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199A -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199A
KR20050062199A KR1020030094201A KR20030094201A KR20050062199A KR 20050062199 A KR20050062199 A KR 20050062199A KR 1020030094201 A KR1020030094201 A KR 1020030094201A KR 20030094201 A KR20030094201 A KR 20030094201A KR 20050062199 A KR20050062199 A KR 2005006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put
broadcast receiver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주
박형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2199A/ko
Publication of KR2005006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제어수단에 연결된 메시지 입력수단에 의해 작성/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영상/음성 스위칭수단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영상 신호와 영상 합성하여 메인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함으로서, 외부 사용자는 모뎀 등의 장비의 추가없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방송 프로그램 화면의 시청시에 메시지 확인 효율을 높인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중 메시지를 입력하고자 메시지 입력 시작신호를 인가하면 메시지 입력 화면이 생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입력되고, 입력된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를 지정하여 전송하고, 이후 전송된 메시지 정보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영상 신호와 영상 합성되어 지정된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메인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영상과 함께 출력하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방송 수신기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양과 질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경우는 고화질, 고음질뿐만 아니라 수많은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으며, 방송 수신기로 은행업무를 볼 수 있는등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기를 사용하며 보내는 시간이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방송 수신기를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이용 방법중 하나로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을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방법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일정 수신자를 설정하여 메시지를 전자우편 형태로 작성하고, 상기 전자우편 형태로 작성된 메시지를 공용통신망을 통해 대화형 서비스 업자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측에서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게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상기 방송 송신기측 및 수신측 양쪽 모두에 모뎀 등의 접속 수단이 필요하고, 서비스 업자의 서버 또는 교환기 등의 중계수단이 필요하다.
상기한 종래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작은 범위의 네트웍 내에서는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모뎀 등의 장비를 각 방송 수신기에 장착하게 되어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서버 등의 중계 수단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중계 수단를 거치면서 잡음 등에 의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중계 수단이 고장일 경우는 메시지를 전달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외부 사용자가 모뎀 등의 접속 수단 없이도 메시지를 전달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의 다른 목적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메시지를 전달 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영상신호와 함께 메인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메인 방송 수신기에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지정된 디스플레이부에 메시지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 2 단계;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었다면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지정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복조기(11, 12), 상기 튜너 복조기(11, 12)에서 선국된 방송 신호를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신호 분리부(13, 14), 상기 영상 분리부(13, 14)에서 분리된 영상/음성신호를 저장하는 PVR부(15), 상기 신호 분리부(13, 14)에서 분리된 소정의 영상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16, 18), 상기 신호 분리부(13, 14)에서 분리된 소정의 음성 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처리하는 음성 처리부(17, 19), 상기 영상/음성 처리된 신호 및 외부의 영상/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는 영상/음성 스위칭부(20), 상기 신호 분리부(13, 14)에서 분리된 소정의 부가 정보를 처리하여 메모리부(23)에 저장하고, 사용자 명령 입력에 따라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하며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1), 상기 제어부(21)의 기능을 설정하며 메시지를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22),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부(20)에서 선택된 영상 신호 및 전송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영상 합성하는 OSD부(24, 25, 26, 27), 상기 합성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부(32, 33, 34) 및 상기 메시지를 원활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5, 36, 37, 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구현한 일예를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부호 39는 메인 방송 수신기로서, 도 1의 안테나(10)부터 OSD부(24, 25, 26. 27)까지의 일련의 시스템과 메인 디스플레이부(31) 및 명령입력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호 40, 41 및 42는 제 1,2,3 외부 방송 수신기로서, 제 1,2,3 디스플레이부(28, 29, 30) 및 제 1,2,3 메시지 입력부(32, 33, 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방송 수신기는, 튜너/복조기(11, 12)에서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제어부(2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국하고, 상기 튜너/복조기(11, 12)에서 선국된 방송 신호를 신호 분리부(13, 14)에서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하여, 영상 정보는 영상 처리부(16, 18)에, 음성 정보는 음성 처리부(17, 19)에 그리고 부가 정보는 제어부(21)에 각각 입력한다. 여기서 명령 입력부(22)에 인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음성신호를 PVR부(15)에 저장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6, 18)는 신호 분리부(13, 14)에서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된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처리하여 영상/음성 스위칭부(20)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17, 19)는 분리된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 처리하여 영상/음성 스위칭부(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음성 스위칭부(20)는 영상/음성 처리부(16, 17, 18, 19)에서 처리/입력된 영상/음성 신호 및 외부로 부터 입력된 영상/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음성 신호는 각 음성출력부로 출력하고, 영상 신호는 각 OSD부(24, 25, 26, 27)로 전송한다.
상기 OSD부(24, 25, 26, 27)는 영상/음성 스위칭부(2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한 후 각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영상/음성 스위칭부(2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만을 각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에서 출력된 영상/음성 신호 및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외부 사용자가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입력부(32, 33, 34)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입력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5, 36, 37, 38)를 통해 제어부(20)에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OSD부(24, 25, 26, 27)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영상/음성 스위칭부(2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메시지 정보가 화면상에 보여질 수 있도록 처리한 후 각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게 된다.
한편, 메인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할 경우에는, 상기 외부 사용자의 경우 메시지 입력부(32, 33, 34)를 이용해 메시지를 작성/입력하는 것과는 달리, 명령입력부(22)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입력한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외부 사용자의 경우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이 인가되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중(300),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310).
상기 판단 결과(310),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다면, 계속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300),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되었다면 메시지 입력 화면을 생성한다(320).
상기 메시지 입력 화면이 생성되면(320), 메시지를 작성할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330).
상기 판단 결과(330), 메시지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청하던 방송 프로그램 화면으로 복귀하고(300), 메시지를 작성할 경우에는 메시지를 작성한다(340).
상기 메시지 작성이 완료 되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여(350), 아직 작성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계속 메시지를 작성하고(340),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었다면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할지 그 여부를 결정한다(360).
상기 판단 결과(360),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하지 않는다면 현재 전원이 ON 상태인 모든 디스플레이부를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로 지정하고(370),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한다면 그 선택된 디스플레이부를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로 지정한다(380).
이후 지정된 메시지 수신 디스플레이부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제어부(21)로 전송한다(390).
이때, 외부 사용자가 외부 방송 수신기(40, 41, 42)를 시청하면서 메시지를 입력할 경우에는 제 1, 2, 3 메시지 입력부(32, 33, 34)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입력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5, 36, 37, 38)를 경유하여 상기 제어부(21)에 전송한다. 한편, 메인 사용자가 메인 방송 수신기(39)를 시청하면서 메시지를 입력할 경우에는 명령입력부(22)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입력하여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1)로 전송된 메시지는 소정의 데이터처리를 거쳐서 OSD부(24, 25, 26, 27)로 전송된다.
상기 OSD부(24, 25, 26, 27)에서는, 영상/음성 스위칭부(20)에서 선택되어 입력된 영상 신호와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되어 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화면상에 보여질 수 있도록 처리하여 각 지정된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28, 29, 30, 31)로 출력된 영상과 메시지를 사용자가 보게 된다.
이러한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사용자들이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 화면에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여 보여질 수도 있고 반면에, 중요하거나 위급한 메시지의 경우에는 명령입력부(22)의 명령신호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화면을 차단시키고 메시지 화면만 출력할 수도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제어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 입력수단에 의해 작성/입력된 메시지 정보를, 영상/음성 스위칭수단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영상 신호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디스플레이수단에 출력함으로서, 외부 사용자는 모뎀 등의 장비의 추가없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방송 프로그램 화면의 시청시에 메시지 확인율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구현한 것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11 : 제 1 튜너/복조기
12 : 제 2 튜너/복조기 13 : 제 1 신호 분리부
14 : 제 2 신호 분리부 15 : PVR부
16 : 제 1 영상 처리부 17 : 제 1 음성 처리부
18 : 제 2 영상 처리부 19 : 제 2 음성 처리부
20 : 영상/음성 스위칭부 21 : 제어부
22 : 명령 입력부 23 : 메모리부
24 : 제 1 OSD부 25 : 제 2 OSD부
26 : 제 n OSD부 27 : 메인 OSD부
28 : 제 1 디스플레이부 29 : 제 2 디스플레이부
30 : 제 n 디스플레이부 31 : 메인 디스플레이부
32 : 제 1 메시지 입력부 33 : 제 2 메시지 입력부
34 : 제 n 메시지 입력부 35, 36, 37, 38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39 : 메인 방송 수신기 40 : 제 1 외부 방송 수신기
41 : 제 2 외부 방송 수신기 42 : 제 n 외부 방송 수신기

