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985A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985A
KR20050056985A KR1020057002545A KR20057002545A KR20050056985A KR 20050056985 A KR20050056985 A KR 20050056985A KR 1020057002545 A KR1020057002545 A KR 1020057002545A KR 20057002545 A KR20057002545 A KR 20057002545A KR 20050056985 A KR20050056985 A KR 2005005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ressure
rubber
sensitive adhesiv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643B1 (ko
Inventor
다카아키 데라하라
가즈노스케 아이다
아라타 도시미츠
나루히토 히고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Ergoline derivatives, e.g. lysergic acid, ergot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Abstract

지지체와, 그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 기제 및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배합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점착 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며,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과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첩부제.

Description

첩부제{ADHESIVE PATCH}
본 발명은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페르골리드(pergolide)를 사용한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물의 투여법으로서 정제, 캡슐제, 시럽제 등을 사용하는 경구투여법이 알려져 있으나, 최근 첩부제를 사용하여 약물을 경피투여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첩부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경구투여법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또 투여 횟수의 저감, 컴플라이언스의 향상, 투여 및 그 중지의 용이성 등의 이점을 갖는다. 그 때문에, 특히 환자가 노인이나 소아인 경우의 유용한 약물투여법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정상피부의 각질층은 이물이 체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배리어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배리어 기능으로 인해, 종래의 첩부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배합된 약제성분이 충분히 경피흡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각질층은 지용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약물의 피부투과성은 현저하게 낮아진다.
그래서, 경피투여법에서의 약물의 경피흡수성을 높이기 위해, 첩부제에 사용하는 점착제의 조성 등에 관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서, 아크릴계 고분자나 고무계 고분자 등의 고분자 재료를 점착 기제에 사용한 첩부제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668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01854호 등).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첩부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약물의 피부투과성은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 이들 종래의 첩부제에서 약물의 경피흡수성을 높이면 점착제층의 응집성, 점착성 등의 제제 물성이 손상되는 등, 첩부제로서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게다가, 첩부제에 사용되는 약물의 성질은 그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이지만, 그 한편으로 특정 약물에 대한 점착 기제의 적합성은 아직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물로 사용할 때, 약물의 피부흡수성과 제제 물성 양쪽을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는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래의 첩부제에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재료 중 아크릴계 고분자의 대부분은 가교하기 위한 반응점으로서 그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COOH)나 수산기(-OH)를 갖는 것이고, 이러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하여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 물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 연구한 결과,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물로서 사용한 첩부제에 있어서,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각각 특정비율로 점착제층에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 기제 및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배합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점착 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며,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과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자기점착성을 갖는다」는 것은, 고분자를 필름형으로 성형하고, 그 필름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택(tack) 시험 (구전법(球轉法), JIS Z 0237) 하였을 때 볼이 필름 상에서 멈추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점착 기제가 염기성 질소를 함유하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지 않는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를 더욱 함유하며, 아크릴계 고분자 및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와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9: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가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점착제층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계 점착 부여제를 더욱 함유하고, 아크릴계 고분자 및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와 점착부여제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공중합체 ;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및 규소 고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점착제층에 페르골리드의 메실산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점착제층이 유기산류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유기산류가 아세트산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 기제 및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배합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점착 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며,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과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사용되는 지지체로는 점착제층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직포, 부직포, 편포(編布)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지지체를 사용하면, 첩부할 때 환부와 첩부제 사이에 존재하는 땀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어, 땀에 의한 짓무름이나 피부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로는, 구체적으로는 천, 부직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시트, 나일론, 아크릴, 면,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또는 천연섬유, 또는 이들 섬유를 복합하여 직포, 부직포, 편포로 한 것, 