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745A -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745A
KR20050069745A KR1020030102136A KR20030102136A KR20050069745A KR 20050069745 A KR20050069745 A KR 20050069745A KR 1020030102136 A KR1020030102136 A KR 1020030102136A KR 20030102136 A KR20030102136 A KR 20030102136A KR 20050069745 A KR20050069745 A KR 2005006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format
computer
edid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9745A/ko
Publication of KR2005006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는 디지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메모리와, 아날로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2 메모리와, 외부의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DC 통신 채널에 연결시키는 데이터 포맷 절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에 연결되는 컴퓨터의 데이터 포맷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합한 포맷의 EDID 데이터를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APPARATUS FOR SWITCHING EDID DATA FORMAT IN AN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기기, 예컨대 모니터를 컴퓨터에 연결할 경우, 컴퓨터는 DDC(display data channel) 통신을 통하여 모니터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에 최적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한다.
DDC란, 영상 표시 기기와 컴퓨터 간의 통신 채널을 정의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표시 기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교환시 신호 라인 및 그 수순을 규정하고 있다. DDC 기능을 지원하는 영상 표시 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DDC 통신을 통하여 영상 표시 기기로부터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에 필요한 EDID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 EDID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에 맞는 최적의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EDID 데이터에는 모니터 사양, 제조자, 최대 해상도, 제품 ID, 일련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20)는 외부 컴퓨터(10)와의 데이터 통신을 인터페이싱하는 DVI-I 커넥터(21)와, 상기 DVI-I 커넥터(21)에 연결되어 DDC 통신을 제어하는 마이콤(23)과, EDID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모니터(20)에 컴퓨터(10)가 연결되면, 모니터(20)는 마이콤(23)의 통제하에서 상기 컴퓨터(10)와 DDC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25)에 기저장된 EDID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10)의 비디오 카드로 전송하여 모니터에 맞는 최적의 화면이 지원되도록 한다. 여기서, DDC 통신은 도 1에서 이중선(double line)으로 도시된 DDC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DVI-I 커넥터의 경우, 비디오 신호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채널과 아날로그 채널이 별도로 존재하는 반면, DDC 채널은 1개만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DVI-I 커넥터를 구비한 모니터에서는 아날로그 EDID 데이터와 디지털 EDID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을 메모리(25)에 저장하였다가 이를 차후 연결되는 컴퓨터(10)에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메모리(25)에 저장된 EDID 데이터 포맷과 다른 데이터 포맷을 지원하는 컴퓨터가 모니터에 연결되는 경우, 컴퓨터는 모니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EDID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판독하지 못하고 단지 기본 모니터 사양으로 인식하여 모니터의 환경을 설정하게 된다. 예컨대, 모니터의 메모리(25)에는 디지털 EDID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나 아날로그 포맷의 데이터를 지원하는 컴퓨터(10)가 연결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이다.
이와 같이, 모니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EDID 데이터의 포맷과 상기 모니터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이 상이한 경우, 컴퓨터가 상기 EDID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판독하지 못하여 모니터에 맞는 최적의 화면이 지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니터로 입력되는 컴퓨터의 데이터 포맷에 대응하여 적절한 포맷의 EDID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로 입력되는 컴퓨터의 데이터 포맷에 상관없이 모니터에 맞는 최적의 화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는 디지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메모리와, 아날로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2 메모리와, 외부의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DC 통신 채널에 연결시키는 데이터 포맷 절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상기 컴퓨터를 인터페이싱하는 DVI-I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맷 절환부는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DC 통신 라인에 연결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메모리와 DDC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메모리와 DDC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ON, OFF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100)는 외부의 컴퓨터(10)로부터 지원되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모두에 대응 가능한 DVI-I 커넥터(101)와, 상기 DVI-I 커넥터와 DDC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10)와의 DDC 통신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A/D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02)과, 디지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메모리(104)와, 아날로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2 메모리(106)와, 상기 마이콤(102)로부터 입력되는 A/D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DDC 통신 채널에 연결시키는 데이터 포맷 절환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D 선택 신호는 상기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에 따라 결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등을 통하여 설정된다.
상기 데이터 포맷 절환부(100)는 상기 제1 메모리(104)와 DDC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112a) 및 상기 제2 메모리(106)와 DDC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112b)로 구성되는 스위칭부(112)와, 상기 마이콤(102)로부터 입력되는 A/D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위치(112a) 및 제2 스위치(112b)를 ON, OFF 시키는 스위치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112a) 및 제2 스위치(112b)의 ON, OFF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DDC 통신 채널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부(114)는 상기 마이콤 및 상기 스위칭부의 제2 스위치(112b)에 일단(一端)이 공통 연결된 제1 저항(R1)과, 베이스 단자(B)는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他端)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C)는 상기 스위칭부의 제1 스위치(112a) 및 제2 저항(R2)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E)는 접지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에는 '하이 레벨(H)'의 전압, 예컨대 5V가 공급된다.
이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모니터(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마이콤(102)에는 상기 모니터(100)에 연결되는 컴퓨터(10)의 데이터 포맷 정보, 즉 아날로그 데이터가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입력된다. 상기 컴퓨터(10)의 데이터 포맷은 컴퓨터 내부에 장착된 비디오 카드가 디지털 사양인지 아날로그 사양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마이콤(102)에 컴퓨터의 데이터 포맷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100)와 컴퓨터(10)가 케이블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면, DD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SCL, SDA 신호가 DDC 통신 채널을 통하여 마이콤(102)으로 입력된다.
상기 컴퓨터의 데이터 포맷이 디지털인 경우, 상기 마이콤(102)은 A/D 선택 신호를 '로우 레벨(L)'로 출력하고, 상기 '로우 레벨(L)'의 출력 신호는 상기 스위칭부의 제2 스위치(112b)를 OFF시키는 한편, 제1 저항(R1)을 경유하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단자로 입력된다. 이로써,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가 OFF되어 콜렉터 단자(C)에는 '하이 레벨(H)'의 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칭부의 제1 스위치(112a)가 ON된다. 그 결과, DDC 통신 라인은 제1 메모리(104)와 연결되고, 이곳에 저장된 디지털 EDID 데이터가 상기 DVI-I 커넥터(101)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10)로 전송된다. 이로써, 상기 컴퓨터(10)는 상기 디지털 EDID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모니터에 최적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100)에 연결되는 컴퓨터(10)의 데이터 포맷이 아날로그인 경우, 상기 마이콤(102)은 A/D 선택 신호를 '하이 레벨(H)'로 출력하고, 상기 '하이 레벨(H)'의 출력 신호는 상기 스위칭부의 제2 스위치(112b)를 ON시키는 한편, 제1 저항(R1)을 경유하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단자로 입력된다. 이로써,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가 ON되고 콜렉터 단자(C)에는 '로우 레벨(L)'의 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칭부의 제1 스위치(112a)를 OFF시킨다. 그 결과, DDC 통신 라인은 제2 메모리(106)와 연결되고, 이곳에 저장된 아날로그 EDID 데이터가 상기 DVI-I 커넥터(101)를 경유하여 상기 컴퓨터(10)로 전송된다. 이로써, 상기 컴퓨터(10)는 상기 아날로그 EDID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모니터에 최적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제어부(114)로서 2개의 저항과 1개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채용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러한 세부 회로 구성은 균등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에 연결되는 컴퓨터의 데이터 포맷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합한 포맷의 EDID 데이터를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에 연결된 컴퓨터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모니터의 EDID 데이터를 정확히 인식하여 모니터에 최상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I-I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 도면 부호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컴퓨터
100 : 모니터
101 : DVI-I 커넥터
102 : 마이콤
104 : 제1 메모리
106 : 제2 메모리
110 : 데이터 포맷 절환부
112 : 스위칭부
114 : 스위칭 제어부

