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452A - 냉각의복 - Google Patents

냉각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452A
KR20050052452A KR1020057000363A KR20057000363A KR20050052452A KR 20050052452 A KR20050052452 A KR 20050052452A KR 1020057000363 A KR1020057000363 A KR 1020057000363A KR 20057000363 A KR20057000363 A KR 20057000363A KR 20050052452 A KR20050052452 A KR 2005005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elfare
cooling
blowing means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가야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Priority to KR102005700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2452A/ko
Publication of KR2005005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41D13/0056Cooled garments using evaporative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소비전력으로, 또한 간이한 구조로, 쾌적하게 보낼 수 있는 냉각의복을 제공한다. 복지부(10a)의 상부에는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고, 복지부(10a)의 상부 이외의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한다. 복지부(10a)의 이면에는, 복지부(10a)와 속옷 사이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된다. 복지부(10a)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공기유출부(50a)가 형성되고, 공기유출부(50a)에 대응하는 복지부(10a)의 이면의 위치에는, 공기유통로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팬이 설치된다. 팬에 의해 복지부(10a)의 상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고, 그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을 냉각한다.

Description

냉각의복{COOLING CLOTHES}
본 발명은 고온의 환경하에서도 쾌적하게 보낼 수 있는 냉각의복에 관한 것이다.
여름 등의 더운 계절에 더위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에어컨디셔너이다. 이것은, 방의 공기를 직접 차갑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위를 해소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는 매우 유효하다.
그러나, 에어컨디셔너는 고가의 장치이며, 세대보급율은 높아져 왔지만, 한 세대의 각 방마다 보급되는 것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에어컨디셔너는 대량의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에어컨디셔너가 보급됨으로써 사회전체의 전력소비도 늘어나고, 또한, 발전의 큰 비율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는 현상황에서는, 에어컨디셔너가 보급됨으로써, 지구전체의 온난화로 연결된다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에어컨디셔너는 방공기 그자체를 냉각하므로, 지나친 냉각에 의해 건강을 손상시킨다는 문제도 생각된다.
그래서, 더운 계절이라도 소비전력이 적고, 또한, 쾌적하게 보낼 수 있는 의복이 제안되면, 이러한 문제의 다소 해결로 연결된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의 개략 정면도, 도1(b)는 그 냉각의복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2(a)는 그 냉각의복에 이용되는 팬의 개략 평면도, 도2(b)는 그 팬의 개략 측면도, 도2(c)는 그 팬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3(a)는 그 냉각의복에 이용되는 간격확보수단의 개략 평면도, 도3(b)는 그 간격확보수단의 다리부의 개략 확대평면도이다.
도4는 팬을 복지부에 부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5는 4개의 팬의 접속코드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6은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 이용하는 냉각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7은 그 냉각의복에 의해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8은 공기유입부에 부착된 측류팬의 개략도이다.
도9는 팬의 부착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의 개략 정면도, 도10(b)는 그 냉각의복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이용하는 벨트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13은 본 변형예의 밴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이며, 적은 소비전력으로, 또한 간이한 구조로 쾌적하게 보낼 수 있는 냉각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의복은, 복지(服地)부에 형성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입부와, 상기 복지부에 형성된, 복지부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출부와,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송풍수단과, 상기 몸 또는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 상기 송풍수단의 표면을 덮도록 설치된, 상기 송풍수단과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간격확보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과, 상기 복지부와 상기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가 상기 복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누설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의복은, 복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입부와, 상기 복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지부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출부와,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보냄으로써, 상기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측류팬과,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과,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가 상기 복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누설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류팬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의복은, 복지부에 형성된, 복지부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통구와, 상기 공기유통구에 대응하는 상기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된, 상기 복지부와 상기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과, 상기 공간을 개재해서 상기 공기유통구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복지부의 소정부위이며,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가 이용된 부위인 공기투과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유통구로부터 또는 상기 공기투과부위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의복은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을 상하 2개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수단과, 상기 구획수단에 설치된,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공간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과, 상기 복지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상기 공간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도입하기 위한 공기유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유통부로부터 또는 상기 복지부의 끝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속옷」이란 냉각의복 밑에 착용하는 의류를 의미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따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을 설명한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의 개략 정면도, 도1(b)는 그 냉각의복의 개략 배면도, 도2(a)는 그 냉각의복에 이용되는 팬의 개략 평면도, 도2(b)는 그 팬의 개략 측면도, 도2(c)는 그팬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3(a)는 그 냉각의복에 이용되는 간격확보수단의 개략 평면도, 도3(b)는 그 간격확보수단의 다리부의 개략 확대 평면도, 도4는 팬을 복지부에 설치했을 때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5는 4개의 팬의 접속코드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은, 도1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지부(10)와, 3개의 공기유입부(40)와, 4개의 공기유출부(50)와, 4개의 팬(송풍수단)(60)과, 4개의 간격확보수단(80)과, 전원박스(90)와, 공기누설 방지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냉각의복을 작업복, 유니폼 등, 옷단부분을 바지속에 넣지 않고 착용하는 타입의 의복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냉각의복은 긴소매 의복이며, 지퍼로 앞을 닫는 타입의 것으로 한다. 또한, 이 냉각의복은 속옷 위에 착용된다. 여기에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냉각의복 밑에 착용하는 의류를 「속옷」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냉각의복 밑에 와이셔츠를 입는 것으로 하면, 그 와이셔츠는 여기에서 말하는 「속옷」이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냉각의복을 착용했을 때에 그 앞부분을 닫는 수단으로서 지퍼를 이용하고 있다. 버튼이나 훅 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지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퍼는 간단히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지퍼를 닫았을 때에 그 지퍼부분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거의 누설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퍼를 닫는 것에 의해, 복지부(10)와 속옷 사이에 공기유통로가 구성되게 된다. 즉, 공기유통로라는 것은, 옷의 형상, 복지의 재질, 옷의 크기, 착의방법 등에 의해, 복지부와 속옷 사이의 대략 정해진 곳이나, 몸의 움직임 등에 따라 정해지지 않은 곳에 생기는 공간을 말한다. 이 공기유통로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흘려 보내면, 장소적인 편차는 있지만, 속옷과 복지부 사이에 몸과 대략 평행한 공기가 흐른다. 또한, 장소에 따라 편차가 생겨도 간격이 작으면, 일반적으로 공기의 흐름은 빨라지고, 또한, 몸의 부근을 바람이 지나가기 때문에, 오히려 냉각효과가 크게 되는 경우도 있어, 간격의 편차에 의한 냉각효과의 차이는 그다지 크게 되지 않는다.
복지부(10)의 상단부 근방에는, 공기유입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유입부(40)의 횡폭은 충분한 폭을 가지고 있다. 공기유입부(40)는 예를 들면, 복지부(10)의 소정 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에, 복지부(10)의 이면측으로부터 메시형상의 소재(41)를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메시형상의 소재(41)는 냉각의복의 외관상의 위화감을 적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유입부(40)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통로내에 유입된다. 도1의 예에서는, 공기유입부(40)를 복지부(10)의 상부 앞측에 2개, 그 뒤측에 1개로 합계 3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목덜미나 소매의 부분도 넓은 의미에서는 공기유입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공기유통로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복지부(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유출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유출부(50)도 공기유입부(40)와 마찬가지로 해서 형성된다. 즉, 예를 들면, 복지부(10)의 소정 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에 복지부(10)의 이면측으로부터 메시형상의 소재(51)를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메시형상의 소재(51)는 냉각의복의 외관상의 위화감을 적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유출부(50)로부터 공기유통로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공기유출부(50)의 수는 팬(60)의 수와 동일하다. 도1의 예에서는, 공기유출부(50)를 복지부(10)의 하부의 전후에 두개씩 합계 4개 형성하고 있다.
