20050068161A (ko) 2003-12-29 2003-12-29 액정패널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323A KR20050068161A (ko) 2003-12-29 2003-12-29 액정패널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161A true KR20050068161A (ko) 2005-07-05

Family

ID=3725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323A KR20050068161A (ko) 2003-12-29 2003-12-29 액정패널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81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3906B2 (ja) 液晶表示パネル用駆動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0679521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CN100426498C (zh) 用于封装驱动集成电路的显示器件的基板
KR101138261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8121301A1 (zh) 液晶显示器
KR10255885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0108057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075329B2 (en) Display panel with light emitting diode (LED) power transfer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7305456A (ja) 照明装置及び液晶装置
CN205080891U (zh) 显示装置及显示面板
US2020021986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15064252A1 (ja) 透明液晶表示装置
US70819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herein using particular common electrodes
US1095724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opposing display modules of micro LEDs
CN112652275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60040166A (ko)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KR20050068161A (ko) 액정패널 검사장치
KR101192050B1 (ko) 평판표시장치의 검사방법 및 장치
KR2006001160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326398A1 (en) Array substrat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apparatus
US11250804B2 (en) Display driver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KR20080059871A (ko) 오토 프로브 유닛
KR100628435B1 (ko)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및 타일드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방법
KR101756332B1 (ko) 양방향 표시장치
KR20070120387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