나아가서는 이들과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필름과의 복합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안전성, 범용성 및 신축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제 편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두께가 5∼1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두께가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첩부할 때의 작업용이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지지체의 두께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첩부제의 제조공정에서 지지체 또는 첩부제의 절단이 곤란해지는 등 제조용이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상기 지지체 상에 점착 기제 및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배합된 점착제층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관한 점착 기제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이하, 경우에 따라 간단히 「아크릴계 고분자」라고 함) 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카르복시산기, -COOH) 및 수산기 (-OH) 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아크릴계 고분자는, 그 분자 중에 가교할 때 반응점이 될 수 있는 카르복실기나 수산기를 갖지 않는 아크릴계 고분자를 말한다. 이러한 고분자는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를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모노머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아밀,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부틸,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헵틸,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노닐,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데실,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트리데실, 기타 목적으로 하는 아크릴계 고분자에 대응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아크릴계 고분자의 바람직한 예로는,
(A1)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의 공중합체
(A2)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A3)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를 들 수 있다. 또,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상품예로는, 내셔널 스타치 & 케미컬사에서 공급되는 DURO-TAK87-2097 (관능기를 갖지 않음), DURO-TAK87-2194 (관능기를 갖지 않음), DURO-TAK87-4098 (관능기를 갖지 않음)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또는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 물성 양쪽이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아크릴계 고분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제조공정에서, 원료 모노머 중에 카르복실기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가 불순물로서 미량 존재하거나, 중합할 때 열에 의한 열화 등의 부반응이 일어나면, 얻어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중에 불순물에서 유래되는 카르복실기나 수산기가 도입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아크릴계 고분자는 본 발명의 첩부제가 갖는 충분히 높은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충분히 높은 제제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아크릴계 고분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아크릴계 고분자 중의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는, 그 제조공정에서의 불순물의 혼입이나 열에 의한 열화 등의 부반응에서 유래되는 것이라 해도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아크릴계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200,000∼1,0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제제 물성 (특히 점착성) 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고무계 고분자는 천연 또는 합성의 탄성 폴리머를 말한다. 이러한 고무계 고분자의 바람직한 예로는,
(S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2)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3)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4) 폴리이소부틸렌
(S5) 이소프렌 고무
(S6) 규소 고무
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 물성 양쪽이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고무계 고분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아크릴계 고분자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고무계 고분자로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 물성 양쪽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고무계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30,000∼2,50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1,700,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점도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제제 물성 (특히 점착성) 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과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는 1:1∼1:9 의 범위 내이어야 한다. 양자의 함유량의 중량비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약물로서의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점착제층에 배합한 경우에 그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현저하게 향상하고, 또 높은 수준의 제제 물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는, 양자의 함유량의 중량비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에 적절한 점착력이 부여되어, 첩부성, 피부자극성이 개선된다. 또,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고분자 함유량의 1배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고분자 함유량의 9배를 초과하면 제제 물성이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은,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에 대한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 기제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2∼6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고무계 고분자의 배합량은,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에 대한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 기제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2∼6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계 고분자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 기제는,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및 고무계 고분자에 첨가하여, 염기성 질소를 함유하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지 않는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 (이하, 간단히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라 함) 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를 점착 기제에 함유시킴으로써 약물의 용해성 및 제제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점착제층에 배합한 경우에, 이들 약제가 결정화되어 석출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여 장기보존에도 견딜 수 있고, 피부흡수성이 양호하며, 또한 장시간 지속적으로 약리효과가 발휘되는 첩부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로는,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이미드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가 아미노기를 갖는 경우, 해당 아미노기는 1급, 2급, 3급 어느 것이든 된다. 