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475A -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475A
KR20050057475A KR1020057004735A KR20057004735A KR20050057475A KR 20050057475 A KR20050057475 A KR 20050057475A KR 1020057004735 A KR1020057004735 A KR 1020057004735A KR 20057004735 A KR20057004735 A KR 20057004735A KR 20050057475 A KR20050057475 A KR 2005005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river circuit
housing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미야시타
고지 하카마타
후미히로 무라마츠
요시마사 가와바타
기요시 나카니시
도시유키 즈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개폐하는 하우징의 표리에 각각 액정 표시 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일체화하고 드라이버 회로(4)를 공용했다. 제 1 액정 표시부(1)에는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을 접속하여,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에는 제 2 액정 표시부(2)를 접속하고 있다. 제 2 액정 표시 장치(2)는 제 1 액정 표시부(1)에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고, 모두 드라이버 회로(4)로 구동한다. 표시 전환은 택일적인 표시 전환 외에 동시 표시로의 표시 전환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DEVICE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 등의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36251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작자가 하우징을 개방한 상태에서 보는 제 1 액정 표시 장치와, 하우징을 폐쇄한 상태에서 보는 제 2 액정 표시 장치를 설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200)의 개략 단면도를 도 19에 도시한다.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2)으로부터 연장된 아암 끝의 힌지(213)에 제 2 하우징(214)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 2 하우징(214)에는,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했을 때에 조작자가 보는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와, 제 2 하우징(214)을 폐쇄했을 때에 조작자가 보는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를 각각의 표시면이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장착하고 있다.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는 전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고, 배면에 백라이트(209)를 설치하여, 배면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밝은 표시 화면을 실현하고 있다.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고, 외부광을 반사하여 백라이트 없이도 표시 내용이 보이도록 하고 있다.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와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는 각각 독립적인 액정 표시 장치이고, 각각의 드라이버 회로(241, 242)로 구동한다.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와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와 백라이트(209)는 선단부가 분기된 제어용 플렉시블 기판(216)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제어용 플렉시블 기판(216)의 다른 단부는 제 1 하우징(212)내의 본체 기판(2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하우징(214)에는 개폐 검출용의 자석(222)과 스피커(224)가 실장되어 있다. 스피커(224)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술한 제어용 플렉시블 기판(216)에 접속하고, 본체 기판(215)의 무선부(220)로 수신한 통화 상대의 음성을 출력한다.
제 1 하우징(212)에는 휴대 전화 장치의 본체 기판(215)을 설치하고 있다. 본체 기판(215)에는 제어부(218), 메모리(219), 무선부(220)의 각 회로나 키 조작부(217), 마이크(223), 개폐 검출 수단(221)을 실장하여 휴대 전화 장치로서의 무선 통신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도 20에,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200)의 개략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20의 제어부(218)에는 제 1 드라이버 회로(241)와 제 2 드라이버 회로(242)를 접속하여, 그 끝에 각각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와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를 접속하고 있다. 제 1 드라이버 회로(241)와 제 2 드라이버 회로(242)에는 표시하는 화상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제 1 메모리부(251)와 제 2 메모리부(25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18)에는 화상 정보를 기억한 메모리(219)와, 전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인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용 백라이트(209)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부(220)와, 송화용 마이크(223)와, 수화용 스피커(224)와, 키 조작부(217)와, 개폐 검출부(221)를 접속하고 있다.
이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200)의 표시 동작을 설명한다. 예컨대, 대기 화면을 표시할 때는, 제어부(218)는 개폐 검출 수단(221)으로부터 제 2 하우징(214)의 개폐 상황을 확인한다. 제 2 하우징(214)이 폐쇄되어 있으면, 제어부(218)는 메모리(219)로부터 대기 화면용 화상 정보를 판독하고, 제 2 드라이버 회로(242)의 제 2 메모리부(252)에 기억시켜서,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에 대기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때,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용 제 1 드라이버 회로(241)의 제 1 메모리부(251)에는 제어부(218)로부터 화상 정보를 보내지 않아도 된다.
