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998A - 어댑터 장치 - Google Patents

어댑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998A
KR20050059998A KR1020040104729A KR20040104729A KR20050059998A KR 20050059998 A KR20050059998 A KR 20050059998A KR 1020040104729 A KR1020040104729 A KR 1020040104729A KR 20040104729 A KR20040104729 A KR 20040104729A KR 20050059998 A KR20050059998 A KR 2005005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type information
mode
adapter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무라신이찌
우시지마가즈후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여러 가지의 기기에 대하여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용형의 어댑터 장치를 제안한다. 기기에 어댑터(200)를 장착하면, 메인 처리부(202)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기기로부터 기기 종별 정보가 회신된다.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로부터, 해당 기기의 기기 종별을 검출한다. 기기가 PC 이외의 것이면,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 완료한 오브젝트가 해당 기기에 대응하는지를 판별하여, 대응하고 있으면, 해당 오브젝트에 의한 네트워크 처리를 실행한다. 대응하지 않으면, 기기로부터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를 기기 정보 보유부(204)에 보유한다. 그 후, 어댑터(200)를 PC에 장착하면, 기기 정보 보유부(204) 중의 기기 종별 정보가 PC에 송신된다. 이에 의해, 대응 오브젝트가 회신되면, 이것을, 네트워크 통신부(206)의 오브젝트에 재기입한다.

Description

어댑터 장치{ADAPTER DEVICE}
본 발명은, 기기에 장착함으로써 기기에 홈 네트워크 기능을 부여하는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내 기기를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하는, 소위 네트워크 가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규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홈 서버 등의 컨트롤러를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컨트롤러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컨트롤러와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은, ECHONET, UPnP, SCP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통신망으로서는,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선이나 무선 통신망 등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기기의 콘센트와 컨트롤러의 콘센트를 각각 전원 터미널에 접속함으로써, 기기와 컨트롤러가 급전선 등을 통하여 접속된다. 혹은, 각 기기 및 컨트롤러에 배치된 무선 처리 수단을 통하여 각 기기가 접속된다.
이들 기기 중에는, 미리 네트워크 가전으로서의 사용에 대응한 기능·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해당 기기를 네트워크 대응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네트워크 대응으로서의 코스트분만큼 기기 코스트가 품질에 비해 비싸게 된다.
그래서, 다른 방식(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으로서, 어댑터 장치를 별도로 준비하여, 해당 어댑터 장치를 기기에 장착함으로써, 후장착적으로, 기기에 네트워크 대응으로서의 기능을 부가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를 접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어댑터 장치에 실장해 놓고, 이 어댑터 장치를 매개시킴으로써,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해당 기기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기기 본체의 코스트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기기를 네트워크 대응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싸다는 느낌의 억제와 편리성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3-283503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통상, 기기마다 전용의 어댑터 장치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사용 형태에서도 반드시 어댑터 장치의 구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기기를 네트워크 대응으로서 사용해 보고 나서, 그 편리성을 확인하고, 그 후에, 네트워크 대응으로 할지를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의 어댑터 장치가 별도로 준비되어 있으면, 이러한 경우에도, 어댑터 장치를 구입해야만 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해당 기기를 네트워크 대응으로 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면, 구입한 어댑터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외출 시나 취침 시 등, 기기를 일시적으로 네트워크 대응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별도로, 어댑터 장치를 구입해야만 하는 것으로 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이 손상된다. 일시적인 사용을 위해 일부러 어댑터를 구입하는 것은 코스트적으로도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기기를 재구입하는 경우에는, 구 기기의 어댑터 장치는 이내 쓸모없게 된다. 사용자는, 새로운 기기의 구입에 더불어, 어댑터 장치도 별도 구입해야한다. 이러한 국면에서도, 사용자는, 편리성의 악화 혹은 코스트의 낭비, 비싸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어댑터 장치를 범용형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기기에 적절하게 두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에 의해, 비싸다는 느낌을 억제하면서, 네트워크 대응으로서 기기를 사용하는 국면을 확장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 그 결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급·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기기에 대하여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하며 유용한 어댑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어댑터 장치를 간소한 구성에 의해, 또한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제1 발명은, 기기에 장착함으로써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기능을 부여하는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기기에 네트워크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함과 함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하여 해당 