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846A - 차량안전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안전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846A
KR20050060846A KR1020030092574A KR20030092574A KR20050060846A KR 20050060846 A KR20050060846 A KR 20050060846A KR 1020030092574 A KR1020030092574 A KR 1020030092574A KR 20030092574 A KR20030092574 A KR 20030092574A KR 20050060846 A KR20050060846 A KR 2005006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per
unit
driver
war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0846A/ko
Publication of KR2005006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8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충돌경보장치, 차선이탈경보장치 또는 자동순항제어장치(ACC) 등의 차량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가 올 경우에 차량와이퍼 조작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여 와이퍼의 작동상태에 따라 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하는 차량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안전경보시스템 { A safe warning system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충돌경보장치, 차선이탈경보장치 또는 자동순항제어장치(ACC) 등의 차량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가 올 경우에 차량와이퍼 조작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여 와이퍼의 작동상태에 따라 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하는 차량안전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운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사고로부터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벨트나 에어백과 같은 사후안전수단에서 벗어나, 운전 중에 사고를 예측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로는 차량충돌경보장치, 차선이탈경보장치, 자동순항제어장치(ACC) 등이 있다.
차량충돌경보장치는 차량 전방에 레이더센서를 설치하여 계산된 다른 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속도와, 각종 차량신호정보(차속, 설정차간거리 등)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 후 충돌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보장치(경보음, 디스플레이 등)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이다.
차선이탈경보장치는 윈드실드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한 영상정보와 각종 차량신호정보(방향지시등, 차속 등)를 이용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이탈이 예측되면, 운전자의 안전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장치이다.
자동순항제어장치(Auto Cruise Control)는 차량 전방에 레이더센서를 설치하여 계산된 다른 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속도와, 각종 차량신호정보(차속, 설정차간거리, 설정차속 등)를 바탕으로 엔진, 변속기, 브레이크 등을 이용하여 전방차량과의 차간거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약 40km/h~100km/h 사이에서 운전자의 희망하는 차속으로 세팅 스위치를 누르면 그때의 차속을 컴퓨터가 기억하여 그 이후로는 엑셀 페달을 밟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설정 차량 속도를 유지하며 주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리는 날에는 상기 레이더센서 또는 카메라의 성능 저하로 인하여 전방차량의 인식률 또는 차선 인식률이 급격하게 떨어져 전방차량 또는 차선의 미인식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가 많이 내릴 경우에는 와이퍼의 작동신호에 따라 각종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은, 각종 센서에 의해 차량의 상태 및 운전환경을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 디스플레이 등을 나타내는 출력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력부에는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와이퍼작동감지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와이퍼가 연속모드인 경우 즉 비가 많이 올 경우에는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전원을 OFF시키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은 차량충돌경보장치에 적용한 것이고, 실시예 2는 차선이탈경보장치에 적용한 것이고, 실시예 3은 자동순항제어장치에 적용한 것이며, 실시예 4는 상기한 차량충돌경보장치, 차선이탈경보장치 및 자동순항제어장치를 종합적으로 통합하여 적용한 것이다.
실시예 1(차량충돌경보장치)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충돌경보장치는 크게 입력부(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전원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110)는 각종 센서에 의해 차량의 상태 및 운전환경을 감지하는데, 이에는 레이더센서(111), 차속센서(115), 와이퍼작동감지센서(116) 및 설정차간거리(117)가 있다.
상기 레이더센서(111)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의 다른 차량에 레이저빔을 발사하여 전방차량의 후미등 주위에 부착된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된 후에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자차(自車)와 전방차량과의 차간거리 및 자차의 상대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차속센서(115)는 자차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116)는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 또는 와이퍼의 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차간거리(117)는 자동차 설계시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검사한 후 설정된 차간거리이거나, 또는 운전자가 임의로 필요한 차간거리를 입력하여 것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출력부(130)에 제어신호를 발한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데, 이에는 경보음발생부(132) 또는 디스플레이부(131) 등에 의해 경보음이나 디스플레이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40)는 본 장치인 차량충돌경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행중 자차와 전방의 다른 차량의 차간거리가 설정차간거리(117)보다 작으면 경보음이 발생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게 된다.
비가 올 경우에는 운전자가 와이퍼를 작동시키는데, 그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116)가 감지하게된다.