그 후, 개폐 검출 수단(221)이 제 2 하우징(214)이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부(218)는 상기 제 2 액정 표시 장치(202)의 전원을 끊고, 대신에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의 전원을 넣고, 제 1 액정 표시 장치(201)에 표시시키는 화상 정보를 메모리(219)로부터 판독하여, 제 1 드라이버 회로(241)의 제 1 메모리부(251)에 기억시켜서 표시시킨다. 그리고, 다른 화상을 표시할 때도 제 2 하우징(214)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와 같은 표시 전환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표시하고 있는 액정 표시 수단의 전원을 끊고, 다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을 넣어서 화상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드라이버 회로의 메모리부에 일시 기억시키고 나서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동작은 제 2 하우징의 개폐를 민첩하게 실행했을 때에는 표시 전환이 따르지 않고, 하우징을 개방한 후에 액정 표시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 등의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진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개별적으로 독립한 액정 표시 장치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마다 드라이버 회로를 장착하고, 각각 액정 표시부와 드라이버 회로 사이에 배선을 실행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여 화상 신호를 보내면 노이즈가 발생하고, 무선부(220)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주므로, 각각의 드라이버 회로를 실드판으로 피복하는 등의 노이즈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실드를 완전히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실드판과 그 주위를 밀착 고정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실드 대책 부품이 휴대 전화 장치내에서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고, 휴대 전화 장치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소정의 조립 공정수를 필요로 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된 만큼 실드 대책 부품도 증가한다.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 기인하는 노이즈 대책은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비용 저감과 조립성의 향상을 방해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러한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것에 의한 노이즈의 저감,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비용 저감과 조립성의 향상이라는 과제를 해결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액정 표시 장치와 제 2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전환에 일정한 시간이 걸리고, 하우징의 개폐 동작을 민첩하게 실행하면 표시 전환이 따르지 않는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 보급되기 시작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모니터 화상을 제 1 액정 표시 장치와 제 2 액정 표시 장치에 동시에 표시시키도록, 제 1 액정 표시 장치와 제 2 액정 표시 장치를 동시에 표시시키도록 한 휴대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동하고 있다. 이로써, 드라이버 회로를 공용화하여 드라이버 회로의 개수를 감소시킨 것과, 드라이버 회로에 접속하는 배선을 적게 함으로써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함에 기인한 노이즈를 저감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와 비용 저감과 조립성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전투과형 액정 표시부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부 중 어느 상이한 2 이상의 액정 표시부를 조합하여, 플렉시블 기판에서 일체로 연결하고, 1개의 드라이버 회로로 구동하고 있다. 이로써, 제조 공정이 상이한 액정 표시 장치를 1개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1개의 드라이버 회로로 복수의 액정 표시부 중의 1개의 액정 표시부를 선택하여 구동하고 있다. 드라이버 회로를 공용화함으로써, 드라이버 회로 메모리부에 화상 정보를 기억하여, 제 1 액정 표시부에 표시할지, 다른 액정 표시부에 표시할지를 드라이버 회로의 표시 전환부로 전환하기만 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전환하고 있다. 이로써, 하우징의 개폐 동작이 민첩하게 실행되었다고 해도 표시 전환을 따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 중 2 이상의 액정 표시부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로써, 드라이버 회로의 표시 전환부로 제 1 액정 표시부와 다른 액정 표시부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전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로 인물 사진을 촬영할 때의 촬영자와 피사체가 되는 피촬영자의 양자가 동시에 모니터 화상을 보거나, 촬영 완료한 사진 등의 화상을 휴대 전화 장치의 양측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1조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을 절곡하여 장착할 때에, 백라이트를 중간에 끼우는 형태로 하여, 백라이트를 공용하고 있다. 이로써, 1조의 액정 표시부로 백라이트를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하며, 복수의 액정 표시부에 대하여 표시 전환을 실행한다. 이로써,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로 구동하는 복수의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혹은 동시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장착하는 홀더를 더 이용함으로써, 홀더의 표면과 이면에 제 1 액정 표시부와 다른 액정 표시부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표리(表裏)에 액정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홀더의 표면과 이면에 액정 표시부를 장착하기만 함으로써 유닛화된 액정 표시 장치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접속하고 있는 플렉시블 기판을 절곡하여 홀더에 장착할 때에, 백라이트를 적어도 하나의 액정 표시부와 홀더 사이에 끼우는 형태로 장착하고 있다. 