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279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279A
KR20050053279A KR1020030086944A KR20030086944A KR20050053279A KR 20050053279 A KR20050053279 A KR 20050053279A KR 1020030086944 A KR1020030086944 A KR 1020030086944A KR 20030086944 A KR20030086944 A KR 20030086944A KR 20050053279 A KR20050053279 A KR 2005005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edid storage
edid
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464B1 (ko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464B1/ko
Priority to EP04748529A priority patent/EP1706861A4/en
Priority to CN200480035424A priority patent/CN100590687C/zh
Priority to PCT/KR2004/002009 priority patent/WO2005055182A1/en
Priority to US11/000,999 priority patent/US7746329B2/en
Publication of KR2005005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8Power processing, i.e. workload management for processors involved in display operations, such as CPUs or GP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부와; EDID를 저장하는 읽기 및 쓰기 가능한 EDID 저장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EDID 저장부에 오류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EDID 저장부에 오류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많이 보편화되었다.
기존의 일반 디스플레이장치가 단순히 컴퓨터본체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데 반해, 플러그 앤 플레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본체와 정보교환이 가능한 제품으로서, 컴퓨터본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장착할 때 단순히 케이블만 연결하고 전원만 꽂으면, 컴퓨터본체가 자동으로 사용자 환경을 재구성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에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조회사 ID, 제품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제품 ID, DPMS (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기능의 지원 여부 등으로 구성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보관하고, 이를 컴퓨터본체로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프로토콜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VESA(Video Electronic Standards Association)에서는 플러그 앤 플레이 디스플레이장치용으로 디디시(DDC: Display Data Channel) 전송방식의 표준안을 제정하였다.
여기서, DDC 전송방식이란, 컴퓨터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정의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정보를 컴퓨터본체에 전송하거나, 키보드, 마우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정보를 변경시키는 방식에 대한 프로토콜을 말한다.
DDC 전송방식은 그 전송방식에 따라 DDC 1과 DDC 2B로 나누어진다.
DDC 1 방식은 컴퓨터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수직동기신호(V_sync)에 맞추어 1 Bit씩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컴퓨터본체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직동기신호(V_sync)가 입력되는 한 디스플레이장치는 128 Byte의 EDID 정보를 연속 순환적으로 내보낸다.
DDC 2B 방식은 컴퓨터본체로부터 SDA(Serial Address/Data) 및 SCL(Serial Clock) 신호라인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EDID를 요구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저장된 EDID를 SDA 신호라인을 통해 컴퓨터본체로 전송한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EDID 저장부와 그 주변 구성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EDID 저장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과 본체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쓰기방지포트(Write Protect Port, 이하 'WP 포트'라 함)가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WP 포트가 하이(high) 상태이면 EDID 저장부(110)는 리드(read)만 가능하며, WP 포트가 로우(low) 상태이면 EDID 저장부(110)는 리드(read)/라이트(write)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에 상관없이 본체전원이 공급되기만 하면 EDID 저장부(110)가 라이트(write) 가능하게 되어, ESD(Electrostatic Discharge) 또는 컴퓨터 사용시의 애플리케이션의 오동작으로 예기치 못하게 EDID 저장부(110)의 데이터가 비정상적인 데이터로 라이트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본체에서 EDID 저장부(110)를 액세스하여 EDID를 리드하는 중 컴퓨터본체 전원이 오프되게 되면, 통신이 중단되어 EDID 저장부(110)는 SCL 신호라인을 통해 컴퓨터본체에서 클럭신호를 입력받지 못하게 되어 비정상적인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EDID 저장부(110)가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고 있는 중간에 본체전원이 턴온되게 되면, EDID 저장부(110)에 공급되는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EDID 저장부(110)를 액세스한다는 것은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EDID 저장부에 오류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DC 기능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접속부와; EDID를 저장하는 읽기 및 쓰기 가능한 EDID 저장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컴퓨터본체의 비디오카드와 EDID 저장용 지그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며, 접속대상에 따라 식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상기 EDID 저장용 지그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용 지그로부터의 