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298A -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4298A KR20050054298A KR1020030087655A KR20030087655A KR20050054298A KR 20050054298 A KR20050054298 A KR 20050054298A KR 1020030087655 A KR1020030087655 A KR 1020030087655A KR 20030087655 A KR20030087655 A KR 20030087655A KR 20050054298 A KR20050054298 A KR 200500542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screen
- washing
- treatment apparatus
- sewage treatment
- dru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에서 협잡물을 처리하는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연속적으로 적절히 여과되면서 동시에 드럼스크린의 세척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일측 하단으로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구를 갖는 드럼스크린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협잡물을 포함한 오수가 상기 드럼스크린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후에 물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부와; 상기 드럼스크린을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그 상부에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스크린의 걸려있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의 물의 분사에 의해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협잡물을 포집한 후에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배출부와;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로 감지한 후에 이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세척부와 협잡물배출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세척공정의 합리적인 제어로 유지관리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며 대용량의 안정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수에서 협잡물을 처리하는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연속적으로 적절히 여과되면서 동시에 드럼스크린의 세척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처리장치는 하수 등의 오폐수중에 이물질이나 협잡물을 걸러내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오수처리장치는 주기적으로 협잡물이 걸리지는 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부를 청소해야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면서 연속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여과부를 세척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작 및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면서 이 또한 여과부를 세척하는 동안 오수처리공정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부를 세척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도, 세척 주기나 세척시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어 세척부의 제어가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연속적으로 적절히 여과되면서 동시에 드럼스크린의 세척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스크린이 간단한 구조이면서 원활히 회전되고 협잡물이 적절히 여과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드럼스크린의 원활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스크린의 외부면에 끼인 이물질이 적절히 스크레핑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협잡물이 적절히 배출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러시의 깊이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고 드럼스크린이 역회전할 때 브러시가 적절히 회전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절히 압축된 후에 탈수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스크린이 회전되면서 걸러진 협잡물을 적절히 상승시키도록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측 하단으로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구를 갖는 드럼스크린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협잡물을 포함한 오수가 상기 드럼스크린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후에 물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부와; 상기 드럼스크린을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그 상부에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스크린의 걸려있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의 물의 분사에 의해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협잡물을 포집한 후에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배출부와;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로 감지한 후에 이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세척부와 협잡물배출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은, 모터와 축상으로 연결되어 부착되는 원형측판과, 상기 원형측판에 이격되고 삽입부를 갖는 원형링과, 상기 원형측판과 원형링의 사이로 드럼형태를 이루도록 그 원주 둘레에 다수개 부착되는 웨지와이어와, 상기 원형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다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고 케이스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지지원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드럼스크린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세척수가 