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242A -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242A
KR20050063242A KR1020030094623A KR20030094623A KR20050063242A KR 20050063242 A KR20050063242 A KR 20050063242A KR 1020030094623 A KR1020030094623 A KR 1020030094623A KR 20030094623 A KR20030094623 A KR 20030094623A KR 20050063242 A KR20050063242 A KR 2005006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encil
terminal
pack
p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노진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242A/ko
Publication of KR2005006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평행하게 배설된 관체인 코일수용관체(2,3), 상기 코일수용관체(2,3)를 연결하는 연결브릿지부(40),
1차코일 상의 보빈에 권선된 2차코일권선체로서 구성되는 펜슬형코일(50)의 고압측출력이 연결된 출력배선(O1,O2,O3,O4)을 라우팅배선가능한 단자체(15)를 스프링결합의 나사산(15')/ 또는 압입끼움하여 내장한 관상체의 단자타워(11,12,13)를 일체성형한 코일팩하우징(1)과,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에 수납되어 에폭시수지로서 경화고정되는 1,2차코일을 권선한 복수 개의 펜슬형코일(50),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엔진제어모듈(M)로의 1차배선(I1,I2,I3,I4)으로의 결선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커넥터(20),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외방 형상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절곡가공된 밀착접속의 금속판재의 절곡체인 실드플레이트(30)를 포함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에 있어서,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상기 코일수용관체(2,3)의 대응하는 결선위치(P1,P2)와 그 상방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단자타워(11,12,13,14)간에는 결선공(OP)이 형성되고,
상기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와, 상기 단자타워(11,12,13,14)의 나사산결합고정되는 단자체는 컨택트접촉으로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Wiring assembly for a pack-typed ignition coil assembly using pencil coils for vehicle}
본 발명은 펜슬형의 1,2차코일권선체를 이용한 팩(pack) 타입의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결선, 특히 고압측 결선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배전기 타입과 직접점화 타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점화플러그(IP)에 직접 점화코일을 연결하여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개선한 구성의 펜슬형코일을 사용한 점화코일을 이용한 점화코일어셈블리를 본 발명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하고 있다.
상술하는 출원의 제공으로서 본 발명은 장착공간에서의 컴팩트한 장착 및 제조원가의 저감, 작동신뢰성의 제고가 가능하게 되고, 안출된 간략한 구성은;
복수 개의 펜슬형코일을 조합하여 자동차용 점화코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점화코일은, 평행하게 배설된 관체인 코일수용관체, 상기 코일수용관체를 연결하는 연결브릿지부, 상기 펜슬형코일의 고압측출력이 연결된 출력배선을 라우팅배선가능한 단자체를 나사산결합으로써 내장한 관상체의 단자타워를 일체성형한 코일팩하우징과, 상기 코일팩하우징의 코일수용관체에 수납되어 에폭시수지로서 경화고정되며 1,2차코일을 권선한 복수 개의 펜슬형코일, 상기 코일팩하우징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엔진제어모듈로의 1차배선으로의 결선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커넥터, 상기 코일팩하우징의 외방 형상 컨투어를 따라 절곡가공되어 긴밀한 접속이 가능한 금속판재의 절곡체인 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기본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하는 본 출원인의 동일자 출원 구성에 부가하여 개선된 고압측의 결선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는 동일자 출원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에서 고압측 결선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을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8 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일자 출원구성을 설명하고, 도 9 에서 본 발명의 고압측 결선의 구성요부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8 은 동일자로 출원되고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은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의 점화코일의 장착상태로서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2 는 완성된 형태의 점화코일의 후면부를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3 은 점화코일의 분해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 a,b,c,d,e 는 점화코일의 정면도, A-A 선 종단면도, 평면도 전방사시도, 단자타워부의 B-B 선 종단면도, 도 5 는 점화코일이 적용되는 엔진 전장계의 일부 회로구성도, 도 6 a,b,c 는 점화코일을 구성하는 펜슬형 코일의 코어 및 1 차 코일의 권선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7 a,b 는 펜슬형 코일의 2 차코일용 보빈을 도시하는 정면도, 측면도, 도 8 a,b,c 는 펜슬형 코일의 21 차 코일의 권선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정면도, 부분확대도,
도 9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 4 의 e 도의 세부적인 설명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단자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는 다수의 펜슬형코일을 최적의 수납체 내에 수납하여 구성하고, 다수의 엔진의 점화플러그(IP)에 점화용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제공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다.