EDID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EDID 저장부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DID저장부는 I2C 라인 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경우 I2C 라인의 액세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가능하면 상기 I2C 라인 포트로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는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는 종료상태(STOP Condition)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DID 저장부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전원이 상기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EDID 저장부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본체전원라인을 상기 쓰기방지포트에 접속하는 전류통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DID저장부는 I2C 라인 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이 공급된 경우 I2C 라인의 액세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가능하면 상기 I2C 라인 포트로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는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는 종료상태(STOP Condition)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DID 저장부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와, 상기 전원입력포트를 통한 상기 본체전원 공급시 인에이블(enable) 상태가 되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상태를 전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쓰기방지포트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접속부와, EDID를 저장하는 읽기 및 쓰기 가능한 EDID 저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해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컴퓨터본체의 비디오카드와 EDID 저장용 지그의 선택적 접속에 따라, 상기 접속부에서 각기 상이한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상기 EDID 저장용 지그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용 지그로부터의 EDID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EDID 저장부가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EDID 저장부가 상기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DID 저장부가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경우 쓰기방지포트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EDID 저장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을 입력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쓰기방지포트의 디스에이블 상태전환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되,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비디오카드(18)와 EDID 저장용 지그(28)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11)와, EDID를 저장하는 EDID 저장부(10)와,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12)을 포함한다.
접속부(11)는 비디오카드(18)와 EDID 저장용 지그(28)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D-sub 커넥터 혹은 DVI 커넥터 등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1)를 통해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되게 되면, 비디오카드(18)의 접지점과 접속부(11)의 일부분이 접속되어 접속부(11)를 통해 접지전압이 출력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1)를 통해 EDID 저장용 지그(28)가 접속되게 되면, EDID 저장용 지그(28) 내의 저항(26)에 의해 접속부(11)에서는 소정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즉, 접속부(11)는 접속되는 대상에 따른 식별신호를 발생하여 마이컴(12)에 제공한다.
EDID 저장부(10)는 EDID를 저장하고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EDID는 표 1에서와 같이 128바이트의 정보를 갖는 데이터이다.
[표 1]
바이트 크기 구분
8바이트 헤더
10바이트 제조사/제품 식별코드
2바이트 EDID 포맷 버전
15바이트 기본 디스플레이 파라미터/특징
19바이트 확장/표준 타이밍
72바이트 타이밍 및 모니터 상세 정보
1바이트 확장 플래그
1바이트 체크 섬(checksum)
합계 128바이트
EDID 저장부(10)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Vcc 포트)와, 쓰기방지포트(Write Protect Port, 이하, 'WP 포트'라 함)와, 마이컴(12) 및 비디오카드(18)와 통신하기 위한 I2C 라인 포트로서 SCL(Serial Clock) 포트 및 SDA(Serial Address/Data) 포트를 갖는다.
다이오드(14)를 통과한 디스플레이장치전원 혹은 다이오드(16)를 통과한 비디오카드(18)로부터의 본체전원이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다. 여기서, EDID 저장부(10)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과 본체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게 되면 동작하게 된다.
또한, EDID 저장부(10)는 WP 포트가 하이(high) 상태이면 리드(read)만 가능하며, WP 포트가 로우(low) 상태이면 리드(read)/라이트(write) 가능하다.
EDID 저장부(10)의 SCL 포트 및 SDA 포트는 접속부(11)를 통해 비디오카드(18)와 접속되어, 비디오카드(18)와 I2C 통신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또한, SCL 포트 및 SDA 포트는 마이컴(12)과도 접속되어 EDID 저장부(10)와 마이컴(12)이 통신 가능하게 된다.
마이컴(12)은 접속부(11)를 통해 출력되는 식별신호에 따라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되었는지, 아니면 EDID 저장용 지그(28)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마이컴(1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EDID 저장부(10)의 WP 포트에 WP 인에이블(enable) 신호로서 하이(high)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마이컴(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DID 저장용 지그(28)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EDID 저장부(10)의 WP 포트에 WP 디스에이블(disable) 신호로서 로우(low) 신호를 제공한다.