이로써, 백라이트도 일체화한 액정 표시 장치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장착하는 홀더에 백라이트의 광이 통과하는 홀부를 설치하고, 백라이트의 광을 홀더의 표면과 이면에 장착한 복수의 액정 표시부의 각각에 조사하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액정 표시부에 백라이트를 공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여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한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함에 따른 노이즈의 저감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와 조립성의 향상을 실현한 휴대 전화 장치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장치를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을 개폐하는 개폐 타입,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타입 혹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회전 타입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로서, 제 1 하우징에 대한 제 2 하우징의 상대 위치에 따라 제 1 액정 표시부 또는 제 2 액정 표시부의 화상의 위와 아래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제 2 하우징을 접었을 때, 열었을 때에도 보기 쉬운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제 1 액정 표시부와 제 2 액정 표시부를 제 2 하우징의 표리에 배치하여 동시에 표시할 때에는, 제 2 하우징의 표리중 어느 쪽에서 보아도 화상의 상하가 동일해지도록 전환하여 보기 쉬운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를 폐쇄했을 때의 외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를 개방했을 때의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시 전환 제어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9는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100)의 구성은 제 1 하우징(212)과, 제 2 하우징(214)을 비롯하여 많은 부분은 앞서 설명한 종래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장착하는 홀더(310)의 제 1 오목부(311)에 백라이트(9)를 끼우고, 백라이트(9)의 상방의 홀더(310)의 제 2 오목부(312)에 제 1 액정 표시부(1)를 끼우고 있다. 제 1 액정 표시부(1)에 드라이버 회로(4)가 있고, 제 1 액정 표시부(1)의 일 단부에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을 접속하여, 그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의 끝에 제 2 액정 표시부(2)를 접속하고 있다. 제 2 액정 표시 장치(2)는 제 1 액정 표시부(1)에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고, 모두 드라이버 회로(4)로 구동한다.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에 대해서는, 홀더(310)의 제 1 액정 표시부측으로부터 제 2 액정 표시부측을 향해 U자형으로 절곡하여,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의 끝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액정 표시부(2)를 홀더(310)의 제 3 오목부(313)에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홀더(310)에는 제 2 액정 표시부(2)의 크기에 대응한 홀부(314)가 밝혀져 있고, 백라이트(9)의 광이 제 2 액정 표시부(2)를 향해서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액정 표시부(1)의 단부(1a)와, 백라이트(9)의 단부(9a)를 선단부가 분기한 제어용 플렉시블 기판(216)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제어용 플렉시블 기판(216)은 제 1 하우징(212)의 본체 기판(215)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100)에서는, 제 2 하우징(214)내의 액정 표시 장치를, 백라이트(9)와,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1 액정 표시부(1)에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일체화한 제 2 액정 표시부(2)를 홀더(310)의 제 1 오목부(311), 제 2 오목부(312), 제 3 오목부(313)에 각각 끼워서, 하나의 액정 표시 유닛으로서 조립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214)에는 종래예에서는 장착되어 있지 않았던 카메라(23, 24)를 각각 제 1 액정 표시부측과 제 2 액정 표시부측에 장착하고 있다.
도 2에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100)의 개략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도, 많은 부분은 앞서 설명한 종래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4)로 구동한다. 드라이버 회로(4)에는 메모리부(41) 외에 표시 전환부(42)를 설치하고 있다. 표시 전환부(42)는 제어부(18)에 의해 본체 기판의 메모리(19)로부터 판독하여 메모리부(41)에 기억시킨 화상 정보를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할지,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할지, 혹은 양쪽에 동시에 표시시킬지를 전환한다.
제어부(18)에는, 상기 이외에, 제 1 카메라(23)와 제 2 카메라(24)가 접속되어 있고, 키 조작부(217)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의해 제어부(18)가 카메라 촬영 동작을 제어한다. 제 1 카메라(23)와 제 2 카메라(24)로 촬영한 화상 정보는 제 1 카메라용 메모리(27)와 제 2 카메라용 메모리(28)에 각각 기억하고, 판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어부(18)는 제 1 카메라(23)와 제 2 카메라(24)의 촬영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 1 카메라용 메모리(27)와 제 2 카메라용 메모리(28)에 기억시킨 화상 정보를 조합하여 합성 사진 화상 정보를 작성하고, 합성 사진용 메모리(29)에 기억하며, 판독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9)에는 전화 번호부 정보도 기억하고 있고, 전화 번호부 정보로서 전화 번호부 등록자의 전화 번호와 전화 번호부 등록자의 얼굴 사진을 관련지어 기억시키고 있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제 1 액정 표시부(1)는 하부 유리 기판(101)상에 도시하지 않은 액정을 상부 유리 기판(102) 사이에 봉입하고 있다. 하부 유리 기판(101)의 일 단부에는 게이트 드라이버(43)와 소스 드라이버(44)로 이루어진 드라이버 회로(4)를 실장하고 있다. 하부 유리 기판(101)의 다른 단부에는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을 접속하고 있고,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은 제 2 액정 표시부(2)의 하부 유리 기판(201)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액정 표시부(2)의 하부 유리 기판(201)에는 도시하지 않는 액정을 제 2 액정 표시부(2)의 상부 유리 기판(202) 사이에 봉입하고 있다.