기기용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컨트롤러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과, 장착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기기 통신 수단과, 상기 컨트롤러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통신 수단과, 상기 기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착처 기기로부터 기기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종별 정보 취득 수단과,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를 보유하는 기기 종별 정보 보유 수단과,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수단과,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모드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설정된 동작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를 실행함과 함께, 해당 처리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기기 통신 수단 또는 상기 컨트롤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착처 기기 또는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재기입 모드일 때, 상기 장착처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기 종별 정보 보유 수단에 보유된 기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요구를 발함과 함께,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장착처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소프트웨어에 재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수단은,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장착처 기기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재기입 처리를 실행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판별 결과가 재기입 가능 기기일 때에는 동작 모드를 재기입 모드로 설정하고, 재기입 가능 기기가 아닐 때에는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설정된 동작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당 장착처 기기로부터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정합하는지를 판별하여, 해당 소프트웨어가 해당 기기 종별 정보에 정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적합 여부를 외부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당 장착처 기기로부터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정합하지 않을 때, 상기 통지 수단을 통하여 그 취지를 통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재기입 모드일 때, 상기 장착처 기기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송신 가능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기기 종별 정보 보유 수단에 보유된 기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요구를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장착처 기기로부터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 중에 소정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장착처 기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은, 제5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장착처 기기측의 커넥터에 접합하는 커넥터 중, 소정의 핀 위치로부터의 데이터를 감시함으로써, 해당 장착처 기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은, 제5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전환되는 스위치를 더 배치하고,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해당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해당 장착처 기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은, 제5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장착처 기기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가능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때, 상기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송신 가능 상태」란, 장착처 기기가 소프트웨어의 송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 외에, 장착처 기기에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재기입에 필요한 기능(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있는 상태, 혹은 해당 기능은 기동되어 있지 않지만, 해당 기능은 구비하고 있고 이것이 개시되면 소프트웨어의 재기입이 가능한 상태를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된다. 단, 이하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이고, 본 발명 내지 각 구성 요건의 용어의 의의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컨트롤러(PC : 퍼스널 컴퓨터)(100)는 ECHONET, UPnP, SCP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한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급전선이나 무선 통신망(홈 네트워크)을 통하여, 에어컨이나 DVD 장치 등의 기기(기기 1, 2, 3)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기기는, 어댑터 장치(이하, 「어댑터」라고 함)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장착된 어댑터에 해당 기기용의 소프트웨어가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네트워크 대응으로서 작동한다.
또, 어댑터에는, 초기 상태에서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실장되어 있지 않고, 혹은 특정한 기기만을 네트워크 대응으로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미리 실장되어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다른 기기용의 소프트웨어가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댑터를 그대로 장착하여도,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대응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없다. 네트워크 대응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때에는, 사용자는, 예를 들면 PC(컨트롤러(100) 등)를 통하여, 어댑터에 해당 기기용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한다. 또한, 어떤 기기용의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어댑터를 다른 기기에 장착한 경우에는, 어댑터는 정지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PC를 통하여, 어댑터에 이미 실장 완료한 소프트웨어를, 해당 기기용의 소프트웨어에 재기입할 필요가 있다.
