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55A - 설정 가능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설정 가능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355A
KR20050065355A KR1020040110116A KR20040110116A KR20050065355A KR 20050065355 A KR20050065355 A KR 20050065355A KR 1020040110116 A KR1020040110116 A KR 1020040110116A KR 20040110116 A KR20040110116 A KR 20040110116A KR 20050065355 A KR20050065355 A KR 20050065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led
emitting display
tile assembl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윌렘
넬 디덴느
허버트 밴힐레
로비 틸레맨스
Original Assignee
바르코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743,966 external-priority patent/US20050134526A1/en
Priority claimed from EP03079177A external-priority patent/EP1548571A1/en
Application filed by 바르코 엔.브이. filed Critical 바르코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6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형 대형 스크린 표시 장치 응용에 사용하기 위한 설정 가능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예컨대 OLED 표시 장치 타일 및 관련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OLED 타일 어셈블리는 자율 표시 장치로 동작하거나, 이와는 달리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한 세트의 OLED 표시 장치 타일들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전원(158), 냉각 팬들(160)과 냉각 블록들(146)을 구비한 냉각 시스템, 및 프로세서를 구비한 제어 보드(154), OLED 보드(142)와 기판(140)을 구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일 실시예가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 및 자동 어드레싱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의 초기 어셈블리, 자동 설정 및 교정에 관한 방법과,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을 교체, 추가 또는 제거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정 가능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본 발명은,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표시 장치와 같은 모듈형 대형 스크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율적이며 상호 교환 가능한 타일들로 이루어진 확장형 표시 장치(scalable display)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OLED 표시 장치와 같은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 및 OLED 표시 장치와 같은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의 타일의 교체 방법을 제공한다.
OLED 기술은, 전극들 간에 샌드위치되어 DC 전류가 가해질 경우, 다양한 색상의 강한 빛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 재료들을 다룬다. 이들 OLED 구조물들은, 화면 또는 전체 화면의 하나의 타일을 구성하는 화소들 또는 픽셀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OLED들은 개별적인 발광 장치로서, 또는 손목시계, 전화기, 랩탑 컴퓨터, 페이저, 휴대폰, 계산기 등의 평판 표시 장치와 같은 발광 어레이나 표시 장치의 능동 소자로서 다양한 응용들에서 유용하다. 현재까지, OLED 발광 어레이 또는 표시 장치의 용도는 대부분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스크린 애플리케이션들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시장은 이제 표시 장치 크기를 커스터마이즈(customise)하는 융통성을 갖춘 보다 큰 표시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들은 표준 크기들을 마케팅 재료로 사용하지만, 이들 크기는 장소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영국의 표준 표시 장치 크기와 캐나다 또는 호주의 표준 표시 장치 크기는 상이하다. 또한, 무역 전시회에서의 광고주들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선명하고 눈길을 끄는 융통성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대형 표시 장치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떠오르는 시장은, 최대한의 표시 양, 품질, 및 시야각들이 중요한 조정실 산업(control room industry)이다. 보다 높은 품질과 보다 높은 광 출력을 갖는 대형 스크린 표시 장치 응용에 대한 수요로 인해, 산업은 예전의 LED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s)를 대체하는 대체 표시 장치 기술들로 방향 전환되었다. 예를 들어, LCD는, 대형 스크린 표시 장치 시장이 요구하는 선명하고 높은 광출력, 보다 큰 시야각, 및 높은 해상도와 속도 요구사항들을 제공할 수 없다. 반면에, OLED 기술은 고해상도와 보다 넓은 시야각으로 선명하고 생생한 색상을 제공한다. 그러나, OLED 기술을 실외나 실내 체육관 표시 장치, 대형 마케팅 광고 표시 장치 및 대중 정보 표시 장치와 같은 대형 스크린의 표시 장치 응용에 사용하는 것은 시작 단계일 뿐이다.
대형 스크린 표시 장치들은 대개 더 큰 타일들로 조합되는 작은 모듈들 또는 표시 장치들로 형성되는 모듈형 또는 타일형 표시 장치들이다. 이들 타일형 표시 장치들은, 임의의 크기와 형태의 표시 장치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타일들과 추가적으로 조합될 수 있는 완전한 유닛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개개의 타일들은 통상적으로, 완전한 표시 장치로서 단독으로 동작할 수 없다. 자율 표시 장치로서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더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한 세트의 타일들 내에서 동작할 수 있는 OLED 타일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시스템 아키텍처 복잡도(system architecture complexity)를 감소시키는 확장형 OLED 표시 장치 타일과, 설치 시에 자동적으로 OLED 타일을 결합시키고 설정하는 방법이 또한 필요하다. 끝으로, 분산 및 병렬 처리(distributed and parallel processing)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시스템 처리 요구사항들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확장형 OLED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예시적인 타일형 표시 장치가 발명의 명칭이 "Tiled electronic display structure"인 WO 99/41732호에 설명되어 있다. '732호의 특허 출원은, 타일들의 모서리를 따라 정의된 픽셀 위치들을 갖는 표시 장치 타일들로부터 형성된 타일형 표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각각의 픽셀 위치는, 픽셀 영역의 대략 25%를 점유하는 OLED 활성 영역을 갖는다. 각각의 타일은, 표시 장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타일상의 픽셀들에 대한 스캐닝과 조명(scanning and illumination)을 제어하는 픽셀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픽셀 구동 회로는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고, 타일 전면의 픽셀 전극들로의 접속은 활성 픽셀 재료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영역들 중 선택된 영역의 일부를 통과하는 비아들(vias)에 의해 이루어진다. 타일들은 전자 부분과 표시 부분의 2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들 부분 각각은, 여러 개의 픽셀 위치들을 피복하는 접속 패드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 패드는 오직 하나의 행 전극 또는 열 전극으로의 전기 접속을 형성한다. 표시 부분의 접속 패드들은 전자 부분의 대응하는 접속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완전한 타일을 형성한다. 각각의 타일은 타일의 전면에 유리 기판을 갖는다. 유리 기판의 전면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선들이 형성되며 타일들은 블랙 매트릭스선들(matrix lines)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멀리언들(mullions)에 의해 결합된다.
'732호의 특허 출원에 설명된 타일형 표시 장치가 타일들을 서로 접속하여 대형 표시 장치 시스템을 생성하는 수단을 제공하긴 하지만, '732 특허 출원은, 시스템 아키텍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확장형 OLED 표시 장치 타일을 제공하지 않으며 설치 시에 자동적으로 OLED 타일을 결합시키고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타일형 OLED 표시 장치는 중앙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계산들을 위해 높은 대역폭(high bandwidth)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 가능하며 전체적인 시스템 처리 요구사항들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발광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이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 아키텍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확장형 발광 표시 장치 타일뿐만 아니라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시에 자동적으로 발광 타일, 예컨대 OLED 타일을 결합시키고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1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타일형 발광, 예컨대 OLED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일형 발광,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는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복수의 OLED 타일 어셈블리, 및 표시될 이미지에 대해 실시간 계산들을 수행하는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수단은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을 통해 분산되는 분산 처리 수단이므로,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는 실시간 계산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의 서로 다른 부분을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에 표시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비감축 데이터 신호(non-reduced data signal), 즉 픽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비감축 데이터 신호를 발광 표시 장치 내의 상기 타일 어셈블리의 위치와 연관된 패킷들로 파싱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적으로 공간적으로 확장 가능한 비트 스트림(image-wise spatially scalable bit stream)인 완전 데이터 신호(complete data signal)가 타일형 표시 장치의 모든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에게 전달된다. 타일 어셈블리에는 확장형 비트 스트림의 일부를 선택하는 수단, 예컨대 비트 스트림을 절단(truncate)하는 절단 수단 및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에 표시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고, 예컨대 타일 어셈블리에 존재하는 프로세서가, 예컨대 비트 스트림의 절단과 같은 단순한 동작에 의해 타일 어셈블리에 표시하는데 필요한 비트 스트림 내의 데이터 일부를 실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다.
타일은 자신의 동작 특성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일들은 설치 시에 서로 결합/통신하여 통합 표시 장치를 형성한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렬 접속에서 인접하지 않는 표시 장치 내의 임의의 타일 어셈블리들 간에는 어떠한 상호 간의 통신도 발생하지 않고, 직렬적으로 접속된 두 개의 모든 타일 어셈블리들 간에 이러한 통신이 발생한다. 타일들은 분산 처리 수단에 액세스하기 위한 전기 접속들을 갖는다.
타일형 발광,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는,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서의 필요에 따라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분산 처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해, 고급 스케일링 알고리즘(high-level scaling algorithm)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급 스케일링 알고리즘은 100% 정확한 스케일링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의 분산 처리 수단은 병렬로 동작하는 처리 소자들을 포함한다.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는, 임의의 적합한 접속 토폴로지, 예컨대 피드-앤-드롭 라인(feed-and-drop line), 멀티 라인 접속, 데이지 체인 접속(daisy chain connection) 또는 스타 접속(star connection)을 통해, 다른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입력 및/또는 데이터 출력 접속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에는, 피드-앤-드롭 라인, 멀티 라인 접속, 데이지 체인 접속 또는 스타 접속 중 임의의 하나를 통해 다른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이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입력 및/또는 전력 출력 접속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인 전력 접속이 존재할 수 있다.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에는, 전력 및 데이터 전송 모두를 결합할 수 있는 단일 커넥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에는 설정 데이터(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기 위한 국부 메모리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 수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표시 장치는 또한 다른 타일들이 계속해서 작동하고 있는 동안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이 수리될 수 있도록, 즉 타일들이 핫-스왑(hot-swap) 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들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예컨대 타일 내의 컨트롤러 또는 전원이 교체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타일들이 자신의 동작을 중단할 필요 없이, 타일의 내부 부품들이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는, 예컨대 타일들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비감축 데이터 신호(픽셀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동일한 데이터 신호가 표시 장치 내에 존재하는 타일들의 개수와 무관하게 모든 타일들에 송신되기 때문에,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에서의 타일들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타일들은 셋업 동안의 한 번의 초기화를 통해, 표시에 필요한 비트 스트림의 데이터의 일부를 얻을 수 있다.
