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642A -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642A
KR20050054642A KR1020030088151A KR20030088151A KR20050054642A KR 20050054642 A KR20050054642 A KR 20050054642A KR 1020030088151 A KR1020030088151 A KR 1020030088151A KR 20030088151 A KR20030088151 A KR 20030088151A KR 20050054642 A KR20050054642 A KR 20050054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collision
separated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642A/ko
Publication of KR2005005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를 이루는 차체의 일부가 분리되어 충돌시 후방으로 후퇴됨으로써 충돌 사고시 전방으로 계속해서 움직이려는 승객의 운동량을 최대한 감쇄시켜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의 충격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충돌 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구성은 기관이 설치된 엔질실, 운전석과 승객용 좌석이 고정된 플로워를 갖는 차실, 및 트렁크실이 각각 분리 되게 설치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각부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플로워가 고정되어 차체 프레임 상측면에 미끄럼되게 설치되는 이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전방에 형성된 범퍼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탈 프레임의 이탈 시점을 제공하는 충격 감지 수단과, 이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되 충격 감지 수단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이탈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탈 시키는 이탈 수단 및 차실의 브레이크 페달 저면에 설치되되 충격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충격 감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Vehicles having a vehicle interior to be separated backward when crashed}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를 이루는 차체의 일부(이하 '차실'이라 함)가 분리되어 충돌시 후방으로 후퇴됨으로써 충돌 사고시 전방으로 계속해서 움직이려는 승객의 운동량을 최대한 감쇄시켜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의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차체와 새시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차체는 차량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좀 더 세분하면 기관 등을 이루고 있는 엔진실과 운전자 및 승객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차실내 및 짐 등을 적재하는 트렁크실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새시는 차체를 제외한 구동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및 현가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실제 차량의 운행을 가능케 한다. 통상적으로 승용차용 차량은 대부분이 위와 같은 차체는 물론 차체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이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엔질실과 차실내 및 트렁크실의 차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체를 하나의 프레임이 받쳐주고 있다.
한편, 차량의 충돌 사고는 현대인의 생활에서 불가피한 돌발 사태로 이렇다할 예방이나 대책이 없는 심각한 재앙이다. 이러한 충돌 사고를 물리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량(물체의 질량과 속도에서 생김)을 가지고 있는데, 차량에 타고 있는 승객은 자체의 운동량을 갖는 물체이다. 따라서, 승객은 자동차가 어떤 속도로 달리고 있든 계속 움직이게 되고, 심지어는 차량이 충돌로 멈추는순간에도 승객은 계속 움직인다. 가령, 차량이 시속 120km 로 달리고 있다가 전방의 물체와 충돌 사고가 발생할 때 차량은 파손이 일어나면서 충격력이 소실되어 정지하지만 차량 내의 승객은 계속해서 시속 120km 의 속도로 움직이게 되고 결국에는 그만큼의 충격력을 그대로 받게 된다. 이러한 승객의 충격력을 없애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동안 작용하는 힘이 필요하다. 어떤 형태이든 충격량(또는 운동량) 억제 시스템의 목적은 가능한 승객에게 적은 피해를 주면서 승객이 정지하는 것을 도와 주는 것이다. 이에 최근에 개발된 억제 시스템으로 차량 충돌시 센서에 의해 고속으로 팽창되어 운적자와 승객 전면에서 작동되는 에어백이나 안전 벨트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백이 작동하는 데에는 승객과 운전대, 혹은 계기반 사이의 극히 좁은 공간과 극히 짧은 시간밖에 없다. 즉, 이러한 극한 조건에서 승객을 충분히 보호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오히려 에어백의 작동 불량이 더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물론, 이런 충돌 사고시 완충 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시간 동안의 대처 수단이지만 이나마도 없다면 승객에게 더 큰 피해를 줄 것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이는 차량 사고로 부터 승객의 안전을 보장한다는 측면에 있어서는 매우 미약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해, 충돌 사고시 승객이 받는 충격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면 이와 같은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아주 귀중한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된 