4개의 팬(60)은, 공기유통로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각각 각 공기유출부(50)에 대응하는 복지부(10)의 이면의 위치에 부착된다. 즉, 팬(60)을 복지부(10)의 하부의 전후에 두개씩 설치하고 있다. 이 팬(60)은,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팬(60)을 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기유통로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공기유입부(40)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통로내로 유입된다. 이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통로내에 있어서 몸표면에 대략 평행하고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공기는 팬(60)에 도달하면, 팬(60)에 흡인되어서 공기유출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어도 옷 내외의 압력차는 작으므로, 일반적인 옷감을 사용하는 옷의 경우, 옷 내외의 압력차에 의해 복지가 속옷에 밀착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복지의 부분적인 주름에 의해 복지부와 속옷이 접촉해서, 접촉부를 공기가 통과하지 않아도 접촉부의 면적이 그다지 크지 않으면, 온도, 습도 모두 빠르게 확산된다. 물론, 뻣뻣한 복지를 사용하거나, 복지부의 형상을 연구하거나 해서 적극적으로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디자인의 문제나 비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시판되고 있는 통상의 복지를 사용해도, 냉각에 필요한 유통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단, 신축성이 풍부한 소재를 복지에 사용하면, 복지부와 속옷이 밀착되어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4개의 팬(60)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접속코드(69)가 전원박스(90)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박스(90)에는 전지(전원수단)가 수납되어 있다. 이 전지가 4개의 팬(6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다. 또한, 전원박스(90)에는 팬(6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의복의 착용시에는, 전원박스(90)는 예를 들면 바지의 벨트에 부착된다. 또한, 전원박스(90)를 복지부(10)에 형성된 전용 포켓에 수납해도 좋다.
전지로서는, 통상, 경제성의 관점에서 2차전지가 이용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전지로서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연료전지는, 2차전지에 비해 소형이며, 충전하는 수고도 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연료전지는 냉각의복과 잘 맞는다라고 생각된다. 연료전지라는 것은 그 특성상, 일시에 대용량의 전류를 흘려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고, 일정 전류를 서서히 흘려보내는 경우에 적합하다. 냉각의복의 경우에는, 팬(60)을 구동하기 위해서 전지를 이용하므로, 급격한 상승전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료전지는, 발전시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므로, 냉각의복에 있어서의 전원으로서 연료전지를 이용한 경우, 연료전지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복지부(10)를 젖게 해 버리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연료전지는, 복지부(10)내에서 공기유통성이 좋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수증기를, 유통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증기에 의해 복지부(10)가 젖게 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지부(10)의 이면의 소정 위치(몇군데)에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팬(60)으로부터 인출된 접속코드(69)를 고정하기 위한 코드고정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코드고정수단(15)으로서는, 예를 들면 1cm×4cm의 가늘고 긴 매직테이프가 이용된다. 이 매직테이프는 A면, B면이 일체로 된 것이다. 이 매직테이프의 선단부를 복지부(10)의 이면에 꿰매 붙여 둔다. 그리고, 그 매직테이프로 접속코드(69)를 감아 넣도록 하고, 매직테이프의 후단부를 그 선단부에 접착함으로써, 접속코드(69)를 고정할 수 있다.
팬(60)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61)와, 날개부(71)와, 회로부(도시생략)와, 매직테이프(72)를 갖는다. 하우징부(61)는 원통형상부재(65)와, 링형상부재(66)와, 원판형상부재(67)와, 3개의 유지부재(68)로 이루어진다. 링형상부재(66)는 원통형상부재(65)의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원판형상부재(67)는 원통형상부재(65)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통형상부재(65)의 내측면에 설치된 3개의 유지부재(68)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61)는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인젝션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제조된다. 또한, 원통형상부재(65)의 높이(팬(60)의 두께)는 약 6mm이다.
날개부(71)와 회로부는, 원통형상부재(65)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로부는 원판형상부재(67)상에 부착되어 있다. 회로부는 회전모터(구동수단)를 포함하고, 이 회전모터의 축에 날개부(7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날개부(71)로서는, 그 직경이 예를 들면 10mm∼100mm의 것이 이용된다. 이 때, 날개부(71)의 회전축은, 원통형상부재(65)의 중심축과 대략 평행하며, 링형상부재(66)의 표면에 대략 수직이다. 이러한 팬(60)에는 어느 정도의 배기능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팬(60)으로서는, 구동시에 팬(60)부근에 있어서의 복지부(10)의 내외의 공기압차를 최대 50Pa로 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방식에서는 공기유통로의 저항이 큰 부분이 있으므로, 정압이 5Pa이상의 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팬에 의해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의 경우, 복지의 변형, 속옷에의 밀착을 막기 위해서는 150Pa이하의 정압의 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팬(60)에 의한 풍량은 클 수록 냉각효과가 높아지지만, 모든 팬(60)의 풍량은 토탈로 적어도 1ℓ/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팬(60)으로서는, 무게가 40g이하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60)의 무게에 의해 복지부(1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팬(60)의 노이즈는 40dB [A]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71)를 회전시키면,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는 원통형상부재(65)의 한쪽의 개구부로부터 날개부(71)를 향해서 유입되고, 날개부(71)를 통해 원통형상부재(65)의 다른쪽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팬(60)은, 그 크기에 비해서는 풍량이 많아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단,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원통형상부재(65)내에 도입하기에는 원통형상부재(65)의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 끝면과 속옷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반적으로, 이 공간의 크기는 팬(60)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매직테이프(72)는 링형상부재(66)의 이면에 접착된다. 이러한 매직테이프(72)는 팬(60)을 복지부(1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매직테이프(72)를 A면의 것으로 하면, B면의 매직테이프(16)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지부(10)의 이면에 있어서의 공기유출부(50)의 주위부에 꿰매 붙여져 있다. 이들 2개의 매직테이프(72,16)를 접착함으로써, 팬(60)이 공기유출부(50)의 주위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냉각의복을 착용하면, 날개부(71)의 회전축은 속옷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된다. 또, 매직테이프(72)의 접착부위인 링형상부재(66)의 형상을 원형상으로 한 것은, 그 매직테이프(72)와 페어로 되는 매직테이프(16)를 복지부(10)에 부착하는 경우, 그 부착면적은 될 수 있는 한 작은 쪽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팬(60)을 냉각의복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우선, 코드고정수단(15)으로서의 매직테이프를 떼어내어, 접속코드(69)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그 다음에, 각 팬(60)의 매직테이프(72)를 떼어내어, 4개의 팬(60)을 냉각의복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해서, 누구나 간단히 팬(6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 팬(60)을 매직테이프(72)에 의해 착탈하는 대신에, 시트형상 자석을 이용해서 착탈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팬(60) 및 전원박스(90)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냉각의복을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60)이 파손되었을 때에 팬(60)만을 교환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팬(60)을 공기유출부(50)의 주위에 부착했을 때, 팬(60)이 공기유출부(50)의 메시형상 소재(51)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팬(60)을 설계하고 있다. 즉,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60)의 이면측에 있어서, 원통형상부재(65)의 끝면과 링형상부재(66)의 간격(d)을 매직테이프(72)의 두께와 공기유출부(50)에 설치한 매직테이프의 두께의 합이 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60)을 복지부(10)에 부착했을 때 팬(60)의 끝면은 복지부(10)의 표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의복의 착용자에 있어서는 작업시에 팬(60)이 방해로 되는 일은 없고, 또한, 냉각의복의 외관상의 위화감도 적다. 또, 일반적으로는, 팬(60)의 끝면이 복지부(10)의 표면으로부터 5mm보다 많이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팬(60)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60)을 구동하면, 통상, 날개부(71)는 일정 회전수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팬(60)은 일정 풍량으로 공기를 보낸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팬(60)은 예를 들면, 풍량을 조정하거나, 풍량에 강약을 두거나 해서 공기를 보내는 소위 변동송풍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날개부(71)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데에 가변저항 등을 이용한 것에서는 전력이 손실되어 버리므로, PWM(pu1se width modulation) 등의 변조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DC-DC 컨버터로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의복의 내부에 온도센서 또는 온습도센서를 설치해 두고, 이러한 센서로 검지한 온도 또는 온습도에 기초하여 날개부(71)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 옥외작업중, 갑자기 비가 왔을 때에는, 팬(60)이 젖어 버리지만, 이 대책으로서, 팬(60)의 회로부에 내수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내수가공으로서는, 회로부에 수지를 코팅하는 것이 고려된다.
