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910A -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910A
KR20050066910A KR1020030098398A KR20030098398A KR20050066910A KR 20050066910 A KR20050066910 A KR 20050066910A KR 1020030098398 A KR1020030098398 A KR 1020030098398A KR 20030098398 A KR20030098398 A KR 20030098398A KR 20050066910 A KR20050066910 A KR 2005006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edal
head
guide rib
pedal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하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910A/ko
Publication of KR2005006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9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바디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헤드(10)와, 상기 헤드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을 내장하고, 상기 헤드에 대하여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20)와, 상기 헤드의 측면후방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직립상태와 틸팅가능상태를 제어하는 릴리스페달(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릴리스페달의 페달부분(62)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제1가이드리브(62a)와; 상기 페달부분의 하방에 해당하는 헤드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맞물리는 제2가이드리브(18)를 포함한다. 따라서 릴리스페달은, 제1가이드리브가 제2가이드리브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Device for guiding release pedal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바디를 소정 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바디 틸팅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헤드(2)와, 상기 헤드(2)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을 내장하는 바디(4),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2)는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흡입구를 통하여, 진공청소기의 동작과 같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4)에는, 상기 헤드(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4)에 내장된 흡입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헤드(2)의 저면을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의 하부는 헤드(2)의 후방에 대하여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4)가 헤드(2)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디(4)의 상부에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사용자가 잡고 청소기 전체를 조작할 수 있는 핸들(6)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핸들(6)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2)에 대한 바디(4)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부분의 청소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전면 중심부분에는 집진통(8)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진통(8)은 헤드(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서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종래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기 집진통(8)은 싸이클론방식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4)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헤드(2)에 대하여 일정 각도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보관중인 상태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4)가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6)을 잡고 후방으로 일정 각도 틸팅시킨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바디(4)가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직립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2)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릴리스페달(release pedal)(9)을 밟게 되면, 헤드(2)와 바디(4) 사이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바디(4)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릴리스페달(9)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4)가 헤드(2)에 대한 직립상태를 유지하거나, 이러한 직립상태의 체결관계를 해제함으로써 바디(4)가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가 후방으로 틸팅 가능한 해제상태에서 다시 직립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릴리스페달(9)과 관련된 내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바디(4)는 다시 직립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가지는 릴리스페달(9)은, 내부에 탄성 스프링(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릴리스페달(9)을 밟은 후 놓게 되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릴리스페달(9)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해야만, 상기 바디(4)가 수직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릴리스페달(9)의 타단부와의 체결관계가 성립하여 상기 바디(4)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릴리스페달(9)의 내부에는, 별도의 부품인 탄성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4)의 직립상태에서, 릴리스페달(9)와의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릴리스페달(9)을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릴리스페달(9)의 복원을 위하여 릴리스페달이 설치되는 회전축에 토션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페달(9)을 밟을 경우에는, 회전축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상태의 하중을 가해야만, 상기 릴리스페달(9) 및 그 회전축이 손상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용시, 상기 릴리스페달(9)은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릴리스페달(9)에 가해지는 힘이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만 작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상기 릴리스페달(9)의 회전축 및 그 연결부분에 다른 방향으로의 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힘이 반복하여 작용하게 되면 피로하중에 의하여 릴리스페달(9)의 연결부분이 손상될 우려가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회전축에 의하여 헤드의 일측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릴리스페달에 작용하는 힘 중에서 정확한 수직방향 이외의 힘이 생기게 되면, 구성부품의 손상이 우려되어 실질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바디의 직립상태 및 틸팅을 제공할 수 있는 릴리스페달을 운동방향으로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을 내장하고, 상기 헤드에 대하여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헤드의 측면후방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직립상태와 틸팅가능상태를 제어하는 릴리스페달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로써; 상기 헤드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릴리스페달의 페달부분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제1가이드리브와; 상기 페달부분의 하방에 해당하는 헤드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맞물리는 제2가이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리브가 제2가이드리브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릴리스페달이 하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 또는 제2가이드리브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는, 릴리스페달이, 그것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평면상으로 회동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제1가리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는, 릴리스페달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평면상으로 연장 성형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는 릴리스페달이 하방으로 회동하기 전의 상태에서도, 적어도 일부가 맞물리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스페달에 가해지는 힘 중에서,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평면상으로 작용하는 힘 이외의 분력은 가리드리브에 의하여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릴리스페달의 회전축 및 그 연결부가 불필요한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실질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서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헤드(10)와, 상기 헤드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20), 그리고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1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10)의 상부에는 바디(2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디(20)의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내장되어 