제2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된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컨텐트 및 통신 데이터를 조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할당하는 단계, 표시될 이미지의 어느 부분을 표시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좌표들을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 표시 장치에 분배하는 단계,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대해,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국부적인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국부적인 분산 처리 수단에서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의 해상도를 설정함으로써,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게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전에,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 내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화면 휘도를 일치시키고/일치시키거나 개별적인 픽셀 비균일성(non-uniformity)을 보정하기 위해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을 교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전에,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를 기계적으로 어셈블링하고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어셈블링 단계는,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로부터 다른 장치로의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위한 피드-앤-드롭 라인, 데이지 체인 접속, 멀티 라인 접속 또는 스타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를 기계적으로 교체하는 단계, 컨텐트 및 통신 데이터를 조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할당하는 단계, 표시될 이미지의 어느 부분을 표시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좌표들을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 표시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 각각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국부적인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에 국부적인 분산 처리 수단에서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의 해상도를 설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표시 장치 타일이 타일형 표시 장치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하고, 제거된 타일이 표시했던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거된 타일에 의해 표시되었던 이미지의 일부를 새로운 타일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전체적인 화면 휘도를 일치시키고/일치시키거나 개별적인 픽셀 비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전에 타일들의 개수 또는 배열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들의 개수 또는 배열이 변경되었다면, 상기 방법은 상술한 설정 방법들에 따라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표시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를 기계적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를 통한 데이터 및/또는 전력에 대해, 상이한 발광 표시 장치,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의 접속이 복구된다.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소정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직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한정될 뿐이다. 설명된 도면들은 개략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도면들에서, 일부 소자들의 크기는 과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설명을 위해 일정한 척도에 따라 그려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OLED 표시 장치, 특히 OLED 타일형 표시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OLED 표시 장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발광 표시 장치들, 특히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들(tiled emissive displays)에도 사용될 수 있다. 발광 표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발광 픽셀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픽셀 소자 또는 픽셀 소자들의 그룹은 임의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어드레스싱(addressing)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CRT 표시 장치와의 구별을 위해 흔히 고정 포맷 표시 장치(fixed format displays)라고 한다. "고정 포맷"이란 용어는, 고정된 위치의 어드레싱 가능한 픽셀 소자들이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고정 포맷은, 표시 장치들이 확장(scalable)화, 예컨대 타일화(tiled)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적당한 발광 표시 장치로는 LED 표시 장치, EL 표시 장치와 같은 전자 발광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OLED 표시 장치를 참조하지만, 이러한 참조는 임의의 발광 표시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타일형 대형 스크린 표시 장치 응용에 사용하기 위한 설정 가능한 OLED 표시 장치 타일 및 관련 방법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 장치 타일은 자율 표시 장치(autonomous display)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한 세트의 OLED 표시 장치 타일들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셀 어레이들의 어셈블리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이들은 타일형 표시 장치들일 수 있으며, 자체가 슈퍼 모듈들(supermodules)로 타일화되는 타일형 어레이들로 이루어진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라는 단어는 어레이 또는 어레이들의 그룹들의 한 세트의 어드레싱 가능한 픽셀들과 관련된다. 여러 개의 표시 장치 유닛들 또는 타일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보다 큰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데, 즉 다수의 표시 장치 소자들이 하나의 이미지로 보여질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 타일 또는 OLED 타일 어셈블리의 물리적 하드웨어 구현물, 및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의 k ×l 어레이에 의해 형성되는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 아키텍처는, 표시 장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덜 복잡하게 하는 분산 처리를 제공함으로써, 중앙 프로세서에 의한 높은 대역폭의 계산들을 불필요로하게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가시면의 사시도이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자율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거나, 또는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한 세트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정밀 프레임(precision frame; 110), 복수의 마스크(112), 외장(enclosure; 114), 복수의 위치 설정 판들과 핀들(116)(예를 들어, 위치 설정 판과 핀(116a), 위치 설정 판과 핀(116b), 위치 설정 판과 핀(116c), 및 위치 설정 판과 핀(116d)) 및 정밀 프레임(110) 내에 배치된 복수의 클램프 소자들(118)(예를 들어, 정렬 탭(118a) 및 정렬 탭(118b))을 포함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비가시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모두 정밀 프레임(11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설정 판들과 홀들(120)(예를 들어, 위치 설정 판과 홀(120a), 위치 설정 판과 홀(120b)), 및 복수의 정렬 슬롯들(122)(예를 들어, 정렬 슬롯(122a))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114) 내에는, 공기 주입구(124), 제1 공기 배출구(126), 제2 공기 배출구(128),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 전력 입력 커넥터(134), 및 전력 출력 커넥터(13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에서,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면인 전면으로부터 후면의 순으로, 각각이 마스크(112), 기판(140), OLED 보드(142), 선택적인 다량의 하부 충전재(underfill material; 144), 냉각 블록(146), 다량의 포팅재(potting material; 148) 및 원형 편광자(150)를 더 포함하는 OLED 모듈 어셈블리들의 어레이(138), 복수의 커넥터들(152), 정밀 프레임(110), 제어 보드(154), 어셈블리 브라켓(assembly bracket; 156), 어셈블리 브라켓(156) 상에 탑재되는 전원(P/S; 158)과 복수의 냉각 팬들(160), P/S(158)용 절연 시트(162) 및 외장(114)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어레이에 따라 크기가 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예에서는, OLED 모듈 어셈블리들의 3 ×3 어레이(138)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OLED 타일 어셈블리(100)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및 그 소자들의 물리적 크기는, 선택 가능한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n ×m 어레이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소자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정밀 프레임(110)은 그 위와 내부에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다른 모든 소자들이 탑재되는 근본적인 기계적 구조로서 기능한다. 정밀 프레임(110)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구조를 지지하는, 금속 합금과 같은 적절하게 강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된다. 정밀 프레임(110)은, 정밀 프레임(110) 내에 수납되는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소정의 어레이 구성에 따라 크기가 정해진다. 정밀 프레임(110)의 제1 변에는 제1 위치 설정 판과 핀(116a), 및 제2 위치 설정 판과 핀(116b)이 탑재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1 정렬 탭(118a)이 배치된다. 정밀 프레임(110)의 (제1 변에 인접한) 제2 변에는 제3 위치 설정 판과 핀, 및 제4 위치 설정 판과 핀이 탑재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2 정렬 탭이 배치된다. 그러나, 도 1c의 사시도에서는 이들을 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정밀 프레임(110)의 제3 변에는 제1 위치 설정 판과 홀(120a) 및 제2 위치 설정 판과 홀(120b)이 탑재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1 정렬 슬롯(122a)이 배치된다. 정밀 프레임(110)의 (제3 변에 인접하며 도 1c에서는 볼 수 없는) 제4 변에는 제3 위치 설정 판과 홀 및 제4 위치 설정 판과 홀이 탑재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2 정렬 슬롯이 배치된다.
또한, 외장(114)은 2개의 분리된 부분들, 즉, 공기 주입구와 배출구들을 갖는 하나의 부분 및 데이터와 전력 입/출력 커넥터들을 갖는 다른 하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타일에서의 정확한 내부 배치와 더불어,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들을 차단하지 않고, 예컨대 타일에서의 컨트롤러 또는 전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수리되어야 할 타일의 내부 부품들이 교체될 때, 다른 모든 타일들은 계속해서 동작한다. 표시 장치의 이러한 특징은 "핫 스왑 능력(hot swap capability)"이라 한다. 핫 스왑 능력은 도면들 어디에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위치 설정 판들과 핀들(116), 클램프 소자들(118), 위치 설정 판들과 홀들(120), 및 정렬 슬롯들(122)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된다. 위치 설정 판들과 핀들(116), 클램프 소자들(118), 위치 설정 판들과 홀들(120) 및 정렬 슬롯들(122)은, 복수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이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k ×l 어레이로 어셈블링될 때 사용하기 위한 정렬 및 잠금 메커니즘들(alignment and locking mechanisms)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위치 설정 판들과 핀들(116) 및 클램프 소자들(118)은 정렬되어, 인접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위치 설정 판들과 홀들(120) 및 정렬 슬롯들(122)에 각각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각각의 마스크(112)는 각각의 개별적인 OLED 모듈 어셈블리(133)의 가시면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며 그 가시면 상에 배치된다. 총체적으로, 마스크들(112)은 어셈블링될 때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기판들(140) 간의 심(seam)을 숨기는데 사용된다. 또한, 마스크들(122)은 더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k ×l 어레이 내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 간의 심(seam)을 숨기는데도 사용된다. 각각의 마스크(112)는 어두운 선들의 격자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소자들 간의 물리적 간격들은 다른 선들 사이로 사라지기 때문에 보이지 않게 된다. 마스크에서의 어두운 선들의 피치는 보통 픽셀 피치 또는 픽셀 피치의 배수와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마스크(112)에 대한 추가적 세부사항들이 설명된다.