또, 아미노기가 2급 또는 3급인 경우, 치환 알킬기는 사슬형이어도 되고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로는,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에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이나 비닐피롤리돈 등의 중합성 아민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공중합체, 상기 중합성 아민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다른 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등의 폴리비닐디알킬아미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아민과 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데실, 아크릴산이소데실,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데실, 메타크릴산이소데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 물성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로는 오이드라기트 E (상품명, 렘사 제조) 등,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로는 AEA (상품명, 상쿄(주)사 제조)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00,000∼5,00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0∼3,000,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첨가효과 (특히 응집성) 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점착 기제에서의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고분자 및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와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9:1∼1: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고분자 및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의 1/9 미만이면,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에 의한 약물의 피부투과성 향상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고분자 및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 합계의 1배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점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점착 기제에서의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은, 점착 기제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1∼3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넘으면 점착제층의 점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약물의 피부투과성 및 제제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점착제층에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아세트산비닐의 함유량:5∼60중량%) 등의 고무계 고분자를 더욱 함유해도 된다. 이러한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1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점착제층에 배합된다. 페르골리드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배합하는 경우, 그 염은 무기염, 유기염 어느 것이든 되며, 메실산염 (즉, 메실산페르골리드) 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배합량은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그 배합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점착제층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결정화되어 석출될 가능성이 있어, 물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은, 상기 서술한 점착 기제 및 약물을 함유하는 것인데, 이들 성분에 더하여 점착부여제를 더욱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부여제로는, 구체적으로는 로진 유도체 (로진,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 수소첨가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등),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알콘 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등),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퀸톤 B-170 (닛폰제온사 제조) 등), 테르펜 수지 (쿠리알론 P-125 (야스하라케미컬사 제조) 등), 말레산 레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소첨가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가 바람직하고,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5∼7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6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50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점착부여제의 배합에 의한 첩부제의 점착력 향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첩부제를 박리할 때의 피부자극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 점착부여제로서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고분자 및 상기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와 점착부여제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 고무계 고분자 및 점착부여제의 각 함유량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 물성 양방이 보다 높아지고, 나아가서는 점착력이 보다 높아져 첩부성, 피부자극성이 한층 더 개선된 첩부제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층이 유기산류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산류로는, 지방족 (모노, 디 또는 트리)카르복시산(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무수 시트르산을 포함함), 이소부티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락트산, 말레산, 피루브산, 옥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등), 방향족 카르복시산(프탈산, 살리실산, 벤조산, 아세틸살리실산 등), 알킬술폰산(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필술폰산, 부탄술폰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폰산 등), 알킬술폰산 유도체(N-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N'-2-에탄술폰산, 콜산 유도체(디히드로콜산 등) 또는 이들 염 (예를 들어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산류 중에서도 카르복시산류 및 이들의 염이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산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에 있어서, 유기산류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2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5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산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유기산에 의한 약물의 피부투과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은 흡수촉진제를 더욱 함유해도 된다. 