도 1 내지 2 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타입의 자동차용 점화코일어셈블리(IC)의 완성된 예시적인 외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다양한 사출성형재 중 하나 이상에서 선택된 성형재로서 단일 함체로 사출성형되는 코일팩하우징(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설되는 1 쌍의 코일수용관체(2,3)를 관상체의 일부 절단체의 형상으로 배설하여 가지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된다.
코일수용관체(2,3)는 병렬하여 배설되고 그 사이에는 다양한 형상의 판형브릿지로서의 연결브릿지부(4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브릿지부(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쌍의 금속재의 부싱(41)이 인서트 성형되어 도시하지 아니하는 엔진블럭부 등에 볼트 등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코일수용관체(2,3)의 양측 단부 중 일측은 폐색된 관폐쇄단부(2',3')를 구성하고 타측은 개방된 개방단부(2",3")를 형성하는 수용체로서 일체로 성형된다.
도 5 의 점화장치의 엔진전장계로의 일부 회로와 함께 점화코일(IC)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일팩하우징(1)의 상방 측으로는 각각의 점화플러그(IP)로의 출력배선(O1,O2,O3,O4)인 라우팅배선을 위한 단자체(15)를 도 4 e 에서와 같이,
나사산결합(15')으로써 내장하여 가지는 단자타워(11,12,13,14)가 직립한 관상체로서 내방에 부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타워 형상으로 단자타워(11,12,13,14)를 구성하는 이유는 고압 측의 출력단자인 단자타워(11,12,13,14)를 가급적이면 엔진 블럭 등에 형성되어 있는 그라운드와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서 2차케이블을 라우팅연결시킴에 있어서 고전압의 누설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자타워(11,12,13,14)의 구성으로서 그라운드간의 거리를 최대화하고 라우팅을 위한 단자접속작업 또한 상방 측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의 개방단부(2",3") 측으로는 엔진제어모듈(M)로의 1차배선(I)으로의 결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커넥터(20)가 착,탈가능하도록 중앙부에 삽입,고정된다.
커넥터(20)가 삽입되는 형식은 전체 코일팩하우징(1)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커넥터(20)를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코일팩하우징(1)에 형성된 삽입홈(21)과 커넥터(20)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삽입홈(21)에 끼움되는 끼움돌부(22)를 성형구성함으로서 커넥터(20)를 코일팩하우징(1)의 삽입홈(21)에 압압하여 끼움고정된 후, 에폭시수지포팅(EP) 등으로 고정하게 한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펜슬형코일(50)을 삽입하고 개방단부(2",3")를 폐색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에폭시수지포팅(EP)은 커넥터(20)의 일부를 역시 함침한 상태로 주입, 경화함으로서 , 커넥터(20)의 고정과 에폭시수지포팅(EP)의 저감 및 에폭시수지포팅(EP)에 따른 열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삽입홈(21)은 단면 개략 "ㄷ" 형상의 채널형상으로서 끼움돌기(22)를 압압하여 끼우기에 적합한 형상체이며 이러한 채널 형상은 커넥터(20)에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하는 코일수용관체(2,3) 내방으로는 종래로 부터 안출된 펜슬형코일(50)이 각각 내장된다.
도 6 내지 8 에 펜슬형코일(50)의 구성체가 도시된다.
도 6 의 1 차코일은 중심부에 코어(51)상에 절연체를 구성하여 1차코일용의 권선(W)을 권취하여 1차코일권선체(55)로서 구성하고, 도 7 의 2차코일용보빈(57) 상에 2차코일권선체(58)를 권선하여 상기의 1차코일권선체(55)를 그 내방에 수용하여 결선한 것이다.