있어서, 그것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헤드(10)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0)는 헤드(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0)를 잡고 상기 바디(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상기 바디(20)의 중심부분에는 집진통(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집진통(50)은, 헤드(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서 내부에 포집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집진통(50)은,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질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헤드(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비사용중,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이하에서는 단순히 청소기라고도 칭함)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0)가 대략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디(20)를 후방으로 틸팅시켜 손잡이(30)를 잡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 헤드(10)의 후방 측면에는 릴리스페달(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릴리스페달(60)은 상기 바디(20)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거나, 직립상태에서 해제되어 후방으로 바디(20)를 틸팅시킬 수 있도록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릴리스페달(60)은,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헤드(10)의 후방측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페달부분(6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페달부분(6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리브(62a)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페달부분(62)의 하측에 대응하는 헤드(10)의 일측 상면(17)에는, 상기 가이드리브(62a)와 맞물릴 수 있는 가이드리브(18)가 성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62a) 및 가이드리브(18)는 서로 복수개로 성형되어 있어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18,62a)는,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고,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릴리스페달(60)의 가이드리브(62a)는, 헤드(10)의 가이드리브(18) 사이에 맞물리면서 결합될 수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가이드리브(18,62a)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지는 릴리스페달(62)이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릴리스페달(60)은 회전축(6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때 상기 회전축(68)에 대하여 정확한 수직방향으로 페달부분(62)이 눌러져야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릴리스페달(62)이 하방으로 눌러지면, 릴리스페달(62)의 하면에 성형된 복수개의 가이드리브(62a)는 헤드의 상면(17)에 성형된 가이드리브(17) 사이로 들어가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리브(17)이 성형되어 있는 방향으로만 상기 릴리스페달(62)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눌러지는 상기 릴리스페달(62)이 도 3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눌러질 때, 수직방향 이외의 힘(분력)이 릴리스페달(62)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리브(17,62a)에 의하여 상기 릴리스페달(62)은 수직방향으로만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릴리스페달(62)에 수직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의 힘(분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분력은 상기 가이드리브(17,62a)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릴리스페달(62)의 회전축까지 전달되지 않게 될 것이다. 또한 청소기의 사용중, 상기 릴리스페달(60)이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이외의 힘을 받게 되더라도, 이러한 힘은 상기 가이드리브(18,62a)에 의하여 흡수되어,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회전축 및 그 연결부분까지 전달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7,62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리브(17,62a)는, 릴리스페달(60)을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평면상으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을 이루고 있다면, 상기 릴리스페달(60)은 수직으로 하향이동해야만 회전축 및 그 연결부분에 불필요한 분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회전축 주위의 손상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릴리스페달(60)의 정확한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리브(18,62a)는, 릴리스페달(60)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연장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페달(60)의 가이드리브(62a)는, 릴리스페달(60)이 하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상면(17)의 가이드리브(18)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동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청소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불의의 외력이 상기 릴리스페달(62)에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릴리스페달(60)이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양측의 가이드리브(62a,18)는 일정한 부분 만큼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가이드리브(18,62a)는 복수개로 성형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일측의 가이드리브를 한개로 성형하고, 타측의 가이드리브를 한쌍으로 성형하여, 양자가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양측의 가이드리브를 모두 하나로 성형하더라도, 일정한 범위 내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가이드리브를 구비하는 릴리스페달(60)의 탄성적인 회동을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릴리스페달(60)은,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수평에 가까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헤드(10)의 상면에 노출되는 페달부분(62)과, 상기 페달부분의 반대측 하방에 형성되는 탄성부분(66), 그리고 상기 페달부분(62)과 탄성부분(66)의 중간측에서 상기 바디(20) 측으로 돌출 성형된 걸림돌기부(64)를 포함하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페달(60)은 상기 헤드(10)의 측면 후방에서 회전축(6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릴리스페달(6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져야 하고, 대량생산의 측면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달부분(62)은, 헤드(10)의 후방 측면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시 사용자가 쉽게 밟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페달부분(62)의 하방에 해당하는 내측(바디측)으로 돌출 성형된 상기 걸림돌기부(64)는, 바디(20)의 측면하단부에 성형되어 있는 걸림턱(22)에 걸리도록 성형된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2)에 걸림돌기부(64)가 걸리게 되면, 상기 바디(20)는 대략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부(64)와 걸림턱(22)의 체결상태에 의하여 바디(20)가 후방으로 틸팅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릴리스페달(6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68)은 상기 상기 걸림돌기부(6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8)은 헤드(10)의 후방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릴리스페달(6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페달(60)은, 상기 회전축(68)의 하부까지 연장된 탄성부분(6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분(66)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릴리스페달(60)의 재질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하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부분(66)은, 헤드(10)의 후방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분(66)은, 상기 지지부(14)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15)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적어도 일측부분이 상기 지지부(14)에 접촉하면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릴리스페달(60)은, 회전축(68)에 의하여 헤드의 후방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분(66)의 적어도 일측이 지지부(14)에 접촉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부(64)는 항상 바디(20)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릴리스페달(60)의 걸림돌기부(64)는, 바디(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2)의 하측에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5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부(64)가 걸림턱(22)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20)는 후방으로 틸팅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분(66)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헤드(10)의 후방의 