상기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은 절곡가능하고, 이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가 제 2 하우징(214)내에서 서로 배면을 대향시킨 형태로 수납되도록 180° 절곡되도록 하고 있다.
드라이버 회로(4)의 게이트 드라이버(43)로부터는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각각 게이트 배선(5, 6)을 접속하고, 소스 드라이버(44)로부터는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각각 소스 배선(7, 8)을 접속하고 있다.
도 4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에 이용하는 백라이트(9)와,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1 액정 표시부(1)에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일체화한 제 2 액정 표시부(2)를 홀더(310)의 제 1 오목부(311), 제 2 오목부(312), 제 3 오목부(313)에 각각 끼워서, 하나의 액정 표시 유닛으로서 조립했을 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조립 방법 및 단면도에 대해서는, 이미 도 1에 설명했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드라이버 회로의 개수를 저감하고, 드라이버 회로에 접속하는 배선을 저감하여,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함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을 저감하고 있다.
또한, 드라이버 회로의 개수를 저감함으로써, 드라이버 회로에 실시하고 있던 실드 부재 등의 노이즈 대책 부품과 장착 부품도 더불어 삭감하여,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와 비용 저감, 조립성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복수의 액정 표시부와 백라이트를 홀더에 끼워 조립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조립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전투과형 액정 표시부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부나 전반사형 액정 표시부나 어느 다른 2 이상의 액정 표시부를 조합하여,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며,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로 구동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액정 표시부(1)를 전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로 하고, 제 2 액정 표시부(2)를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도 있으며,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의 양쪽을 전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양쪽을 전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로 했을 때는, 백라이트(9)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100)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하우징(212)에 대하여 제 2 하우징(214)을 폐쇄한 상태의 외관도이고, 도 6은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한 상태의 외관도이다.
도 5의 하우징을 폐쇄한 상태에서 착신이 있으면, 제어부(18)는 착신한 발신자 전화 번호를 메모리(19)에 기억해 둔 전화 번호부의 등록 완료 전화 번호와 대조하고, 일치했을 때에는 일치한 전화 번호와 관련지어서 기억되어 있는 발신자의 성명과 얼굴 사진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한다. 또한, 착신 중에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했을 때에는, 도 6과 같이 같은 화상을 연달아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하도록 전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액정 표시부(1)도 제 2 액정 표시부(2)도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4)로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발신자의 성명과 얼굴 사진의 화상 정보는 드라이버 회로(4)의 메모리부(41)에 일단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하우징(214)의 개폐 동작을 검출했을 때에, 메모리부(41)의 화상 정보를 표시 전환부(42)에 의해,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하거나,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할지를 전환하기만 해도 된다. 이 때문에, 표시 전환의 응답이 이르고, 민첩한 개폐 동작에 추종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하우징의 개폐시에 표시가 꺼지고, 잠시 지나 화면 표시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동일한 화상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 1 액정 표시부(1)의 크기가 제 2 액정 표시부(2)보다 클 때는, 드라이버 회로의 메모리부(41)에 기억시키는 화상 정보는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정보로서, 제 2 액정 표시부(2)에는 그 중에서 표시 가능한 분량만큼의 화상 정보를 절취한 형태로 표시시킨다. 예컨대 제 1 액정 표시부(1)에는 발신자의 성명, 얼굴 사진과 회사명을 표시하지만, 표시할 수 있는 범위가 작은 제 2 액정 표시부(2)에는 발신자의 성명과 얼굴 사진만을 표시하고, 회사명은 생략한다. 이로써, 착신이 있었을 때는, 제 2 액정 표시부(2)로 성명과 얼굴 사진을 보지만,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하여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되는 회사명 등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보아 발신자를 의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착신시에 하우징을 개폐 동작했을 때의 표시 전환의 제어 순서를 흐름도로 하여 도시한다.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100)의 키 조작부(217)가 조작되어서 전원이 온(ON)되면(단계 S1), 제어부(18)는 개폐 검출 수단(221)에 의해 개폐 상태를 확인한다(단계 S2). 제 2 하우징(214)이 폐쇄되어 있으면, 제 2 액정 표시부(2)에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3). 그리고 착신을 기다린다(단계 S4).