또, 어댑터에 실장되는 소프트웨어는, 컨트롤러(100)로부터의 커맨드를 접수하여 기기용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상태 통지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로부터 컨트롤러(100)가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예를 들면, 에어컨용이면, 온도의 조정, 운전 모드(냉방, 난방 등), 전원 ON/OFF 등의 커맨드를 컨트롤러(100)로부터 접수하여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한 기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현재의 운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용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에는, 자신이 어떤 기기용의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기 종별 정보(메이커명, 품번, 기기 그룹 등)가 포함되어 있다. 이 기기 종별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가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 실장 완료한 소프트웨어가 해당 기기용의 것인지 등을 확인할 때에 참조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3에, 어댑터(200)와 기기(30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 어댑터(200) 및 기기(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그 밖의 LSI 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메모리에 로드된 기록 제어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 등으로 실현된다. 도 2 및 도 3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 어댑터(200) 및 기기(300)의 기능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단, 이들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혹은 이들의 조합 등,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어댑터(200)는, 표시부(201)와, 메인 처리부(202)와,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와, 기기 정보 보유부(204)와, 재기입 처리부(205)와,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와, 통신 제어부(207)와, 시리얼 I/F(인터페이스)(208)와, I/F 커넥터(209)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네트워크 대응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하, 「오브젝트」라고 함)는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는, 컨트롤러(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한 테이블 및 프로그램(테이블 프로그램)과,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커맨드)로부터 대응 기기에 대한 데이터(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대응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상태 통지/문의에 대한 응답)로부터 컨트롤러(100)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변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에는, 접수하여 얻은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나,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보유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 프로그램은, 해당 테이블에 기술된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커맨드)만 접수하여 얻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변환 프로그램은, 해당 테이블에 기술된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상술한 데이터 생성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100)로부터 데이터(커맨드)를 수신하면, 우선, 해당 데이터(커맨드)의 데이터 타입(커맨드 타입)이 상기 테이블에 기술되어 있는지가 판별되어, 기술되어 있으면, 해당 데이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취득된다. 그리고, 이 데이터로부터, 대응 기기 제어용의 데이터가 생성되어 기기측으로 송신된다. 한편, 기기측으로부터 데이터(상태 통지/문의에 대한 응답)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 데이터가, 상기 변환 프로그램에 의해서, 대응하는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타입 등, 컨트롤러(100)측에서 해석하기 위한 데이터가 부가되어, 컨트롤러(100)측으로 송신된다.
또, 기기측으로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때, 혹은 기기측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테이블 내의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이러한 송수신의 내용에 대응하여 재기입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각 부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201)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를 구비하여,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된 오브젝트가 해당 기기용의 것이 아닌 경우에, 그 취지를, 발광 소자의 점등에 의해 표시한다. 또, 이러한 표시는, 발광 소자의 점등 외에, 통지음의 출력 등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메인 처리부(202)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또, 메인 처리부(202)에서의 제어 처리의 내용은 이하에 나타내는 각 기능부의 설명에서 순차적으로 밝힌다.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기기(300)측으로부터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메이커명, 품번, 기기 그룹 등) 중, "기기 그룹"을 참조하여, 기기(300)의 기기 종별을 검출하고, 검출한 기기 종별에 따라서 어댑터(200)의 동작 모드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그룹"이 PC이면, 오브젝트의 재기입 모드라고 판별하고, PC 이외이면, 통상 모드라고 판별한다.
또, 이러한 판별 결과는 메인 처리부(202)에 송신된다. 메인 처리부(202)는, 수신한 판별 결과가 통상 모드일 때에는,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의한 네트워크 대응 동작을 실행한다. 즉, 컨트롤러(100)로부터의 커맨드를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된 오브젝트에 의해 처리하여,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기(300)측에 송신한다. 또한, 기기(300)측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상태 통지/문의에 대한 응답)를 오브젝트에 의해 처리하여, 컨트롤러(100)에서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컨트롤러(100)에 송신한다.
또,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로부터 수신한 판별 결과가 재기입 모드일 때에는, 재기입 처리부(205)에 의한 재기입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재기입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와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기기 종별 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정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그 판별 결과를 메인 처리부(202)에 송신함과 함께, 양자가 정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기(300)측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기 종별 정보를 기기 정보 보유부(204)에 보유시킨다.
또, 메인 처리부(202)는, 수신한 판별 결과가 "비정합"인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의한 통상 모드 동작을 정지시킨다. 즉,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로부터 수신한 동작 모드의 판별 결과가 "통상 모드"이더라도, 또한 수신한 상기 정합/비정합의 판별 결과가 "비정합"이라면, 통상 모드에 의한 동작을 정지한다. 이 때, 메인 처리부(202)는 표시부(201)에 대하여 발광 소자의 점등 명령을 발한다. 이에 의해, 오브젝트 부적합을 나타내는 표시가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된다.