이러한 흡수촉진제로는, 종래 피부에서의 흡수촉진 작용이 인정되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6∼20 의 지방산, 지방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에테르류, 방향족 유기산, 방향족 알코올, 방향족 유기산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포화, 불포화 어느 것이든 되고, 또 직쇄상, 분지상, 고리형 어느 것이든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락트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에이존(Azone), 에이존(Azone) 유도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Span 계), 폴리소르베이트계 화합물 (Tween 계),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계 화합물 (HCO 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류, 식물유 등을 흡수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흡수촉진제 중에서도 카프릴산, 카프르산, 카프론산,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라우르산메틸, 라우르산헥실,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세틸, 살리실산,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계피산, 계피산메틸, 크레졸, 락트산세틸, 락트산라우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게라니올, 티몰, 유게놀, 테루피네올, 1-멘톨, 보르네오롤, d-리모넨, 이소유게놀, 이소보르네올, 네롤, dl-캠퍼,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자당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HCO-60, 피로티오데칸, 올리브유가 바람직하고,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콜,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플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피로티오데칸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흡수촉진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에서, 흡수촉진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2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촉진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흡수촉진제에 의한 약물의 피부투과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부종 등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은 가소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이러한 가소제로는, 구체적으로는 석유계 오일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계 오일 (올리브유, 동백기름, 피마자유, 톨유, 낙화생유), 규소 오일, 액상 고무 (폴리부텐, 액상이소프렌 고무), 액상 지방산에스테르류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등),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시트르산트리에틸, 크로타미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 중에서도 유동파라핀, 액상 폴리부텐, 크로타미톤, 세바스산디에틸, 라우르산헥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에 있어서,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5∼7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6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50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가소제의 배합에 의한 첩부제의 응집력 향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점착제층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항산화제로는, 토코페롤 및 이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스테아린산에스테르, 노르디히드로구아야레트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이 바람직하고 ;
충전제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예를 들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 규산,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연산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이 바람직하고 ;
자외선 흡수제로는,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에 있어서, 항산화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각각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항산화제, 충전제 및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합계는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지지체 상에 형성할 때, 그 형성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 기제,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상기 다른 성분의 혼합물을 열 융해시켜 지지체에 도포함으로써 본 발명의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가 점착제층 상에 이형지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열 융해시킨 상기 혼합물을 이형지에 도공한 후 도공면 상에 지지체를 맞붙이거나, 또는 열 융해시킨 상기 혼합물을 지지체에 도공한 후 도공면 상에 박리지를 맞붙이거나 함으로써 본 발명의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열 융해시키는 대신에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 헥산, 아세트산에틸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도공액을 사용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1층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피부투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2층 이상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막두께가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첩부 후에 점착제가 피부에 부착된 상태로 잔존하는 현상 (점착제 잔류) 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첩부제가 이형지를 구비하는 경우, 이러한 이형지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필름, 상질지와 폴리올레핀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박리지에서는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측의 면에 실리콘 처리를 하면, 첩부제에서 이형지를 박리할 때의 작업용이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메실산페르골리드,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유동파라핀을 막자사발에 덜어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고분자 (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B)),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오이드라기트 E, 고분자 (C)),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헵탄 및 아세트산에틸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첨가하여 점착제층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도포액 중 각 성분의 함유량 (헵탄 및 아세트산에틸을 제외한 화합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한 값), 고분자 (A), (B) 함유량의 합계, 고분자 (A) 의 함유량과 고분자 (B) 의 함유량의 중량비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 2∼6, 비교예 1∼10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5.0중량%) 은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2.0중량%) 및 이소스테아릴알코올 (3.0중량%) 합계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한 이형지 상에 도포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형성하였다. 그리고, 지지체로서의 폴리에스테르제 편포를 점착제층에 맞붙여 원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2, 3, 비교예 1, 2]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2 에서는, 각각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을 표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6, 비교예 3, 4]