충격력 완화 수단들은 승객의 충격을 최소화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차실을 후방으로 후퇴시켜줌으로서 차량 충돌시 계속해서 전진하려는 승객의 운동량을 최대한 감쇄시켜 운전자를 포함한 승객의 충격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구성은 기관이 설치된 엔질실, 운전석과 승객용 좌석이 고정된 플로워를 갖는 차실, 및 트렁크실이 각각 분리 되게 설치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각부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플로워가 고정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 상측면에 미끄럼되게 설치되는 이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전방에 형성된 범퍼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탈 프레임의 이탈 시점을 제공하는 충격 감지 수단과, 이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되 충격 감지 수단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이탈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탈 시키는 이탈 수단 및 차실의 브레이크 페달 저면에 설치되되 충격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충격 감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1)은 기관(미 도시됨)이 설치된 엔질실(10), 운전석(21)과 승객용 좌석 (22)이 고정된 플로워(110)를 갖는 차실(20), 및 트렁크실(30)이 각각 분리되게 설치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각부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40)을 갖는 차량으로 구성됨에 있어서, 플로워(110)가 고정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40) 상측면에 미끄럼되게 이탈 프레임(100)을 설치하고, 차체 프레임(40) 전방에 형성된 범퍼(50)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이탈 프레임(100)의 이탈 시점을 제공하는 충격 감지 수단(200)을 설치하고, 이탈 프레임(100)과 차체 프레임(40) 일측에 설치되되 충격 감지 수단(200)과 연동되게 이탈 프레임(100)을 후방으로 이탈 시키는 이탈 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차실 (20)의 브레이크 페달(70) 저면에 설치되면서 충격 감지 수단 (200)과 연결되어 충격 감지 수단(200)을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300)를 설치 구성한다.
위와 같은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1)의 구성 중 충격 감지 수단(200), 이탈 수단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3a 및 도 3b 에서와 같이 충격 감지 수단(200)은 전방으로 개구부를 갖고 내부 후방면에 타격 장치(140; 도 4a 참조)와 관계하는 이탈 개시 스위치 (211)를 하우징(210) 설치하고,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ㆍ후방에 개구공을 갖고 하부에 기어홈(244)이 형성되어 하우징(210) 내부에서 전ㆍ후방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230)를 형성하고, 실린더(230)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면에는 범퍼 (50)와 결합되는 범퍼 결합편(241)이 형성되고 그 후방면에는 보다 연장된 연장바 (242)가 상기 실린더의 후방 개구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피스톤(240)을 설치하고, 피스톤(240)의 연장바(242) 외주로 설치되되 실린더(230) 내부로 탄설되어 상기 피스톤(240)의 후방면에 스프링(243)을 설치하고, 기어홈(244)과 피니언 기어(250)로 치합 설치되고 일측에 작동 스위치(300)와 관계되는 와이어(252)로 연결하여 랙 기어(251)를 설치한다. 미설명 부호 220 은 하우징 캡이고, 253 은 랙 기어 S/W 이다. 한편, 랙기어(251) 전방으로 탄성 스프링(미 도시됨)이 개재되어 있어 항시 랙기어를 잡아당기고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격 감지 수단 (200)을 양측면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측면으로 부터의 충격도 감지하기 위함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4a 및 도 4b 에서와 같이 이탈 수단은, 차체 프레임(40;도 2 참조)의 일측으로 화약(60)이 장입된 약실(121)이 형성되고 약실(121)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개통되어 있는 실린더(122,123,124)가 형성되고 약실(121) 전방으로 폭발 스위치(141)가 형성된 이탈력 발생 유닛(120)을 설치하고, 이탈력 발생 유닛(120) 후방에 일렬로 이탈 프레임(100)의 가로부재(102)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122,123 ,124)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바아(132,133,134)를 갖는 이탈체 (130)를 설치하고, 이탈력 발생 유닛(120) 전방에 설치되어 충격 감지 수단(200; 도 3a 및 도 3b 참조)의 작동 신호에 의해 폭발 스위치(141)를 타격하는 타격 장치 (140)를 설치한다. 한편, 여기서의 피스톤 바아(132,133,134)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작동 스위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에서와 같이 작동 스위치(300)가 브레이크(70)의 페달(71) 저면에 부착되는데 부착 거리는 급브레이크시에만 닿을 수 있는 거리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작동 스위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충격 감지 수단 (200)과 관계하는 랙기어 S/W(253) 및 평상시 이탈 프레임(100; 도 2 참조)을 차량프레임(40; 도 2 참조)에 고정하는 스톱퍼(101)에 동시에 적용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72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 마스터 실린더이고, 73 은 유연성있게 연장된 브레이크액 연결호스이다.
