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4399A -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4399A
KR20050064399A KR1020030095759A KR20030095759A KR20050064399A KR 20050064399 A KR20050064399 A KR 20050064399A KR 1020030095759 A KR1020030095759 A KR 1020030095759A KR 20030095759 A KR20030095759 A KR 20030095759A KR 20050064399 A KR20050064399 A KR 2005006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tape
pole
guide
tap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4399A/ko
Priority to US11/014,690 priority patent/US20050180050A1/en
Publication of KR2005006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시 자기테이프와 접촉되어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는 외주면을 구비하는 폴부재, 폴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가 폴부재의 하단을 향해 유동될 때 자기테이프의 하단과 접촉되는 상면을 구비하는 하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임피던스 롤러 및 가이드 롤러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상하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부재들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데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 Tape guide device for magnet record/reproduc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자기 기록/재생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후 데크 내부에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를 가이드하여 자기테이프 주행경로를 형성시키는 테이프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 캠코더(Camcorder)와 같이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기기는, 데크 내부에 형성된 소정 경로를 따라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그 자기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상술한 자기 기록/재생기기들 중 캠코더에 주로 채용되는 데크(Deck)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데크(100)는 데크 샤시(10)와, 헤드드럼(30)과, 테이프 가이드 장치(20)를 포함한다.
데크 샤시(10)는 데크(100)의 외곽을 형성시키며, 그 내부에는 헤드드럼(30), 테이프 가이드 장치(20) 등과 같은 자기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한 각종 구동부품들이 설치된다.
헤드드럼(30)은 데크(10) 내부에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어 데이터를 자기테이프(1)에 기록하거나, 자기테이프(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헤드드럼(30)은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공지된 바와 같이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테이프 가이드 장치(20)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90)로부터 자기테이프(1)를 인출하며, 자기테이프(1)의 주행시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과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20)는 폴베이스 조립체(50)와, 텐션 조절유닛(40)을 포함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60, 70, 80은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50)와 텐션 조절유닛(40)을 제외한 테이프 가이드 장치의 다른 구성품들로서 핀치롤러, 리뷰조립체, 캡스턴 구동부를 나타낸다.
종래의 텐션 조절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아암(41)과, 텐션폴(42)과, 임피던스 롤러(43)를 포함한다. 텐션 아암(41)은 데크 샤시(10) 상에 회동축(311a;도 4 참조)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그 선단이 데크 샤시(10)의 외곽방향을 향하도록 도 1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회동된다. 텐션폴(42)은 텐션 아암(41)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자기테이프(1)를 테이프 카세트(90)로부터 인출한다.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후 자기테이프(1)가 주행할 때에는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T)의 반대방향으로 자기테이프(1)를 잡아당겨 소위 백텐션(Back Tension)이라 불리우는 인장력을 자기테이프(1)에 부여한다. 상기 인장력은 공급릴측 테이프 릴(15)에 설치된 소정의 브레이크 수단(미도시)과 연동되어 일정 범위내에서 유동되는 텐션 아암(41)에 의해 조절되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텐션폴(42)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인장력을 자기테이프(1)에 부여하는 기능 이외에도, 자기테이프(1)의 주행시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을 폴베이스 조립체(50)측으로 전환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리고, 임피던스 롤러(43)는 텐션폴(42)에 의해 그 주행방향이 전환된 자기테이프(1)의 상하위치를 정렬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테이프(1)의 상단 및 하단 각각과 접촉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44)(45)를 포함한다.