주입되는 세척수분사관과, 상기 세척수분사관에 수평으로 상기 드럼스크린을 향해 경사지게 다수개로 설치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고정되고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이 부착되는 엘자형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시장착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레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협잡물배출부는, 드럼스크린과 연동되도록 모터에 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부에서 지지원판과 케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이송스크루를 둘러싸는 이송관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측 상부에서 상기 세척부에 의해 낙하한 협잡물이 상기 이송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이송관의 상부에 형성되는 포집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판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브러시가 고정되는 깊이조절나사가 구비되고, 고정판이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수직으로 스크루 결합되는 각도조절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나사의 하단에 맞닿도록 고정턱이 상기 브러시장착판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의 일단이 역회전된 후에 정지하도록 브러시장착판에 정지턱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협잡물이 압축되도록 상기 이송관의 끝단으로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관이 장착되고, 상기 절곡관과 이송스크루에 의해 협잡물이 압축된 뒤에 그 탈리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관의 끝단 둘레로 다수의 배수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통공에서 배출되는 탈리액이 포집되도록 상기 이송관의 둘레로 포집부가 부착되고, 상기 포집부와 케이스의 사이에 탈리액이동관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웨지와이어의 내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다수의 이송베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포집통공에 대응되는 이송관의 하면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오수처리장치는 오수에서 협잡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0)와, 상기 여과부(10)를 세척하는 세척부(20)와, 상기 여과부(1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배출하는 협잡물배출부(30)와, 상기 세척부(20)와 협잡물배출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여과부(10)는 원통형의 케이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으로 하부로 배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드럼스크린(13)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의 외부에서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유입구(1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10)는 유입구(14)를 통해 드럼스크린(13)으로 유입되는 오수에서 상기 드럼스크린(13)이 협잡물을 걸러내어 오수가 여과되도록 하고, 협잡물이 걸러진 오수는 상기 드럼스크린(13)을 통과하여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부(20)는 드럼스크린(13)을 회전시키도록 축상으로 연결된 모터(21)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외주면 상부에서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세척수분사관(22)이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분사관(22)에 수평으로 경사지게 다수개의 분사노즐(23)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20)는 모터(21)의 구동으로 드럼스크린(13)을 회전시킨 후에 세척수분사관(22)을 통해 펌프 등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분사노즐(23)을 통해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상부에서 하방을 향해 세척수를 경사지게 분사함으로써,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주면으로 걸려 있는 협잡물이 탈리되어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협잡물배출부(30)는 드럼스크린(13)의 내부 중앙으로 모터(21)와 연동되는 이송스크루(3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루(31)를 둘러싸도록 이송관(32)이 구비되며,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에 대응되는 상기 이송관(32)의 상부로 포집통공(33)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관(32)의 끝단으로 케이스(11)에 노출되도록 상향으로 굽힘된 절곡관(34)이 장착되며, 상기 절곡관(34)과 이송관(32)의 사이에 배수통공(35)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통공(35)의 외측 둘레로 포집부(36)가 부착되며, 상기 포집부(36)와 케이스(11)를 연결하도록 탈리액이송관(3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협잡물배출부(30)는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드럼스크린(13)이 회전하면서 세척부(20)에 의해 상기 드럼스크린(13)에서 탈리되는 협잡물을 배수통공(35)을 통해 이송관(32)으로 유입되도록 한 다음에 상기 모터(21)와 함께 연동되는 이송스크루(31)가 회전되면서 협잡물을 상기 이송관(32)의 끝으로 이송하여 절곡관(34)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32)을 통해 이송스크루(31)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은 절곡관(34)에 맞닿으면서 뒤따라 이송되는 협잡물에 의해 압축되어 탈수되고, 이 탈수에 의해 발생된 탈리액이 배수통공(35)으로 유입된 다음에 포집부(36)에 모아진 후에 탈리액이동관(37)을 통해 케이스(11)의 내부로 흘러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포집통공(33)에 대응되는 상기 이송관(32)의 하면으로 다수의 배수공(38)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공(33)을 통해 