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491A - 냉각복 - Google Patents

냉각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491A
KR20170054491A KR1020177009999A KR20177009999A KR20170054491A KR 20170054491 A KR20170054491 A KR 20170054491A KR 1020177009999 A KR1020177009999 A KR 1020177009999A KR 20177009999 A KR20177009999 A KR 20177009999A KR 20170054491 A KR20170054491 A KR 2017005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oling
opening
should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쥐엔 리우
칭메이 니
히데토시 스즈키
궈리앙 싱
테츠오 호리노
요시로 코야마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2Motorcyc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4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의류 본체(1)와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로 구성되되,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는 공기를 받아들이고 공기를 의류 내에 인입시키는 저면 재료(2a), 착용 시 개구부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 지지 재료(2c)로 구성되는 냉각복은, 의류에 입체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특히는 운동 시 외부 공기가 대량으로 복장 내부에 인입되고, 심지어 바람을 등진면까지 인입되어, 통풍 환기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냉각복{COOLING GARMENT}
본 발명은 복장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공기를 의류 내부에 인입하는 것을 통해 신체의 특정된 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복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항상 무감각적인 증발과 방열을 하고, 운동 시 더욱 활발하게 된다. 운동 시 인체 체온은 상승하고, 신체 기능은 자동적으로 이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도록 조절하며, 무감각적인 증발과 방열은 땀을 흘리는 것을 통해 체현된다. 땀을 흘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중의 스포츠복은 대부분 면직 재료의 통기성 및 땀 흡수 및 쾌속 건조 기능 두가지 측면을 고려한다. 지속적인 쾌적함을 실현하는 대책인 통기성은 기능이 충분하면, 운동 시 인체에서 산생되는 열량을 신속하게 산열기에 인체 체온이 지나치게 상승되지 않아 땀을 흘리는 것이 지연되고 심지어 땀을 흘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진정한 의미에서의 착용의 쾌적성을 실현 할 수 있다. 이때, 흡한 속건 기능은 쾌적성을 실현하는 조보적 수단이다.
면직 재료의 통기성에 관하여, 시중의 대부분 제품은 이미 인체 정면 또는 국부적의 통기성을 실현하였고, 구체적으로 복장의 특정된 부위에 메쉬(중공) 재료, 개구 지지체 설계 또는 기타 통기 설계를 통한 스포츠 복장이다. 이러한 방법은 부분적 열량을 배출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매우 제한되며, 통상적으로 단지 바람 받이면의 통기성만 해결할 수 있지만 바람 등진면의 통기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는데 이는 바로 쾌적성에 영향을 이르키는 핵심 요소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CN102573538A에서 통풍 개구를 가지는 의류를 공개하였고, 흉부 영역 및/또는 등받이에 통풍 개구를 가지며, 개구부는 밀폐 부재로서, 조정 기구에 의해 조될 수 있고, 대량의 땀이 방출될 시 통풍 개구를 오픈하여 공기를 교환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단지 인체의 바람 받이면에서 냉각 효과를 실현할 수 있고, 훌륭한 공기 유통 경로를 형설할 수 없기, 인입된 외부 공기는 제한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특허 문헌CN102188053A에서 통기성 의류를 고액하였고, 땀을 흘린 후 통기 설계 부위(메쉬 면직 재료)가 피부에 밀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쉬 면직 재료 가장자리에 다수의 지지링을 설치하여 의류 직물층과 피부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인체와 대류 공간을 형성하며,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특히는 바람이 있는 정황하에 순리롭게 인체에서 산생되는 열량과 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계에 의해 인입된 외부 공기도 동일하게 제한되어 있기에 근본상에서 쾌적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운동 시 특별히 외부 공기가 대량으로 복장 내부에 인입되고 심지어 바람 등진면까지 인입되어 통풍순환 효과를 향상하고, 신체의 특정된 부위을 냉각시키며, 냉각 효과가 훌륭한 냉각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냉각복은 의류 본체(1)와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는 공기를 받아들이고 공기를 의류 내에 인입시키는 저면 재료(2a), 착용 시 개구부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 지지 재료(2c)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부압 송풍의 원리를 이용하였고, 복장 본체에 입체 개구 설계인 외부 공기 인입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부압 송풍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고, 공기의 유입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 공기가 부재와 평형으로 흐를 시, 공기 유도 작용을 구비하는 저면 재료를 통해, 더욱 대량의 공기가 복장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하고, 바람 등진면을 따라 흘러 내부 열기를 배출하고 신체를 냉각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상이한 류형의 스포츠복에 대하여, 복장의 상이한 위치에 측벽 재료를 배치하는 것을 통해 대류 공간을 증대할 수 있고, 송풍 효과를 증강하며, 통풍 순환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냉각복의 정면 모식도이고, 여기서 1은 본체, 2는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9의 냉각복의 배면 모식도이고, 여기서 1은 본체, 2는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고, 여기서 2a는 저면 재료, 2b는 측벽 재료, 2c는 지지 재료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삼각형과 유사한 모식도이고, 여기서 3은 삼각형과 유사한 호선 정점부터 보편적인 삼각형의 양 변과의 수직 거리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인체 부위의 정면 모식도이고, 여기서 4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 5는 어깨 라인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인체 부위의 배면 모식도이고, 여기서 5는 어깨 라인, 6은 견갑골 하단 수평선, 7은 허리 둘레 라인, 8은 엉덩이 둘레 라인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냉각복의 흐름 경로의 모식도이고, 여기서 9는 개구부의 너비, 10은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의 길이, 11은 견갑골 하단 수평선의 너비, 12는 허리(허리 둘레 라인)의 너비, 13은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의 너비가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43의 냉각복의 정면 모식도이고, 여기서 1은 본체, 2는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이다.