간격확보수단(80)은, 팬(60)과 속옷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의복의 착용자가 작업을 하거나,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으면, 아무래도 속옷에 주름이 생겨 버린다. 그 주름에 의해 팬(60)의 상단(팬(60)의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 끝)과 속옷과의 간격이 좁아져서 공기가 팬(60)에 유입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간격확보수단(80)은, 속옷의 주름을 억제하고, 공기의 흐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간격확보수단(80)은,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81)와, 4개의 다리부(82)를 갖는다. 이 간격확보수단(80)은, 두께 약 0.3mm이며, 그 재료로서는, 유연하고 또한 탄력성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 등이 이용된다. 본체부(81)의 외형은 대략 원형상이며, 또한, 본체부(81)에는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3(a)의 예에서는, 본체부(81)에 4개의 부채꼴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본체부(81)가 링형상부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교차된 2개의 선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단, 상기의 개구부의 크기는 주름이 생긴 속옷의 부분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할 필요가 있다.
다리부(82)는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노치부(82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폭방향으로는 2개의 짧은 노치부(82b)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의 노치부(82a)는 다리부(82)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고, 후자의 노치부(82b)는 다리부(82)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팬(60)의 링형상부재(66)에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확보수단(80)을 부착하기 위한 4개의 부착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부(66a)는 링형상부재(6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부착부(66a)에는, 다리부(82)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간격확보수단(80)을 팬(6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체부(81)를 팬(6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1개의 다리부(82)의 선단부를 손으로 눌러서 그 폭을 좁게 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리부(82)의 선단부를 소정의 부착부(66a)내로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다리부(82)의 2개의 노치부(82b)가 부착부(66a)와 결합되어 그 다리부(82)가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3개의 다리부(82)도 각 부착부(66a)에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간격확보수단(80)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 팬(60)의 표면을 덮도록 부착된다. 간격확보수단(80)을 설치함으로써, 속옷에 주름이 생겼을 때에, 간격확보수단(80)의 본체부(81)가 그 주름진 속옷의 부분을 막을 수 있으므로, 속옷과 팬(60) 사이에 항상 일정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간격확보수단(80)은,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압압되었을 때, 그 압압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확보수단(80)이 속옷에 접하고 있는 경우에, 착용자에게 간격확보수단(80)이 딱딱하다는 느낌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간격확보수단(80)은, 압압되었을 때에는 용이하게 찌그러져 버리고, 그 압압력으로부터 해방되었을 때에는 즉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실제로, 간격확보수단(80)으로서는 매우 약한 탄력성을 갖는 것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냉각의복을 입은 채로 의자에 앉아서, 냉각의복의 등부가 의자의 등받이에 의해 눌려진 경우에는, 간격확보수단(80)은 찌그러지고, 그 본체부(81)가 팬(60)의 상단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간격확보수단(80)은 그 탄력성에 의해 찌그러지므로, 착용자에게 울퉁불퉁한 느낌을 주는 일은 없다. 단, 간격확보수단(80)의 본체부(81)가 팬(60)의 상단에 접한 상태에서는, 공기가 팬(60)에 유입될 수 없으므로, 등에 있어서의 냉각효과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간격확보수단(80)은, 주름진 속옷의 부분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속옷에 접해서 팬(60)의 근방에 있어서의 공기유통로를 확보하는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구비하고 있다. 간격확보수단(80)이 스페이서로서의 역활을 하기 위해서는 팬(60)이 실용적 사이즈의 것인 경우, 간격확보수단(80)의 본체부(81)와 그것에 대향하는 측의 팬(60)의 상단과의 거리를, 적어도 약 2mm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거리를 2mm보다 작게 하면, 유통하는 공기가 받는 저항이 커져 풍량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 상술한 팬(60) 대신에, 시로코팬으로 대표되는 측류팬을,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류팬이란, 날개의 축방향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날개의 외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보내는 팬이다. 측류팬을 냉각의복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유입부를 복지부의 하부에, 공기유출부를 복지부의 상부에 형성하고, 측류팬을 공기유인부에 대응하는 복지부(10)의 이면의 위치에 부착한다. 도8에 공기유입부에 부착된 측류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류팬(600)이 공기유입부(40)로부터 흡입한 공기는 측류팬(600)의 측면으로부터 공기유통로내에 방사상으로 보내지고, 공기유통로내를 지나서 공기유출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측류팬(600)으로서,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팬의 주변에도 반드시 복지와 속옷 사이에 공간이 생겨서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측류팬을 사용할 경우, 측류팬은 압력이 높으므로, 공기유통로의 공기저항이 높아도 공기를 흐르기 쉽게 하는 메리트가 있다.