Claims (5)

  1.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메모리와,
    아날로그 EDID 데이터가 저장된 제2 메모리와,
    외부의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DC 통신 채널에 연결시키는 데이터 포맷 절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포맷 절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상기 컴퓨터를 인터페이싱하는 DVI-I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포맷 절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맷 절환부는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DDC 통신 라인에 연결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포맷 절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메모리와 DDC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메모리와 DDC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ON,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포맷 절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EDID 포맷 절환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기기.
KR1020030102136A 2003-12-31 2003-12-31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KR2005006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136A KR20050069745A (ko) 2003-12-31 2003-12-31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136A KR20050069745A (ko) 2003-12-31 2003-12-31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745A true KR20050069745A (ko) 2005-07-05

Family

ID=3726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2136A KR20050069745A (ko) 2003-12-31 2003-12-31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97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388A1 (en) * 2004-10-30 200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77301B1 (ko) * 2006-06-30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마이컴 연동 이디아이디 데이터 기록방법 및 그 디지털 텔레비전
KR101323608B1 (ko) * 2013-07-29 2013-11-01 (주)진명아이앤씨 Uhd급 매트릭스 스위치 장치 및 그 방법
CN114401367A (zh) * 2022-01-14 2022-04-26 西安超越申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edid存储的视频切换显示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9388A1 (en) * 2004-10-30 200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77301B1 (ko) * 2006-06-30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마이컴 연동 이디아이디 데이터 기록방법 및 그 디지털 텔레비전
KR101323608B1 (ko) * 2013-07-29 2013-11-01 (주)진명아이앤씨 Uhd급 매트릭스 스위치 장치 및 그 방법
CN114401367A (zh) * 2022-01-14 2022-04-26 西安超越申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edid存储的视频切换显示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000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able
US2006009215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2333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114248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3933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7414619B2 (en) Displa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11876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40227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displays
US11495191B2 (en) Reading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from display device to get native resolution of display device
CN101006419A (zh) 显示装置和显示系统
US7746329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520013B2 (en) DDC communication module
KR20050069745A (ko) 영상 표시 기기의 edid 데이터 포맷 절환 장치
US7170520B2 (en) Display for sharing display data channel
CN110689835A (zh) 一种可切换分辨率的hdmi单接口显示器
USRE45860E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gramming the function of a display system
CN110428792B (zh) 控制器、显示屏参数配置系统及方法
CN109658898B (zh) 防止读取数据出错的电路、方法及显示装置
KR2005005327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301895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eatedly updating the function of a LCD monitor
KR20070040094A (ko) Edid 업데이트 장치
KR100486781B1 (ko) 모니터의 ddc_ic 전원 스위칭 장치
KR1011018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5410536B (zh)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20010026940A (ko) 디디씨 모니터의 동작 기록형 마이크로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