상기 이송관(32)으로 낙하하는 협잡물과 함께 유입되는 세척수를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적절히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41)에 의해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에 의해 상승되는 수위를 감지한 다음에 이 감지정보를 통해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 되면 모터(21)와 세척수분사관(22)으로 세척수를 주입하는 펌프 등을 작동하여 세척부(20)와 협잡물배출부(30)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13)은 모터(21)와 축상으로 연결되는 원형측판(131)과, 상기 원형측판(131)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삽입부(133)를 갖는 원형링(132)과, 상기 원형측판(131)과 원형링(132)의 원주 둘레에 원통을 이루도록 다수개로 부착되는 웨지와이어(134)와, 상기 삽입부(133)에 롤러(13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고 케이스(11)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지지원판(135)과, 상기 웨지와이어(134)의 내부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부착되는 이송베인(137)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형측판(131)과 원형링(132)은 다수의 웨지와이어(134)가 부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어도록 하면서 모터(21)에 축상으로 부착되어 드럼스크린(13)이 전체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웨지와이어(134)는 유입구(14)를 통해 외부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그 사이에 걸리고 오수는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송베인(137)은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웨지와이어(134)의 내면에 쌓인 협잡물을 걸어 회전중에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오수처리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써, 도 4a는 처리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세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4c는 세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d는 세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 4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유입구(14)를 통해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는 하향으로 떨어지면서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웨지와이어(134) 사이를 통해 협잡물이 걸러지면서 물만이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외부 즉 케이스(11)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배출되는 여과된 물은 상기 케이스(1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여과가 계속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협잡물이 쌓이게 되면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가 그 외부로 여과되면서 적절히 배출되지 않아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에 수면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4b와 도 4c에 도시한 것처럼,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가 적절히 배출되지 않아 수면이 상승되면 이 상승된 수면을 수위감지센서(41)가 감지를 하게 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41)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제어부(40)로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센서(41)로부터 수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40)는 모터(21)를 구동하고 세척수분사관(22)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모터(21)와 세척수분사관(22)이 작동되면, 상기 모터(21)에 의해 드럼스크린(13)이 회전되면서 분사노즐(23)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드럼스크린(13)에 끼어있던 협잡물이 포집통공(33)을 통해 이송관(32)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포집통공(33)을 통해 상기 이송관(32)으로 낙하하는 협잡물과 함께 유입되는 세척수는 배수공(38)을 통해 드럼스크린(13)의 내부로 적절히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집통공(33)을 통해 이송관(32)으로 떨어진 협잡물은 모터(21)와 연동되는 이송스크루(31)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고, 협잡물이 계속하여 이송되면서 절곡관(34)에 부딪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관(34)에 부딪힌 협잡물은 뒤이어 이송되는 다른 협잡물에 의해 압착되어 배수통공(35)을 통해 탈리액을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공(35)을 통해 배출된 탈리액은 포집부(36)에서 모여 탈리액이동관(37)을 통해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절곡관(34)에서 압착된 협잡물은 탈리된 후에 상기 절곡관(34)을 따라 밀리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에 쌓인 협잡물은 웨지와이어(134)의 내측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부착되는 이송베인(137)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상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탈리되는 것이다.