종래의 폴베이스 조립체(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베이스 부재(51)와, 가이드 폴(53)과, 가이드 롤러(55)를 포함한다. 폴 베이스 부재(51)는 헤드드럼(30)의 좌우 각각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데크 샤시(10)에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헤드드럼(30)에 인접한 로딩위치(P2;도 1참조)로 이동된다. 가이드 폴(53)과 가이드 롤러(55)는 폴 베이스 부재(51)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자기테이프(1)를 헤드드럼(30)에 밀착시킨다.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자기테이프(1)가 주행할 때에는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자기테이프(1)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가이드 폴(53)은,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헤드드럼(30)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폴(53)에 의해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은 헤드드럼(30)측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55)는 가이드 폴(53)로 진입하는 자기테이프(1)의 상하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테이프(1)의 상단 및 하단 각각과 접촉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57)(56)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데크(100)는 폴베이스 조립체(50)와 텐션 조절유닛(40) 각각에 폴부재(42)(53)와, 롤러(43)(55)들이 필수적으로 모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 절감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소형화도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를 절감시키고,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는, 자기테이프의 주행시 상기 자기테이프와 접촉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는 외주면을 구비하는 폴부재; 상기 폴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폴부재의 하단을 향해 유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하단과 접촉되는 상면을 구비하는 하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부재의 상단을 향한 상기 자기테이프의 유동시 상기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는 하면을 구비하며,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임피던스 롤러 및 가이드 롤러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상하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부재들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데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텐션 아암이고, 상기 폴부재는 상기 텐션 아암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텐션 아암의 회동에 의해 소정 로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시 상기 자기테이프를 상기 데크의 내벽측으로 잡아당기는 텐션폴이고,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텐션 아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1 가이드 부재이며,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텐션폴의 외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텐션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텐션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2 가이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데크에 경사지게 설치된 헤드드럼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헤드드럼을 향해 이동하는 폴 베이스 부재이고, 상기 폴부재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폴 베이스 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드럼에 근접한 로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상기 헤드드럼의 외주면과 나란하도록 상기 폴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이드 폴이고,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폴 베이스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3 가이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폴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4 가이드 부재이며, 상기 제 4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가이드 폴의 상단을 향하여 유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는 하면, 및 상기 폴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4 가이드 부재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 폴의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드럼과 상기 자기테이프가 접촉되는 구간에서의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의 하면과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은 상호 둔각을 이루고,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의 상면과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은 상호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하단 가이드 부재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200)는 데크 샤시(10)와, 테이프 가이드 장치(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테이프 가이드 장치(300)는 종래의 임피던스 롤러(43;도 1참조)의 설치가 생략된 텐션 조절유닛(310)과, 종래의 가이드 롤러(55;도 1참조)의 설치가 생략된 폴베이스 조립체(350, 35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임피던스 롤러 및 가이드 롤러의 설치의 생략이 가능하여 데크(200)의 제조시 소요되는 구성부품의 수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가이드 장치(300)의 폴베이스 조립체(350)와 텐션 조절유닛(310) 각각은 데크 샤시(10) 상에 회동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폴부재와, 폴부재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단 및 하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유닛(310)은, 상기 베이스 부재로서 텐션 아암(311)을 구비하고, 상기 폴부재로서 텐션폴(313)을 구비한다.
상기 텐션폴(313)은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텐션 아암(311)의 회동에 의해 소정의 로딩위치(P1;도 1참조)로 이동되어 자기테이프(1)를 테이프 카세트(90;도 1참조)로부터 인출한다. 그리고, 자기테이프(1)의 주행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어 자기테이프(1)가 폴베이스 조립체(350)를 향해 주행되도록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텐션폴(313)은 텐션 아암(311)의 상면에 경사지게 고정된다. 상기 텐션 아암(311)은 회동축(311a;도 4참조)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데크 샤시(10)에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텐션 아암(311)은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텐션폴(313)이 로딩위치(P2;도 1참조)에 배치되도록 도 1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회동된다.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앞선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급측 릴테이블(15;도 4 참조)과 연동되어 소정 범위내에서 유동함으로써 자기테이프(1)에 부여되는 백텐션(Back Tension)의 크기를 조절한다. 한편, 텐션폴(313)과 텐션 아암(311) 사이의 경사각은 텐션 아암(311)의 형상 및 이동궤적에 따라 달라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텐션 아암(311)이 자기테이프(1)의 로딩/언로딩에 대응하여 수평회동을 하고, 텐션 아암(311)의 상면이 데크 샤시(10)의 테이프 카세트(90;도 1참조)로부터 주행하는 테이프 주행방향(T)과 나란할 경우, 텐션폴(313)과 텐션 아암(311)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텐션 조절유닛(310)은 상기 하단 및 상단 가이드 부재에 해당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15)(3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15)(318)는 종래의 임피던스 롤러(43;도 1참조)의 기능을 텐션폴(313)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15)는 텐션폴(313)의 하단측에 설치되며, 텐션 아암(3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텐션 아암(311)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부재(318)는 텐션폴(313)의 상단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텐션폴(313)의 상단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텐션폴(313)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15)(318)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1)가 텐션폴(313)의 하단 또는 상단을 향해 유동될 때 자기테이프(1)의 하단 및 상단 각각과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15)(318) 각각의 상면(316) 및 하면(319)이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15)의 상면(315)과 제 2 가이드 부재(318)의 하면(319) 사이의 간격은 자기테이프(1)의 상하유동시에만 상기 상면(315) 및 하면(319) 각각과 자기테이프(1)가 접촉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319) 및 상면(315)은, 자기테이프(1)의 유동시 자기테이프(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기테이프(1)가 스스로 자기 위치로 정렬될 수 있도록 텐션폴(313)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가이드 부재(318)의 하면과 텐션폴(313)의 사이에는 연결홈(314)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홈(314)은 텐션폴(313)의 외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 2 가이드 부재(318)의 하면(319)과 텐션폴(313)의 외주면 사이의 경사각을 확보하기 위해 제 2 가이드 부재(318)의 상단이 필요이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350)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서 폴 베이스 부재(351)를 구비하며, 상기 폴부재로서 가이드 폴(353)을 구비한다.