재기입 처리부(205)는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재기입할 때의 처리를 행한다.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는 통신 제어부(207)를 통하여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한 커맨드를 오브젝트에 따라서 처리하여, 기기(300)에 대응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제어 데이터를, 시리얼 I/F(208)를 통하여 기기(300)측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207)는, ECHONET, UPnP, SCP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홈 네트워크에 대한 통신 제어를 행한다. 시리얼 I/F(208)는 I/F 커넥터(209)를 통한 데이터 수수를 제어한다. I/F 커넥터(209)는, 어댑터(200)가 기기(300)측의 슬롯 등에 장착되었을 때에, 기기(300)측의 커넥터와 접합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또, 어댑터(200)와 기기(300)가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는, I/F 커넥터(209)는 해당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기기(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300)는, 피제어부(301)와, 입력부(302)와, 메인 처리부(303)와, 기기 종별 응답 처리부(304)와, 기기 정보 보유부(305)와, 시리얼 I/F(306)와, I/F 커넥터(307)를 구비하고 있다.
피제어부(301)는 해당 기기의 주된 기능을 실행하는 회로, 기구 등으로 구성되고, 메인 처리부(303)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입력부(302)는 입력 패널이나 리모콘 수신부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명령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메인 처리부(303)에 송신한다. 메인 처리부(303)는 입력부(302) 또는 시리얼 I/F(306)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피제어부(301)를 제어함과 함께,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기기 종별 응답 처리부(304)는, 시리얼 I/F를 통하여 어댑터(200)로부터 기기 종별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 기기 정보 보유부(305)에 보유되어 있는 기기 종별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을 어댑터(200)측에 송신한다. 기기 정보 보유부(305)는 해당 기기의 기기 종별 정보(메이커명, 품번, 기기 그룹 등)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서, "기기 그룹"이란, 공조기, PC 등, 해당 기기의 기기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시리얼 I/F(306)는 I/F 커넥터(307)를 통한 데이터 수수를 제어한다. I/F 커넥터(307)는 어댑터(200)가 기기(300)측의 슬롯 등에 장착되었을 때에, 어댑터(200)측의 커넥터와 접합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또, 어댑터(200)와 기기(300)가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는, I/F 커넥터(209)는 해당 케이블의 커넥터 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어댑터(200)의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댑터(200)가 기기(300)에 장착되어, 어댑터(200)가 기동되면, 메인 처리부(202)는, 시리얼 I/F(208)를 통하여, 기기 종별 정보의 송신 요구를 기기(300)측에 송신한다(S101). 이에 대하여, 기기(300)로부터 기기 종별 정보가 회신되어 오면, 다음에,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 그룹"을 참조하여, 장착처 기기(300)의 기기 종별을 판별한다(S102). 여기서, 장착처 기기(300)가 PC 이외이면(S102 : "아니오"),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로서 판별하고, 이것을 메인 처리부(202)에 송신한다.
계속해서,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오브젝트가 실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고(S103), 실장되어 있지 않으면(S103 : "아니오"), 그 취지를 메인 처리부(202)에 통지함과 함께, 장착처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를 기기 정보 보유부(204)에 보유시킨다(S108). 메인 처리부(202)는, 이러한 통지를 받아, 표시부(201)에 표시 명령을 발함과 함께,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의한 처리를 중지시킨다.
한편,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오브젝트가 실장되어 있으면(S103 : "예"),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장착처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와, 오브젝트의 기기 종별 정보를 비교하고(S104), 양자가 정합하는지를 판별한다(S105). 이러한 판별 결과는 메인 처리부(202)에 송신된다.
이러한 판별 결과가 "비정합"일 때(S105 : "아니오"), S108로 진행하여 상술한 처리를 행한다. 즉, 장착처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를 기기 정보 보유부(204)에 보유시키고(S108), 표시부(201)에 표시 명령을 발하여,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의한 처리를 중지시킨다.