이로써,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된 경우 EDID 저장부(10)를 WP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EDID 저장부(10)에 저장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EDID 저장용 지그(28)가 접속된 경우 EDID 저장부(10)를 WP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정상적인 EDID를 EDID 저장부(10)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컴(12)은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I2C 라인의 액세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액세스 가능하면 EDID 저장부(10)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SCL 포트 및 SDA 포트로 각각 종료상태(STOP Condition)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종료상태 신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SCL 및 SDA 라인의 동작상태는 통신준비상태(BUSY), 시작상태(START), 데이터전송상태, 종료상태(STOP)로 나누어진다.
통신준비상태는 SCL 및 SDA 신호가 모두 하이 상태일 때이며, 시작상태는 SCL이 하이 상태이고 SDA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천이될 때이다. 또한, 종료상태는 SCL이 하이 상태이고 SDA가 로우에서 하이 상태로 천이될 때이다.
즉, 마이컴(12)은 종료상태의 SCL 및 SDA 신호를 여러 회 EDID 저장부(10)의 SCL 및 SDA 포트로 제공함으로써 통신상태를 초기화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9는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되는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며, 도 10은 EDID 저장용 지그(28)가 접속되는 경우의 제어흐름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2)은 접속부(11)를 통한 식별신호에 따라 비디오카드(18)의 접속여부를 판단한다(S10). 마이컴(12)은 판단결과 접속부(11)를 통해 비디오카드(18)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EDID 저장부(10)의 WP 포트에 WP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여 임의의 오류데이터가 EDID 저장부(10)에 라이트되는 것을 방지한다(S12). 그리고, 마이컴(12)은 EDID 저장부(10)의 통신상태를 초기화시킨다(S14).
또한, 마이컴(1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11)를 통한 식별신호에 따라 EDID 저장용 지그(28)의 접속여부를 판단한다(S20). 판단결과, EDID 저장용 지그(28)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EDID 저장부(10)의 WP 포트에 WP 디스에이블 신호를 제공하여 EDID 저장용 지그(28)로부터 제공되는 EDID가 EDID 저장부(10)에 라이트되도록 한다(S2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Vcc 포트)와, WP 포트와, 도시되지 않은 비디오카드와 I2C 통신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SCL(Serial Clock) 포트 및 SDA(Serial Address/Data) 포트를 갖는 EDID 저장부(30)와,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EDID 저장부(30)를 제어하는 전류통로(32)를 포함한다.
전류통로(32)는 본체전원라인(38)과 WP 포트를 상호 접속시키며, 본체전원이 EDID 저장부(30)의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경우 본체전원이 저항(32b)을 통해 소정 전압 레벨로 하강하여 WP 포트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는, 본체전원이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경우 WP 포트에 하이신호를 인가하는 효과와 동일하다.
이로써, 컴퓨터본체의 전원을 턴온시켜 컴퓨터본체를 사용하려 하는 경우, 컴퓨터본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오류데이터가 I2C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EDID 저장부(30)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Vcc 포트)와, WP 포트와, I2C 통신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SCL(Serial Clock) 포트 및 SDA(Serial Address/Data) 포트를 갖는 EDID 저장부(40)와,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EDID 저장부(40)를 제어하는 마이컴(42)을 포함한다.
마이컴(42)은 접속부(미도시)를 통해 접속된 비디오카드(48)로부터 본체전원이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고 있는 것을 인터럽트 방식이나 폴링 방식 등으로 체크한다.
마이컴(42)은 체크 결과, 비디오카드(48)로부터의 본체전원이 EDID 저장부(40)에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WP 포트로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EDID 저장부(40)에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마이컴(42)은 EDID 저장부(40)에 본체전원이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I2C 라인의 액세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액세스 가능하면 EDID 저장부(40)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SCL 포트 및 SDA 포트로 각각 종료상태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제2실시예의 전류통로(32)와 제3실시예의 마이컴(42)은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본체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감지한다(S30). 감지결과, 본체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EDID 저장부(30, 40)의 WP 포트로 WP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여, EDID 저장부(30, 40)에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한다(S32). 그리고, 제3실시예의 마이컴(42)은 EDID 저장부(40)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한다(S34).
