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218A -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218A
KR20050061218A KR1020030093440A KR20030093440A KR20050061218A KR 20050061218 A KR20050061218 A KR 20050061218A KR 1020030093440 A KR1020030093440 A KR 1020030093440A KR 20030093440 A KR20030093440 A KR 20030093440A KR 20050061218 A KR20050061218 A KR 2005006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magnetic stripe
blocks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태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1218A/ko
Publication of KR2005006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장, 현금입출금카드, 직불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에 구비되어 있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두 개의 데이터블록을 상호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정함으로써 판독에러를 감소시켜 보다 판독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2개의 블록으로 기록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의 제1블록의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의 독출데이터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제1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제2블록의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2블록의 독출데이터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제2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 독출데이터와 제2블록 독출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의 독출데이터가 같으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독출단계를 종료하는 한편 두 블록의 데이터가 상이하여 정상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재실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발명임.

Description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Method for reducing data read error for magnetic stripe}
본 발명은 통장, 현금입출금카드, 직불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에 구비되어 있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할 때 발생될 수 있는 판독에러를 감소하기 위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두 개의 데이터블록을 상호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정하도록 하여 판독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보다 판독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는 통장, 현금입출금카드, 직불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이하 통장이라 함)(2) 등의 뒷면에 자성물질로 형성하여 자장변화를 통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는 헤드(3)에 통과시켜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게 되는데, 헤드(3)에 통장(2)이 지나가면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의 자장에 의해 헤드(3)의 코일에 전류가 생성되며, 생성되는 전류는 자장의 극성에 따라 전류가 증가 감소하여 일정하게 나타나게 되고, 이를 증폭회로(4)로 증폭시킨 후 제어부(5)로 입력시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에 수록된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이러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금융자동화기기용 통장(2) 등에 응용된 경우 판독정보는, 예컨대 제어부(5)의 제어하에 통신모듈을 통해 본점의 호스트컴퓨터(7)로 전송되어 유효여부를 인증받게 되며, 아울러 그 결과에 따라 현금입출금모듈, 수표입출금모듈, 인쇄모듈을 동작시켜 소정의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금융권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장(2) 등에 적용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에는 계좌번호와 같은 소유자 고유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정보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두 개의 블록으로 구성하여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수록되는 정보의 구성도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제1블록과 제2블록에 각각 나뉘어 저장되며, 각 블록에는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블록데이터의 패리티 확인부호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에서는 읽혀진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의 데이터는 각각의 블록에 대하여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를 검색하여 형식이 정확히 구성되어 있는 지 확인한 다음, 데이터의 패리티를 편집하여 작성된 패리티 확인부호와 비교한다. 만약 블록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면 하나의 블록만 검색한 다음 형식 및 패리티 부호가 일치하면 데이터는 정상적인 것으로 인정한다. 또한, 만약 블록이 두개로 구성되어 있으면 각각의 블록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인 지 확인한 다음 동일하다면 정상적인 것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패리티 확인부호 작성방법은 자체적으로 오류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블록으로 데이터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독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두개의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면 오독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나 독출에러가 많이 발생하며 하나의 블록만 정상이라면 비교가 불가능하여 판독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동일한 데이터가 2개의 블록에 구성되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할 때 각각의 블록을 2회 독출하여 각 블록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비교함과 아울러 전회 독출 데이터와 금회 독출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정상여부를 판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판독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카드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은,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2개의 블록으로 기록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의 제1블록의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의 독출데이터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제1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제2블록의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2블록의 독출데이터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제2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 독출데이터와 제2블록 독출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의 독출데이터가 같으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독출단계를 종료하는 한편 두 블록의 데이터가 상이하여 정상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재실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이 깨졌다면 재독출한 후 두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블록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그 외에는 재실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단계에서 한 블록 데이터만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독출한 후 두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블록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두 블록 데이터가 상이하면 재독출단계를 수행하는 한편, 한 블록만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블록 데이터의 전회 독출데이터와 금회 독출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 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독출하여 두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현금입출금카드, 직불카드, 신용카드 또는 통장(2)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2개의 블록(제1블록, 제2블록)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불량인 경우를 대비하여 다른 블록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통장(2) 등에 형성되어 있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를 금융자동화기기 등에 구비되어 있는 전용판독기의 헤드(3)에 접촉 통과시키면 자기유도현상에 의하여 헤드(3)의 코일에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지며, 이러한 신호는 증폭회로에서 증폭된 후 제어부(5)로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장에 부착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티켓류, 카드류, 통장류 등과 같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채용하고 그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동일한 내용이 두 개의 블록에 저장된 것을 판독하는 시스템에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5)에서는 입력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의 블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금융거래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는 입력된 두 블록의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1)로부터 읽어들인 두 블록의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블록으로부터 읽어들인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가 제2블록으로부터 읽어들인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와 비교하여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두 블록의 데이터를 정상으로 유효처리하고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독출장치의 기동을 종료한다.
그러나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두 블록의 데이터가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두 블록의 데이터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되면 재독출하여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두 블록의 데이터를 정상으로 유효처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독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에서 1개의 블록 데이터는 정상이고 다른 1개 블록의 데이터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독출한 후 다시 비교하여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두 블록의 데이터를 정상으로 유효처리하고 두 블록의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재독출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재차 반복하도록 하며, 1개 블록의 데이터만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블록의 데이터에 대하여 전회 독출데이터와 금회 독출데이터를 비교한다. 그리하여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두 블록의 데이터를 정상으로 유효처리하는 한편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독출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재차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에 있어 두 블록의 데이터가 손상되지는 않았으나 두 블록의 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독출후 비교하여 두 블록이 동일하면 두 블록의 데이터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두 블록의 데이터를 정상으로 유효처리하는 한편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독출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재차 반복한다.
상기에 있어 블록 데이터를 재독출하는 단계는 필요에 따라 수회 이내로 제한하고 그 실행시기 이내에 유효값이 추출되지 않으면 판독불능 메시지를 송출하고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독출하기 위한 장치들의 기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내용이 2개의 블록으로 나뉘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할 때 그 유효성을 판단함에 있어 2개 블록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재독출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판독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 은 통상의 통장 등에 부착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독출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 형성되는 데이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카드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2 -- 통장,
3 -- 헤드, 4 -- 증폭회로,
5 -- 제어부