상기 폴 베이스 부재(351)는 헤드드럼(30)의 좌우에 대응되도록 데크 샤시(10)에 한 쌍이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헤드드럼(30)에 근접된 로딩위치(P2;도 1참조)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폴(353)은 폴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고정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폴 베이스 부재(351)와 함께 이동하여 자기테이프(1)를 헤드드럼(30)에 밀착시킨다.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후 자기테이프(1)가 주행될 때에는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하도록 가이드한다. 미설명 부호 352는 후술될 제 4 가이드 부재(357)의 가이드 돌기(357a)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를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폴(353)은 폴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는 데크 샤시(10)에 헤드드럼(30)이 데크 샤시(10)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헤드드럼(30)과 접촉되는 구간에서의 자기테이프(1)의 주행이 다른 구간에서의 주행에 대해 경사지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 폴(353)은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자기테이프(1)와 접촉이 시작 또는 끝나는 헤드드럼(30)의 외주면 일부와 가이드 폴(353)의 외주면이 나란하도록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 폴(353)과 폴 베이스 부재(351)가 이루는 경사각의 크기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언로딩시 폴 베이스 부재(35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1;도 4참조)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폴 베이스 부재(351)가 상기 가이드 레일(11)에 의해 헤드드럼(30)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안내된다면 가이드 폴(353)은 폴 베이스 부재(351)와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베이스 부재(351)가 자기테이프(1)의 로딩/언로딩시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는 경우, 가이드 폴(353)은 데크 샤시(10)와 헤드드럼(30)의 외주면이 이루는 경사각(θ)만큼 폴 베이스 부재(351)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폴 베이스 조립체(350)는 종래의 가이드 롤러(55;도 1참조)의 생략을 위해,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에 해당되는 제 3 가이드 부재(355)와,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에 해당되는 제 4 가이드 부재(35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및 제 4 가이드 부재(357)(357)들에 의하면, 가이드 롤러(55)가 생략되더라도,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헤드드럼(30)과 자기테이프(1)의 접촉이 일정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헤드드럼(30)에 대한 자기테이프(1)의 상하 위치의 정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3 가이드 부재(355)는 폴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가 가이드 폴(353)의 하단을 향해 유동될 경우 자기테이프(1)의 하단과 접촉되는 상면(356)을 구비한다. 상기 상면(356)은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는 가이드 폴(353)의 외주면 하단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가이드 부재(355)는 폴 베이스 부재(351)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3 가이드 부재(355)와 폴 베이스 부재(351)는 합성수지재질의 몰드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3 가이드 부재(355)와 가이드 폴(353)의 외주면은 상호간에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설명된 텐션폴(313),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15)(318) 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가이드 폴(353)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제 3 가이드 부재(355)의 내주면(355a)은 가이드 폴(353)의 하단 외곽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4 가이드 부재(357)는 가이드 폴(353)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폴 베이스 부재(351)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 폴(353)의 상단을 향해 유동되는 자기테이프(1)의 상단과 접촉되는 하면(358)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4 가이드 부재(357)의 하면(358)은 헤드드럼(30)과 자기테이프(1)가 접촉되는 구간(B;도 3 참조)에서의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4 가이드 부재(357)의 하면은 제 4 가이드 부재(357)가 폴 베이스 부재(351)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폴(353)의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4 가이드 부재(357)의 하면은 전 구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는 가이드 폴(353)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만 경사지게 형성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자기테이프(1)의 주행 및 데크(200)의 구성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그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4 가이드 부재(357)는 소정의 결합부재(359)에 의해 가이드 폴(353)의 상단에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357a는 외부 충격에 의해 제 4 가이드 부재(357)가 가이드 폴(353)에 대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폴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352)와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 베이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폴 베이스 조립체(350')는 폴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이 제 4 가이드 부재(355')로 사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제 4 가이드 부재(355')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폴(353)이 자기테이프(1)의 언로딩시에도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자기테이프(1)의 로딩 및 언로딩시 자기테이프(1)의 장력에 의해 자기테이프(1)가 가이드 폴(353)의 상단을 향해서만 유동되려 한다. 따라서, 폴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으로 구성된 제 4 가이드 부재(357)를 사용하더라도 전체적인 폴베이스 조립체(350')의 기능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르면, 제 4 가이드 부재(357)를 보다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4 가이드 부재(357)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테이프 가이드 장치(300) 중 공급측 폴베이스 조립체(350)와 텐션 조절유닛(310)에 한정하여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자기테이프(1)를 접촉지지할 수 있는 폴부재와, 자기테이프(1)의 로딩/언로딩에 대응하여 상기 폴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는 테이프 가이드 장치라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뷰폴 조립체(70;도 1 참조)와 같이 폴부재를 구비하는 테이프 가이드 장치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캠코더의 데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폴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는 테이프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데크라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과 같은 다른 종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가이드 장치의 베이스 부재 또는 폴 부재에 폴부재의 상단 및 하단으로 유동하려는 자기테이프을 구속하기 위한 상단 및 하단 가이드 부재들이 직접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임피던스 롤러 및 가이드 롤러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상하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부재들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어 자기테이프의 주행경로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단 가이드 부재의 경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 부재와 하단 가이드 부재의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슬림화된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텐션 조절유닛을 자기테이프의 주행경로를 따라 전개하여 도시해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폴베이스 조립체 및 헤드드럼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텐션 조절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텐션 조절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4의 폴베이스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자기테이프의 주행경로를 따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 데크 10 : 데크 샤시