상기 도 4d에 도시한 것처럼, 세척수분사관(22)으로 유동되는 세척수는 경사지게 부착된 분사노즐(23)을 통과하면서 드럼스크린(13)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분사되어 세척효율이 배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드럼스크린(13)에 쌓인 협잡물이 제거되어 오수의 여과가 원활히 이루어지면 수위가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40)는 모터(21) 및 세척수분사관(22)의 가동을 중지하여 상기 드럼스크린(13)의 회전을 멈추면서 도 4a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오수처리장치는 정지상태에서의 여과와 회전상태에서 세척 및 여과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연속하여 적절히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오수처리장치는 드럼스크린(13)의 외부로 케이스(11)의 내부에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외부면을 긁어 끼어있는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스크레핑부(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스크레핑부(50)는 드럼스크린(13)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는 브러시(51)와, 상기 브러시(51)가 고정되고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판(52)과, 상기 절곡판(52)이 부착되는 엘자형 고정판(53)과, 상기 고정판(53)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시장착판(5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곡판(52)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브러시(51)가 고정되는 깊이조절나사(5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53)이 비틀림스프링(S)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5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53)에 수직으로 스크루 결합되는 각도조절나사(57)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나사(57)의 하단에 맞닿도록 고정턱(58)이 상기 브러시장착판(54)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53)의 일단이 역회전된 후에 정지하도록 상기 브러시장착판(54)에 정지턱(59)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핑부(50)는 드럼스크린(13)이 회전되면 브러시(51)가 이의 외주면을 자연스럽게 긁어주어 웨지와이어(134)의 틈 사이에 끼어있는 협잡물이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51)는 절곡판(52)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상태로 드럼스크린(13)의 외부면에 맞닿아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51)가 마모되어 그 길이가 짧아지면 깊이조절나사(55)를 푼 다음에 상기 브러시(51)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그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브러시(51)는 각도조절나사(57)의 상하이동에 의해 각도가 적절히 조절되는데, 이는 상기 각도조절나사(57)를 회전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각도조절나사(57)의 하단에 맞닿는 고정턱(58)에 의해 고정판(53)이 회전축(56)을 따라 회전되어 상하로 각도이동됨으로써, 절곡판(52)이 각도이동되어 상기 브러시(51)의 각도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51)의 각도이동에 따른 탄성적인 움직임은 회전축(56)에 구비된 비틀림스프링(S)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드럼스크린(13)이 역회전하면, 브러시(5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턱(58)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턱(58)이 정지턱(59)에 걸리어 그 회전이동이 적절히 제한됨으로써, 비틀림스프링(S)에 의한 손쉬운 복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드럼스크린(13)이 역회전하더라도 회전축에 의해 브러시(51)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동됨으로써,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역회전에 의한 상기 브러시(51) 및 절곡판(52)의 파손이 적절히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연속적으로 적절히 여과되면서 동시에 드럼스크린의 세척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세척공정의 합리적인 제어로 유지관리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며 대용량의 안정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스크린이 간단한 구조이면서 원활히 회전되고 협잡물이 적절히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여과효율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드럼스크린의 원활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척부의 설치가 간편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드럼스크린의 세척효율이 현저히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스크린의 외부면에 끼인 이물질이 적절히 스크레핑되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세척이 보다 원활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협잡물이 적절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협잡물배출부의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시의 깊이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고 드럼스크린이 역회전할 때 브러시가 적절히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안정하게 드럼스크린을 스크레핑할 수 있고 드럼스크린의 역회전으로 인한 브러시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절히 압축된 후에 탈수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협잡물의 부피가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스크린이 회전되면서 걸러진 협잡물을 적절히 상승시키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배출효율이 현저히 상승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4a는 처리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b는 세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c는 세척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d는 세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여과부
11 : 케이스 12 : 배출구
13 : 드럼스크린
131 : 원형측판 132 : 원형링 133 : 삽입부
134 : 웨지와이어 135 : 지지원판 136 : 롤러
14 : 유입구
20 : 세척부