외장(114)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비가시면의 구조를 형성한다. 외장(114)은, 경금속 합금(light metal alloy)과 같은 적절하게 강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되며, 정밀 프레임(110)의 한쪽 면에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외장(114) 내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구(124), 제1 공기 배출구(126) 및 제2 공기 배출구(128)가 배치된다. 공기 주입구(124), 제1 공기 배출구(126) 및 제2 공기 배출구(128)는, 철 또는 알루미늄 격자와 같은 공기가 투과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형성된다. 공기 주입구(124)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를 냉각시키기 위한,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의 주변 공기 흡입구로서 기능한다. 이에 비해, 제1 공기 배출구(126) 및 제2 공기 배출구(128)는 동작 중에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의해 생성된 따뜻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 안팎으로의 공기 이동은 냉각 팬들(160)의 동작에 기인한다. 도 2를 참조하여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기류에 대한 추가적 세부사항들이 설명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114) 내에는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 전력 입력 커넥터(134) 및 전력 출력 커넥터(136)가 배치된다.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및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는, MOLEX, DVI-디지털 74320-3004와 같은 종래의 신호 커넥터들이다.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표시될 현재의 비디오 프레임 정보의 픽셀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들, 예컨대 직렬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도시되지 않은) 일반적인 프로세서로부터 직렬 제어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 비감축 데이터 신호(non-reduced data signals)일 수 있는데, 감축 데이터 신호(reduced data signal)는, 추가적인 처리 없이는, 예컨대 데이터의 벡터 표현이나 임의의 가능한 압축 방법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와 같은, 도시될 데이터의 비트맵 (픽셀 정보)을 직접 제공하지 않는 모든 데이터 신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타일들에게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들은 이미지 적으로 공간적으로 확장 가능한 비트 스트림(image-wise spatially scalable bit stream) 형태이다. 이 비트 스트림은 서로 다른 타일들에 의해 표시될 픽셀 데이터를 포함한다. 타일이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실시간 선택은, 예컨대 절단(truncation)과 같은 단순한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타일이 표시를 하는데 비디오 데이터 신호의 어느 부분이 필요한지를 알기 위해서 어떠한 제어 데이터도 비디오 데이터 신호에 추가될 필요가 없다. 즉, 비디오 데이터 신호는 오직 픽셀 정보만을 포함한다. 이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와 다른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 신호, 예컨대 그 다음의 x개의 비트들이 타일 번호 y에게 지정됨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데이터 신호의 비트 스트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타일이 표시를 위해 데이터 스트림의 어느 부분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는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의 분산 처리 유닛들에 제공된다. 완전한 비트 스트림(complete bit stream)이 각각의 타일의 분산 프로세서에 제공되고, 타일들에 대한 비트 스트림들의 분리에 관한 제어 신호는 초기화 과정 동안 타일들에게 송신되기 때문에, 타일들은 제어 신호나 데이터 교환과 관련하여 다른 타일들과 어떠한 통신도 할 필요 없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타일들 간의 어떠한 데이터 교환도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분산 처리 수단에서의 신호 처리를 위해 보다 많은 자원이 가용하게 된다.
ΨD= [1,...,i,...,δ1]x[1,...,j,...,δ2]를 크기가 δ12인 2차원 이산 공간이라고 하자. 디지털 이미지 I(또는 짧은 이미지)는 ΨD->D(I)을 적용한 것인데, 여기서 D(I)는 2차원 이산 공간에 대해, 스칼라 필드 δ(x), x∈R2를 샘플링하여 얻어지는 이미지의 값 도메인이다. 일반적으로, 흑색 및 백색 이미지(이진 이미지라고도 함)에 대해서는 D(I)={0,1}이고, 8 비트 계조 레벨 이미지에 대해서는 D(I)=[0,...,255]이며, 24 비트 컬러 이미지에 대해서는 D(I)=[0,...,255]x[0,...,255]x[0,...,255]이다. 픽셀 P는 ΨD의 원소이고, 이미지 I 내의 픽셀 P의 값은 I(P)로 정의된다. 픽셀 P는 자신의 두 개의 좌표 (i,j)∈ΨD에 의해 이미지 내에서 식별된다.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는 픽셀들 Pi,j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픽셀은 값 I(Pi,j)를 갖는다. 타일들에 대해 분산되는 비트 스트림은 표시될 이미지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비트 스트림은 각각 이미지 내의 픽셀 값을 나타내는 비트들의 접합(concatenation)으로 이루어진다. 비트 스트림의 부분은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기 위해 타일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에 매핑될 수 있다. 이는, 표시될 이미지의 개별적인 필드들에 관한 정보, 이를 테면 서로 다른 타일들에 표시될 이미지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가 비트 스트림 정보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 정보는 블록들에 존재할 수도 있는데, 하나의 블록의 데이터는 다른 블록에 관한 데이터 뒤의 비트 스트림에 직렬적으로 존재하며, 이 데이터는 상기 다른 타일에 표시될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뒤의 비트 스트림에 직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상기 타일 상에 표시될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서로 다른 블록들의 정보는 비트 스트림에서 분산되거나 서로 혼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9-타일 표시 장치에 대해, 매 9번째 비트는 타일들 중 첫 번째 타일의 픽셀에 관한 계조(grey scale) 정보일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이 타일의 프로세서에 도달한 경우, 수신 프로세서는 초기화 또는 셋업 과정을 통하여, 타일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는데 비트 스트림의 어느 부분이 필요한지, 예컨대 비트 스트림에서 매 몇 번째 픽셀에 관한 데이터가 필요하지, 또는 몇 번째 블록의 데이터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고 있다. 비트 스트림은 확장형 비트 스트림이기 때문에, 프로세서는 확장형 비트 스트림을 절단함으로써, 즉 필요하지 않은 정보, 즉 관련 윈도우에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를 버림으로써, 자신이 필요한 비트들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비트 스트림을 재조직할 필요가 없으며, 픽셀 데이터를 계산할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의 이미지의 선택은 실시간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인접하지 않는 많은 수의 타일들 간의 상호 데이터 교환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계산 능력에 관한 한 시스템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비트 스트림 내의 정보는 항상 동일한 소정의 포맷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정보는 800 ×600 픽셀들의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이것은 발광 표시 장치의 포맷, 즉 발광 표시 장치에서의 타일들의 개수와 각각의 타일 내의 픽셀들의 개수와 무관하다. 각각의 타일 상의 분산 처리 수단은,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비트 스트림의 필요한 부분을 선택한 후, 데이터 신호 비트 스트림의 소정의 포맷에 대한 표시 장치의 포맷에 따라 이미지 확대나 이미지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발광 표시 장치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벽(wall)의 포맷과 상관없이, 일정하거나 고정된 비트율이 각각의 타일의 입력부에 공급된다. 주어진 에에서, 비트율은, 예컨대 800x600x50 Hz이다. 다른 가능한 비트율은, 예컨대 30 Hz에서의 1024x768 또는 60 Hz에서의 1600x400이다. 현재 사용가능한 최대 비트율은 32 MHz이다. 일정한 비트율을 사용함으로써, 비트율의 타이밍을 위해 셋업 또는 초기화 과정 동안 어떠한 세팅도 행해질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은 처리 칩(processing chip)에 대한 입력이 일정한 클록 신호가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입력 프로세서의 설계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EMI 방사와 관련하여 최적화된 필터가 제공될 수 있는 반면, 가변 비트율의 경우에는 구현하기 더 어렵고 대개 덜 효율적인 가변 EMI 필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정한 비트율로 인해, 표시될 이미지의 종횡비(aspect ratio)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800 ×600의 비트율은 8000 ×60 픽셀의 이미지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예컨대 800 ×600 픽셀의 이미지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분산 프로세서들에서 이미지 확대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면, 예컨대 모든 픽셀이 한번 반복되거나, 또는 모든 두 개의 인접하는 픽셀 값들 사이의 중간 픽셀 값이 계산될 수도 있다. 후자와 같이 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윈도우 경계에 있는 픽셀들이나 윈도우 경계에 인접한 픽셀들로부터의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타일에 표시될 데이터의 부분에 실제로 대응하는 것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부분의 비트 스트림을 판독함으로써, 그 타일에 표시될 이미지의 윈도우 경계들을 점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가능하다면,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후속적으로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를 통해 그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 신호들을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다음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 재전송한다. 전력 입력 커넥터(134) 및 전력 출력 커넥터(136)는, 전력 입력 커넥터 IEC60320-C14 또는 전력 출력 커넥터 IEC60320-C13과 같이, 예컨대 265 AC 볼트 및 10 A까지 처리할 수 있는 종래의 전력 커넥터들이다. 전력 입력 커넥터(134)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의 AC 입력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적절한 경우,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후속적으로 전력 출력 커넥터(136)를 통해 이 AC 전력을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다음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 전송한다. 전력 입력 커넥터(134)로부터의 AC 전압은 직접적으로 전력 출력 커넥터(136)에 전달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타일형 OLED 표시 장치 내에서의 신호 및 전력 분배에 관한 분배 방법들의 실례를 찾아볼 수 있다. 소형화(compactness)를 위해, 데이터 및 전력 접속들이 하나의 커넥터 블록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타일은 직렬 접속을 구비하는데, 이 직렬 접속에서 인접하지 않는 타일들 간에는 상호 통신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스크(112), 기판(140), OLED 보드(142), 선택적인 하부 충전재(144), 냉각 블록(146), 포팅재(148) 및 원형 편광자(150)를 포함하는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는, 관련 구동 회로를 구비한 공통 양극의 수동 매트릭스 OLED 어레이(common-anode, passive-matrix OLED array)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다. 공통 양극 구성에서, 전류원은 OLED 장치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음극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열되는 반면, OLED 장치들의 양극들은 양의 전원에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전류 및 전압은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고, 작은 전압 변동은 전류 변동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전압 변동으로 인한 광출력 변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그 소자들을 설명한다.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기판(140)은, 예컨대 유리와 같은 비도전성 투명 물질로 형성된다. 기판(140) 상에는 복수의 어드레싱 가능한 개별 OLED 장치들 또는 픽셀들로 형성된 픽셀 어레이가 배치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그래픽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OLED 장치들이 통상적으로 행과 열로 논리적으로 배열되어 OLED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행과 열로 논리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은, 실제 표시 장치가 직교 좌표들(Cartesian co-ordinates)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극 좌표계와 같은 다른 좌표계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든 이들 시스템에는 원의 호 및 반지름과 같은 행과 열의 등가물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들이 물리적으로 행과 열의 방식으로 정렬되지 않더라도, 이들은 행과 열로 논리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기판(140)은, 각각 OLED 픽셀들의 행의 양극들 및 OLED 픽셀들의 열의 음극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 및 음극선들과의 전기적 콘택트(contacts)을 더 포함한다.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OLED 보드(142)는 세라믹, FR4 또는 FR5와 같은 재료, 즉 다양한 처리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서브트랙티브 PCB(subtractive printed circuit board)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유리 적층체로 형성된 종래의 PCB이다. PCB상에는 구동 회로 장치들이 탑재된다. 도 6을 참조하여, OLED 보드(142)의 기능 블록도를 설명한다. OLED 보드(142)는 기판(140) 상의 픽셀 어레이와의 전기 신호 및 전력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선을 포함한다. OLED 보드(142)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주지의 솔더 범프 기술(solder bump technology)을 통해, 기판(140)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한 세트의 카운터 콘택트들(counter contacts)을 더 포함한다. 정렬 절차를 통해, 기판(140)은 준비된 OLED 보드(142)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기판(140) 및 OLED 보드(142)가 이어서 오븐(oven)에 넣어져, 솔더가 융해되고 기판(140)과 OLED 보드(142) 간에 솔더 접합(solder joint)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부 충전재(144)가 OLED 모듈 어셈블리(138)에 사용되는데, 하부 충전재(144)는 기판(140)과 OLED 보드(142) 사이에 삽입된 액체 에폭시 재료와 같은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이며 열 도전성인 재료이다. 하부 충전재(144)는, 기판(140)과 OLED 보드(142)가 솔더 접합들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난 후, 액체로서 가해질 수 있다. 하부 충전재(144)는, 이들 솔더 접합들 사이의 공기 공극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기판(140)과 OLED 보드(142) 간의 열 전달을 증가시켜 냉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액체로서 도포된 후, 하부 충전재(144)가 경화됨으로써, 고체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충전재(144)의 존재로 인해, 솔더 접합들 상의 열 응력(thermal stresses)이 기판(140), OLED 보드(142), 하부 충전재(144) 및 솔더 사이에서 재분배됨으로써, 피로를 완화시켜 솔더 접합들의 수명이 증가된다. 하부 충전재(144)가 존재함으로써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성능이 향상되지만, 하부 충전재(144)는 선택적이므로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구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냉각 블록(146)은 포팅재(148)를 통해 OLED 보드(142)에 열적으로 결합된 알루미늄과 같은 열 도전성 물질로 된 종래의 방열 장치(heat sink device)이다. 포팅재(148)는 경화제 HD 3561과 결합된 Loctite 제품 Hysol EE1087과 같은 열 도전성 물질이다. 포팅재(148)는 열 전달과 그에 따른 그들 간의 냉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OLED 보드(142)와 냉각 블록(146) 사이에 주입된다. 포팅재(148)는 액체로서 주입된 후, 경화되어 고체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 블록(146) 및 포팅재(148)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을 찾아 볼 수 있다.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원형 편광자(150)는 기판(140)과 마스크(112) 사이에 탑재된다. 원형 편광자(150)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물질로 형성된 주지의 광학 장치이다. 원형 편광자(150)는, (좌측 또는 우측의) 한 가지 타입의 원형 편광은 대부분 감쇠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하면서, (우측 또는 좌측의) 다른 원형 편광은 흡수하는 흡수 편광자이다. 원형 편광자(150)는 기판(140)에서의 주변광 반사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주변광은 비편광 상태이므로, 그것의 일부는 원형 편광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흡수되고 나머지 부분은 원형 편광자(150)에 의해 좌측(또는 우측) 원형 편광광으로 변환된다. 이렇게 전송된 좌측(또는 우측) 원형 편광광은 기판(140)에 반사되어 우측(또는 좌측) 원형 편광광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우측(좌측) 원형 편광광이 원형 편광자(150)에 의해 흡수된다. 원형 편광자(150)는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킨다. 흡수 원형 편광자(150)의 일례로는 Nitto Denko 모델 SEG1425DU+NRF GF01A를 들 수 있다.