한편, 차체 프레임(40) 후방과 이탈 프레임(100) 후방 일측에 통상의 쇽업 쇼버와 스프링으로 구성된 댐핑 장치(150; 도 9b 참조)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 감지수단(200)과 이탈 수단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의 동작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이고,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의 충돌 후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이다.
도 6 a 에서와 같이 충격 감지 수단(200)은 급브레이크에 의해 작동 스위치 (300; 도 6 참조)가 작동되면서 랙 기어 S/W(253; 도 6 참조)를 작동 시키면 랙 기어(251)가 당겨지게 되면 피니언 기어(250)가 기어홈(244)을 따라 반시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실린더(230)를 전방으로 전진 시키게 되고, 이렇게 전진되는 실린더 (230)는 스프링(243)에 의해 실린더(230) 내부면 전방으로 밀착된 피스톤(240)을 동시에 전진 이동시켜줌으로서 범퍼 결합편(241)에 결합된 범퍼(50)를 전방으로 순식간에 전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전방의 물체에 범퍼(50)가 충돌되면 도 7 에서와 같이 피스톤 (240)이 스프링(243)의 탄성을 이기면서 실린더(230)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피스톤의 연장바(242) 끝단에 설치된 캡(245)이 이탈 개시 스위치(211)를 누르게 되어 이탈 수단을 작동 시키게 된다. 한편, 충돌이 미수로 그쳤을 때 브레이크(70; 도 6 참조)를 놓게되면 랙 기어 S/W가 해지되고 당기고 있던 와이어(252)의 장력이 해지되면서 랙기어(251)의 일측을 당기고 있는 탄성스프링(미 도심됨)에 의해 피니언 기어(2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실린더(23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도 7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 에서와 같이 이탈 수단은 전술한 이탈 개시 스위치(211;도 6b 참조)에 의해 타격 장치(140)가 작동되면서 폭발 스위치(141)를 타격하게 되고 동시에 화약 (60)이 폭발되면서 그 폭발력에 의해 실린더(122,123,124) 내에 삽입되어 있던 피스톤 바아(132,133,134)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한편, 피스톤 바아(132,133,134)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차체의 이탈 이후 불필요한 폭발력을 소산 시키게 된다. 즉,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피스톤 바아(133,134)는 가장 긴 피스톤 바아 (132)보다 먼저 실린더 밖으로 빠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그 곳의 폭발력은 순간 소실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1)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단계별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돌 전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9 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돌후 외력이 완전 중화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9 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돌후 폭발력 과도로 인한 불완전 중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 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전방의 충돌 물체를 보고 충돌을 인지 (S100)하게 되면 그와 동시에 본능적으로 급브레이크(S110)를 밟게 되고 그와 동시에 작동 스위치(300)가 작동(S120)되면서 범퍼(50)가 충격 감지 수단(200)에 의해 전진 또는 발사되게 되고 동시에 이탈 프레임(100)을 고정하고 있는 스톱퍼(101, 101';도 2 참조)가 해정(S130)된다. 여기까지는 차량의 충돌 전의 작동 상태이다. 이후의 작동 상태는 크게 충돌 미수시의 작동 상태(S200)와 충돌시 작동 상태 (S140)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충돌시 작동상태(S140)는 다시 완전중화(S300)와 불완전 중화(S400)로 구분된다. 더욱 구체적인 작동 설명에 앞서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물리적인 운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은 일정한 가속력을 가지고 전진하다가 물체와 충돌하면 정지하게 되고 이때 발생된 충격력은 차량의 파손으로 상쇄된다. 이와 동시에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및 승객은 동일한 가속력을 가지고 계속해서 앞으로 전진하려는 관성력(F관성력; 도 9a 및 도 9b 참조)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운전자 및 승객의 관성력(F관성력; 도 9a 및 도 9b 참조)에 대응되는 강제적인 폭발력(F폭발력; 도 9a 및 도 9b 참조)을 발생시켜 관성력(F관성력; 도 9a 및 도 9b 참조)을 최대한 상쇄시켜 충격력을 최소화하여 정지토록 하는 것이다.