착신이 있으면, 착신한 발신자 전화 번호를 메모리(19)의 전화 번호부 데이터와 대조하여, 일치했을 때는 해당하는 등록자의 성명과 얼굴 사진을 표시한다(단계 S5).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된 얼굴 사진을 본 휴대 전화 장치(100)의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해서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하면(단계 S51), 제 1 액정 표시부(1)에 지금까지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하고 있던 발신자의 성명과 얼굴 사진을 표시한다(단계 S6). 사용자는 통화 버튼을 눌러서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7).
그대로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한 상태이면(단계 S8), 차세대 통신 시스템(W-CDMA) 등에 의해 통화 상대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한다(단계 S9).
통화 개시 후에, 이어폰 마이크로 통화하기로 하여 제 2 하우징(214)을 폐쇄했을 때는, 통화 상대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한다(단계 S13).
통화 종료로 되면(단계 S10), 다시 개폐 검출 수단(221)이 하우징의 개폐 상황을 확인한다(단계 S2). 제 2 하우징(214)이 폐쇄되어 있으면, 제 2 액정 표시부(2)에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3).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착신을 기다린다(단계 S4). 제 2 하우징(214)이 폐쇄되어 있지 않으면, 제 1 액정 표시부(1)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여(단계 S11), 착신을 기다린다(단계 S12). 이와 같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의 표시 전환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실용화되어 있는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의 제 2 액정 표시부(2)의 화면은 적고, 발신자 정보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카메라의 모니터가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하면, 착신시에 발호자의 얼굴 사진 정도의 표시를 하는 것은 가능하고, 제 2 액정 표시부(2)의 얼굴 사진을 보아 발신자를 확인하며,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하여 보다 큰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되는 얼굴 사진 플러스 알파(+α)의 발신자 정보를 보고 나서 통화를 하는 사용법을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100)의 제 2 카메라(24)를 사용하여, A씨(60)가 B씨(61)의 얼굴을 촬영하려고 하고 있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A씨(60)는 휴대전화 장치(100)의 제 1 하우징(212)을 손으로 갖고, 제 2 하우징(214)을 개방하여 제 2 카메라(24)를 B씨(61)를 향하고 있다. 이 때, 휴대 전화 장치(100)는 직접적으로는 드라이버 회로(4)의 표시 전환부(42)에 의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의 양쪽에 제 2 카메라(24)로 잡고 있던 화상을 모니터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214)을 세워서, 제 2 하우징(214)의 겉과 속으로부터 각각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를 본다는 것은 제 2 액정 표시부(2)의 화상의 상하를 전술한 제 1 실시예일 때와 역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 회로(4)로부터 제 2 액정 표시부(2)에 화상 신호를 출력할 때에, 출력 순서를 역으로 하여 상하가 반대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9는 제 2 액정 표시부(2)가 보이도록 한 외관도이고, 도 10은 제 1 액정 표시부(1)가 보이도록 한 외관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2 액정 표시부(2)의 크기가 제 1 액정 표시부(1)보다 작기 때문에, 제 1 액정 표시부(1)로 표시되는 표시 영역(621)의 일부분, 즉 2점 쇄선의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표시 영역(622)의 화상 정보만을 절취한 형태로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제 2 카메라(24)의 모니터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기 때문에, 촬영자인 A씨(60)가 모니터 화면을 볼뿐만 아니라 피사체인 B씨(61)도 동시에 모니터 화면을 볼 수 있다. 그 때문에, 피사체인 B씨(61)도 카메라(24)에 어떻게 찍히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14)의 겉과 속에 제 1 카메라(23)와 제 2 카메라(24)를 탑재하고, 제어부(18)에 제 1 카메라(23)로 촬영한 화상 정보와 제 2 카메라(24)로 촬영한 화상 정보를 합성하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카메라(23)로 촬영한 A씨(60)의 화상 정보와 제 2 카메라(24)로 촬영한 B씨(61)의 화상 정보를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제 1 카메라(23)로 모니터 중인 A씨(60)의 모니터 화상(602)과 제 2 카메라(24)로 모니터 중인 B씨(61)의 모니터 화상(612)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여 표시했을 때의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 2 액정 표시부(2)가 보이도록 한 외관도이고, 제 2 액정 표시부(2)의 우측 절반에 A씨의 모니터 화상(602)이 좌측 절반에 B씨의 모니터 화상(612)이 표시되어 있다. 도 12는 제 1 액정 표시부(1)가 보이도록 한 외관도이고, 제 1 액정 표시부(1)의 우측 절반에 마찬가지로 A씨의 모니터 화상(602)이 좌측 절반에 B씨의 모니터 화상(612)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A씨와 B씨 양자가 합성된 모니터 화면을 동시에 봄으로써, 2명이 늘어선 사진 촬영을 타이밍 좋게 촬영하는 것이 간단히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한쪽 화상 정보를 소정 위치의 소정 형상의 범위내에 화상을 합성하여 표시했을 때의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 2 액정 표시부(2)가 보이도록 한 외관도이고, 도 14는 제 1 액정 표시부(1)가 보이도록 한 외관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B씨의 모니터 화상(612)이 하트 모양의 프레임 속에 끼워진 모양으로 합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동시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모니터 화상으로서 설명했지만, 이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5와 같이, 카메라로 촬영 완료한 화상을 테이블을 삽입하여, 휴대 전화 장치(100)의 양측에서 여러 사람(62)이 볼 수 있다.