이때, 비가 많이 내려 와이퍼가 연속모드(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가 많은 상태 또는 와이퍼의 작동주기가 짧은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레이더센서(111)의 성능이 저하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차량충돌경보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전원부(140)에 명령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부(130)에도 제어명령을 하여 본 장치인 차량충돌경보장치가 OFF되었다는 것을 경보음발생부(132) 또는 디스플레이부(131)를 이용하여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전방차량 인식률의 성능이 저하된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신중하게 운전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한 센서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센서를 더 설치하여 더욱 정확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차선이탈경보장치)
도 2는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이탈경보장치는 크게 입력부(210), 제어부(220), 출력부(230), 전원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210)는 각종 센서에 의해 차량의 상태 및 운전환경을 감지하는데, 이에는 카메라(211), 차속센서(215), 와이퍼작동감지센서(216) 및 방향지시등감지센서(217)가 있다.
상기 카메라(CCD/CMOS 카메라, 211)는 윈드실드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자차의 전방환경을 촬영하게 되고, 이 촬영된 화상신호를 영상필터(ASIC, 212)와 영상버퍼(SRAM, 213)를 거쳐 디지털신호처리부(DSP, 214)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214)는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차선의 구별, 라인 상에서의 자차의 위치 등을 구별·산출하여 상기 제어부(2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차속센서(215)는 자차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2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216)는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 또는 와이퍼의 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2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지시등감시센서는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입력부(210)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출력부(230)에 제어신호를 발한다.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데, 이에는 경보음발생부(232) 또는 디스플레이부(231) 등에 의해 경보음이나 디스플레이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240)는 본 장치인 차량충돌경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행중 차량이 방향지시등이 켜지는 않은 상태에서 주행차선으로부터 이탈이 예상되면 상기 제어부(220)는 운전자의 안전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230)에 제어명령을 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게 된다.
비가 올 경우에는 운전자가 와이퍼를 작동시키는데, 그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216)가 감지하게된다.
이때, 비가 많이 내려 와이퍼가 연속모드(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가 많은 상태 또는 와이퍼의 작동주기가 짧은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카메라(211)의 차선인식율 성능이 저하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차선이탈경보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전원부(240)에 명령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출력부(230)에도 제어명령을 하여 본 장치인 차선이탈경보장치가 OFF되었다는 것을 경보음발생부(232)나 디스플레이부(231)를 이용하여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주행차선 인식률의 성능이 저하된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신중하게 운전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한 센서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센서를 더 설치하여 더욱 정확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3(자동순항제어장치)
도 3은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충돌경보장치는 크게 입력부(310), 제어부(320), 출력부(330), 전원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310)는 각종 센서에 의해 차량의 상태 및 운전환경을 감지하는데, 이에는 레이더센서(311), 차속센서(315), 와이퍼작동감지센서(316), 설정차간거리(317) 및 설정차속(318)이 있다.
상기 레이더센서(311)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의 다른 차량에 레이저빔을 발사하여 전방차량의 후미등 주위에 부착된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된 후에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자차와 전방차량과의 차간거리 및 자차의 상대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3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차속센서(315)는 자차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316)는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 또는 와이퍼의 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차간거리(317)와 설정속도는 자동차 설계시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검사한 후 설정된 차간거리와 속도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운전자가 임의로 필요한 상기 차간거리와 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입력부(310)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호 비교하여 차량의 속도와 차간거리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출력부(330)에 제어신호를 발한다.
상기 출력부(330)는 두 가지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차속과 차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동력전달 및 제동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첫 번째 수단은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경보음발생부(332)와 화면상으로 상황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31)가 있으며, 상기한 두 번째 수단은 차량의 엔진, 변속기(336), 브레이크(337)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340)는 본 장치인 차량충돌경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행중 자차와 전방의 다른 차량의 차간거리가 설정차간거리(317)보다 크거나 작으면 엔진(336), 브레이크(337) 등을 이용하여 차속을 조절하고,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하고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게 된다.
비가 올 경우에는 운전자가 와이퍼를 작동시키는데, 그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316)가 감지하게된다.