다음에, 복지부(10)의 소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지부(10)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다운재킷의 겉감 등에 사용되는 고밀도 천을 이용한다. 고밀도 천은, 통상의 천과 비교하면 높은 밀도로 짜여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은, 몸에 의해 따뜻해져서 습해진 공기를 공기유통로내를 유통시켜서, 공기유출부(50)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이러한 공기를 외기와 끊임없이 바꿔 가는 것이므로, 공기가 공기유통로내를 유통하는 도중에 복지부(10)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고밀도 천은 실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실의 사이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공기의 양이 매우 적고, 대부분의 공기가 공기유통로내를 통과해서 공기유출부(50)에 도달하고, 그곳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고밀도 천은 복지부(10)의 소재로서 이용하기에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고밀도 천은, 어디까지나 천이므로, 더러워진 경우에는 가정용 세탁기 등으로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다라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고밀도 천은 각종의 목적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또, 고밀도 천은 공기유통성이 좋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천으로서, 5Pa의 압력을 가했을 때, 그 고밀도 천을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공기의 체적이 5cc/㎠/sec이하인 것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지부(10)의 소재로서는, 고밀도 천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것이면, 어떤 소재라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더러움을 수반하는 작업을 행할 때에 냉각의복을 사용할 경우에는, 복지부(10)의 소재로서는, 표면이 매끄러운 비닐이나 나일론 등, 흡수성이 없는 소재 또는 발수가공되어 있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지부(10)에 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복지부(10)의 소재로서 흡수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면, 비 등으로 복지부(10)가 젖었을 때, 공기유통로내를 유통하는 공기가 복지부(10)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하는데에 사용되어 몸으로부터의 땀은 효과적으로 증발할 수 없게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이물질이 복지부(10)에 배어드는 일은 없고, 이물질을 간단히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복지부에 흡수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면, 땀에 젖은 속옷과 접촉해서 복지부가 젖고, 몸을 움직여도, 속옷과 복지부가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가령 떨어져서 공기가 흐르게 되어도 복지측의 땀의 증발은 몸의 냉각에는 그다지 효과가 없다. 흡수성이 없는 소재는 통풍성이 나빠 냉각의복내의 습기를 그 소재를 통해서 외부로 방산할 수는 없지만, 습기는 팬(60)에 의해 공기와 함께 공기유통로내를 지나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아무런 문제는 없다. 또, 냉각의복을 주로 옥외에서의 작업시에 착용할 경우에는, 복지부(10)의 표면에 열선반사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냉각의복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어, 복지부(10)와 속옷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가 복지부(10)의 하단으로부터 누설되는 일이 있고, 이 경우, 냉각의복에는, 공기누설 방지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냉각의복의 옷단부분에 고무를 넣어 두어, 그 고무에 의해 옷단부분을 줄임으로써 냉각의복의 옷단부분을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밀착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끈이나 벨트에 의해, 냉각의복의 옷단부분을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밀착시켜도 좋다. 또, 팬을 복지부의 중앙부부근에 설치하고, 복지부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공기유입부를 형성한 냉각의복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 공기누설 방지수단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냉각의복을 제작하는 경우, 팬(60), 전원박스(90)를 파트화해서 미리 제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냉각의복을 작업복 이외의 의복에 적용하는 경우에서도 냉각의복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다음에,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 이용하는 냉각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 이용하는 냉각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6(a)에서는, 온도 30℃의 방에 사람(A)이 있을 때에, 그 사람(A)의 주위의 온도분포를 등온곡선(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항온동물인 사람(A)의 체온은 거의 일정하며, 이 온도를 36℃라고 하면, 방의 공기에 큰 대류가 없다라고 가정한 경우에는, 도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A)의 부근이 가장 온도가 높고, 사람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저하되면서 30℃에 가까워진다.
도6(b)는 실온20℃의 방에 사람(A)이 있을 때의 온도분포를 등온곡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6(b)를 도6(a)와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도6(b)의 경우는 도6(a)의 경우에 비해, 등온곡선끼리의 간격이 빽빽하다. 바꿔말하면, 도6(b)의 경우는, 도6(a)의 경우에 비해서 온도구배가 크다. 온도구배의 대소는 방출되는 열의 양을 좌우하고, 사람의 온도의 감지법에 큰 영향을 준다. 즉, 사람은, 온도구배가 클수록 더위, 추위를 강하게 느낀다.
이 점에 착안하여, 제1실시형태에서는, 사람의 몸의 표면근방에서의 온도구배를 강제적으로 크게 해서, 이것에 의해, 사람이 시원함, 쾌적함을 느끼도록 한다. 도6(c)는, 실온 30℃의 방에 사람(A)이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을 착용하고 있을 때의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6(c)의 경우의 실온은 도6(a)의 경우와 같지만, 사람(A)이 냉각의복을 착용하고, 그 냉각의복의 공기유통로내에 실온과 같은 30℃의 공기를 계속해서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30℃의 등온곡선이 사람(A)의 몸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사람(A)의 몸의 표면으로부터 주위를 향하는 온도구배는 매우 커지고, 사람(A)과 냉각의복 사이의 온도구배만을 생각하면, 도6(b)의 경우에 유사하다.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을 착용해서 공기유통로내에 공기를 유통시켜, 몸의 표면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부분의 온도를 체온보다 낮은 온도로 함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 큰 온도구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큰 온도구배에 의해, 사람의 몸의 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용이하게 온도가 낮은 냉각의복의 측으로 방사되고, 그리고, 공기유통로내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빠르게 흡수된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팬(60)에 의해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유통시키는 것만으로 착용자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큰 온도구배가 큰 냉각효과를 내지만, 습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즉, 더울 때에는, 몸의 표면근방의 습도는 약 100%로 되어 있다. 이 때, 몸의 표면근방에 외기습도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 큰 습도구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큰 습도구배에 의해 땀의 증발이 촉진되어, 사람은 시원하게 느낄 수 있다.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복지부(10)와 속옷 사이의 공간인 공기유통로에 공기를 유통시키고 있다. 땀을 흘리고 있지만, 그 땀은 그다지 속옷에 흡수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서는, 속옷은 수증기를 투과시키므로, 땀은 속옷을 빠져 나와서 복지부(10)와 속옷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 수증기는 공기유통로내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용이하게 외부로 나오고, 발한에 의한 기화열의 흡수에 의해 몸이 다이렉트로 차게 된다. 즉, 몸으로부터의 땀과 공기유통로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한다.
또한, 땀을 줄줄 흘리고, 그 땀의 대부분이 속옷에 흡수되어 있는 상황하에서는 속옷에 흡수된 땀은 공기유통로내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외부로 보내지므로, 그 땀의 증발량은 매우 많아진다. 이것에 의해, 속옷의 표면온도는 크게 저하된다. 예를 들면, 실온이 30℃일 때에, 젖은 속옷의 표면근방에 실온과 같은 온도의 공기를 충분히 흘려보내면, 그 속옷의 표면온도는 실온보다 3℃∼5℃ 정도 저하된다. 특히, 속옷이 몸에 밀착되어 있으면, 몸과 속옷 사이에는 수분이 존재하고, 또한 젖은 속옷의 열저항은 마른 속옷의 열저항에 비해서 극단적으로 작으므로, 몸의 표면근방에는 큰 온도차가 생겨 착용자는 차갑다고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인간이 본래적으로 갖는 체온의 자동조정기능에 의해, 착용자는 그다지 땀을 흘리지 않게 되어 충분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땀을 흘리는 상황에 있어서는,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 온도구배를 높임과 아울러, 습도구배도 높일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더욱 시원함을 느껴 쾌적하게 보낼 수 있다.