21 : 모터 22 : 세척수분사관 23 : 분사노즐
30 : 협잡물배출부
31 : 이송스크루 32 : 이송관 33 : 포집통공
34 : 절곡관 35 : 배수통공 36 : 포집부
37 : 탈리액이동관 38 : 배수공
40 : 제어부
41 : 수위감지센서
50 : 스크레핑부
51 : 브러시 52 : 절곡판 53 : 고정판
54 : 브러시장착판 55 : 깊이조절나사 56 : 회전축
57 : 각도조절나사 58 : 고정턱 59 : 정지턱
Claims (9)
- 일측 하단으로 배출구(12)를 갖는 케이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구(14)를 갖는 드럼스크린(13)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협잡물을 포함한 오수가 상기 드럼스크린(13)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후에 물이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부(10)와;상기 드럼스크린(13)을 모터(21)로 회전시키면서 그 상부에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스크린(13)의 걸려있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세척부(20)와;상기 세척부(20)의 물의 분사에 의해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협잡물을 포집한 후에 상기 모터(21)와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배출부(30)와;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41)로 감지한 후에 이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세척부(20)와 협잡물배출부(3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드럼스크린(13)은, 상기 모터(21)와 축상으로 연결되어 부착되는 원형측판(131)과, 상기 원형측판(131)에 이격되고 삽입부(133)를 갖는 원형링(132)과, 상기 원형측판(131)과 원형링(132)의 사이로 드럼형태를 이루도록 그 원주 둘레에 다수개 부착되는 웨지와이어(134)와, 상기 원형링(1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부(133)에 다수의 롤러(13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지지원판(1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세척부(20)는, 상기 드럼스크린(13)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세척수가 주입되는 세척수분사관(22)과, 상기 세척수분사관(22)에 수평으로 상기 드럼스크린(13)을 향해 경사지게 다수개로 설치되는 분사노즐(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드럼스크린(13)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구비되는 브러시(51)와, 상기 브러시(51)가 고정되고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판(52)과, 상기 절곡판(52)이 부착되는 엘자형 고정판(53)과, 상기 고정판(53)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시장착판(54)으로 구성되는 스크레핑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협잡물배출부(30)는, 상기 드럼스크린(13)과 연동되도록 상기 모터(21)에 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원판(135)과 케이스(1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이송스크루(31)와, 상기 이송스크루(31)를 둘러싸는 이송관(32)과, 상기 드럼스크린(13)의 내측 상부에서 상기 세척부(20)에 의해 낙하한 협잡물이 상기 이송관(32)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이송관(32)의 상부에 형성되는 포집통공(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절곡판(52)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브러시(51)가 고정되는 깊이조절나사(5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53)이 비틀림스프링(S)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56)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53)에 수직으로 스크루 결합되는 각도조절나사(57)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나사(57)의 하단에 맞닿도록 고정턱(58)이 상기 브러시장착판(54)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53)의 일단이 역회전된 후에 정지하도록 상기 브러시장착판(54)에 정지턱(59)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이송관(32)을 통해 이송되는 협잡물이 압축되도록 상기 이송관(32)의 끝단으로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관(34)이 장착되고, 상기 절곡관(34)과 이송스크루(31)에 의해 협잡물이 압축된 뒤에 그 탈리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관(32)의 끝단 둘레로 다수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통공(35)에서 배출되는 탈리액이 포집되도록 상기 이송관(32)의 둘레로 포집부(36)가 부착되고, 상기 포집부(36)와 케이스(11)의 사이에 탈리액이동관(37)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웨지와이어(134)의 내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다수의 이송베인(137)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포집통공(33)에 대응되는 상기 이송관(32)의 하면으로 다수의 배수공(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7655A KR100564250B1 (ko) | 2003-12-04 | 2003-12-04 |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7655A KR100564250B1 (ko) | 2003-12-04 | 2003-12-04 |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4298A true KR20050054298A (ko) | 2005-06-10 |
KR100564250B1 KR100564250B1 (ko) | 2006-03-29 |
Family
ID=3724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7655A KR100564250B1 (ko) | 2003-12-04 | 2003-12-04 |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4250B1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389B1 (ko) * | 2006-11-09 | 2007-07-24 | 정혜란 | 협잡물 처리 장치 |
KR101051936B1 (ko) * | 2011-04-06 | 2011-07-26 | 주식회사 이엠테크 | 공기방울 분사 세척수단을 구비한 스크류프레스 |