즉, 완전중화(S300)는 관성력(F관성력)과 폭발력(F폭발력)이 동일하게 작용하여 그 합력이 "0"이 되었을 때 운전자와 승객이 아무런 충격없이 정지하게되는 가장 이상적인 작용인 것이고, 불완전 중화(S400)는 폭발력(F폭발력)이 관성력(F관성력)보다 과도(S410)하게 작용하여 차실(20) 및 트렁크실(30)이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탈 (S420)되고 이 때 발생되는 제 2 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 후방에 설치된 댐핑 장치(150)가 작동되면서 완충(S430)되게 된다. 댐핑력을 이기고 다시 차실(20) 및 트렁크실(30)이 전진(S440)한다 해도 그 관성력은 매우 감쇄된 상태이며 충격과 동시에 통상적으로 설치된 에에백(80) 등이 작동되어 나머지 충격력도 모두 완화 시켜줌으로서 운전자와 승객은 충격으로 부터 보다 확실하게 보호(S450)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1)은 차량(1)의 전방 충돌시 차량(1)과 분리된 차실(20)을 후방으로 후퇴시켜줌으로서 전방으로 계속해서 움직이려고 하는 승객의 운동량(또는 관성력)을 매우 감쇄시켜줌으로 인해 승객의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충돌로 부터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분해 사시도,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작동 스위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의 동작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격 감지 수단의 충돌 후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
도 7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이탈 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
도 8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단계별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돌 전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9 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돌후 외력이 완전 중화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9 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의 충돌후 폭발력 과도로 인한 불완전 중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엔질실, 21; 운전석
22; 승객용 좌석 30; 트렁크
40; 차체 프레임 50; 범퍼
70; 브레이크 페달 100; 이탈 프레임
110; 플로워 200; 충격 감지 수단
300; 작동 스위치

Claims (6)

  1. 기관이 설치된 엔질실(10), 운전석(21)과 승객용 좌석(22)이 고정된 플로워 (110)를 갖는 차실(20), 및 트렁크실(30)이 각각 분리 되게 설치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각부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40)을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110)가 고정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40) 상측면에 미끄럼되게 설치되는 이탈 프레임(100);과
    상기 차체 프레임(40) 전방에 형성된 범퍼(50)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이탈 프레임(100)의 이탈 시점을 제공하는 충격 감지 수단(200);과
    상기 이탈 프레임(100)과 상기 차체 프레임(40)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충격 감지 수단(200)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탈 프레임(100)을 후방으로 이탈 시키는 이탈 수단; 및
    상기 차실의 브레이크 페달(70)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충격 감지 수단(200)과 연결되어 상기 충격 감지 수단(200)을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40)의 일측으로 화약(60)이 장입된 약실(121)이 형성되고 상기 약실(121)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개통되어 있는 실린더(122,123,124)가 형성되고 상기 약실(121) 전방으로 폭발 스위치(141)가 형성된 이탈력 발생 유닛(120);과
    상기 이탈력 발생 유닛(120) 후방에 일렬로 상기 이탈 프레임(100)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122,123,124)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 바아 (132,133,134)를 갖는 이탈체(130); 및
    상기 이탈력 발생 유닛(120)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 감지 수단(200)의 작동 신호에 의해 상기 폭발 스위치(141)를 타격하는 타격 장치(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바아(132,133,134)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수단(200)은,
    전방으로 개구부를 갖고 내부 후방면에 상기 타격 장치(140)와 관계하는 이탈 개시 스위치(211)가 설치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ㆍ후방에 개구공을 갖고 하부에 기어홈(244)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서 전ㆍ후방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230);와