코어(51)상에 절연테이프, 보빈 등을 개재하여 권선된 1차코일권선체(55)의 는 저압측 입력단자가 배선되어 엔진제어모듈(M)로의 1차배선(I)으로의 결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커넥터(20)의 단자핀(P)으로 배선하기 위한 터미널링부(53)가 고정되어 배선부로서 사용된다.
상기하는 펜슬형코일(50)을 코일수용관체(2,3)의 각각의 수용공 내에 투입하여 에폭시수지 등으로 마감하고 커넥터(20)에 엔진제어모듈(M)로의 배선을 단자결선하고 단자타워(11,12,13,14)내의 단자체(15)에 라우팅용의 출력배선을 결선하여 완성된다.
2차코일용보빈(57)은 코일팩하우징(1)의 각각의 코일수용관체(2,3)의 내벽면에 긴밀하게 끼움이 가능하고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가이드링(57')이 양측에 돌출하여 성형됨으로서 그 사이에 권선(W)이 이루어지면서 코일수용관체(2,3)내에 긴밀한 삽입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점화코일 (IC)의 코일팩하우징(1)의 외방에는 정전차폐와 마그네틱플러스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실드플레이트(30)가 장착된다.
실드플레이트(30)는 도전성의 금속판재를 가공한 뒤, 절연도장을 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코일팩하우징(1)의 외방 형상의 컨투어(contour)를 형성하도록 절곡가공됨으로서 코일팩하우징(1)의 외방면과 간극이 없도록 긴밀하게 접속하도록 하여 코일팩하우징(1)의 엔진블럭 등으로의 장착 시에 중간 개재되어 설치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실드플레이트(30)는 코일수용관체(2,3)의 외주연 벽면과 연결브릿지부(40)를 일체로 수납하고 양단부(30')가 코일수용관체(2,3)의 중간부에서 종료되게 함으로서 장착 및 수용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 좋다.
실드플레이트(30)의 양 단부 측에 천공된 끼움고정공(30")을 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의 해당부에는 끼움돌기(2-1,3-1)을 형성하여 양단부 측에서 끼움,고정하게 하는 것이 조립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동일자로 출원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어셈블리"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고압측 단자인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용보빈(57)으로부터의 배선을 상기하는 단자타워(11,12,13,14) 내방의 단자체(15)와의 결선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도 8 의 2차코일용보빈(57)의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가이드링(57')으로부터 더 연장하여 일체로 된 보빈부인 터미널고정부(57-1,57-2)를 형성하고,
이 터미널고정부(57-1,57-2)로 연장되는 2차코일권선체(58)의 출력배선(고압측배선)의 단부(58')가 결선되는 결선단자(60')를 일체로 가지고, 단자타워(11,12,13,14)로 연결을 위한 중간매개체로서의 금속판재의 터미널단자(60)가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하는 끼움홈부 등으로의 끼움고정 등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하는 터미널고정부(57-1,57-2) 상의 터미널단자(60)와 단자타워(11,12,13,14) 내방의 단자체(15)는 상호 저항용접이나 경납땜으로서 별도의 배선으로 구성하거나 펜슬형코일(50)을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내에 삽입한 위치에서 저항용접을 수행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조립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고 불량배선이 다발하며 별도의 조립 및 용접용의 지그가 필요한 등 조립경비가 앙등하는 주요한 인터페이스부위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체(15)를 각각 그 속에 내장하는 단자타워(11,12,13,14)로의 2차코일권선체(58)의 고압측 출력배선을 결선하기 위하여, 상기의 단자체(15)와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와의 결선은 종래와 같은 경납땜, 저항용접등에 의한 와이어링 방식이 아닌 컨택트(contact)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도 4 e 와 도 9 , 도 10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의 대응하는 결선위치(P1,P2)와 그 상방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단자타워(11,12,13,14)간에는 결선공(OP)이 형성되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의 평면도구성에서와 같이,