본 발명의 냉각복은 의류 본체(1)와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는 공기를 받아들이고 공기를 의류 내에 인입시키는 저면 재료(2a), 착용 시 개구부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 지지 재료(2c)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냉각복 중에, 개구부 지지 재료(2c)에서, 저면 재료(2a)는 의류 본체(1)의 재료보다 피부에 더욱 접근한다. 보편적인으로, 의류 본체(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의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배부 부위에 단지 하나의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를 설치할 수 있다.
부압 송풍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는 개구식이고, 저면 재료(2a)는 외부 공기를 개구부로 유발할 수 있으며, 측벽 재료(2b)는 일정한 높이가 있어 개구부가 착용 시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동시에 개구부에서 지지 재료(2c)를 사용하여, 개구부가 붕괴, 심지어 페합되는 추세를 방지하며, 이러한 설계는 외부 공기를 용이하게 복장 내부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부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의 형상은 삼각형, 제형, 삼각형과 유사하거나 또는 제형과 유사할 수 있다. 보편적인 삼각형 또는 제형과 비교하면, 삼각형과 유사하거나 또는 제형과 유사한 각 변은 내측으로 호선을 형성한다. 외부 공기 유동의 저항력이 감소되는 것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삼각형과 유사하거나 또는 게형과 유사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각형과 유사하다. 삼각형과 유사한 호선 정점부터 보편적인 삼각형의 양 변의 수직 거리는 모두 0~50㎜ 사이이고, 제형과 유사한 호선 정점부터 보편적인 삼각형 양 변의 수직거리도 0~50㎜ 사이이며, 삼각형과 유사하고, 제형과 유사한 변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인체 공학에 따라 설계하면 된다. 어떠한 형상을 사용하던지, 너비가 개구부 방향을 향해 점차 확장되고 개구부에 최대 단면 면적을 형성한다면, 입체 부재의 외부와 내부는 매우 큰 압력 차이가 산생되고, 비교적 큰 부압값이 형성되며, 송풍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깊게 연구한 결과, 개구부의 너비가 넓을수록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의 길이는 더 길고, 그 송풍 효과는 더욱 훌륭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개구부의 너비가 넓을수록 그 단면 면적은 더 넓고, 송풍 효과도 더 좋지만, 개구부 폭은 어깨의 너비보다 넓을 수 없다. 2004년~2006년 일본 남성의 신체 측정 자료에 의해 알 수 있다시피, 20~49세 일본 남성의 평균 어깨 폭은 대체로 13㎝이고, 이 어깨 너비의 사람들은 M호 복장을 착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M호 복장의 어깨 폭은 보편적으로 12~14㎝ 사이이며, M호 복장에 본 발명의 입체 부재를 설치하고, 그 개구부가 어깨 라인(5)에 위치한다면, 그 개구부의 폭은 12~14㎝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체 부재의 세로 길이가 길수록, 바람을 유도하는 경로 역시 더 길고, 유도하는 효과가 더 좋다. 예를 들면, 2004년~2006년 일본 남성의 신체 측정 자료에 의해 알 수 있다시피, 20~49세 일본 남성의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의 평균 거리는 대체로 20㎝이고, 이들이 착용하는 복장에 본 발명의 입체 부재를 설치하고, 개구부가 어깨 라인(5)에 위치한다면, 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입체 부재의 길이는 10~18㎝로 설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모델의 의류에 대해, 대응되게 입체 부재 개구부의 너비, 길이 등 수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는 흉부, 어깨, 배부 및 허리 등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흉부와 어깨 전방에 설치되고, 구체적 위치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을 계선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두가지 시를 포함한다.(a)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 아래에 위치하고, 직립 또는 사이클링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순리롭게 개구부에 진입하여, 의류 내부에 유입되고, 냉각 효과는 보편적일 수 있다.(b)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 상측에 위치하고, 즉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과 어깨 라인(5) 사이에 위치하며, 개구부는 어깨 라인(5) 부근에 위치하고, 사이클링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순리롭게 개구부에 진입하여, 의류 내부에 유입되며, 냉각 효과는 보편적일 수 있고, 직립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순리롭게 개구부에 진입하여, 의류 내부에 유입되고, 냉각 효과는 비교적 훌륭할 수 있다.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는 흉부와 어깨 전방에 설치될 시, 개구부는 상방에 있어 인입된 공기를 배부로 흐르도록 한다.