이때, 비가 많이 내려 와이퍼가 연속모드(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가 많은 상태 또는 와이퍼의 작동주기가 짧은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320)는 레이더센서(311)의 성능이 저하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자동순항제어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전원부(340)에 명령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출력부(330)에도 제어명령을 하여 본 장치인 자동순항제어장치가 OFF되었다는 것을 경보음발생부(332) 또는 디스플레이부(331)를 이용하여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전방차량 인식률의 성능이 저하된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신중하게 운전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310)는 상기한 센서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센서를 더 설치하여 더욱 정확하게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통합된 장치)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차량충돌경보장치, 차선이탈경보장치 및 자동순항제어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와이퍼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술한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비가 많이 내려 와이퍼가 연속모드(단위시간당 와이퍼의 작동횟수가 많은 상태 또는 와이퍼의 작동주기가 짧은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레이더센서 또는 카메라의 성능이 저하되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장치들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전원부에 명령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도 제어명령을 하여 장치들이 OFF되었다는 것을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안전경보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가 많이 오는 날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을 와이퍼의 작동상태에 따라 제어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와이퍼가 연속모드로 작동할 경우 상기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고 그 상황을 운전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빗길 운전시 미인식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빗길 운전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본래 목적인 운전자 중심 및 주행보조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셋째, 별도의 부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기존 부품인 와이퍼를 입력신호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에 따른 비용 부담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안전경보시스템의 실시예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 입력부, 111, 311 : 레이더센서,
115, 215, 315 : 차속센서, 116, 216, 316 : 와이퍼작동감지센서,
117, 317 : 설정차간거리, 120, 220, 320 : 제어부,
130, 230, 330 : 출력부, 131, 231, 331 : 디스플레이부,
132, 232, 332 : 경보음발생부, 140, 240, 340 : 전원부,
211 : 카메라, 212 : 영상필터,
213 : 영상버퍼, 214 : 디지털신호처리부,
217 : 방향지시등감지센서, 318 : 설정차속,
336 : 엔진, 변속기, 337 : 브레이크.

Claims (2)

  1. 차량충돌경보장치, 차선이탈경보장치 또는 자동순항제어장치(ACC) 등의 차량안전경보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센서에 의해 차량의 상태 및 운전환경을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 디스플레이 등을 나타내는 출력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입력부에는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와이퍼작동감지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퍼작동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전경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와이퍼가 연속모드인 경우에 전원을 OFF시키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안전경보시스템.
KR1020030092574A 2003-12-17 2003-12-17 차량안전경보시스템 KR20050060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574A KR20050060846A (ko) 2003-12-17 2003-12-17 차량안전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574A KR20050060846A (ko) 2003-12-17 2003-12-17 차량안전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846A true KR20050060846A (ko) 2005-06-22

Family

ID=3725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574A KR20050060846A (ko) 2003-12-17 2003-12-17 차량안전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08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97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만도 차량 충돌 경고 방법 및 장치
CN106205164A (zh) * 2016-08-30 2016-12-07 张文斌 交通安全警示系统
JP2018122806A (ja) * 2017-02-03 2018-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97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만도 차량 충돌 경고 방법 및 장치
CN106205164A (zh) * 2016-08-30 2016-12-07 张文斌 交通安全警示系统
JP2018122806A (ja) * 2017-02-03 2018-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268B2 (en) Inter-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nd inter-vehicle management method
US7375620B2 (en) Speed-sensitive rear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system
US8681016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US10689005B2 (en) Traveling assist device
US7205888B2 (en) Driving assis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ular collision
US200800157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in identifying road bumps
US2013021168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Assist Device and Brake Assist Device for a Vehicle
US20120101711A1 (en) Collision Warning Apparatus
US10377354B2 (en) Vehicle speed management apparatus and vehicle speed management method
JP2005149021A (ja) 衝突可能性判定装置
CN109844842B (zh) 驾驶模式切换控制装置、系统、方法以及存储介质
GB2486559A (en) Driver assistance system that detects a stop line using a vehicle mounted camera and automatically stops the vehicle at the stop line
GB2484794A (en) Determining a restricted detection range of a sensor of a vehicle
US10059340B2 (en) Starting control device and starting control method
JP6614353B2 (ja) 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US2017017421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CN112428953A (zh) 一种盲区监测报警方法及装置
WO2020008225A1 (ja) 走行支援方法および走行支援装置
JP2006252148A (ja) 車両用制御装置
US20090005948A1 (en) Low speed follow operation and control strategy
JP2020013437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US20200164801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KR20110083841A (ko) 차량의 안전장치
US11970167B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KR20050060846A (ko) 차량안전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