Claims (3)

  1. 메인 방송 수신기에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입력 시작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지정된 디스플레이부에 메시지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 2 단계;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었다면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지정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디스플레이부를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자동 지정하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그 선택된 디스플레이부를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의 메시지 표시는;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0030094201A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050062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01A KR20050062199A (ko)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01A KR20050062199A (ko)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99A true KR20050062199A (ko) 2005-06-23

Family

ID=3725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01A KR20050062199A (ko)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21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67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US8352993B2 (en) Method for providing view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list of channels viewed by call recipients
CN100518256C (zh) 在数字广播接收终端上显示壁纸的方法
US20100263010A1 (en) Method for setting channel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US20090119712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list and sub-lis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277473B2 (ja) 放送受信装置
JP5185798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番組予約システムおよび番組予約方法
EP2056602A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035668A1 (en) Method of routing an audio/video signal from a television&#39;s internal tuner to a remote device
KR20050062199A (ko) 방송 수신기의 메시지 전달 방법
US7016992B2 (en) Electronic mail system
JPH1132310A (ja) 放送受信装置
JP2006148741A (ja) テレビ電話機能つきテレビジョンセット及びテレビ電話機能つきリモコンセット
EP1763245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therefor
CN101536510B (zh) 查看数据广播的方法和用于实现该方法的接收机
US20040010799A1 (en) Channe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vision having channel reservation function
JP463466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US20050102706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110296A1 (en) Method of watching data broadcast and a receiving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01177818A (ja) 番組再放送要求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20072895A (ko) 셋톱 박스를 이용한 텔레비젼 화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101011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95266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3776758B2 (ja) 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臨時放送サービスの受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