물론, 제2실시예에서도 본체전원 공급 여부를 감지하여 EDID 저장부(30)의 통신상태를 초기화시키는 제어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Vcc 포트)와, WP 포트와, I2C 통신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SCL(Serial Clock) 포트 및 SDA(Serial Address/Data) 포트를 갖는 EDID 저장부(50)와, WP 포트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상태를 전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64)와, WP 포트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선택부(58)와,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하 및 선택부(58)를 통한 선택에 따라 스위칭부(64)를 제어하는 마이컴(52)을 포함한다.
전원입력포트에 접속된 WP 포트는 본체전원 공급시 하이 신호가 인가되어 WP 인에이블 상태에 있다. 그런데, 그 후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턴온되어 마이컴(52)이 리셋되면서 전원을 끌어당겨 WP 포트의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로 변화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마이컴(52)은 리셋을 완료한 후에 스위칭부(64)에 로우 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칭부(64)를 턴오프시킨다. 이에, WP 포트는 전원입력포트와 접속되어 하이상태가 되며, 이로써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EDID 저장부(50)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스위칭부(64)는 NPN형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마이컴(52)은 선택부(58)를 통해 WP 포트의 디스에이블 상태 전환이 선택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칭부(64)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칭부(64)를 턴온시켜 WP 포트를 접지에 접속시킨다. 이에, 필요한 경우 WP 포트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선택부(58)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의 히든 키(hidden key) 조합 혹은 EDID 저장용 지그(미도시)의 커맨드(command) 등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없고, 공정시 혹은 서비스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WP 포트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상태를 전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84)와, 마이컴(72)의 제어에 따라 제1스위칭부(84)에 턴온/턴오프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2스위칭부(8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마이컴(72)은 리셋을 완료한 후, 제2스위칭부(88)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여 제2스위칭부(88)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제1스위칭부(84)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게 되어 제1스위칭부(84)가 턴오프된다. 이에, WP 포트는 전원입력포트와 접속되어 하이상태가 되며, 이로써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EDID 저장부(70)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제1 및 제2스위칭부(84, 88)는 NPN형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마이컴(72)은 선택부(78)를 통해 WP 포트의 디스에이블 상태 전환이 선택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스위칭부(88)에 로우 신호를 인가하여 제2스위칭부(88)를 턴오프시킨다. 그러면, 제1스위칭부(84)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제1스위칭부(84)는 턴온된다. 이에, WP 포트가 접지에 접속되게 되어, 필요한 경우 WP 포트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단, 본체전원이 공급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이 공급되어 마이컴(52, 72)이 초기화되게 되면(S40, S42), 마이컴(52, 72)은 EDID 저장부(50, 70)의 WP 포트에 WP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도록 스위칭부(64, 88)를 제어하여, 마이컴(52, 72)이 리셋되면서 WP 디스에이블로 변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S44).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WP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신호이고, WP 디스에이블 신호가 로우신호인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EDID 저장부의 WP 포트가 로우액티브(low active) 포트인 경우에는 WP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신호이고, WP 디스에이블 신호가 하이신호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속부를 통해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데이터가 EDID 저장부에 라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EDID 저장부에 오류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EDID 저장부와 그 주변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EDID 저장용 지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8은 SCL과 SDA 신호의 시작상태(START Condition) 및 종료상태(STOP Condition)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40, 50, 70 : EDID 저장부 11 : 접속부
12, 42, 52, 72: 마이컴 18, 48 : 비디오카드
28 : EDID 저장용 지그 32 : 전류통로
58, 78 : 선택부 64, 84, 88 : 스위칭부

Claims (2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접속부와;
    EDID를 저장하는 읽기 및 쓰기 가능한 EDID 저장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컴퓨터본체의 비디오카드와 EDID 저장용 지그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며, 접속대상에 따라 식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상기 EDID 저장용 지그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용 지그로부터의 EDID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DID저장부는 I2C 라인 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경우 I2C 라인의 액세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가능하면 상기 I2C 라인 포트로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는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는 종료상태(STOP Condition)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전원이 상기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본체전원라인을 상기 쓰기방지포트에 접속하는 전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전원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DID저장부는 I2C 라인 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전원이 공급된 경우 I2C 라인의 액세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가능하면 상기 I2C 라인 포트로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상태초기화 구동신호는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는 종료상태(STOP Condition)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는 디스플레이장치전원 및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포트와, 상기 전원입력포트를 통한 상기 본체전원 공급시 