커넥터들(152)은 제어 보드(154)로부터의 신호들 및 전력을 복수의 OLED 보드(142)에 전달하는 표준 커넥터들이다.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당 하나의 커넥터(152)가 존재한다. 커넥터들(152)은 냉각 블록들(146)의 두께를 고려하여 OLED 보드들(142)과 제어 보드(154) 사이의 거리에 미치도록 치수가 정해져야 한다. 그와 같이 하는 경우, 정밀 프레임(110)과 냉각 블록들(146) 내에 커넥터들(152)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 홀들(clearance holes)이 제공된다. 커넥터(152)의 일례로는 BergStak Connector의 제품 번호 61082-06YABC를 들 수 있다.
제어 보드(154)는 세라믹 또는 FR4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종래의 PCB로서, 그 위에는 n ×m 어레이의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을 조작하는데 필요한 국부적인 처리 및 제어 장치들이 탑재된다. 일반적으로, 제어 보드(154)는, 입력 신호의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감마 조정(gamma adjustment), 스펙트럼 카메라와 색상계(colour meter)를 이용해 제조 시에 수행된 측정치들에 따른 색상 및 광 교정, 및 이미지 스케일링 알고리즘과 같은 선행 처리 작업들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어 보드(154)의 기능 블록도를 설명한다.
어셈블리 브라켓(156)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제어 보드(154), P/S(158) 및 냉각 팬들(160) 모두를 지지하는 기계적 구조물이다. 어셈블리 브라켓(156)은, 강철과 같은 적절하게 강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된다.
P/S(158)는, (도시되지 않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AC-DC 변환기 및 (도시되지 않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압 조정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전원이다. 전압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마다 조정된다. 170 내지 265V 사이의 AC 입력 전압이 전력 입력 커넥터(134)를 통해 P/S(158)에 공급된다(도 1b 참조). 최대 7A 전류에서의 5 내지 25V의 DC 출력 전압이 제어 보드(154) 및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에 제공된다. 또한, P/S(158)로부터의 DC 전력은 제어 보드(154)에 의한 수동적인 방식으로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에 전달된다.
냉각 팬들(160)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동작 온도를 10 내지 50℃로 유지하기 위해, 2 내지 5 cfm(cubic feet per minute) 부피율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종래의 DC 팬들이다. 냉각 팬(160)의 일례로는 Delta Electronics의 모델 BFB0505M을 들 수 있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에 탑재되는 냉각 팬들(160)의 개수는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n ×m 어레이 구성 및 관련 제어 보드(154)와 P/S(158)의 요구사항들에 의존한다. P/S(158)는 냉각 팬들(160)에 DC 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P/S(158)는 냉각 팬들(160)을 제어한다.
절연 시트(162)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에 대한 절연 시트이다. 절연 시트(162)는, 운모와 같은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b의 라인 A-A에 따라 자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기류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냉각 팬들(160)이 동작함으로써 공기가 공기 주입구(124)를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 흡입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후, 기류는 냉각 블록들(146)(도 3 참조)을 통과한 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배출구(126) 및 제2 공기 배출구(128)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 제어 보드(154) 및 P/S(158)의 능동 컴포넌트들에 의해 생성된 열이 제거된다.
도 3은 도 1c의 상세도 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OLED 보드(142)와 냉각 블록(146) 사이에 포팅재(148)를 주입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세도 A는, 냉각 블록(146)이 전형적인 방열 장치인 복수의 핀들(31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냉각 블록(146) 내에는, 액체 형태의 포팅재(148)를 주입하는 복수의 주입점(injection points; 312)이 포함된다. 냉각 블록(146)의 주변 테두리를 따라 포팅 캘리버(314;potting calibre)가 탑재되어 포팅재(148)를 함유하기 위한 틀로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상세도 A는 OLED 보드(142) 상에 탑재되는 복수의 컴포넌트들(316)을 나타낸다. 컴포넌트들(316)은, 예컨대, OLED 장치들 및 스위치들과 같이 동작 시에 열을 생성하는 능동 및/또는 수동의 전기 컴포넌트들이다. 주입 시에, 포팅재(148)는 냉각 블록(146)과 OLED 보드(142) 사이의 공극뿐만 아니라 컴포넌트들(316) 간의 공극들도 채움으로써, OLED 보드(142) 및 컴포넌트들(316)로부터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매체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를 갖는 단일 마스크(112)의 사시도이다. 마스크(112)는 그와 관련된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는 맞춤형 장치이다. 마스크(112)는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스크에 형성되는 격자 패턴은 그와 관련된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픽셀 피치에 의해 결정된다. 이 예에서, 마스크(112)의 격자는 24 ×32 픽셀 어레이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에서의 신호 분배에 대한 2가지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및 전력 분배의 멀티 라인 분배 방법을 나타낸다.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는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k ×l 어레이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3x3 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및 100j)을 포함하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를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그와 관련된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 전력 입력 커넥터(134) 및 전력 출력 커넥터(13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는 복수의 데이터 리클록커들(reclockers; 510), 예컨대 데이터 리클록커(510a), 데이터 리클록커(510b) 및 데이터 리클록커(510c)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신호 분배의 멀티 라인 분배 방법을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CPU로부터의 DATA IN 신호(505)는 데이터 리클록커(510a)의 입력에 공급된다. DATA IN 신호(505)는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다. 비디오 데이터는 이미지 적으로 공간적으로 확장가능한 비트 스트림 형태이다. 그 후, 데이터 리클록커(510a)는 이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를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뿐만 아니라 그 다음의 데이터 리클록커(510)로 재전송한다. 즉 주어진 예에서는 데이터 리클록커(510b)의 입력 및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로 재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리클록커(510b)는 수신된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리클록커(510c)의 입력 및 OLED 타일 어셈블리(100h)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리클록커(510c)는 수신된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를 OLED 타일 어셈블리(100j)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로 전송한다. 이런 식으로, DATA IN 신호(505)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한 행의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분배된다.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에서의 데이터 링크들은 양방향이므로, 데이터 리클록커들(510a, 510b 및 510c)을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하부에 배치하는 대신에, 상부에 배치하여 DATA IN 신호(505)를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a, 100b 및 100c)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들(13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양방향 링크들로 인해, DATA IN 신호(505)는 하나의 열의 종단에서 이웃한 열의 시작부로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행"과 "열"이라는 용어들은 상호 교환 가능하며, 이는 데이터 리클록커들이 DATA IN 신호(505)를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하나의 열의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분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후, DATA IN 신호(505)가 한 행의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공급되었다면,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동일한 열을 따라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그 다음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 전달되고, DATA IN 신호(505)가 한 열의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공급되었다면,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동일한 행을 따라 그 다음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 전달된다. 행에 대해 서로 다른 열의 타일들 간의 통신을 위해 어떠한 수단도 제공되지 않으며, 또한, 행에 대한 하나의 동일한 열의 인접하지 않은 타일들 간의 통신을 위한 수단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5a의 상황, 즉 DATA IN 신호(505)가 동일한 행을 따라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공급되는 경우를 부연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d)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g)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d)로 전달된 후, OLED 타일 어셈블리(100d)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a)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d)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a)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h)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e)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h)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e)로 전달된 후, OLED 타일 어셈블리(100e)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b)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e)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b)로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j)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f)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j)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f)로 전달된 후, OLED 타일 어셈블리(100f)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c)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f)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c)로 전달된다. 각각의 경우,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제어 보드(154)에 의해 재전송된다.