다음에,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 의해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그 냉각의복에 의해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7에 있어서 세로축은 습도, 가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좌측의 곡선(S1)은 습구온도가 30℃인 곡선을 나타낸다. 정가운데의 곡선(S2)은 습구온도가 33℃인 곡선, 우측의 곡선(S3)은 습구온도가 36℃인 곡선을 나타낸다. 또, 이러한 그래프는 충분한 풍량이 있는 환경에서 얻어진 것이며, 여기에서는, 그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냉각의 원리로부터 알 수 있듯이, 몸으로부터의 땀을 증발시킬 수 없는 환경하에서는 냉각의복을 사용해도 그 냉각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론상은 도7에 있어서, 우측의 곡선(S3)을 경계로 해서 그 우측의 영역에 대응하는 환경하에서는, 냉각의복에 의한 냉각효과는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우측의 곡선(S3)과 정가운데의 곡선(S2)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에 대응하는 환경하에서도, 몸으로부터의 땀이 그다지 증발할 수 없으므로, 냉각의복에 의한 냉각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정가운데의 곡선(S2)과 좌측의 곡선(S1)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에 대응하는 환경하에서는, 몸으로부터의 땀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냉각의복에 의한 냉각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좌측의 곡선(S1)을 경계로 해서 그 좌측의 영역에 대응하는 환경하에서는, 몸으로부터의 땀이 충분히 증발될 수 있으므로, 냉각의복에 의한 냉각효과는 충분히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정가운데의 곡선(S2)을 경계로 해서 그 좌측의 환경은 인간의 통상의 생활환경이다. 이 때문에, 이론상은 이러한 냉각의복을, 비일상적인 환경을 제외하고, 어떤 환경하에서 사용해도, 냉각효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팬에 의해 공기유통로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복지부와 인체 사이에 있어서 몸표면에 대략 평행하게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냉각의복을 착용하는 것만으로, 착용자는, 시원함, 쾌적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땀을 흘리는 상황에서는, 땀을, 공기유통로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외부로 보낼 수 있으므로, 발한에 의한 기화열의 흡수에 의해 다이렉트로 몸을 차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냉각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공기누설 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복지부와 속옷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가 복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공기누설에 의해 냉각효과가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 제1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간격확보수단을,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팬의 표면을 덮도록 설치함으로써, 팬과 속옷 사이에 공기유통로를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름진 속옷의 부분에 의해 팬의 상단이 막혀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각효과가 쇠퇴하는 것과 같은 사태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냉각의복을 속옷위에 착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냉각의복을 직접, 맨몸위에 착용해도 좋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냉각의복의 앞부분을 지퍼로 개폐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매직테이프를 이용해서 냉각의복의 앞부분을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냉각의복은 뒤부분을 지퍼 등으로 개폐하는 타입의 의복이나, 전후부가 벌어져 있지 않고,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쓰는 것에 의해 착용하는 타입의 의복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매직테이프를 이용해서 팬을 복지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음 방법에 의해 팬을 복지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도9는 팬의 부착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 방법에서는, 복지부의 이면에 있어서의 공기유출부의 주위부에, 도9(a)에 나타내는 팬유지부(유지수단)(160)를 꿰매 붙인다. 이 팬유지부(160)의 형상은 대략 원환형상이며, 그 내원의 직경은 팬(60)의 원통형상부재(65)의 직경과 거의 같다. 또한, 팬유지부(160)에는, 2개의 걸림클로(16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팬(60)으로서는, 도2에 나타내는 것과 거의 같지만, 다음의 두가지의 점에서 다른 것을 이용한다. 즉, 제1상위점은 팬(60)에 매직테이프를 설치하지 않은 점, 제2상위점은,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60)의 링형상부재(66)에 2개의 노치부(66b)를 형성하는 점이다. 우선, 팬(60)의 노치부(66b)와 팬유지부(160)의 걸림클로(161)의 위치를 맞춰서, 팬(60)을 팬유지부(160)에 접촉시킨다. 그 후, 팬(60)을 날개부(71)의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노치부(66b)의 주변에 위치하는 링형상부재(66)의 일부와 걸림클로(161)를 결합시킨다. 이렇게 해서, 도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60)은 팬유지부(160)에 부착된다. 또, 팬유지부(160)는, 복지부에 꿰매 붙이는 대신에 복지부에 접착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냉각의복에 4개의 팬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팬의 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1개,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팬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공기유입부, 공기유출부에 대해서도, 수의 제한은 없다. 1개, 2개, 또는 4개이상의 공기유입부를 형성해도 좋고, 또한, 1개, 2개, 3개 또는 5개이상의 공기유출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전원박스로부터 4개의 팬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각 팬에 개별적으로 전력공급용의 전원이나 제어회로를 부착함으로써, 냉각의복의 내부에 있어서의 코드리스화를 꾀하도록 해도 좋다. 팬의 코드리스화를 꾀함으로써, 예를 들면, 냉각의복을 입은 채, 각 팬을 간단히 착탈하고, 2차전지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각 팬에 수신회로를 설치하고, 외부의 송신수단으로부터 수신회로에 무선으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팬의 온/오프나 강약을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송신수단으로서는, 포켓에 넣을 수 있는 사이즈, 형상의 것, 예를 들면 만년필형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휴대전화 등에 그 송신기능을 구비시켜도 좋다. 그리고, 수신회로는, 혼신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1000개의 고유의 통신식별코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수단을 모든 팬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이용한 경우에, 그 전원수단에, 제어회로, 수신회로 및 통신식별코드 해독회로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냉각의복의 착용자가 이동하는 일없이, 정해진 작업장소 등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팬에 공급하는 전력을 상용전원으로부터 취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상용전원에 의해 2차전지를 충전하면서, 냉각의복을 사용해도 좋다. 또, 상기 제어회로는, 팬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날개부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하는 것이다. 제어회로에 의해 예를 들면 팬마다 팬의 구동제어가 행해지지만, 4개의 팬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그 그룹마다 팬의 구동제어가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속옷의 일부에는, 예를 들면 스판덱스라 불리는 폴리우레탄제의 신축성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속옷과 몸이 밀착되어 냉각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속옷에는 흡수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0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의 개략 정면도, 도10(b)는 그 냉각의복의 개략 배면도이다. 또,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은,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지부(10a)와, 2개의 공기유출부(공기유통구)(50a)와, 2개의 팬(송풍수단)(60)과, 2개의 간격확보수단(80)과, 전원박스(90)와, 공기누설 방지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냉각의복을, 와이셔츠 등, 옷단부분을 바지나 스커트 안으로 넣어서 착용하는 타입의 의복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따라서, 복지부(10a)의 옷단부분은 어느 정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복지부(10a)의 옷단부분을 바지 등의 안으로 넣은 것이 공기누설 방지수단에 해당된다. 또한, 이 냉각의복은, 반소매 의복이며, 버튼으로 앞을 닫는 타입인 것으로 한다. 또한, 이 냉각의복은 속옷위에 착용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냉각의복을 와이셔츠에 적용하고 있으므로, 그 앞부분을 닫는 수단으로서 버튼을 이용하고 있다. 버튼을 이용한 경우, 상하에 인접하는 버튼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누설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공기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와이셔츠 앞부분의 맞춤부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버튼의 수를 많게 해서 버튼간의 간격을 좁게 해도 좋다. 또한, 와이셔츠 앞부분의 맞춤부에 매직테이프나 지퍼 등을 부착함과 아울러, 외관상 와이셔츠처럼 생각하게 할 수 있기 위해 장식용의 버튼을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2개의 공기유출부(50a)는 등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복지부(10a)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공기유출부(50a)는 각각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위치이며 복지부(10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유출부(50a)는, 예를 들면, 복지부(10a)의 소정 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에, 복지부(10a)의 이면측으로부터 메시형상의 소재(50)를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팬(60)은, 공기유통로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각 공기유출부(50a)에 대응하는 복지부(10a)의 이면의 위치에 부착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팬(60)을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복지부(10a)의 위치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냉각의복의 착용자의 팔이 팬(60)에 어쩌다 닿게 되어 팬(60)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또한, 전원박스(90)는 2개의 팬(6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다. 또, 팬(60) 및 전원박스(90)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것과 거의 같다.