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휴대 전화 장치에도, 메일 수신한 사진 화상이나 수신한 메일, i 모드 등으로 인터넷 네트워크로부터 수취한 뉴스나 일기 예보 등의 텍스트 정보나 그 밖의 화상을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동시에 표시하여, 여러 사람이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에 대하여,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이면,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 이외의 휴대 전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6은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표리에 구비한 제 2 하우징(324)을 제 1 하우징(322)에 대해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한, 소위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3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제 1 하우징(322)에 대하여 제 2 하우징(324)은 도면 중의 화살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제 2 하우징(324)에는 홀더(310)의 표리에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그리고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삽입하도록 백라이트(9)를 끼우고,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접속하여, 제 1 액정 표시부(1)측에 있는 드라이버 회로(4)로 구동하는 것은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도 1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제 1 액정 표시부(1)와 백라이트(9)에는 슬라이드 접점(316)을 접속하고 있다. 제 1 하우징(322)에는 고정 접점(317)을 설치하고, 고정 접점(317)을 배선(318)으로 본체 기판(215)에 접속하고 있다. 슬라이드 접점(316)은 스프링성을 갖고, 고정 접점(317)에 대해 일정 압력으로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자석(222)과 개폐 검출 수단(221)에 의해, 제 2 하우징(324)의 슬라이드 상태를 검출하고,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할지, 제 2 액정 표시부(2)에 표시할지, 혹은 양쪽에 표시할지의 표시 전환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는,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때와 같이, 드라이버 회로를 저감할 수 있고, 드라이버 회로로의 배선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함에 따른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한다. 또한,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의 메모리부에 기억한 화상을 표시 전환부에 의해, 제 1 액정 표시부(1)와 다른 액정 표시부에 개폐 동작에 추종성 좋게 표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 (2)에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7은, 소위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4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하우징(412)에는 홀더(310)의 표리에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그리고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삽입되도록 백라이트(9)를 끼우고,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 (2)를 접속용 플렉시블 기판(3)으로 접속하며, 제 1 액정 표시부(1)측에 있는 드라이버 회로(4)로 구동하는 것은,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도 1, 그리고 제 4 실시예로서 설명한 도 16과 같은 구성이다.
도 17에서는, 하우징이 일체이기 때문에,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은 개폐 검출 수단이 없다.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의 표시 전환은 조작자에 의한 키 조작부(217)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의해 드라이버 회로(4)의 표시 전환부(42)가 실행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102)라도, 상술한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100)나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300)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때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설치한 휴대 전화 장치라도 드라이버 회로를 저감할 수 있고, 드라이버 회로로의 배선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함에 따른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한다.