전력 분배의 멀티 라인 분배 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일한 열 또는 행을 따르는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다음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의 AC 전력 접속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주전원으로부터의 POWER INPUT 신호(520a)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로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에 공급된다. 그 후, AC 전력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의 전력 출력 커넥터(136)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d)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g)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d)로 전달된다. 그 후, AC 전력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d)의 전력 출력 커넥터(136)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a)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d)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a)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주전원으로부터의 POWER INPUT 신호(520b)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h)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로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h)에 공급된다. 그 후, AC 전력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h)의 전력 출력 커넥터(136)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e)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h)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e)로 전달된다. 그 후, AC 전력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e)의 전력 출력 커넥터(136)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b)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e)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b)로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도시되지 않은) 주전원으로부터의 POWER INPUT 신호(520c)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j)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로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j)에 공급된다. 그 후, AC 전력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j)의 전력 출력 커넥터(136)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f)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j)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f)로 전달된다. 그 후, AC 전력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f)의 전력 출력 커넥터(136)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c)의 전력 입력 커넥터(134)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f)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c)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입력 커넥터(134)로부터의 AC 입력 전압은 단순하게 전력 출력 커넥터(136)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통한 DATA IN 신호(505)의 분배와 마찬가지로, 전력 분배도 열 방향 또는 행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수행될 수 있다.
신호 분배를 위한 대체 분배 방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타 분배(star distribution)이다. 스타 분배라는 용어는 데이터 신호들 또는 전력의 분배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또는 그 반대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 분배 방법에서, 신호들은 데이터 리클록커(510)에 의해 여러 개의 중심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로 전달되며, 이들 각각은 또한 데이터 신호들을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에 대해 더 먼 거리에 있는 타일들에 각각 전달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OLED 타일 표시 장치(500)의 중심 어셈블리들(100)로부터 가장자리 어셈블리들(100)로, 또는 그 반대로, OLED 타일 어셈블리들 간에 확장형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분배가 수행되어,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이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중 자신의 부분을 획득한다. 바람직하다면, 가장자리 어셈블리들로부터 중심 어셈블리들로의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전달, 즉 가장자리 어셈블리들 중 일부에서 시작하여 표시 장치의 중심에서 또는 그 주변에서 끝나는 이웃 어셈블리들로의 전달을 수행하여, 모든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이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중 자신의 부분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전력 분배에 대해서도 이 방법의 분배, 즉 스타 분배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디오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및 전력의 제3 분배 방법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에 대한 데이지 체인(daisy-chain) 분배 방법을 나타낸다.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는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k ×l 어레이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3 ×3 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는,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및 100j)을 포함하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를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그와 관련된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 전력 입력 커넥터(134) 및 전력 출력 커넥터(13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 분배의 데이지 체인 분배 방법을 설명한다.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시되지 않은) CPU로부터의 DATA IN 신호(505)는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입력에 공급되는데, 즉 주어진 예에서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에 공급된다. 그 후,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다음의 인접하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g)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d)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g)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d)로 전달된 후, OLED 타일 어셈블리(100d)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a)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d)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a)로 전달된다. 그 후,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는 또한 OLED 타일 어셈블리(100a)의 데이터 출력 커넥터(132)와 OLED 타일 어셈블리(100b)의 데이터 입력 커넥터(130) 간의 전기 접속을 통해 OLED 타일 어셈블리(100a)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b)로 전달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는 후속적으로 OLED 타일 어셈블리(100b)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e)로, OLED 타일 어셈블리(100e)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h)로, OLED 타일 어셈블리(100h)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j)로, OLED 타일 어셈블리(100j)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f)로, 그리고 OLED 타일 어셈블리(100f)로부터 OLED 타일 어셈블리(100c)로 전달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전력 분배의 데이지 체인 방법은 하나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그 다음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로의 AC 전력 접속에 의해 달성된다.
후자의 방법은 비감축 비디오 및 제어 데이터의 병렬 분배를 허용하지 않더라도, 즉 비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분배가 이웃하는 타일로 후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상이한 OLED 타일 어셈블리들에 의한 병렬, 즉 동시 처리는 허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전력 및 데이터를 분배하는데 동일한 분배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데이터 및 전력 분배를 위해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중앙 시스템 컨트롤러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에서의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X 및 Y 구성, 즉, 어레이에서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다. 고급 소프트웨어는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를 고유하게 어드레싱한다. 셋업(setup) 시에,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체인에서의 고유 번호가 할당되며 그에 따라 화상 좌표들(picture co-ordinates)이 할당된다. 일단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설정이 셋업 시에 확립되면,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자신의 정보를 국부적으로 저장하므로 설정 프로세스(configuration process)가 전력의 각 사이클에 대해 반복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를 재설정하는 경우에만,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재할당하여 화상 좌표들을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서 사용하기 위한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은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n ×m 어레이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국부적인 처리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한다. 도 6은, 기판들(140), OLED 보드들(142) 및 제어 보드(154)의 조합에 걸친 활성 기능들의 물리적 분배를 그들의 전기적 상호 접속과 함께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기판(140a)이 OLED 어레이(612)를 더 포함하고, OLED 보드(142a)는 복수의 뱅크 스위치(613), 복수의 전류원(614), A/D 변환기(622), EEPROM(624) 및 온도 센서(628)를 더 포함하며, 제어 보드(154)는 타일 처리 유닛(610),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 CCD(constant current driver) 컨트롤러(618), 프리프로세서(pre-processor; 620) 및 모듈 인터페이스(626)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기판(140a) 및 OLED 보드(142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m 기판들(140) 중 하나 및 n ×m OLED 보드들(142) 중 하나를 나타낸다.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OLED 보드(142) 및 제어 보드(154)의 기능 블록들의 물리적인 구현은 주문형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장치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OLED 타일 어셈블리(100) 상에 표시될 현재의 비디오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 적으로 공간적으로 확장 가능한 비트 스트림, 예컨대 직렬 데이터 신호로서 입력되는, 예컨대 적(red), 녹(green), 청(blue) 데이터 신호 RGB DATA IN이 타일 처리 유닛(610)에 공급됨을 나타내고 있다. 그 후, 타일 처리 유닛(610)은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 RGB DATA IN을 버퍼링하고 타일 처리 유닛(610)의 출력 데이터 신호 RGB DATA OUT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타일들 상의 이미지들의 동기화는 비트 스트림 내의 동기화 신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가 도달하는 첫 번째 타일과 마지막 타일 간의 동기화에 있어서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32 MHz에서의 2~3의 클록 수(clock tick)보다 많지 않아 인간의 눈으로는 감지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시스템 레벨 컨트롤러(system-level controller)로서 기능하는 (도시되지 않은) 일반적인 프로세서,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CNTL DATA가 CNTL DATA 버스를 통해 타일 처리 유닛(610)에 공급된다. CNTL DATA 버스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색상 온도(colour temperature), 감마 및 이미징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이다. 그 후, 타일 처리 유닛(610)은 출력 제어 데이터 신호를 타일 처리 유닛(610)의 출력 CNTL DATA 버스에 공급하기 위해, CNTL DATA 버스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타일 처리 유닛(61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 RGB DATA IN 및 CNTL DATA 버스 상의 제어 데이터를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다음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재전송한다.
CNTL DATA 버스 상의 제어 데이터 신호로부터의 이미징 정보를 이용하여, 타일 처리 유닛(610)은 자율 표시 장치로서 사용되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대응하거나, 도 5a나 도 5b의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와 같은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 내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물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특정 프레임에 대해 직렬 데이터 신호 RGB DATA IN을 저장한다.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경우, 타일형 표시 장치(500)의 OLED 어레이와 연관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타일 처리 유닛(610)은 데이터 신호 RGB DATA IN을 수신한 후, 이 정보를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소정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위치와 연관된 특정 패킷들로 파싱한다.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타일 처리 유닛(610)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들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물리적인 일부에 속하는 직렬의 입력 데이터 신호 RGB DATA IN의 부분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한다. 그 후, 타일 처리 유닛(610)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물리적인 일부에 속하는 직렬 RGB 신호 RGB(X)를 프리프로세서(620)에 분배한다.
마찬가지로, 타일 처리 유닛(610)은 제어 데이터 버스 상의 제어 데이터CNTL DATA를 수신한 후, 이 정보를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소정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위치와 연관된 특정 제어 버스들로 파싱한다. 그 후, 타일 처리 유닛(610)은 색상 온도, 감마 및 이미징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신호 CONTROL(X)를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에 분배한다.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의 소자들은 전기적으로 다음과 같이 접속된다. 타일 처리 유닛(610)으로부터의 RGB 신호 RGB(X)는 프리프로세서(620)로 공급되고, 프리프로세서(620)의 제어 버스 출력 BANK CONTROL은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에 공급되며, 프리프로세서(620)의 제어 버스 출력 CCD CONTROL은 CCD 컨트롤러(618)에 공급되고,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의 제어 버스 출력 VOLED CONTROL은 OLED 어레이(612)의 행 라인들에 접속되어 있는 뱅크 스위치들(613)에 공급되며, CCD 컨트롤러(618)의 펄스 폭 변조 제어 버스 출력 PWM CONTROL은 MOSFET 스위치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종래의 능동 스위치 장치들을 통해 OLED 어레이(612)의 열 라인들에 접속되어 있는 전류원들(614)에 공급된다. OLED 어레이(612)의 버스 출력 ANALOG VOLTAGE는 A/D 변환기(622)에 공급되고, A/D 변환기(622)의 버스 출력 DIGITAL VOLTAGE는 모듈 인터페이스(626)에 공급되며, 온도 센서(628)의 버스 출력 TEMPERATURE DATA는 모듈 인터페이스(626)에 공급된다. 타일 처리 유닛(610)의 제어 버스 출력 CONTROL(X)도 모듈 인터페이스(626)에 공급된다. 또한, 입출력 버스 EEPROM I/O가 EEPROM(624)과 모듈 인터페이스(626) 사이에 존재하고, 입출력 버스 DATA I/O가 프리프로세서(620)와 모듈 인터페이스(626) 사이에 존재하며, 마지막으로 모듈 인터페이스(626)는 타일 처리 유닛(610)으로의 데이터 버스 MODULE DATA(X)를 구동한다. 온도, 노화 인자들(ageing factors) 및 다른 색상 보정 데이터와 같은 중요한 진단 정보는 데이터 버스 MODULE DATA(X)를 통해 타일 처리 유닛(6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의 소자들 및 그들의 기능들의 요약을 제공한다.