2차코일권선체(58)의 출력권선단부(58')를 2차코일용보빈(57)의 단부에 형성된 컨택트플레이트(60)의 결선단자(60')에 접속하여 코일팩하우징(1)으로의 삽입 이전에 조립하게 된다.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와 연통하는 단자타워(11,12,13,14) 내방에서 스프링결합의 나사산(15') 또는 압입끼움에 의하여 고정되는 단자체(15)는 단자타워(11,12,13,14) 내방으로 축소 직경의 헤드고정돌부(90)에 스프링결합의 나사산(15') 또는 압입끼움고정 등으로 조립하게 되는 바 도 10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결합의 나사산(15') 또는 확대된 두부형상의 고정헤드부(81)를 가지며,
라우팅배선용의 터미날단자(도시하지 아니함)가 끼움되는 접속핀부(82) 및 접속핀부(82)의 반대 단으로 연장하고 고정헤드부(81)에 비하여 축소된 직경부인 스프링안치부(83)를 가지는 일체형의 도전성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코일수용관체(2,3) 내방으로 조립,완성된 펜슬형코일(50)을 삽입한 뒤에 컨택트스프링(95)을 개재하면서 나사산(15') 또는 깔쭈기부를 가지면서 압입끼움으로 고정하여 단자체(15)를 단자타워(11,12,13,14) 내방에 체결함으로서,
단자체(15)의 코일스프링안치부(83)와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용보빈(57)의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가이드링(57')으로부터 더 연장하여 일체로 된 보빈부인 터미널고정부(57-1,57-2) 상의 터미널단자(60)와 컨택트스프링(95)에 의하여 도전결선되면서 조립이 된다.
즉, 별도의 배선이 불요하면서 조립 만으로 출력단자의 결선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결합의 나사산(15')으로 고정되는 단자체(15) 하방에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의 판상부재인 터미널단자(60)가 그 하방에 정위치하도록 코일수용관체(2,3) 내방으로의 삽입 시에 정위치각을 형성하도록 코일수용관체(2,3) 내방에는 가이드슬리트(100)를 형성하고 2차코일용보빈(57)의 양단으로 연장된 터미널고정부(57-1,57-2)상에 가이드리브(101)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코일수용관체(2,3)로의 펜슬형코일(50)의 삽입 시에 가이드리브(101)가 코일수용관체(2,3) 내방에 축방향(C)으로 형성된 채널부인 가이드슬리트(100)를 따라서 인입되도록 하여 정위치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는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의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가이드링(57')의 평면형상을 다각형상으로 하고 이 펜슬형코일(50)이 삽입되는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의 형상을 다각형상으로 구성하여도 정위치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는;
동일자로 안출되는 다수의 펜슬형코일을 내장하여 구성되는 점화코일(IC)에 적용됨으로서 전장회로로의 인터페이스부인 고압측의 결선이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됨으로서 조립성 및 생산성이 대폭 제고되는 유용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의 점화코일의 장착상태로서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구성의 완성된 형태의 점화코일의 후면부를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의 점화코일의 분해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 a,b,c,d,e 는 실드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이전의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의 정면도, A-A 선 종단면도, 평면도 전방사시도, 단자타워부의 B-B 선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점화코일이 사용되는 엔진 전장계의 일부 회로구성도.
도 6 a,b,c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에 사용되는 펜슬형 코일의 코어 및 1 차 코일의 권선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7 a,b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의 2 차코일용 보빈을 도시하는 정면도, 측면도.
도 8 a,b,c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가 적용된 동일자 출원 구성에 사용되는 펜슬형 코일의 2 차 코일의 권선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정면도, 부분확대도.