KR101370394B1 (ko) * | 2012-06-13 | 2014-03-06 | 주식회사 타 셋 |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
KR101433316B1 (ko) * | 2012-05-11 | 2014-08-25 | 여미경 | 스크린 겸용 이물질 처리기 |
CN109011827A (zh) * | 2018-08-31 | 2018-12-18 | 杭州富阳锦丰纸业有限公司 | 一种环保型污水处理箱 |
CN109928533A (zh) * | 2019-05-05 | 2019-06-25 | 瑞德(新乡)路业有限公司 | 一种工业污水处理设备 |
KR20190093369A (ko) * | 2018-02-01 | 2019-08-09 |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
KR102018800B1 (ko) * | 2018-12-26 | 2019-09-05 | 강동석 |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
KR20200030235A (ko) * | 2018-09-12 | 2020-03-20 | (주)유원산업 |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
KR20210115407A (ko) | 2020-03-13 | 2021-09-27 |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
CN114849321A (zh) * | 2021-01-20 | 2022-08-05 | 江苏自勤建设发展有限公司 | 一种小区污水处理回用系统 |
CN115228166A (zh) * | 2022-08-01 | 2022-10-25 | 中建二局土木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城市污水排放管网 |
CN118356716A (zh) * | 2024-06-19 | 2024-07-19 | 杭州康强水处理设备有限公司 | 一种高效水质过滤装置及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88489B (zh) * | 2016-03-10 | 2018-08-28 | 马玉刚 | 一种滚筒筛分机 |
KR102566086B1 (ko) | 2022-12-02 | 2023-08-11 | 주식회사 태경엔텍 | 협잡물의 탈수효율을 증대시킨 패널형 드럼스크린 |
-
2003
- 2003-12-04 KR KR1020030087655A patent/KR1005642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389B1 (ko) * | 2006-11-09 | 2007-07-24 | 정혜란 | 협잡물 처리 장치 |
KR101051936B1 (ko) * | 2011-04-06 | 2011-07-26 | 주식회사 이엠테크 | 공기방울 분사 세척수단을 구비한 스크류프레스 |
KR101433316B1 (ko) * | 2012-05-11 | 2014-08-25 | 여미경 | 스크린 겸용 이물질 처리기 |
KR101370394B1 (ko) * | 2012-06-13 | 2014-03-06 | 주식회사 타 셋 |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
KR20190093369A (ko) * | 2018-02-01 | 2019-08-09 |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
CN109011827A (zh) * | 2018-08-31 | 2018-12-18 | 杭州富阳锦丰纸业有限公司 | 一种环保型污水处理箱 |
KR20200030235A (ko) * | 2018-09-12 | 2020-03-20 | (주)유원산업 |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
KR102018800B1 (ko) * | 2018-12-26 | 2019-09-05 | 강동석 |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
CN109928533A (zh) * | 2019-05-05 | 2019-06-25 | 瑞德(新乡)路业有限公司 | 一种工业污水处理设备 |
CN109928533B (zh) * | 2019-05-05 | 2024-03-15 | 瑞德(新乡)路业有限公司 | 一种工业污水处理设备 |
KR20210115407A (ko) | 2020-03-13 | 2021-09-27 |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
CN114849321A (zh) * | 2021-01-20 | 2022-08-05 | 江苏自勤建设发展有限公司 | 一种小区污水处理回用系统 |
CN115228166A (zh) * | 2022-08-01 | 2022-10-25 | 中建二局土木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城市污水排放管网 |
CN115228166B (zh) * | 2022-08-01 | 2024-01-09 | 中建二局土木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城市污水排放管网 |
CN118356716A (zh) * | 2024-06-19 | 2024-07-19 | 杭州康强水处理设备有限公司 | 一种高效水质过滤装置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64250B1 (ko) | 2006-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4250B1 (ko) |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 |
KR200417966Y1 (ko) |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 |
KR102209981B1 (ko) |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 |
US8707973B2 (en) | Dishwasher | |
US5183568A (en) | Self-cleaning strainer | |
KR200162956Y1 (ko) | 오폐수 처리장치 | |
US20140246387A1 (en) | Multi-purpose self-cleaning filter system | |
KR100414905B1 (ko) |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 |
CN106693480A (zh) | 一种刷式自清洗过滤器 | |
CN219950732U (zh) | 一种工业废水处理的检测与循环净化装置 | |
KR101468655B1 (ko) | 수처리용 여과장치 | |
JP2009045562A (ja) |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KR100543962B1 (ko) | 미세목 스크린형 협잡물처리장치 | |
KR20160004499A (ko) |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 |
CN208980447U (zh) | 污水过滤箱 | |
KR20120114791A (ko) | 자체 세척 스트레이너 | |
CN211724837U (zh) | 一种自清洗管道过滤器 | |
KR100926078B1 (ko) | 오수정화장치 | |
KR102305739B1 (ko) |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 |
KR20090050455A (ko) | 폐수처리용 스크린의 세정장치 | |
KR100927042B1 (ko) |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 |
KR101499781B1 (ko) | 오토 스트레이너 | |
KR101262157B1 (ko) | 수처리용 여과장치 | |
CN211025563U (zh) | 一种带有除尘功能的空气滤网结构 | |
KR100762342B1 (ko) | 세탁기의 필터배출장치 및 필터배출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