OLED 어레이(612)는 복수의 어드레싱 가능한 별개의 OLED 장치들, 즉 픽셀들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래픽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OLED 장치들이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행과 열로 논리적으로 배열되어 OLED 어레이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LED 어레이(612)는 공통 양극의 수동 매트릭스 OLED 어레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뱅크 스위치들(613)은 MOSFET 스위치들 또는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종래의 능동 스위치 장치들일 수 있다. 양의 전압원들을 OLED 어레이(612)의 행들에 접속하는 뱅크 스위치들(613)은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의 제어 버스 VOLED CONTROL에 의해 제어된다. 전류원들(614)은 통상적으로 5 내지 50mA 범위의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종래의 전류원들이다. 일정한 전류 장치들의 예로는 Toshiba TB62705(시프트 레지스터 및 래치 기능들을 갖는 8-비트의 상수 전류 LED 드라이버) 및 Silicon Touch ST2226A(LED 표시 장치를 위한 PWM-제어 상수 전류 드라이버)를 들 수 있다. 전류원들(614)을 OLED 어레이(612)의 열들에 접속하는 능동 스위치들은 CCD 컨트롤러(618)의 제어 버스 PWM CONTROL에 의해 제어된다. OLED 어레이(612)는 또한 ANALOG VOLTAGE 버스를 통해 음극 전압들의 피드백(feedback)도 제공한다. OLED 어레이(612)는 또한 버스 ANALOG VOLTAGE를 통해 각각의 전류원(614)을 통한 전압 값의 피드백도 제공한다.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는 소정의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뱅크 스위치의 활성 상태를 저장하는 일련의 래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적인 종래의 라인 어드레싱과 대조적으로, 랜덤 라인 어드레싱이 가능하다. 또한, 프리프로세서(620)는 프레임 동안 수신된 온도 및 전압 정보에 기초하여 OLED 픽셀들의 라인을 구동하는 양 전압(+VOLED)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기 위해, 프레임 당 1회 이상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 내에 저장된 값들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출력 동안의 온도가 상승하면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는 OLED 어레이(612) 내의 요청된 OLED 장치들에 대해 양 전압(+VOLED)을 인에이블하는 전압 판독 명령을 트리거할 수 있다.
CCD 컨트롤러(618)는 프리프로세서(620)로부터의 데이터를, OLED 어레이(612) 내의 OLED 장치들 또는 픽셀들에 가변 전류량들을 전달하는 전류원들(614)을 구동하기 위한 PWM 신호들, 즉 제어 버스 PWM CONTROL 상의 신호들로 변환한다. 제어 버스 PWM CONTROL 내의 각각의 펄스폭은 소정의 OLED 장치와 연관된 전류원(614)이 활성화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시간량을 나타낸다. 또한, CCD 컨트롤러(618)는 각각의 전류원(614)에, 통상적으로 5 내지 50mA 범위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전류량은 소정의 OLED 장치에 대한 휘도값(Y)으로부터 결정되는데, 휘도값은 프리프로세서(620)에서 계산된다.
프리프로세서(620)는 모듈 인터페이스(626)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국부 색상 보정, 노화 보정, 흑색 레벨, 및 감마 모델들((도시되지 않은) 내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또는 EEPROM(624)에 저장될 수 있는 보정 값들)을 생성한다. 프리프로세서(620)는 표시될 비디오의 현재 프레임을 기술하는 RGB 신호(RGB(X))의 RGB 데이터와 새롭게 생성된 색상 보정 알고리즘들을 조합하여 디지털 제어 신호들, 즉 각각 뱅크 스위치 컨트롤러(616) 및 CCD 컨트롤러(618)에 대한 BANK CONTROL 및 CCD CONTROL 버스들 상의 신호들을 생성한다. 이들 신호들은, 요구되는 해상도 및 색상 보정 레벨에서 원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어떤 광도와 색상 온도로 OLED 어레이(612) 내의 어떤 OLED 장치들을 조명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지시한다. 일반적으로, 광도(intensity) 또는 계조값(greyscale value)은 OLED 장치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류량에 의해 제어된다. 마찬가지로, 방출된 광의 색상 온도는 계조 색상값 및 원하는 색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각의 서브 픽셀의 상대적인 근접도(proximity)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밝은 오렌지 색상은 환하게 발광된 적색 서브 픽셀에 매우 근접하게 녹색 서브 픽셀을 조명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OLED 장치가 발광되는 휘도와 시간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A/D 변환기(622)는 버스 DIGITAL VOLTAGE를 통해 전압 정보를 모듈 인터페이스(626)에 다시 공급하기 위해, OLED 어레이(612)로부터의 아날로그 전압값들, 즉 버스 ANALOG VOLTAGE 상의 신호들을 사용한다.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를 통과하는 정확한 구동 전류량을 추가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정확한 노화 인자들 및 광 출력값들이 계산될 수 있도록,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를 통한 전압들(즉, 전원 전압-음극 전압들)이 모니터링된다. 프리프로세서(620)는 디지털 전압 보정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OLED 어레이(612) 내의 OLED 장치 각각에 대해 사전에 저장된 임계 전압 레벨을 A/D 변환기(622)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과 비교한다. 특정한 OLED 장치를 통하는 전압이 최대 임계 전압 미만이면, 색상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보정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압이 최대 임계 전압보다 크면, 전반적인 공급 전압에 대해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디지털 전압 보정은 OLED 어레이(612) 내의 특정 OLED 장치들에 대해 보다 세밀한 광 출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전압 보정을 제공하기에 보다 바람직하다.
EEPROM(624)은 진단 및 색상 보정 정보를 광범위하게 저장하는 임의 타입의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저장 매체(electronically erasable storage mediu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EPROM(624)은 Xicor 또는 Atmel 모델 24C16 또는 24C164일 수 있다. EEPROM(624)은 선행 비디오 프레임에 대해 사용된 가장 최근에 계산된 색상 보정값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에 대한 감마 보정, 노화 인자, 색상 좌표들 및 온도를 보유한다. 모든 공장 및 교정 설정들(factory and calibrtion settings) 또한 EEPROM(624)에 저장될 수 있다.
밝고 어두운 값들 모두에 대한 감마 곡선들(완전한 감마 곡선들 또는 저장 공간을 보존하기 위해 곡선들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은 시스템 레벨 컨트롤러의 시동 시에 타일 처리 유닛(610)으로부터의 제어 버스 CONTROL(X)를 통해 EEPROM(624)에 저장된다.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에 대한 색상 좌표들 또한 (x, y, Y)의 형태로 EEPROM(624)에 저장되는데, x 및 y는 1차 이미터들의 좌표들이고 Y는 휘도로 정의된다.
OLED 장치의 노화 인자는 총 ON 시간, 그 ON 시간 동안의 온도 및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를 통과하는 총 전류량에 기초하는 값이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정보도 언제든지 EEPROM(624)에 저장될 수 있다. EEPROM(624)으로의 통신은 입출력 버스 EEPROM I/O를 통해 달성된다. EEPROM(624) 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에 특유한 색상 보정 및 부가 정보를 국부적으로 저장하는 것의 이점은, 새로운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이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부가되거나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이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에서 재배열되는 경우,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동작에 관한 유용한 색상 보정, 노화 인자들 및 다른 세부 사항들도 이송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새로운 타일 처리 유닛(610)은 그 OLED 모듈 어셈블리(138)에 특유한 기존의 색상 보정 정보를 자신의 국부 EEPROM(624)으로부터 언제든지 판독할 수 있고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전반적인 제어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필요한 보정 정보를 상실하지 않으면서 OLED 타일들을 스위칭할 수 있다.
모듈 인터페이스(626)는 타일 처리 유닛(610)과 OLED 보드들(142) 내의 다른 모든 소자들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한다. 모듈 인터페이스(626)는 온도 센서(628)로부터의 현재 온도 데이터와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에 대한 EEPROM(624)으로부터의 현재 색상 좌표 정보(x,y,Y 형태의 3 자극값들(tri-stimulus values)), 노화 측정치들 및 실행 시간값들을 수집한다. 또한, 모듈 인터페이스(626)는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의 ON 시간 동안, A/D 변환기(622)로부터 디지털 전압값들을 수집한다. 또한, 모듈 인터페이스(626)는 타일 처리 유닛(610)으로부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타일 레벨 관점에서의) 색상 보정 수행 방법을 프리프로세서(620)에 지시하는 제어 데이터, 즉, 제어 버스 CONTROL(X) 상의 신호를 수신한다.
온도 센서(628)는,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내의 OLED 장치들의 온도를 판정하기 위해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내의 온도를 판독하는 종래의 감지 장치일 수 있다. 색상 보정을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온도 판독이 중요하다.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의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에 의해 야기되는 광 출력에 있어서의 변동을 보상하도록 전류가 조정될 수 있다. 온도 센서(628)로부터의 온도 정보는 데이터 버스 TEMPERATURE DATA를 통해 모듈 인터페이스(626)로 송신되어 처리된다. 온도 센서(628)의 일례로는 Analog Devices의 AD7416 장치를 들 수 있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내장된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뿐만 아니라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다른 부분들, 예컨대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전원 및, 예컨대 OLED 어레이(612) 후면에 방열기로서 제공된 추가적인 냉각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냉각 팬들이 동작함으로써 냉매, 예컨대 기류에 의해 냉각된다. 이들 냉각 팬들은 OLED 타일 어셈블리 내의 동작 온도를 10 내지 50℃ 사이로 유지하기 위해 2 내지 5 cfm(cubic feet per minute) 사이의 기류 부피율를 제공할 수 있는 종래의 DC 팬들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냉각 팬의 일례로는 Delta Electronics 모델 BFB0505M을 들 수 있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전원은 냉각 팬들에 DC 전력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OLED 타일 제어 시스템(600)의 전반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7은 하나의 제어 보드(154)가 n ×m의 OLED 보드들(142a 내지 142n) 및 기판들(140a 내지 140n)을 처리하도록 설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 보드(154)는 소정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에 대한 특정 n ×m의 구성에 따라 적합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보드(154)는 커넥터들(152a 내지 152n)을 통해 제어 버스 VOLED CONTROL, 제어 버스 PWM CONTROL, 버스 DIGITAL VOLTAGE, 데이터 버스 TEMPERATURE DATA 및 입/출력 버스 EEPROM I/O와 연관된 신호 팬 아웃(signal fanout)을 OLED 보드들(142a 내지 142n)에 각각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특징들 및 동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먼저, OLED 타일 어셈블리(100)를 하나의 표시 장치 유닛으로서 자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모두 중앙 제어 시스템의 제어 하에 있으며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와 같은 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한 세트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 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구현된다. 이러한 융통성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 수신된 모든 컨텐트(즉, 비디오) 및 통신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즉, 타일 처리 유닛(610)). 컨텐트는, 예컨대 24 비트 RGB 데이터(즉, 신호 RGB DATA IN)의 DVI 데이터 스트림을 통해 생성된다. 타일 처리 유닛(610)은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로의 컨텐트 데이터의 전달을 처리한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와 중앙 제어 시스템 간의 통신 링크는 표준 RS-485 프로토콜(즉, CNTL DATA 버스)을 통해 제공된다.