배부와 어깨 후방에 설치되고, 구체적 위치는 견갑골 하단 수평선(6)을 계선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두가지 시를 포함한다.(a)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아래에 위치하고, 즉 견갑골 하단 수평선(6)과 허리 둘레 라인(7) 사이에 위치하며, 개구부는 허리 둘레 라인(7) 부근에 위치하고, 직립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개구부에 진입할 수 없으며, 냉각 효과가 없고, 사이클링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순리롭게 개구부에 진입할 수 있으나, 냉각 면적이 비교적 작고, 냉각 효과는 보편적이다.(b)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상측에 위치하고, 즉 어깨 라인(5)과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사이에 위치하며, 개구부는 견갑골 하단 수평선 부근에 위치하고, 직립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순리롭게 개구부에 진입할 수 없으며, 의류 내부에 유입되고, 냉각 효과는 보편적이며, 사이클링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순리롭게 개구부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의류 내부에 유입되고, 냉각 효과는 비교적 훌륭하다.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는 배부와 어깨 후방에 설치 시, 개구부는 하방에 있어 인입된 공기를 배부로 흐르도록 한다.
허리에 설치되고, 구체적 위치는 신체 양측의 허리에 설치되며, 직립 또는 사이클링 운동 할 시 외부 공기는 개구부에 진입할 수 있으나 저항력이 비교적 크고, 의류 내부에 유입된 바람은 비교적 작으며, 냉각 면적은 비교적 작고, 냉각 효과는 보편적이며, 외관에 영향을 준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입체 부재는 신체 좌우의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과 어깨 라인(5)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어깨 라인(5)과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신체 좌우 양측의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과 어깨 라인(5) 사이에 설치될 시,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어깨 라인(5) 부근에 위치하고, 직립 스포츠 상태에 적합하며; 신체 좌우 양측의 어깨 라인(5)과 견갑골 하단 수평선 사이에 설치될 시,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견갑골 하단 수평선(6) 부근에 위치하고, 사이클링 스포츠 상태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입체 부재 중의 저면 재료(2a)는 설치할 수도 있고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저면 재료를 설치하지 않으면, 바람(외부 공기)은 직접적으로 인체 피부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로 진입하게 유발하고, 일정한 송풍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측벽 재료와 인체 피부는 분리된 상태이며, 유입된 공기는 용이하게 양자 사이로부터 확산되고, 대량의 공기는 바람을 등진면에 유입될 수 없기에 냉각 효과에 영향을 주고, 또한 상기 부위의 피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것은 미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 저면 재료(2a)의 형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았고, 유기 직물, 니트 직물 및 부직포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풍량이 비교적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통풍량이 비교적 큰 재료를 저면 재료(2a)를 사용하면, 일정한 송풍 효과를 얻을수 있으나, 인입된 공기는 용이하게 저면 재료(2a)를 통과하여 직접적으로 신체의 바람 받이 부위까지 확산되고, 바람 등진면에 흐를 수 없으며, 냉각 효과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자는 깊게 연구한 결과,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100㎝3/㎝2/s 이하가 유리한 것을 발견하였다. 인체가 땀이 배출될 시의 착용 쾌적성을 고려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풍량은 10~50㎝3/㎝2/s이다. 통풍량은 JIS L 1096년~2010년 "직물과 니트 직물의 시험방법(통기성 측정: A법)"에 의해 표준 시험한다.