도 9 는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에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 4 의 e 도의 세부적인 설명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단자체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IC: 점화코일
1: 코일팩하우징
2,3: 코일수용관체
50: 펜슬형코일어셈블리

Claims (4)

  1. 평행하게 배설된 관체인 코일수용관체(2,3), 상기 코일수용관체(2,3)를 연결하는 연결브릿지부(40), 1차코일 상의 보빈에 권선된 2차코일권선체로서 구성되는 펜슬형코일(50)의 고압측출력이 연결된 출력배선(O1,O2,O3,O4)을 라우팅배선가능한 단자체(15)를 나사산결합(15')/ 또는 압입끼움하여 내장한 관상체의 단자타워(11,12,13,14)를 일체성형한 코일팩하우징(1)과,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에 수납되어 에폭시수지로서 경화고정되는 1,2차코일을 권선한 복수 개의 펜슬형코일(50),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엔진제어모듈(M)로의 1차배선(I1,I2,I3)으로의 결선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커넥터(20),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외방 형상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절곡가공되어 긴밀한 접속이 가능한 금속판재의 절곡체인 실드플레이트(30)를 포함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에 있어서,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상기 코일수용관체(2,3)의 대응하는 결선위치(P1,P2)와 그 상방에 직립하여 형성되는 단자타워(11,12,13,14)간에는 결선공(OP)이 형성되고,
    상기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와,
    상기 단자타워(11,12,13,14)의 나사산결합고정되는 단자체는 컨택트접촉으로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타워(11,12,13,14)내에 고정되는 고정헤드부(81)를 가지며, 라우팅배선용의 터미널단자 접속용의 접속핀부(82) 및 상기 접속핀부(82)의 반대 단으로 연장하고 고정헤드부(81)에 비하여 축소된 직경부인 스프링안치부(83)를 가지는 일체형의 도전성부재로서, 상기 단자타워(11,12,13,14) 내방에서 나사산(15')으로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안치부(83)가 상기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 내방으로 연장하는 단자체(15)와,
    상기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의 출력선을 접속하는 2차코일용보빈(57)의 단부에 형성된 컨택트플레이트(60)를 구비하여,
    상기 단자체(15)와 컨택트플레이트(60)는 상호 컨택트스프링으로 탄성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수용관체(2,3) 내방과, 상기 2차코일용보빈(57)의 양단으로 연장된 터미널고정부(57-1,57-2)상에는 상호 대응하는 자웅결합가이드구성인 가이드리브와 가이드슬리트를 코일수용관체(2,3)의 축방향(C)으로 더 구비하여 가짐으로서 삽입 시의 상기 컨택트위치를 결정,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슬형코일(50)의 2차코일권선체(58)의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가이드링(57')의 평면형상을 다각형상으로 하고,
    상기 펜슬형코일(50)이 삽입되는 코일팩하우징(1)의 코일수용관체(2,3)의 형상은 상기 다각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서,
    상기 펜슬형코일(50)의 삽입 시의 상기 컨택트위치를 결정,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 결선어셈블리.
KR1020030094623A 2003-12-22 2003-12-22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KR20050063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23A KR20050063242A (ko) 2003-12-22 2003-12-22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23A KR20050063242A (ko) 2003-12-22 2003-12-22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242A true KR20050063242A (ko) 2005-06-28

Family

ID=3725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623A KR20050063242A (ko) 2003-12-22 2003-12-22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2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9320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016225B1 (ko) 트랜스 장치
US7710231B2 (en) Ignition coil
US6445270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nnector
US6094122A (en) Mechanical locking connection for electric terminals
JP2851491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H03129714A (ja) 自動車の内燃エンジン用点火コイルの2次部材の中に1次部材を装着する装置
KR20050063242A (ko)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고압측결선어셈블리
JP3550643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100679228B1 (ko)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실드플레이트
US7753038B2 (en) Ignition coil
JP200816658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09232160A (ja) 点火コイル装置
US6192873B1 (en) Ignition coil having spring for connecting the same to spark plug
JP2001123927A (ja) ペンシル型点火コイル組立体モジュールの周囲シールド
KR100567405B1 (ko) 펜슬형 코일을 이용한 팩타입의 자동차용 점화코일어셈블리
US20050161031A1 (en) Electronic modu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il
US5781092A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757804A2 (en) Low profile ignition apparatus
JP3629983B2 (ja) 点火コイル
JP2008166649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610054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0679230B1 (ko) 팩형 자동차용 점화코일의 실드플레이트
JPH05335163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CN213905095U (zh) 一种电视机用小型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