-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 어드레싱 시스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동일한 컨텐트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지만, 어드레싱 기법으로 인해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각각의 EEPROM(624)을 통해 국부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좌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어느 부분을 사용할 지를 디코딩하고 그 부분만을 표시한다.
- 프로그래밍 가능한 조정형 DC 출력(programmable regulated DC output)을 갖는 전원(즉, P/S;158).
- 확대, 축소, ON 시간 계산, 광 출력 계산, 수명 보정, 색상 보정, 선충전(pre-charge) 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픽셀들에 대한 실시간 계산들(이들 모두는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레벨에서 균일한 이미지를 달성하기 위한 것임)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즉, 타일 처리 유닛(610)).
- 냉각 시스템(즉, 도 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한 세트의 냉각 팬들(160) 및 냉각 블록들(146)을 포함한다.
- 타일 처리 유닛(610)이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로의 데이터의 전달을 처리하는 진단 시스템. 예를 들어, A/D 변환기(622)는 OLED 어레이(612) 내의 각각의 OLED 장치를 통하는 전압 임계치들(즉, 전원 전압-음극 전압들)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온도 센서(628)는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또는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자율적으로 또는 이와는 달리 한 세트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중요한 제1 태양은, 모든 스케일링 작업들을 수행하는 하나의 중앙 프로세서를 갖는 것이 아니라, 분산 처리가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서의 필요에 따라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중앙 프로세서가 4Kx4K 해상도 이미지를 처리하고 모든 이미지 스케일링 알고리즘들을 실행하는 대신에,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각각의 타일 처리 유닛(610)(단순한 비디오 프로세서)이, 100x100 픽셀들과 같은 작은 해상도 이미지를 처리한다. 또한, 각각의 개별적인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각각의 타일 처리 유닛(610)은 병렬로 동작함으로써, 매우 시간 효율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병렬 처리로 인해, 이미지 스케일링을 계산하는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대해 보다 많은 시간, 통상적으로 50 또는 60 Hz 시간 프레임이 허용된다. 따라서, 매우 고수준의 스케일링 알고리즘, 예컨대 쌍선형 또는 바이큐빅 보간(bilinear or bicubic interpolation)이 매우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전체적인 표시 장치 시스템에 부가 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선형 보간을 수행하는 대신에, 이러한 분산 처리 기술로 인해, 보다 저속의 100% 정확한 스케일링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중앙 프로세서를 통한 비분산 처리와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통한 분산 처리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예시적 계산은 다음과 같다.
중앙 프로세서를 통한 비분산 처리를 사용하는 실시간 ON 시간 계산
입력되는 활성 데이터를 50 Hz의 1600 ×1200 픽셀들로 가정한다.
픽셀 레이트(PixelRate) = 50*1600*1200 = 96 MHz (감소된 여백 신호로 인한 최소값)
실시간 ON 시간 계산을 위해, 모든 픽셀에 대해 [3 ×3]×[3 ×1]의 매트릭스 계산이 수행된다. 이러한 [3 ×3]×[3 ×1]은 3 ×3 = 9개의 곱 및 3 ×3 = 9개의 합을 요하므로, 총 18개의 산술 계산을 요한다.
모든 계산이 하나의 클록 사이클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하면, 96 MHz ×18 = 1.72 GHz의 계산 속도가 필요하다.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통한 분산 처리를 사용하는 실시간 ON 시간 계산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가 96 ×72 픽셀들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1600 ×1200 픽셀들의 화면은 (1600/96) × (1200/72) = 277개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50 Hz의 일 프레임에서 96 × 72 = 6912개 픽셀들을 처리해야 하므로, 6912 × 50 = 345 kHz의 처리 속도가 얻어진다.
매트릭스 곱을 고려하면, 345 kHz × 18 = 6.2 MHz의 계산 속도가 필요하다.
자율적으로 또는 이와는 달리 한 세트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중요한 제2 태양은, 비디오 스트림이 공지되기 때문에, 일단 이미지 스케일링이 계산되고 나면, 각각의 OLED에 대한 ON 시간이 소정의 OLED 모듈 어셈블리(100)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ON 시간은 EEPROM(624) 내에 국부적으로 저장된다. 이 ON 시간은 OLED 모듈 어셈블리(138)의 온도 측정치 및 OLED 자체의 전압 측정치와 결합하여 소정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내의 각각의 OLED에 대한 수명을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에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대한 100% 수명 보증을 잠재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는 국부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물리적인 하드웨어 구현 및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k ×l 어레이에 의해 형성된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아키텍처는, 분산 처리를 제공하여 덜 복잡한 표시 장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형성함으로써, 중앙 프로세서에 의한 높은 대역폭 계산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초기 어셈블리, 자동 설정 및 교정에 관한 방법(8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800)의 단계들 전체에 걸쳐 도 1a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상기 방법(8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810: 타일형 표시 장치 시스템의 어셈블링 및 활성화
이 단계에서는, 복수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이 k ×l 어레이로 기계적으로 어셈블링됨으로써,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와 같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가 형성된다. 데이터 신호 및 전력 분배 방법들의 예들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전력은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연속적으로 인가된다. 상기 방법(800)은 단계(812)로 진행한다.
단계 812: 체인 어드레스의 할당
이 단계에서, 중앙 프로세서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대한 존재 및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스위치들을 개폐함으로써,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존재를 검출한다.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식별 정보는, 예컨대 RS232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같은 식별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판독된다. 사용된 스위치들은, 예컨대 디지털 'AND' 기능들을 나타낸다. 이들은 데이터 리클록커들 내에 배치된다. 그 후, 중앙 프로세서는,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서 수신되는 컨텐트 및 통신 데이터(제어 신호들)를 조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게 할당한다. 제어 신호들은 중앙 프로세서부터 각각의 개별적인 타일들까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800)은 단계(814)로 진행한다.
단계 814: 화면 좌표의 할당
이 단계에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자신이 전체적인 화면의 어떤 부분을 표시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좌표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타일 처리 유닛(610)은 자신의 화면 좌표들을 사용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해상도로 자동적으로 스케일링한다. 상기 방법(800)은 단계(816)로 진행한다.
단계 816: 타일들의 설정
이 단계에서,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 내의 EEPROM(624)에 포함된 설정 데이터는 그와 연관된 타일 처리 유닛(610)에 의해 판독된다. 각각의 타일 처리 유닛(610)은 이 정보를 사용하여 그와 연관된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특성들에 따라 그와 관련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해상도를 설정한다. 상기 방법(800)은 단계(818)로 진행한다.
단계 818: OLED 모듈들의 교정
이 단계에서, 각각의 서브 픽셀의 휘도값(Y)을 적절한 값, 즉 원하는 색상 온도 및 휘도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가 교정된다. 교정 인자들은,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에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모든 픽셀이 전체적인 화면 휘도와 일치하고, 개별적인 픽셀 비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해 색상 보정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방법(800)은 단계(820)로 진행한다.
단계 820: 동작 모드로의 진입
이 단계에서,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타일 처리 유닛(610) 각각은 이제 중앙 프로세서로부터 정상 동작을 위한 전역적인 표시 장치 파라미터들을 수신함으로써,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방법(800)은 종료된다.
도 9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에서 하나 이상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교체, 추가 또는 제거하는 방법(9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900)의 단계들 전체에 걸쳐 도 1a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상기 방법(9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910: 타일들의 추가, 제거 또는 교체
이 단계에서는, 기존의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의 하나 이상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이 기계적으로 교체, 추가 또는 제거된다. 또한, 기존의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기존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은 원래의 것과는 상이한 크기의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를 형성하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900)은 단계(912)로 진행한다.
단계 912: 표시 장치 타일들의 검출
이 단계에서, 중앙 프로세서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존재 및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스위치들을 체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존재를 검출한다. 상기 방법(900)은 단계(914)로 진행한다.
단계 914: 표시 장치 재설정?
이 판정 단계에서, 중앙 프로세서는 단계(912)에서 검출된 OLED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타일들의 개수 및 배열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상기 방법(900)은 종료되고 방법(800)이 수행되며, 그렇지 않다면, 타일들은 교체되기만 하고 상기 방법(900)은 단계(916)로 진행한다.
단계 916: 체인 어드레스의 할당
이 단계에서, 중앙 프로세서는 교체 또는 재배치된 OLED 타일 어셈블리(100) 각각의 존재 및 위치를 검출하고, 각자에게 컨텐트 및 통신 데이터를 조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고유 체인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상기 방법(900)은 단계(918)로 진행한다.
단계 918: 화면 좌표들의 할당
이 단계에서, 각각의 교체 OLED 타일 어셈블리(100)는, 자신이 전체적인 화면의 어떤 부분을 표시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좌표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타일 처리 유닛(610)은 자신의 화면 좌표들을 사용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해상도로 자동적으로 스케일링한다. 상기 방법(900)은 단계(920)로 진행한다.