실시예 4∼6 및 비교예 3, 4 에서는, 각각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점착제층용 도공액의 조성을 표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10]
비교예 5∼10 에서는, 각각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대신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DURO-TAK87-2287)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DURO-TAK87-2852) 를 사용하고, 점착제층용 도공액의 조성을 표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피부투과성 시험)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0 에서 얻어진 각 첩부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털이 없는 마우스 등쪽 피부를 박리하고, 진피측을 리셉터측층으로 하여 37℃ 의 온수를 외주부에 순환시킨 플로우 스루셀(flow through cell)에 장착하였다. 다음에 피부의 각질층측에 첩부제 (제제 적용 면적 5㎠) 를 첩부하고 리셉터층으로 하여 생리식염수를 사용해 5㎖/hr 로 2시간마다 24시간까지 리셉터 용액을 샘플링하고 그 유량을 측정하는 동시에,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약물 농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치로부터 1시간당 약물 투과 속도를 산출하여, 정상상태인 피부의 단위면적당 약물 투과 속도를 구하였다. 시험 개시로부터 24시간 사이에 얻어진 약품 투과 속도의 최대치 (최대 피부 투과 속도) 를 표 1∼3 에 나타낸다.
(제제 물성 시험)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0 의 각 첩부제에 대하여, 점착제층의 점착성, 응집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점착성 평가시험은 프로브 택 테스터 및 필링 시험기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 응집성 평가시험은 크리프 측정기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한 안정성은 40℃ 에서 6개월간 저장한 첩부제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점착성 평가시험을 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제제 물성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 :
A : 매우 좋음
B : 좋음
C : 나쁨
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조성[중량%] (A)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43 4.29 7.15 2.4 7.2 11.95
(B)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12.87 10.01 7.15 21.5 16.7 11.95
(C)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9.6 9.6 9.6 - - -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40.0 40.0 40.0 40.0 40.0 40.0
유동 파라핀 15.0 15.0 15.0 15.0 15.0 15.0
아세트산나트륨 1.8 1.8 1.8 1.8 1.8 1.8
아세트산 5.3 5.3 5.3 5.3 5.3 5.3
계면활성제 5.0 5.0 5.0 5.0 5.0 5.0
메실산페르골리드 9.0 9.0 9.0 9.0 9.0 9.0
(A),(B)의 합계[중량%] 14.3 14.3 14.3 23.9 23.9 23.9
(A)와 (B)의 중량비 1:9 3:7 5:5 1:9 3:7 5:5
최대 피부 투과속도[㎍/㎠/hr] 19.6 17.0 14.8 8.6 7.0 6.0
제제 물성 점착성 B A A B A A
응집성 B A A B A A
안정성 A A A A A A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조성[중량%] (A)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10.0 - 16.7 -
(B)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14.3 4.3 23.9 7.2 12.8
(C)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9.6 9.6 - - 9.6
(D) DURO-TAK87-2287 - - - - -
DURO-TAK87-2852 - - - - 1.4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40.0 40.0 40.0 40.0 40.0
유동 파라핀 15.0 15.0 15.0 15.0 15.0
아세트산나트륨 1.8 1.8 1.8 1.8 1.8
아세트산 5.3 5.3 5.3 5.3 5.3
계면활성제 5.0 5.0 5.0 5.0 5.0
메실산페르골리드 9.0 9.0 9.0 9.0 9.0
(A),(B)의 합계[중량%] 14.3 14.3 23.9 23.9 22.4
(A)와 (B)의 중량비 0:10 7:3 0:10 7:3 0:10
최대 피부 투과속도[㎍/㎠/hr] 14.0 8.6 4.0 3.6 7.0
제제 물성 점착성 C B C B B
응집성 C C C C C
안정성 - - - - -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조성[중량%] (A)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 - - - -
(B)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10.0 7.15 12.9 10.0 7.15
(C)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9.6 9.6 9.6 9.6 9.6
(D) DURO-TAK87-2287 - - 1.4 4.3 7.15
DURO-TAK87-2852 4.3 7.15 - - -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40.0 40.0 40.0 40.0 40.0
유동 파라핀 15.0 15.0 15.0 15.0 15.0
아세트산나트륨 1.8 1.8 1.8 1.8 1.8
아세트산 5.3 5.3 5.3 5.3 5.3
계면활성제 5.0 5.0 5.0 5.0 5.0
메실산페르골리드 9.0 9.0 9.0 9.0 9.0
(A),(B)의 합계[중량%] 10.1 7.15 12.9 10.0 7.15
(A)와 (B)의 중량비 0:10 0:10 0:10 0:10 0:10
최대 피부 투과속도[㎍/㎠/hr] 4.4 3.0 8.6 6.6 5.0
제제 물성 점착성 C C B C C
응집성 C C C C C
안정성 - - - -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페르골리드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물로서 사용한 첩부제에 있어서, 약물의 피부흡수성과 제제 물성 양방을 높은 수준으로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지지체와, 그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 기제 및 페르골리드(pergolide)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배합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상기 점착 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함유량과 상기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기제가 염기성 질소를 함유하고, 또한 자기점착성을 갖지 않는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를 더 함유하며,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및 상기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와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9:1∼1:1 인 첩부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질소 함유 고분자가 메타아크릴산메틸ㆍ메타아크릴산부틸ㆍ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첩부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계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및 상기 고무계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와 상기 점착부여제의 함유량의 중량비가 1:1∼1:9 인 첩부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첩부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및 규소 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첩부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첩부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첩부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페르골리드의 메실산염이 배합되어 있는 첩부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유기산류를 더 함유하는 첩부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류가 아세트산 및/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첩부제.