Claims (4)

  1.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2개의 블록으로 기록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의 제1블록의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의 독출데이터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제1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제2블록의 시작부호, 데이터부, 종료부호, 패리티 확인부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2블록의 독출데이터에 대한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제2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블록 독출데이터와 제2블록 독출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의 독출데이터가 같으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데이터 독출단계를 종료하는 한편 두 블록의 데이터가 상이하여 정상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재실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이 깨졌다면 재독출한 후 두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블록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그 외에는 재실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에서 한 블록 데이터만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독출한 후 두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블록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두 블록 데이터가 상이하면 재독출단계를 수행하는 한편, 한 블록만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블록 데이터의 전회 독출데이터와 금회 독출데이터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에서 두 블록 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독출하여 두 블록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 동일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KR1020030093440A 2003-12-18 2003-12-18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KR20050061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40A KR20050061218A (ko) 2003-12-18 2003-12-18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440A KR20050061218A (ko) 2003-12-18 2003-12-18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18A true KR20050061218A (ko) 2005-06-22

Family

ID=3725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440A KR20050061218A (ko) 2003-12-18 2003-12-18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12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735A (en) * 2010-08-13 2012-02-15 Alexandru Ion Sovu Data recovery for a magnetic stripe rea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2735A (en) * 2010-08-13 2012-02-15 Alexandru Ion Sovu Data recovery for a magnetic stripe rea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1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coding a magnetic stripe
US7689025B2 (en) Optical reading apparatus,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 reading method and program, magnetic ink character reading apparatus, and POS terminal apparatus
US6243504B1 (en) Integrated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050281449A1 (en) Magnetic ink character reading method and program
EP130579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ed magnetic coding density by precise placement of magnetic transitions
US20010011944A1 (en) Card validating apparatus
US6585155B2 (en) IC card, IC card issuing apparatus, IC card issuing system and IC card issuing method
KR20050061218A (ko)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의 데이터 오독 감소방법
JP2005165916A (ja) 磁気icカード処理装置
JP2004303162A (ja) 情報読み取り装置、情報読み取り装置用プログラム
JP5061723B2 (ja) 磁気記録装置
JP6585135B2 (ja) 自動取引装置
JP6353128B1 (ja) 自動取引装置
JP4115298B2 (ja) 媒体読取装置及び媒体読取方法
JP2007188572A (ja) 通帳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通帳取引装置
JP2008020990A (ja) 磁気ストライプの書込読取方法、書込読取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2170081A (ja) 磁気・icカード兼用リーダ・ライタの制御方法
JP2016143168A (ja) 通帳プリンタ、自動取引装置、msデータ復元システム及びmsデータの復元方法
JPH1079073A (ja) 磁気ストライプデータ処理方法
JPS62103765A (ja) カ−ド読取り方式
JPH04310141A (ja) 金融機関の端末における時系列記録方式
JPH08147400A (ja) コード化した文書の正確性の確認方法
JP2009070072A (ja) 情報記憶媒体及びこの情報記憶媒体に適用される動作制御方法
JP2004013756A (ja) カード発行におけるカード券種保証システム
JPH01214989A (ja) 情報記録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