또한,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의 메모리부에 기억한 화상을 표시 전환부에 의해, 제 1 액정 표시부(1)와 다른 액정 표시부에 추종성 좋게 표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탑재한 휴대 전화 장치로는 촬영자와 피사체의 양자로 모니터를 확인할 수 있는 것 외에, 다른 화상에 대해서도 여러 사람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에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 부분에서 절곡시킬 때에, 백라이트를 삽입하는 형태로 함으로써, 백라이트를 공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8은 제 1 하우징(512)의 평면에 수직하게 회전축(513)을 설치하고, 제 2 하우징(514)을 회전축(513)에 대해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하여, 접어서 사용 혹은 연장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소위 슬라이드 회전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5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제 2 하우징(514)에는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설치하고 있다.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일체화한 구성은,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의 슬라이드 회전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500)에서는, 제 2 하우징(514)의 제 1 하우징(512)에 대한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의 표시 전환을 실행하고 있다. 제 2 하우징(514)이 폐쇄되어 있을 때는, 제 2 액정 표시부(2)가 제 1 하우징(512)에 숨기 때문에, 제 2 액정 표시부(2)의 표시를 실행하지 않고, 제 1 액정 표시부(1)에 표시하는 화상의 상하를 회전축(513)에 가까운 쪽을 위로하고, 회전축(513)에 먼 쪽을 아래로서 표시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514)을 폐쇄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90°회전하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의 양쪽 또는 한쪽에 측방향의 화상을 표시하고, 제 2 하우징(514)을 폐쇄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180°회전하면,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양쪽 또는 한쪽에 폐쇄되었을 때와 상하를 반대로 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회전 타입의 휴대 전화 장치(500)라도 제 1 액정 표시부(1)와 제 2 액정 표시부(2)를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구동함으로써, 드라이버 회로를 저감할 수 있고, 드라이버 회로로의 배선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함에 따른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하며, 제 1 하우징(512)에 대한 제 2 하우징(514)의 상대 위치에 따라 표시 방향을 전환하기 때문에 화상을 보기 용이한 효과를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드라이버 회로를 저감할 수 있고, 드라이버 회로로의 배선이 저감되며,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표시부를 갖는 휴대 전화 장치나 PDA 또는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이용하는데 적절하다.

Claims (12)

  1.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구성한
    휴대 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전투과형 액정 표시부나 반투과형 액정 표시부나 전반사형 액정 표시부 중 어느 다른 2 이상의 액정 표시부를 조합하여,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며,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휴대 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하나의 드라이버 회로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 중 하나의 액정 표시부를 선택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한
    휴대 전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에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 중 2 이상의 액정 표시부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구성한
    휴대 전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 부분에서 절곡하여 장착할 때에, 백라이트를 중간에 삽입하는 형태로 하여, 백라이트를 공용하도록 한
    휴대 전화 장치.
  6.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으로 일체로 연결하고, 공통의 드라이버 회로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에 대하여 표시 전환을 실행하도록 구성한
    액정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장착하는 홀더를 갖고, 홀더의 표면과 이면에 제 1 액정 표시부와 다른 액정 표시부를 각각 설치하며, 표리에 액정 표시부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 한
    액정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플렉시블 기판 부분에서 절곡하여 상기 홀더에 장착할 때에, 백라이트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정 표시부와 상기 홀더의 사이에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하도록 한
    액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정 표시부를 장착하는 홀더에 백라이트 광을 통과하는 구멍부를 설치하고, 백라이트 광을 홀더의 표면과 이면에 장착한 복수의 액정 표시부의 각각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느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개폐 타입, 슬라이드 타입 혹은 슬라이드 회전 타입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에 대한 제 2 하우징의 상대 위치에 따라, 제 1 액정 표시부 또는 제 2 액정 표시부의 화상의 상하를 전환하도록 한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개폐 타입, 슬라이드 타입 혹은 슬라이드 회전 타입의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
    제 1 액정 표시부와 제 2 액정 표시부를 동시에 표시할 때에는, 화상의 상하를 동일하게 하도록 한
    폴더식 휴대 전화 장치.