단계 920: 교체 타일들의 설정
이 단계에서는, 각각의 교체 OLED 타일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각각의 타일 처리 유닛(610)의 EEPROM(624)에 포함된 설정 데이터가 타일 처리 유닛(610)에 의해 판독된다. 각각의 타일 처리 유닛(610)은 이 정보를 사용하여 그와 연관된 OLED 모듈 어셈블리들(138)의 특성들에 따라 그와 연관된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해상도를 설정한다. 상기 방법(900)은 단계(922)로 진행한다.
단계 922: OLED 모듈들의 교정
이 단계에서, 각각의 서브 픽셀의 휘도값(Y)을 적절한 값, 즉 원하는 색상 온도, 원하는 휘도 레벨과 균일성 및 원하는 색상 균일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교체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각각의 OLED 모듈 어셈블리(138)가 교정된다. 교정 인자들은,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에서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 내의 모든 픽셀이 전체적인 화면 휘도와 일치하고, 개별적인 픽셀 비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해 색상 보정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방법(900)은 단계(924)로 진행한다.
단계 924: 동작 모드로의 진입
이 단계에서, 타일형 OLED 표시 장치(500) 내의 각각의 OLED 타일 어셈블리(100)의 타일 처리 유닛(610) 각각은 이제 중앙 프로세서로부터 정상 동작을 위한 전역적인 표시 장치 파라미터들을 수신함으로써,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방법(900)은 종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대 축소가 가능하며 전반적인 시스템 처리 요구사항들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발광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그에 관한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아키텍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확장형 발광 표시 장치 타일뿐만 아니라 그에 관한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설치 시에 발광 타일, 예컨대 OLED 타일을 연관시키고 설정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의 가시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의 비가시면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라인 A-A를 따르는 OLED 타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c의 상세도 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OLED 타일 어셈블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단일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OLED 표시 장치와 신호 및 전력 분배의 멀티 라인 방법의 개략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OLED 표시 장치와 신호 및 전력 분배의 데이지 체인 방법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어셈블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OLED 타일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타일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OLED 표시 장치의 초기 어셈블리, 자동 설정 및 교정에 관한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타일형 OLED 표시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OLED 타일 어셈블리들을 교체, 추가 또는 제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OLED 타일 어셈블리
110 : 정밀 프레임
112 : 마스크
114 : 외장
116 : 위치 설정 판과 핀
118 : 클램프 소자
120 : 위치 설정 판과 홀
122 : 정렬 슬롯
124 : 공기 주입구
126, 128 : 공기 배출구
130 : 데이터 입력 커넥터
132 : 데이터 출력 커넥터
134 : 전력 입력 커넥터
136 : 전력 출력 커넥터
138 : OLED 모듈 어셈블리들의 어레이
140 : 기판
142 : OLED 보드
144 : 하부 충전재
146 : 냉각 블록
148 : 포팅재
150 : 원형 편광자
152 : 커넥터
154 : 제어 보드
156 : 어셈블리 브라켓
158 : 전원
160 : 냉각 팬
162 : 절연 시트

Claims (26)

  1. 이미지 표시를 위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tiled emissive display; 500)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된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 및
    표시될 상기 이미지에 대해 실시간 계산들을 수행하는 처리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가 실시간 계산들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이미지의 상이한 부분을 처리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에 걸쳐 분산된 분산 처리 수단인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될 상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는 확장형 비트 스트림(scalable bit stream) 형태로 상기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에게 전송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는, 그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확장형 비트 스트림의 일부를 선택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비트 스트림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truncation means)을 포함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처리 수단은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서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해, 고급 스케일링(high-level scaling) 알고리즘이 사용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스케일링 알고리즘은 100% 정확한 스케일링 알고리즘인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상기 분산 처리 수단은 병렬로 동작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는, 멀티 라인 접속(multi-line connecton), 데이지 체인 접속(daisy chain connection) 또는 스타 접속(star connection)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다른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및/또는 데이터 출력 접속이 제공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는, 멀티 라인 접속, 데이지 체인 접속 또는 스타 접속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다른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다른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력 입력 및/또는 전력 출력 접속이 제공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는 전력 및 데이터 전송 모두를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는 설정 데이터(configuration data)를 저장하기 위한 국부 메모리 수단이 제공되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는, 다른 타일들이 작업을 계속하는 동안 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는 조정 가능한 크기를 갖는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15.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된 복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포함하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800)으로서,
    컨텐트 및 통신 데이터를 조종(steer)하데 사용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할당하는 단계(812);
    상기 이미지의 어느 부분을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가 나타낼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좌표들을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분배하는 단계(814); 및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대해,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국부적인 메모리 장치(624)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국부적인 분산 처리 수단(610)에서 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의 해상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설정하는 단계(816)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상기 할당 단계(812) 전에, 상기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내의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적인 화면 휘도를 일치시키고 및/또는 개별적인 픽셀 비균일성(pixel non-uniformity)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상기 할당 단계(812) 전에, 상기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를 기계적으로 어셈블링하고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으로 어셈블링하는 단계는,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 다른 어셈블리로의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위해, 각각의 데이지 체인 접속, 멀티 라인 접속 또는 스타 접속 중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를 교체하는 방법(900)에 있어서,
    상기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를 기계적으로 교체하는 단계(9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컨텐트 및 통신 데이터를 조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단계(916);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상기 이미지의 어느 부분을 표시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좌표들을 할당하는 단계(918); 및
    각각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국부적인 메모리 장치(624)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에 국부적인 분산 처리 수단(610)에서 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의 해상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를 설정하는 단계(920)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전체적인 화면 휘도를 일치시키고 및/또는 개별적인 픽셀 비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체된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들(100)을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전에, 타일들의 개수 또는 배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914)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들의 개수 또는 배열이 변경되었다면, 제15항 내지 제19항에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상기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를 기계적으로 교체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전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광 표시 장치 타일 어셈블리(100)로의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위해 분배 접속을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OLED 표시 장치인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500).
  26.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표시 장치는 OLED 표시 장치인 방법.
KR1020040110116A 2003-12-23 2004-12-22 설정 가능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KR20050065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3,966 US20050134526A1 (en) 2003-12-23 2003-12-23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US10/743,966 2003-12-23
EP03079177.6 2003-12-23
EP03079177A EP1548571A1 (en) 2003-12-23 2003-12-23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55A true KR20050065355A (ko) 2005-06-29

Family

ID=3479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116A KR20050065355A (ko) 2003-12-23 2004-12-22 설정 가능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182055A (ko)
KR (1) KR2005006535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36B1 (ko) * 2005-08-26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타일링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21944B1 (ko) * 2005-08-12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77018B1 (ko) * 2007-07-30 2007-11-16 (주)대륙아이티에스 전광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41900B1 (ko) * 2005-10-31 2008-06-27 엘이디라이텍(주) 엘이디 조명장치의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법
KR20100072192A (ko) * 2007-08-17 2010-06-3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케일 가능한 전력 분배기
US8581276B2 (en) 2009-12-02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98988B1 (ko) * 2013-09-26 2015-03-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막을 위한 콘텐츠 출력 패치 모듈
US10712992B2 (en) 2018-06-14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150856B2 (en) 2018-07-02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2718B2 (en) * 2009-04-30 2012-07-31 Global Oled Technology Llc Tiled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filled gaps
CN115662312B (zh) * 2022-11-16 2023-03-21 珠海市技师学院(珠海市高级技工学校) 一种跨境电商用数据实时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212B2 (ja) * 1991-11-19 1996-11-06 岡谷電機産業株式会社 表示盤の輝度調整方法
JPH07199861A (ja) * 1993-12-30 1995-08-04 Takiron Co Ltd ドットマトリクス発光ダイオード表示器の発光光度調整装置
JPH0916126A (ja) * 1995-06-29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ルカラーledパネル
JPH10171406A (ja) * 1996-12-10 1998-06-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情報表示装置
JPH10333631A (ja) * 1997-06-02 1998-12-18 Daichiyuu Denshi:Kk 拡張型表示装置および拡張型表示装置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JPH11126047A (ja) * 1997-10-21 1999-05-11 Nichia Chem Ind Ltd Led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0020042A (ja) * 1998-07-01 2000-01-21 Nec Corp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0276099A (ja) * 1999-03-23 2000-10-06 Toshiba Corp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2108286A (ja) * 2000-09-28 2002-04-10 Nichia Chem Ind Ltd 表示装置および駆動制御システム
US6999045B2 (en) * 2002-07-10 2006-02-1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ystem for tiled display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44B1 (ko) * 2005-08-12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66636B1 (ko) * 2005-08-26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타일링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841900B1 (ko) * 2005-10-31 2008-06-27 엘이디라이텍(주) 엘이디 조명장치의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법
KR100777018B1 (ko) * 2007-07-30 2007-11-16 (주)대륙아이티에스 전광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00072192A (ko) * 2007-08-17 2010-06-3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케일 가능한 전력 분배기
US8581276B2 (en) 2009-12-02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98988B1 (ko) * 2013-09-26 2015-03-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막을 위한 콘텐츠 출력 패치 모듈
US10712992B2 (en) 2018-06-14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150856B2 (en) 2018-07-02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82055A (ja)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34526A1 (en)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EP1550947A2 (en)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US9703519B2 (en) LED display modules for large-format LED displays
CN108520888B (zh) 显示屏及其显示装置
CN102292757B (zh) 显示设备、亮度调整设备、调整亮度的方法和程序
EP1480195B1 (en) Method of displaying images on a large-sc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display used therefore
TWI479469B (zh) 背光單元及方法
TWI389077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US20170061842A1 (en) Heterogeneous light emitter display system
US20050052375A1 (en) Configurable large-area display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US20080198114A1 (en) Partially filterless and two-color subpix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mobi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1548571A1 (en)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US20050231978A1 (en) High efficiency low power LED backlight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251393A1 (en) Scalable led display system
JP200419149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179942A (ja) 電子ディスプレイの画素
KR20100046042A (ko) 조명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KR20050065355A (ko) 설정 가능한 타일형 발광 표시 장치
US11610543B2 (en) Real-time deformable and transparent display
JP4977207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09020993A1 (en) Method for mapping a color specified using a smaller color gamut to a larger color gamut
EP2176852A1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 chromaticity shift due to ambient light in an electronic signboard
KR20180121292A (ko)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43094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80077268A (ko) 자발광 어레이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