또한, 간격확보수단(80)은 팬(60)과 속옷 사이에 일정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조·기능은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것과 거의 같다.
다음에, 복지부(10a)의 소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복지부(10a)의 상부와 그 이외의 부분에서 다른 소재가 이용된다. 즉, 복지부(10a)의 상부에는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고, 한편, 복지부(10a)의 상부 이외의 부분에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복지부(10a)의 상부로부터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통로내에 유입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복지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공기유입부를 형성하지 않고 있지만, 그 대신에, 복지부(10a)의 상부가 공기유입부의 역활을 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유입부의 역활을 하는, 복지부(10a)의 상부이며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가 이용된 부위를, 「공기투과부위」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어깨부터, 그 하측 약 5cm의 부분까지의 복지부(10a)의 부분을 공기투과부위로 한다. 또한, 공기투과부위에는 발수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투과부위가 물에 젖으면 그 부위에 있어서의 공기유통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투과부위에 사용하는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로서는, 복지부(10a)에 있어서, 언뜻봐서 공기투과부위와 그 이외의 부분의 차이를 알 수 있는 것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의복의 외관상의 위화감을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속옷이 잘 들여다 보이는, 매우 눈을 성기게 짠 메시상의 소재는, 공기투과부위에 사용하는 소재로서 적합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눈을 촘촘히 짠 소재이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공기투과부위로부터 공기유통로내에 유입될 때, 그 공기투과부위에 사용한 소재로부터 어느 정도 저항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공기투과부위의 면적은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러한 복지부(10a)에 요구되는 공기유통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지부(10a)의 공기유통성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물리량으로서, 5Pa(약 0.5mmH2O)의 압력을 복지부(10a)에 가했을 때에, 그 복지부(10a)를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공기의 체적(cc/㎠/sec)을 생각한다. 냉각의복의 착용시에 양호한 냉각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기유입부로서의 역활을 하는 복지부(10a)의 공기투과부위에 있어서는, 충분한 양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복지부(10a)의 공기투과부위 이외의 부위, 예를 들면 팬(60)의 근방 등에 있어서는, 공기가 그다지 누설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 등에 의한 실험의 결과, 공기투과부위에 대응하는 복지부(10a)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적어도 2cc/㎠/sec이며, 공기투과부위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복지부(10a)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많아도 1cc/㎠/sec인 복지부(10a)를 이용하면 충분한 냉각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하는 팬의 압력, 공기유통로의 공기저항 등에 의해 투과성의 절대치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공기투과부위에 대응하는 복지부(10a)를 통과하는 공기량은 공기투과부위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복지부(10a)를 통과하는 공기량보다 3배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감을 부착하고, 그것에 의해서 공기유통로내를 흐르는 공기가 복지부(10a)의 상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안감(31) 중 복지부(10a)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고, 복지부(10a)의 상부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실질적으로 공기의 누설이 적은 소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복지부(10a)에는, 모든 부위에 대해서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복지부(10a)의 상부(공기투과부위)로부터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할 수 있고, 복지부(10a)의 상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는 공기가 외부로 그다지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안감(31)에 의해, 복지부(10a)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복지부(10a) 전체에 대해서 같은 옷감을 이용할 수 있고, 복지부(10a)의 돋보임을 좋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기투과성을 복지부(10a)에서 제어하는 것보다 안감(31)에서 제어하는 쪽이 저렴하므로, 냉각의복의 제조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2개의 성질을 갖는 안감(31)의 제작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우선, 전체적으로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준비한다. 그리고, 그 소재에 있어서 복지부(10a)의 상부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실질적으로 공기누설이 적은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필름 등과 라미네이트한다. 특히, 복지부(10a) 중 바지의 벨트 등의 근방에 대응하는 부위와 같이, 공기의 이동이 적은 부위에 있어서는, 높은 투습성을 갖는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플라스틱필름 등과 라미네이트된 부위로부터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옷감(31)을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이 방법은 복지부(10a)에서 공기유통성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은,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특히, 제2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복지부의 소재를 이용해서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고, 또한, 2개의 공기유출부를 각각 좌우의 옆부분에서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복지부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냉각의복을 정면에서 봤을 때, 팬이 보이지 않고, 보통의 와이셔츠와 완전히 같다. 통상의 와이셔츠와 외관상 다른 점은,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복지부의 위치에 2개의 공기유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뿐이다. 이 때문에, 냉각의복을 착용해도, 외관상의 위화감은 거의 없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두개의 팬을 각각 복지부의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하고 있고, 등의 정가운데에 설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냉각의복의 착용자가 의자에 앉은 경우에 팬의 공기배출구가 막히게 되는 일도 없다.
또, 제2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2개의 팬과 전원박스를 분리하면, 통상의 와이셔츠와의 차이는 2개의 공기유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뿐이다. 이 때문에, 냉각의복이 더러워진 경우에는, 팬과 전원박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세탁할 수 있다.
또한, 팬과 전원박스가 분리된 냉각의복 본체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각의복의 착용자는 팬과 전원박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냉각의복 본체를 복수 세트 구입하고, 팬 및 전원박스에 대해서는 적어도 1세트 구입해 두면, 냉각의복으로서의 와이셔츠를 매일 교환해서 착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제2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한 2개의 팬에 의해, 공기유통로내에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2개의 팬을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다소 등쪽으로 어긋난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하면, 공기는, 공기유통로내를, 예를 들면 흉부나 등의 중앙을 피해서 흐르는 등, 치우친 경로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 특히, 등은 땀을 흘리기 쉬운 부분이므로, 공기유통로내에는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경로를 따라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을 설치하여, 공기가 등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복지내의 소정 위치에 스폰지를 설치하고, 공기유통로내의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공기가 공기유통로내에 있어서 등의 중앙을 흐르게 한다. 또한, 시로코팬과 같은 방향성이 있는 팬을 이용해서 공기유통로내를 흐르는 공기를 등의 중앙을 향해서 분사하도록 해도 좋다. 또, 공기가 흉부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또,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복지부의 상부를 공기투과부위로 하고, 2개의 팬을 좌우의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한쪽의 옆부분에 대응하는 복지부의 부위를 공기투과부위로 하고, 다른쪽의 옆부분에 대응하는 복지부의 위치에 1개의 팬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공기투과부위와 팬(또는 공기유출부)은 공기유통로를 통해 서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그 구체적인 설치위치는 어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공기투과부위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고, 공기유출부로부터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반대로, 공기유출부를 공기유입부로 하고, 상기 공기유입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고, 공기투과부위로부터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냉각의복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실시형태의 것과 동일의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은, 복지부(10a)와, 2개의 팬(60)과, 전원박스(90)와, 띠형상의 천(구획수단)(110)을 구비한다. 이러한 냉각의복이 제2실시형태의 것과 다른 점은 복지부(10a)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여, 복지부(10a)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출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점, 및 팬(60)을 그 회전축이 속옷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도록 복지부(10a)와 속옷 사이에 부착한 점이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2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복지부의 상부에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여, 복지부의 상부 이외의 부분에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서, 제3실시형태에서는, 복지부(10a)의 상부와 하부에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고, 상부 및 하부 이외의 중앙부분에 실질적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한다. 복지부(10a)의 상부이며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가 이용된 부위를 「제1공기투과부위」, 복지부(10a)의 하부이며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가 이용된 부위를 「제2공기투과부위」라고도 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공기투과부위 및 제2공기투과부위는, 청구항3에 있어서의 「공기유통부」에 대응된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제1공기투과부위가 공기유입부의 역활을 하고, 제2공기투과부위가 공기유출부의 역활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복지부(10a)의 일부를 절개해서 공기유입부, 공기유출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으므로, 이 경우의 냉각의복은 외부로부터 보는 한, 보통의 의복과 완전히 같아서 외관상의 위화감이 전혀 없다.