KR1020057004735A 2002-09-20 2003-09-19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 KR20050057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4553 2002-09-20
JPJP-P-2002-00274553 2002-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475A true KR20050057475A (ko) 2005-06-16

Family

ID=3202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735A KR20050057475A (ko) 2002-09-20 2003-09-19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70396A1 (ko)
EP (1) EP1542066A4 (ko)
JP (1) JPWO2004027504A1 (ko)
KR (1) KR20050057475A (ko)
CN (1) CN1682150A (ko)
AU (1) AU2003264525A1 (ko)
WO (1) WO2004027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605A (ko) * 2010-04-05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840B2 (en) * 2005-04-25 2008-02-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1639B1 (ko) * 2005-05-24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JP2007053248A (ja) 2005-08-18 2007-03-01 Td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実装構造、表示ユニット、及び携帯用電子機器
WO2007045261A1 (en) * 2005-10-20 2007-04-26 Asulab S.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functions and/or data of a vehicle
US20070112511A1 (en) * 2005-11-17 2007-05-17 Digital Cyclone, Inc. Mobile geo-temporal information manager
JP4791165B2 (ja) * 2005-12-07 2011-10-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JP4205105B2 (ja) * 2006-01-04 2009-01-07 株式会社東芝 携帯電子機器
US20070192116A1 (en) * 2006-02-10 2007-08-16 Garmin Ltd., A Cayman Islands Corporation Position-sensitive events
KR100795797B1 (ko) 2006-05-16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원공급부
CN101079907B (zh) * 2006-05-26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设备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9061797B2 (en) 2006-10-28 2015-06-23 Medea Inc. Bottle for alcoholic or non alcoholic beverages
CN100584031C (zh) * 2006-12-22 2010-01-2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
WO2008141335A1 (en) 2007-05-15 2008-11-20 Xm Satellite Radio, Inc. Vehicle message addressing
US9152968B2 (en) 2007-06-22 2015-10-06 Medea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acting on beverage bottles
US8917985B2 (en) * 2007-08-29 2014-12-23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JP4260215B1 (ja)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US8177441B2 (en) * 2007-08-29 2012-05-15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JP4181211B1 (ja) 2008-06-13 2008-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起動用プログラム
US8130275B2 (en) 2008-06-13 2012-03-06 Nintendo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hotographing application launch program execu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KR101482125B1 (ko)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WO2010038296A1 (ja) 2008-10-01 2010-04-0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748204B2 (ja) *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980338B2 (ja) * 2008-12-26 2012-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219874B2 (ja) * 2009-02-12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9376235B2 (en) 2009-11-02 2016-06-28 Medea Inc. Container for beverages
US8957919B2 (en) * 2010-04-05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terminal
US9216844B2 (en) 2012-06-01 2015-12-22 Medea Inc. Container for beverages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US9628434B2 (en) 2014-05-15 2017-04-18 Medea Inc. Programmable electronic devices on containers
CN104486467A (zh) * 2014-12-17 2015-04-01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双屏手机
CN104539844A (zh) * 2014-12-18 2015-04-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N104580891A (zh) * 2014-12-18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拍摄的方法
CN204376974U (zh) * 2014-12-29 2015-06-03 毕育枝 一种带辅助触控屏的智能平板手机
US10009709B2 (en) 2015-03-26 2018-06-26 Medea Inc. Electronic device with network access via mobile device proxy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36138B2 (en) *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773204A (zh) * 2016-12-23 2017-05-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反射式双面显示装置
KR102373510B1 (ko) * 2017-08-11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회전함에 따라 컨텐츠를 시각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507513A (zh) * 2017-08-25 2017-1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器
CN110445891A (zh) * 2018-05-02 2019-1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0138969A (zh) * 2019-05-06 2019-08-16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可折叠终端及其开机标志的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5286A (en) * 1997-06-05 2000-09-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10000974A (ko) * 1998-11-02 2001-01-05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에서 양면 액정표시장치
JP2001215475A (ja) * 2000-02-04 2001-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
SE0000906L (sv) * 2000-03-20 2001-09-21 Ericsson Telefon Ab L M En bärbar kommunikationsapparat med en flytande kristalldisplay och ett sätt för dess funktion.
WO2002003661A2 (en) * 2000-06-29 2002-01-10 Matsushita Mobile Communication Development Corporation Of U.S.A.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displays
JP2002189533A (ja) * 2000-08-23 2002-07-0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携帯型の電子機器
JP4576697B2 (ja) * 2000-10-25 2010-1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42389B2 (ja) * 2001-11-13 2008-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605A (ko) * 2010-04-05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82150A (zh) 2005-10-12
EP1542066A1 (en) 2005-06-15
JPWO2004027504A1 (ja) 2006-01-19
WO2004027504A1 (ja) 2004-04-01
US20050270396A1 (en) 2005-12-08
AU2003264525A1 (en) 2004-04-08
EP1542066A4 (en)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7475A (ko)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
US7269443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camera lens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KR100703402B1 (ko)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438433B1 (ko)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US744397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using capable of both sliding and swinging
EP1667410A1 (en) Foldable type portable terminal with two hinges
EP1667409A1 (en) Foldable phone with slidable housing to protect display and camera
KR100735266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20070015434A (ko) 360도 상대 운동을 하는 복합 기능의 2 패널 전자 장치
EP1601166A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wo liquid crystal displays
US20050124394A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4047412A1 (ja) 携帯機器
US744078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03056A (ko) 휴대형 단말기
JP2002354082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JP2004104164A (ja) 撮像カメラ付きの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JP4112402B2 (ja) 携帯端末装置
JP2010004547A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58713A (ko) 영상 통신용 이동통신 단말기
JP3937344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200172578Y1 (ko)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50027669A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6287950A (ja) 撮像カメラ付きの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