일측면[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부(14)]에 성형된 슬릿(15)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부분(66)의 일측이 상기 지지부(14)에 접촉함으로써,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부(64)가 걸림턱(22)에 걸린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탄성부분(66)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릴리스페달(60)의 걸림돌기부(64)가 걸림턱(64)의 하단부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탄성부분(66)은, 헤드(10)의 후방의 일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어,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부(64)가 걸림턱(2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슬릿(15)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분(66)의 단부가 상기 슬릿(15)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분(66)이 회전축(68)에서 시작하여 부분적인 원호형 또는 싸이클로이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페달부분(62)이 하방으로 눌러지면, 상기 탄성부분(66)이 슬릿(15)의 내측으로 약간 삽입되면서 탄성변형하게 되어 보다 부드러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과도한 힘에도 손상되지 않게 되는 편리함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부분(66)은, 헤드(10)의 후방 일측면(14)과 적어도 일측면이 접촉한 상태로 조립되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부(64)가 걸림턱(22)에 걸릴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분(66)에 대신하여, 상기 걸림돌기부(64)가 바디의 측면측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프링(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보관한다. 즉 바디(20)가 헤드(10)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탄성부분(66)이 헤드 후방의 일측면(14)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 의하여, 릴리스페달(60)의 걸림돌기부(64)가 내측(바디측)으로 지지되어, 걸림턱(22)의 하부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페달부분(62)를 하부로 밟아서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페달부분(62)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리브(62a)는, 헤드의 상면(17)에 성형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리브(18) 사이로 들어가면서, 상기 릴리스페달(60)이 하방으로 눌러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8,62a)에 의하여 상기 릴리스페달(60)은, 회전축(68)에 직각을 이루는 평면상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릴리스페달(60)의 회전축 및 그 연결부분은 외력에 의한 손상 없이 장기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면 상기 페달부분(62)은 회전축(68)에 비하여 외측(바디의 반대측)에 있기 때문에 중간부분에 있는 상기 걸림돌기부(64)도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분(66)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릿(15)의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분(66)은 슬릿(15)의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면서 탄성변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부(64)는 바디(20)의 걸림턱(22)와의 래치관계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부(64)와 걸림턱(22)의 래치관계가 해제되면, 상기 바디(20)는 후방으로 틸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틸팅시킨 상태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페달(60)의 페달부분(62)을 놓게 되면, 다시 상기 탄성부분(6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부(64)는 내측(바디 측)으로 탄성변형하게 되나, 이미 걸림턱(22)과의 걸림관계가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부(64)는 바디(20)의 측면에 접촉만 할 뿐이고, 바디(20)의 틸팅작용에는 전혀 문제시 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바디(20)의 측면에서, 상기 걸림턱(22)의 상부에는 다른 하나의 걸림턱(24)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걸림턱(24)은 바디(20)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틸팅되면 상기 걸림돌기부(64)가 걸려서 더 이상의 틸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릴리스페달(60)이 회전축에 대하여 정확한 직각방향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릴리스페달은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반복 사용되는 릴리스페달이, 운동방향 이외의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정면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부분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부분의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후방측에서 본 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드 12 .... 결합공
14 ..... 지지부 17 ..... 헤드의 상면
18 ...... 가이드리브 20 ..... 바디
22 ..... 걸림턱 30 ..... 손잡이
60 ..... 릴리스페달 62 .... 페달부분
62a ..... 가이드리브

Claims (5)

  1.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헤드와, 상기 헤드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을 내장하고, 상기 헤드에 대하여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헤드의 측면후방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직립상태와 틸팅가능상태를 제어하는 릴리스페달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로써;
    상기 헤드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릴리스페달의 페달부분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제1가이드리브와;
    상기 페달부분의 하방에 해당하는 헤드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맞물리는 제2가이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리브가 제2가이드리브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릴리스페달이 하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리브 또는 제2가이드리브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는, 릴리스페달이, 그것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평면상으로 회동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리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는, 릴리스페달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평면상으로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는 릴리스페달이 하방으로 회동하기 전의 상태에서도, 적어도 일부가 맞물리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KR1020030098398A 2003-12-27 2003-12-27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KR20050066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398A KR20050066910A (ko) 2003-12-27 2003-12-27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398A KR20050066910A (ko) 2003-12-27 2003-12-27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910A true KR20050066910A (ko) 2005-06-30

Family

ID=3725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398A KR20050066910A (ko) 2003-12-27 2003-12-27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9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3612C1 (ru) Всасывающая щетк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US20040049879A1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EP1604604A2 (en) Extension pipe suppor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100433404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6800048B2 (ja) 電気掃除機の寝具用吸込口体
KR20050066910A (ko) 진공청소기의 릴리스페달 가이드장치
JP4129443B2 (ja) 電気掃除機
KR20050066909A (ko) 진공청소기의 바디 틸팅장치
KR20220112425A (ko) 청소기
KR200439834Y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손잡이체 보관구조.
KR20230086156A (ko) 청소기
KR101191494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KR100578337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TWI825624B (zh) 清掃機
JP7340503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6763455B2 (ja) 掃除具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KR20010104041A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7056700B2 (ja) 掃除具及びコードレス型掃除機
KR10054042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JP7198685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269369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의 흡입 파이프 구조
JPWO2017077568A1 (ja) 掃除具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KR960009309Y1 (ko) 세로형 진공청소기의 지지장치
JPH04161125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