또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팬(60)의 구조는 제2실시형태의 것과 대략 같지만, 팬(60)의 부착방법이 제2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의 천(110)을 복지부(10a)의 하부의 이면에, 몸통 둘레방향을 따라 꿰매 붙인다. 여기에서, 이 띠형상의 천 중 복지부(10a)에 부착된 측과 반대측의 끝부에는 고무 등을 넣어서 개더를 형성하고 있다. 이 2개의 팬(60)을, 그 띠형상의 천(110)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의 천(110)의 개더는 속옷과 접하고, 냉각의복의 착용시에, 팬(60)의 날개부의 중심축은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된다. 이렇게, 띠형상의 천(110)은, 복지부(10a)와 속옷 사이의 공간을 상하 2개로 구획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며, 청구항3에 있어서의 「구획수단」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팬(60)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경 약 20mm정도의 소형의 것을 이용한다. 단, 팬(60)의 풍량은 어느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면 두께 10mm이상의 팬(6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팬(60) 대신에, 벨로즈(bellows)와 같은 세로로 긴 송풍기를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팬(60)을 부착함으로써, 공기유통로내를 통과해 온 공기는 팬(60)에 의해 하방을 향해 배출된 후, 공기유통성이 좋은 복지부(10a)의 하부(제2공기투과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또, 팬(60)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복지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공기유통성을 갖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하측에 위치하는 복지부(10a)의 면적은 크므로, 공기는 그다지 저항없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제3실시형태에서는, 외부의 공기를 복지부의 상부(제1공기투과부위)로부터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유통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팬을 상하 역방향으로 해서 상기의 띠형상의 천에 부착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복지부의 하부(제2공기투과부위)로부터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유통시키도록 해도 좋다.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는 체온에 의해 더워져서, 공기유통로내에 상승기류나 대류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상승기류 등을 이용한다는 관점에서는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유통시키는 편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형태의 냉각의복은, 상기 제2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특히, 제3실시형태의 냉각의복에서는, 복지부의 소재를 이용해서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함과 아울러 외부로 유출하고 있고, 또한, 팬을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복지부의 이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각의복을 착용하고 있어도, 외관상의 위화감이 전혀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 상기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냉각의복을, 옷단부분을 바지 등의 안으로 넣지 않고 착용하는 타입의 의복(예를 들면, T셔츠, 오버럴(overall) 등)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복지부의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복지부의 하부에 반드시 제2공기투과부위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즉, 일반적으로는, 공기투과부위를 복지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하면 좋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투과부위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는 경우에는 복지부의 끝부로부터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고, 한편, 상기 공기투과부위로부터 공기유통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는, 복지부의 끝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내에 도입하게 된다.
또, 상기 제3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의 천(110)을 이용해서, 2개의 팬을 소정의 위치에 부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띠형상의 천 대신에 도12에 나타내는 전용벨트를 이용해도 좋다. 도12는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이용하는 전용벨트의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13은 본 변형예의 전용벨트(120)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측면도이다. 또, 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상술한 제3실시형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 부호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2 및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전용벨트(120)는 벨트본체(121)와, 팬(60)을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팬홀더(122)와, 전원부(90a)와, 고정쇠(123)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본체(121)는 복지부(10a)와 속옷 사이에 공기유통로를 확보하는 것임과 아울러 공기유통로를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것이다. 따라서, 벨트본체(12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뿐만 아니라, 측부방향으로도 공기유통로를 확보함과 아울러 팬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폭을 갖는다. 또,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본체(121)의 고정쇠(123)주변의 폭을 좁게 하고 있는 것은, 본 변형예의 전용벨트를 장착했을 때에, 벨트장착에 의한 위화감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벨트본체(121)의 측부방향의 두꺼운 부분에는 스폰지 등의 가볍고 또한 탄력성이 풍부한 부재를 이용한다. 또, 전용벨트(120)와 복지부(10a)는 매직테이프를 이용해서 밀착시키거나 또는 지퍼를 이용해서 전용벨트(120)를 복지부(10a)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해도 좋다. 또한, 전용벨트와 복지부를 밀착시키기 위해서 복지 위로부터 얇은 벨트를 감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냉각의복 위에 양복 등의 겉옷을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겉옷에 대해서는, 냉각의복의 공기유입부(제2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복지부의 상부)나 팬에 대응하는 부분을, 예를 들면 메시형상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겉옷은 냉각의복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저해하는 일은 없으므로, 냉각의복에 의한 양호한 냉각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체적으로 공기유통성이 우수한 겉옷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겉옷이면, 아무런 가공없이 그대로, 상기 냉각의복 위에 착용할 수 있다. 또, 냉각의복 위에 착용하는 것은 양복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냉각의복은, 상술한 제1,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작업복이나 와이셔츠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의복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냉각의복은 상술한 것 이외에, 오버럴, 레인코트, 군복, 겨울스포츠용 의복, 농업이나 임업용의 작업복, 파일롯이나 레이서용 의복, 발한되는 동물용의 의복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의복은,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을 공기유출부에 대응하는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유통로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몸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배출하는 방식과, 제3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획수단에 팬을 설치함으로써, 공기유통로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복지부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배출하는 방식을 둘다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냉각의복에서는, 공기유통로내에 대량의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특히 등의 상부 등, 복지와 속옷이 밀착되기 쉬운 곳이나, 기타 공기유통로로서 중요한 곳에는 반드시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복지이면에 부착하면 공기유통로의 공기저항이 줄어 한층 냉각효과가 높아진다. 스페이서로서는 스폰지나 펠트 등의 작은 조각 등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지부와 속옷 사이의 공기유통로내에 공기를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땀을 흘리는 상황에서는, 땀을, 공기유통로내를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외부로 옮기고, 발한에 의한 기화열의 흡수에 의해 다이렉트로 몸을 차게 하는 것이며, 적은 소비전력으로, 또한 간이한 구조로, 쾌적하게 보낼 수 있는 의복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7)

  1. 복지(服地)부에 형성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입부;
    상기 복지부에 형성된, 복지부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출부;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송풍수단;
    상기 몸 또는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 상기 송풍수단의 표면을 덮도록 설치된, 상기 송풍수단과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간격확보수단;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 및
    상기 복지부와 상기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가 상기 복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누설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 복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입부;
    상기 복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지부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출부;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보냄으로써, 상기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측류팬;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 및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를 유통하는 공기가 상기 복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누설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측류팬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 복지부에 형성된, 복지부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복지부내에 도입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공기유통구;