한편, 판별 결과가 "정합"일 때(S105 : "예"), 메인 처리부(202)는 통상 모드에 의한 처리 동작을 실행시킨다(S106). 즉,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기초로, 컨트롤러(100)로부터의 커맨드를 처리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 출력한다. 또한, 기기(300)측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상태 통지/문의에 대한 응답)를 오브젝트에 의해 처리하여, 컨트롤러(100)에서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 출력한다.
이러한 통상 모드에 의한 처리 동작은, 어댑터(200)로의 통전이 차단되는 등의 종료 처리가 행하여질 때까지 유지된다(S107). 또, 이러한 종료 처리 후, 재차, 개시 처리(통전 재개 등)가 행하여졌을 때에는, S101로 되돌아가,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오브젝트의 재기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처 기기(300)가 PC일 때(S102), 재기입 처리부(205)는 재기입 요구 유무 문의를 기기(300)측에 송신한다(S111). 이것을 받아, 기기(PC)(300)로부터, 재기입 요구가 회신되면(S112 : "예"), 재기입 처리부(205)는,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에 대하여, 기기 정보 보유부(204)에 보유되어 있는 기기 종별 정보의 송신 요구를 발한다. 이것을 받아,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203)는 기기 정보 보유부(204)로부터 기기 종별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을 시리얼 I/F(208)를 통하여 기기(PC)(300)에 송신한다(S113).
기기(PC)는, 수신한 기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예를 들면 미리 저장해 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이것을 어댑터(200)에 송신한다. 또,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하여 대응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취득하는 방법이나, CD-ROM 등의 미디어에 보유된 데이터를 인스톨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기기(PC) 상에 구축될 수 있다.
기기(PC)(300)로부터 오브젝트의 다운로드가 개시되면(S114), 재기입 처리부(205)는, 이미 실장 완료한 오브젝트를 소거함과 함께, 수신한 오브젝트를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206)에 실장하는 처리를 행한다(S115). 그리고, 모든 오브젝트의 실장이 완료하면(S116), 재기입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재기입 후, 어댑터(200)가 기기(300)에 장착되면, 상기 S101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 어댑터(200)에 실장된 오브젝트가, 해당 기기(300)의 기기 종별에 대응하고 있으면, S102∼S106의 처리에 의해, 통상 모드가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해당 기기(300)는 네트워크 대응 기기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상기 S112에서, 재기입 요구가 일정 시간 내에 회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재기입 불가의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처리를 중단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장착처 기기(PC)가 재기입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통상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장착처 기기(PC)를 통상의 네트워크 대응 기기라고 간주하여, 설정 모드를 재기입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한다. 혹은, 장착처 기기(PC)에 대하여, 통상 모드로 이행할지를 문의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대응으로 하고자 하는 기기에 어댑터를 장착한 후, 이 어댑터를 PC에 장착한다고 한 간편한 조작에 의해, 해당 기기에 대응한 오브젝트를 어댑터에 실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어댑터를 해당 기기에 재차 장착함으로써,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대응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적절하게, 어댑터를 그 기기에 대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네트워크 대응의 확장성을 더욱 넓힐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도 4의 S111 및 S112에서, 기기(PC)(300)에 대하여 재기입 요구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였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확인 처리를 생략하고, 즉시, 오브젝트의 취득 처리(S113)로 이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101에 의한 기기 종별의 문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수한 기기 코드를 회신함으로써, 해당 기기(PC)(300)가 오브젝트의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어댑터(200)에 검지시키도록 한다. 즉, S101에 대한 응답 중에, 특수한 기기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도 4의 S111 및 S112의 처리를 생략하여, 즉시, S11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고, 이러한 특수한 기기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도 4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S111 및 S112에 의한 재기입 요구 유무의 확인 처리를 행한 후, S11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문의와 응답의 처리를 생략할 수 있고, 더욱 원활한 재기입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특수한 기기 코드에 의해서, 오브젝트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것이 일의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경우에는, S111 및 S112에 의한 재기입 요구 유무의 확인 처리를 생략하여, 즉시, 처리의 중단 혹은 상술한 통상 모드로의 이행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혹은, 이와 같이 특수한 기기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 대신에, I/F 커넥터(209)에 전용 핀을 설정하고, 이 전용 핀에 대한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서, 기기(PC)(300)측이 오브젝트의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전용 핀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재기입 처리부(205)에 제공하고, 이에 의해, 기기(PC)(300)측이 오브젝트의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도록 한다. 이 경우, 자신이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기(PC)(300)로부터 해당 전용 핀에 공급된다.