KR1020057002545A 2002-08-28 2003-08-07 첩부제 KR100971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9417A JP4213432B2 (ja) 2002-08-28 2002-08-28 貼付剤
JPJP-P-2002-00249417 2002-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85A true KR20050056985A (ko) 2005-06-16
KR100971643B1 KR100971643B1 (ko) 2010-07-22

Family

ID=3197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545A KR100971643B1 (ko) 2002-08-28 2003-08-07 첩부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10433A1 (ko)
EP (1) EP1541176A4 (ko)
JP (1) JP4213432B2 (ko)
KR (1) KR100971643B1 (ko)
CN (1) CN100411687C (ko)
AU (1) AU2003254874A1 (ko)
WO (1) WO20040199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689A (ko) * 2014-12-22 2017-08-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파프제
KR20230021440A (ko)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영우 부착성과 흡수성이 우수한 드레싱재
KR20230054144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영우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4678B2 (ja) * 2002-08-28 2009-10-2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4792193B2 (ja) * 2002-08-28 2011-10-1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TW200514582A (en) * 2003-10-31 2005-05-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Transdermal preparation and method for reducing side effect in pergolide therapy
ES2395290T3 (es) * 2004-04-13 2013-02-11 Nipro Patch Co., Ltd. Adhesivo piezosensible reticulable para la piel
WO2005115355A1 (ja) * 2004-05-28 2005-12-0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貼付製剤
EP1611882B1 (en) 2004-06-01 2010-04-0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US7890950B1 (en) 2005-05-31 2011-02-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Software uninstallation that integrates transfer activation
DE602006020738D1 (de) 2005-08-01 2011-04-2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Adjuvans oder pharmazeutische zubereitung zur transdermalen oder transmukosalen verabreichung
EP2078524B1 (en) * 2006-10-27 2016-08-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skin patch
US20100047327A1 (en) * 2007-01-31 2010-02-25 Tetsuji Kuwahara Adjuvant for Transdermal or Transmucosal Administration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DE102008013701A1 (de) * 2008-03-11 2009-09-1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mit stabilisierter Membran
US20090297590A1 (en) * 2008-05-30 2009-12-03 Masahiro Yamaji Ketotife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
EP2476414B1 (en) * 2009-09-07 2015-03-04 NIPRO Patch Co., Ltd. Transdermally absorbable preparation
JP6114401B2 (ja) 2013-10-31 2017-04-12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ジュバント組成物、これを含むアジュバント製剤、及びキット
CN113476459A (zh) * 2021-08-16 2021-10-08 浙江鼎泰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活性缓释止痛贴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323A (ja) * 1991-06-12 1992-12-21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US6572879B1 (en) * 1995-06-07 2003-06-03 Alza Corporation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ergolide
US5717062A (en) * 1995-06-07 1998-02-10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Cyclic analogs of PTH and PTHrP
JP4346696B2 (ja) * 1996-05-28 2009-10-21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皮治療用装置
JPH10167956A (ja) * 1996-12-11 1998-06-23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セロトニン受容体拮抗薬含有経皮投与製剤
DE19821788C1 (de) * 1998-05-15 1999-12-02 Sanol Arznei Schwarz Gmbh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TTS) Pergolid enthaltend
WO2002038139A1 (fr) * 2000-11-07 2002-05-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tion pharmaceutique du type a absorption percutanee
US7988991B2 (en) * 2001-03-07 2011-08-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JP4404251B2 (ja) * 2001-08-10 2010-01-27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皮吸収型製剤
CN1541112A (zh) * 2001-08-10 2004-10-27 �ù���ҩ��ʽ���� 经皮吸收制剂
JP4792193B2 (ja) * 2002-08-28 2011-10-1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689A (ko) * 2014-12-22 2017-08-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파프제
KR20230021440A (ko)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영우 부착성과 흡수성이 우수한 드레싱재
KR20230054144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영우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1176A1 (en) 2005-06-15
CN100411687C (zh) 2008-08-20
CN1678352A (zh) 2005-10-05
WO2004019987A1 (ja) 2004-03-11
EP1541176A4 (en) 2010-11-24
KR100971643B1 (ko) 2010-07-22
JP2004083520A (ja) 2004-03-18
US20060110433A1 (en) 2006-05-25
JP4213432B2 (ja) 2009-01-21
AU2003254874A1 (en) 200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282B1 (ko) 첩부제
KR100846642B1 (ko) 첩부제
KR100971643B1 (ko) 첩부제
EP1201232B1 (en) Patches for external use
US20080138388A1 (en) Transdermal Absorption Patch
KR101392064B1 (ko) 첩부제 및 그 제조 방법
EP2078524B1 (en) Adhesive skin patch
JP5632577B2 (ja) 貼付剤
JP4694967B2 (ja) 貼付剤
JP4354678B2 (ja) 貼付剤
WO1998025592A1 (fr) Preparation transdermique contenant un antagoniste des recepteurs de la serotonine
KR102477081B1 (ko) 디클로페낙나트륨 함유 첩부제
EP2143445B1 (en) Medicated patch
TWI805535B (zh) 含有利多卡因之貼附劑
JP7222155B1 (ja) ジクロフェナクインドリノン体の生成を抑制する方法
EP4226922A1 (en) Method for inhibiting asenapine degradation
WO2023048192A1 (ja) ジクロフェナクインドリノン体の生成を抑制する方法
JP2023011534A (ja) ブロナンセリン含有貼付剤
TW202227054A (zh) 含有阿申那平(asenapine)之貼附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