    상기 실린더(230)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면에는 상기 범퍼(50)와 결합되는 범퍼 결합편(241)이 형성되고 그 후방면에는 보다 연장된 연장바(242)가 상기 실린더의 후방 개구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피스톤(240);과
    상기 피스톤(240)의 상기 연장바(242) 외주로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230) 내부로 탄설되어 상기 피스톤(240)의 후방면에 밀착 설치된 스프링(243);및
    상기 기어홈(244)과 피니언 기어(250)로 치합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작동 스위치(300)와 관계되는 와이어(252)가 연결 설치된 랙 기어(251)로 이루어진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프레임(100) 후방측에 상기 차체 프레임(40)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작동 스위치(300)에 의해 해정되는 이탈 프레임 스톱퍼(101,101')가 더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40)의 후방 일측과 상기 이탈 프레임 (100)의 후방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핑 장치(150)가 더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KR1020030088151A 2003-12-05 2003-12-05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KR20050054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51A KR20050054642A (ko) 2003-12-05 2003-12-05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51A KR20050054642A (ko) 2003-12-05 2003-12-05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42A true KR20050054642A (ko) 2005-06-10

Family

ID=3724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51A KR20050054642A (ko) 2003-12-05 2003-12-05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6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73A (ko) * 2015-06-15 2016-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보강 유닛
KR102104538B1 (ko) * 2018-12-20 2020-04-27 황호찬 자동차용 비상탈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73A (ko) * 2015-06-15 2016-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보강 유닛
KR102104538B1 (ko) * 2018-12-20 2020-04-27 황호찬 자동차용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124B2 (en) Frontal airbag systems for oblique crash protection
EP2143962B1 (en) Connecting device arranged in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90152041A1 (en) External Airbag System of Vehicle
HU213434B (en) Automotive vehicle including a security arrangement provided with an inflatable protective bag
US8419062B2 (en) Device for breaking rear window of a vehicle
US5054810A (en) Vehicle with a safety system
US5251911A (en) Safety construction for passenger vehicle
EP4349660A1 (en) Vehicle collision shock attenuation device
US5623246A (en)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a side impact
US5301902A (en) Aircraft airbag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2111264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KR20050054642A (ko) 충돌시 후방 이탈되는 차실을 갖는 차량
JPH05139241A (ja) 自動車用エアバツグセンサーの取付構造
KR20050032845A (ko) 충돌 전 확장된 완충 공간을 갖는 차량
CN214189581U (zh) 一种安全气囊装置
KR100489986B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20150145118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CN111016753A (zh) 一种车辆及安全座椅
HU229562B1 (hu) Karosszéria-légzsák gépjármûvekhez
KR101284295B1 (ko) 후방 외장 에어백
KR100657661B1 (ko)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가드 장치
KR100428898B1 (ko) 자동차 충돌 충격 흡수 장치
KR101359986B1 (ko) 차량용 충돌상해 저감 장치
KR910009168Y1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KR100245222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