또, 이 경우에서도, 전용 핀에 공급되는 데이터에 의해서, 오브젝트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것이 일의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경우에는, S111 및 S112에 의한 재기입 요구 유무의 확인 처리를 생략하여, 즉시, 처리의 중단 혹은 상술한 통상 모드로의 이행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혹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200)에 메커니컬 스위치(210)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이 스위치를 온으로 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기기(PC)(300)가 오브젝트의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기(PC)(300)가 오브젝트의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 메커니컬 스위치(210)를 온으로 하여 어댑터(200)를 기기(PC)(300)에 장착한다. 혹은, 어댑터(200)가 장착되는 슬롯 등에 돌기를 배치하여, 어댑터(200)를 슬롯에 장착함으로써 메커니컬 스위치(210)가 자동적으로 ON으로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재기입 가능 상태에 있는 기기(PC)(300)에만, 어댑터의 장착부에 돌기가 배치되게 된다.
또, 이 경우에서도, 메커니컬 스위치(210)의 ON/OFF에 의해서, 오브젝트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것이 일의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경우에는, S111 및 S112에 의한 재기입 요구 유무의 확인 처리를 생략하여, 즉시, 처리의 중단 혹은 상술한 통상 모드로의 이행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에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를, 컨트롤러(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한 테이블 및 프로그램(테이블 프로그램)과,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커맨드)로부터 대응 기기에 대한 데이터(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대응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상태 통지/문의에 대한 응답)로부터 컨트롤러(100)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변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이러한 오브젝트 전체를, 기기에 따라 재기입하도록 하였지만, 이 중, 변환 프로그램이 모든 기기에 대하여 범용적인 것이면, 테이블과 테이블 프로그램만을 기기에 따라 재기입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테이블 프로그램이 범용적인 것이면, 테이블만을 재기입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대응으로 하고자 하는 기기에 어댑터 장치를 장착한 후, 이 어댑터 장치를 PC 등의 소프트웨어 재기입 기기에 장착한다고 한 간편한 조작에 의해, 네트워크 대응으로 하고자 하는 기기에 대응한 소프트웨어를 어댑터 장치에 실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어댑터 장치를 네트워크 대응으로 하고자 하는 기기에 재차 장착함으로써,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대응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적절하게, 어댑터 장치를 그 기기에 대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추구되면서, 네트워크 대응의 확장성을 더욱 넓힐 수 있다.
또한, 제4 발명과 같이, 실장 완료한 소프트웨어가 해당 장착처 기기에 대응한 것이 아닌 경우에,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 내지 제8 발명과 같이, 장착처 기기가 소프트웨어의 송신 대기 상태에 있을지에 따라서, 장착처 기기에 대한 확인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면, 소프트웨어 재기입 시의 처리를 효율화할 수가 있어, 원활한 재기입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어댑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기(3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어댑터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어댑터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어댑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어댑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트롤러
200 : 어댑터
201 : 표시부
202 : 메인 처리부
203 : 기기 종별/동작 모드 검출 처리부
204 : 기기 정보 보유부
205 : 재기입 처리부
206 : 네트워크 통신 처리부
208 : 시리얼 I/F
209 : I/F 커넥터
210 : 메커니컬 스위치

Claims (9)

  1. 기기에 장착함으로써 해당 기기에 네트워크 기능을 부여하는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기기에 네트워크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함과 함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하여 해당 기기용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컨트롤러용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과,
    장착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기기 통신 수단과,
    상기 컨트롤러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통신 수단과,
    상기 기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착처 기기로부터 기기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종별 정보 취득 수단과,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를 보유하는 기기 종별 정보 보유 수단과,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수단과,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모드 처리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설정된 동작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를 실행함과 함께, 해당 처리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기기 통신 수단 또는 상기 컨트롤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착처 기기 또는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재기입 모드일 때, 상기 장착처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기 종별 정보 보유 수단에 보유된 기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요구를 발함과 함께,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상기 장착처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소프트웨어에 재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수단은,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장착처 기기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재기입 처리를 실행 가능한 기기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판별 결과가 재기입 가능 기기일 때에는 동작 모드를 재기입 모드로 설정하고, 재기입 가능 기기가 아닐 때에는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설정된 동작 모드가 통상 모드일 