인에이블(enable) 상태가 되는 쓰기방지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상태를 전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방지포트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를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접속부와, EDID를 저장하는 읽기 및 쓰기 가능한 EDID 저장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해 컴퓨터본체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컴퓨터본체의 비디오카드와 EDID 저장용 지그의 선택적 접속에 따라, 상기 접속부에서 각기 상이한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상기 EDID 저장용 지그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용 지그로부터의 EDID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비디오카드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EDID 저장부가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EDID 저장부가 상기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DID 저장부의 통신상태를 초기화하도록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DID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EDID 저장부가 본체전원을 입력받는 경우 쓰기방지포트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의 입력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EDID 저장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전원을 입력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의 오류데이터가 상기 EDID 저장부에 저장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EDID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방지포트의 디스에이블 상태전환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쓰기방지포트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86944A 2003-12-02 2003-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9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944A KR100791464B1 (ko) 2003-12-02 2003-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4748529A EP1706861A4 (en) 2003-12-02 2004-08-1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CN200480035424A CN100590687C (zh) 2003-12-02 2004-08-10 显示设备和控制其的方法
PCT/KR2004/002009 WO2005055182A1 (en) 2003-12-02 2004-08-10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000,999 US7746329B2 (en) 2003-12-02 2004-12-02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944A KR100791464B1 (ko) 2003-12-02 2003-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279A true KR20050053279A (ko) 2005-06-08
KR100791464B1 KR100791464B1 (ko) 2008-01-04

Family

ID=3724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944A KR100791464B1 (ko) 2003-12-02 2003-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1464B1 (ko)
CN (1) CN10059068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66B1 (ko) * 2005-07-11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1288A (ko) * 2013-12-18 2015-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141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9752B1 (ko) * 2013-12-27 2020-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모리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7871482B (zh) * 2017-10-26 2019-04-05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电路与驱动方法
US10431173B2 (en) 2017-10-26 2019-10-01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apparatus, and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994A (ja) * 1998-02-16 1999-08-27 Toshiba Corp 表示装置とディスプレイに関する情報を取得する制御方法
JP2000194346A (ja) * 1998-12-28 2000-07-14 Nec Home Electronics Ltd 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同装置を含むコンピュ―タシステム
JP3588604B2 (ja) * 2001-11-30 2004-11-1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通信装置切替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66B1 (ko) * 2005-07-11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1288A (ko) * 2013-12-18 2015-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90687C (zh) 2010-02-17
CN1886771A (zh) 2006-12-27
KR100791464B1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6574B1 (en) Discovery of connections utilizing a control bus
JP2834330B2 (ja) データストリームモード切換機能を備えたメモリ装置
KR1003736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0693729B1 (en) Multi-protocol data bus system
KR100687923B1 (ko) 마스터디바이스, 그 제어방법과 마스터디바이스를 갖는전자장치
US200702967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139944A1 (en)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 of ddc data transmission for video display device
US5852406A (en) Multi-protocol data bus system
US7746329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375270B2 (en) Cable, method of controlling cable, conne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330694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using hdmi and apparatus therefor
KR1007914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447230A (zh) 显示装置、电子系统以及控制方法
CN114385527A (zh) 硬盘兼容平台、主板及控制方法
CN113688080B (zh) 一种提高传输链路兼容性的dp信号传输装置和方法
KR20050073205A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220150445A1 (en) Redriver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linear and limited modes
CN109658898B (zh) 防止读取数据出错的电路、方法及显示装置
USRE45860E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gramming the function of a display system
US200301895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eatedly updating the function of a LCD monitor
CN113312199A (zh) 工控机主板及工控机
CN112463691B (zh) 一种基于i2c的线路切换电路和通信系统
KR20050069745A (ko)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CN111104084A (zh) 工控机主板及工控机
KR200386928Y1 (ko) 저장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