30 : 헤드드럼 300 : 테이프 가이드 장치
310 : 텐션 조절유닛 311 : 텐션 아암
313 : 텐션 폴 315 : 제 1 가이드
318 : 제 2 가이드 350 : 폴베이스 조립체
351 : 폴 베이스 부재 353 : 가이드 폴
355 : 제 3 가이드 357 : 제 4 가이드
1 : 자기테이프

Claims (9)

  1. 데크 내부에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와 접촉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시 상기 자기테이프와 접촉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는 외주면을 구비하는 폴부재;
    상기 폴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폴부재의 하단을 향해 유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하단과 접촉되는 상면을 구비하는 하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재의 상단을 향한 상기 자기테이프의 유동시 상기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는 하면을 구비하며,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데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 및 언로딩에 대응하여 회동되는 텐션 아암이고,
    상기 폴부재는 상기 텐션 아암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텐션 아암의 회동에 의해 소정 로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시 상기 자기테이프를 상기 데크의 내벽측으로 잡아당기는 텐션폴이고,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텐션 아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1 가이드 부재이며,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텐션폴의 외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텐션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텐션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2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데크에 경사지게 설치된 헤드드럼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상기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헤드드럼을 향해 이동하는 폴 베이스 부재이고,
    상기 폴부재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폴 베이스 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드럼에 근접한 로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상기 헤드드럼의 외주면과 나란하도록 상기 폴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이드 폴이고,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폴 베이스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3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폴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4 가이드 부재이며,
    상기 제 4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가이드 폴의 상단을 향하여 유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는 하면, 및 상기 폴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4 가이드 부재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 폴의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드럼과 상기 자기테이프가 접촉되는 구간에서의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의 하면과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은 상호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의 상면과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은 상호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KR1020030095759A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KR20050064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759A KR20050064399A (ko)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US11/014,690 US20050180050A1 (en) 2003-12-23 2004-12-20 Tape guide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759A KR20050064399A (ko)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399A true KR20050064399A (ko) 2005-06-29

Family

ID=3483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759A KR20050064399A (ko)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80050A1 (ko)
KR (1) KR200500643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683A (en) * 2004-04-30 2005-11-0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guid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950A (ja) * 1985-01-24 1986-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H04313843A (ja) * 1991-04-12 1992-11-05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JP2003242700A (ja) * 2002-02-18 2003-08-29 Orion Denki Kk テープ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80050A1 (en)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4534Y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テープ早送り装置
KR20050064399A (ko)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US6256167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pulling a magnetic tape out of a cassette
KR100421986B1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조절장치
JPH0478055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カセット
KR100412504B1 (ko) 테이프 레코더 주행계의 자기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42201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436370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JP2006004609A (ja) デッキプレート及びそれを有する磁気記録再生装置
KR017497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JP2706877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
KR10054538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주행 시스템
KR100421991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KR10046129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JPH0627009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42456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기어 조립체
JP2511542Y2 (ja) 磁気テ―プ引き出し装置
KR012923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KR10043637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레일 정렬장치
US20050134998A1 (en) Pole base assembly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0304411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드럼의 자기테이프 이탈방지장치
KR940004537Y1 (ko) Vcr의 테이프 주행 안내장치
KR100485812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주행시스템
JP200016383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14996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