때,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당 장착처 기기로부터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정합하는지를 판별하여, 해당 소프트웨어가 해당 기기 종별 정보에 정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의한 처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적합 여부를 외부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통신 처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당 장착처 기기로부터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에 정합하지 않을 때, 상기 통지 수단을 통하여 그 취지를 통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재기입 모드일 때, 상기 장착처 기기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송신 가능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기기 종별 정보 보유 수단에 보유된 기기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요구를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장착처 기기로부터 취득한 기기 종별 정보 중에 소정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장착처 기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상기 장착처 기기측의 커넥터에 접합하는 커넥터 중, 소정의 핀 위치로부터의 데이터를 감시함으로써, 해당 장착처 기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환되는 스위치를 더 배치하고,
    상기 모드 처리 수단은, 해당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해당 장착처 기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처 기기가 상기 소프트웨어의 송신 가능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때, 상기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KR1020040104729A 2003-12-15 2004-12-13 어댑터 장치 KR20050059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7345 2003-12-15
JP2003417345A JP4024205B2 (ja) 2003-12-15 2003-12-15 アダプ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998A true KR20050059998A (ko) 2005-06-21

Family

ID=3477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729A KR20050059998A (ko) 2003-12-15 2004-12-13 어댑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24205B2 (ko)
KR (1) KR20050059998A (ko)
CN (1) CN13207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2343A (ja) * 2006-12-14 2008-07-03 Toshiba Corp 家電制御装置および家電制御方法
JP4955736B2 (ja) * 2009-07-08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WO2012160987A1 (ja) * 2011-05-24 2012-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ソフトウェア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005230A2 (en) * 2011-07-04 2013-01-10 Shetty Ravindra K Universal learning based re-configurable adaptor
JP7189419B2 (ja) * 2018-08-09 2022-12-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システム及び無線lan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097A (ja) * 1992-08-14 1994-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家庭内制御システム
JP2002245235A (ja) * 2001-02-20 2002-08-30 Hitachi Ltd 家庭電気機器、加入者登録方法、受注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0381170B1 (ko) * 2001-07-20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3283503A (ja) * 2002-03-26 2003-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ームネットワーク及び機器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0799C (zh) 2007-06-06
JP4024205B2 (ja) 2007-12-19
CN1630237A (zh) 2005-06-22
JP2005184043A (ja)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9364B1 (en) Lighting control network
USRE43376E1 (en) Apparatus for restoring network information for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400458B1 (ko) 네트워크 가능한 가전기기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방법
USRE43069E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20080196023A1 (en) Local controller, remote management controlle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local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KR101000056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5088894A (ja) 通信機器、通信中継機器、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200643B2 (en)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40158620A1 (en) Home network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JP2005260919A (ja) 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050059998A (ko) 어댑터 장치
JP2007122993A (ja) 照明機器コネクタ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134920A (ja) 電力線接続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接続装置
CN106105253B (zh) 控制器、控制系统以及控制系统的控制方法
JP2017108471A (ja) 通信機器、通信中継機器、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86847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50617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および空調管理プログラム
JP4104560B2 (ja) アダプタ装置
KR101303663B1 (ko)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 시스템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5689156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62236B2 (ja) 熱源機通信システム
KR102096028B1 (ko) 지능형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장치
CN113757906B (zh) 一种空调线控器及其软件升级方法、应用软件执行方法
KR100420369B1 (ko) 인터넷 에어컨의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CN117407026A (zh) 智能设备固件升级方法及装置、介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