    상기 공기유통구에 대응하는 상기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된, 상기 복지부와 상기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 및
    상기 공간을 개재해서 상기 공기유통구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복지부의 소정부위이며,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가 이용된 부위인 공기투과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유통구로부터 또는 상기 공기투과부위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4.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의 공간을 상하 2개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수단;
    상기 구획수단에 설치된, 상기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공간내에 공기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 및
    상기 복지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상기 공간내의 공기를 외부로 꺼내기 위한 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도입하기 위한 공기유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유통부로부터 또는 상기 복지부의 끝부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도입하고, 그 도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몸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몸의 표면근방에 있어서의 온도구배를 크게 해서 몸을 냉각함과 아울러, 몸으로부터의 땀과 상기 공간내를 유통하는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몸으로부터의 땀을 기화시키고, 그 기화시에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작용을 이용해서 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를 상기 공간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경로를 따라 유통시키기 위한 공기안내수단을 상기 공간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은 연료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은 코드를 통해 상기 송풍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에 안감을 부착하고, 상기 복지부의 모든 부위에 대해서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 안감 중 상기 복지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상기 복지부의 상부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실질적으로 공기누설이 적은 소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위의 안감 및 상기 복지부로서는, 5Pa의 압력을 상기 복지부 및 상기 안감에 가했을 때, 상기 공기투과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복지부 및 상기 안감을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공기의 체적이 2cc/㎠/sec이상이며, 상기 공기투과부위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안감으로서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공기의 체적이 1cc/㎠/sec이하인 것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은,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해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복지부의 상부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 실질적으로 공기누설이 적은 소재를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로서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고, 공기누설을 방지하는 부분에는 공기누설이 적은 소재를 복지이면측에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매직테이프 또는 시트상 자석을 이용해서 상기 복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의 하우징부의 주위에는, 2개이상의 노치부를 갖는 링형상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수단의 부착위치에는, 상기 송풍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이 부착되고, 상기 유지부에는 2개이상의 걸림클로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노치부와 상기 걸림클로의 위치를 맞춰서 상기 송풍수단을 상기 유지수단에 접촉시킨 후, 상기 송풍수단을 돌려서 상기 노치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상기 링형상부재의 일부와 상기 걸림클로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송풍수단을 상기 유지수단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WM 변조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송풍수단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는, 상기 전원수단, 제어회로 및 수신회로가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회로에 무선으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송풍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는, 제어회로 및 수신회로가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회로에 무선으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송풍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회로는 1000개이상의 통신식별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송풍수단을 몇개의 그룹으로 구분했을 때의 그룹마다 상기 송풍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그 회전축이 몸 또는 속옷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상기 복지부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의 상기 복지부에 대향하는 측의 끝면이 상기 복지부의 표면과 대략 동일평면상에 있도록, 상기 복지부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의 끝면이 상기 복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양은 5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을 옆부분으로부터 약간 등쪽으로 어긋난 상기 복지부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측류팬이며, 상기 복지부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팬이며, 상기 팬의 회로부에 내수가공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5. 제3항에 있어서, 몸 또는 속옷에 대향하는 측의 상기 송풍수단의 표면을 덮도록 설치된, 상기 송풍수단과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개의 간격확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6. 제1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확보수단은 탄력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압압되었을 때, 그 압압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7. 제1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의 하우징부는 상기 간격확보수단의 부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의 상부를 상기 공기투과부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2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부는, 상기 복지부의 소정부위이며 공기유통성이 좋은 소재가 이용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의 앞부분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지퍼 또는 매직테이프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에는 흡수성이 없는 소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의 소정 부위에 발수가공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에 열선반사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복지부의 부분에는 메시형상 소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부와 상기 몸 또는 속옷이 밀착되기 쉬운 부위의 상기 복지부의 이면측에 상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팬이며, 상기 팬은 복지부와 몸 또는 속옷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지부의 내측에 사용하는 전용 벨트에 전원수단과 함께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3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출부는, 등의 상부에 설치된 가로로 긴 노치부를 갖고 또한 상기 노치부를 메시로 덮거나, 또는 상기 노치부의 주위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의복.
KR1020057000363A 2005-01-07 2002-07-10 냉각의복 KR2005005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0363A KR20050052452A (ko) 2005-01-07 2002-07-10 냉각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0363A KR20050052452A (ko) 2005-01-07 2002-07-10 냉각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52A true KR20050052452A (ko) 2005-06-02

Family

ID=3724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363A KR20050052452A (ko) 2005-01-07 2002-07-10 냉각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24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79B1 (ko) * 2006-08-25 2007-06-14 주식회사 우주엘텍 송풍벨트
WO2022059993A1 (ko) * 2020-09-18 2022-03-24 대신아이브(주) 포터블 타입 방호복 냉방장치
WO2022059992A1 (ko) * 2020-09-18 2022-03-24 대신아이브(주) 백팩 타입 방호복 냉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79B1 (ko) * 2006-08-25 2007-06-14 주식회사 우주엘텍 송풍벨트
WO2022059993A1 (ko) * 2020-09-18 2022-03-24 대신아이브(주) 포터블 타입 방호복 냉방장치
WO2022059992A1 (ko) * 2020-09-18 2022-03-24 대신아이브(주) 백팩 타입 방호복 냉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4006699A1 (ja) 冷却衣服
US7120938B2 (en) Cooling cloths
WO2003103424A1 (ja) 冷却衣服
CN109788810A (zh) 用于将至少一个装置附接到服装物品的附接结构
JP2001040512A (ja) 冷却服
US8813525B2 (en) Revesible garment with warming side and cooling side
JP2023175913A (ja) 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空調衣服
JP2019199667A (ja) 涼感機能服
KR20050052452A (ko) 냉각의복
US20230148688A1 (en) Garment body for fan-equipped garment, and fan-equipped garment
WO2004017773A1 (ja) 空調服ユニット
CN212194567U (zh) 一种防风面料及其防风衣
CN210581062U (zh) 一种透气可调的毛衣
JP2017145542A (ja) 断熱、保温、放熱、通気、換気機能のある衣服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JP5397828B2 (ja) 防護服用冷却装置
CN113993406A (zh) 冷感衣物
JP7318898B1 (ja) 体感冷却上衣
CN220529308U (zh) 一种紫外线凉感运动球衣
JPWO2006019046A1 (ja) 空調衣服
CN216330511U (zh) 一种透气性能好的面料
JP7429962B2 (ja) 空調衣服及び空調衣服用衣服本体
CN111885936B (zh) 防风雨气候调节运动裤
CN106562488A (zh) 一种民工空调服
KR20170054491A (ko) 냉각복
JP2021055224A (ja) 空調衣服及び身体装着型の冷却・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