측벽 재료(2b)는 의류의 내측에 위치하여,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할 수 있고, 유기 직물, 니트 직물 또는 부직포 패키징, 압제, 접착 등 처리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측벽 재료(2b)의 의류 본체(1)와 직접적으로 봉합되는 것에 관하여, 이는 의류 본체(1)와 함께 직접적으로 봉합될 수 있고, 이는 의류 본체(1)와 직접적으로 봉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황하에서 측벽 재료(2b)는 유기 직물, 니트 직물 또는 부직포 패키징, 압제, 접착 등 처리 방식으로 의류 본체(1)와 봉합될 수 있다.
측벽 재료(2b)의 원료, 형태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았고, 단지 착용 시 개구부를 오픈한 상태를 유지할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에테르 등 중합체 및 이러한 중합체는 각 유형의 에스테르와 합성 반응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된 고분자 재료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비교적 바람직한 선택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며, 스펀지는 소량의 땀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원료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 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아크릴로 니트릴(ABS), 폴리메틸 메타 크릴 레이트(PMMA), 폴리옥시 메틸렌(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페놀, 아미노기 등 플라스틱 재료, 플라스틱 원료 또는 고무 원료를 사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 플라스틱 원료 또는 고무 원료와 각 종류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로 제조된 합성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탄성 플라스틱 재료는 더욱 바람직한 선택이고, 즉 대량의 공기를 인입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의 쾌적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플라스틱 재료 등 재료일 수도 있다.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공기 흐름 경로의 수요에 따라 설계한다. 측벽 재료는 연속될 수 있고, 비연속될 수도 있으며, 그 높이는 일정한 것일 수 있고, 변화할 수도 있다. 개구부의 최대 단면 면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높을수록 좋고, 외부 공기는 더욱 용이하게 개구부로 진입할 수 있다. 공기 유동의 저항력을 감소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변화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0㎜로부터 개구부에서 최대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동시에, 외부 공기 유입량의 증가 및 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높이의 범위는 5~20㎜이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측벽 재료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0㎜에서 시작하여 개구부까지 도달하는 최대치이고, 최대치의 범휘는 5~20㎜인 재료이다.
지지 재료(2c)를 사용하는 목적은 개구부의 굴곡 변형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개구부가 지지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운동 과정에서 개구부의 면직 재료는 용이하게 피부에 접착되어, 외부 공기의 인입 효과에 영향을 준다. 그 원료,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았고, 예를 들면, 원료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 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아크릴로 니트릴(ABS), 폴리메틸 메타 크릴 레이트(PMMA), 폴리옥시 메틸렌(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페놀, 아미노기 등 플라스틱 재료, 플라스틱 원료 또는 고무 원료를 사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 플라스틱 원료 또는 고무 원료와 각 종류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로 제조된 합성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각 종류의 재료로 제조된 부직포를 더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형태는 유기 직물, 니트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상의 원료를 패키징 또는 각 종류의 섬유로 제조된 웨빙물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 재료(2c)의 의류 본체(1)와 직접적으로 봉합되는 것에 관하여, 이는 의류 본체(1)와 함께 직접적으로 봉합될 수 있고, 직접적으로 봉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황하에 유기 직물, 니트 직물 또는 부직포 패키징, 압제, 접착 등 처리 방식을 한 후 의류 본체(1)와 봉합될 수 있다.
지지 재료(2c)는 직접적으로 측벽 재료(2b)에 설치되어 개구부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개구부에서 지지링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인입된 공기가 직접적으로 링으로부터 의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 여기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웨빙은 개구부에서 타원형 지지링을 형성하는 것은 비교적 훌륭한 선택이고, 그 폭은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지나치게 넓으면 후덥지근하고, 중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좁으면 개구 입체 효과가 악화되어 통기성이 작아지는 것을 초래할 수도 있기에, 폭은 10~50㎜ 사이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또 두께도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중량이 증가되고, 얇으면 개구 입체 효과에 영향을 주어 통기성이 작아질 수도 있기에 두께는 0.2~2.5㎜ 사이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는 무독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지지 효과가 훌륭하고, 인체 피부에 유해성이 없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플라스틱 재료 등 재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깊게 연구한 결과, 지지 재료(2c)의 강연도는 5.0mN 이상에서 개구부가 용이하게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장기간 굴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 재료(2c)의 강연도는 10.0m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0.0mN이며, 이러한 강연도 범위는 지지 재료(2c)가 타원형 지지링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강연도는JIS L 1096-2010 "직물과 니트 직물의 시험 방법 8.2.2.1A 법 강연도(Gurley법)"에 의해 표준 시험한다.
여기서, 착용 시 개구부를 오픈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 지지 재료(2c)는 상이한 재료일 수 있고, 동일한 재료일 수도 있으며, 일체형일 수 있고,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의류 본체(1)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았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포츠 T 셔츠, 셔츠, 재킷 또는 코트 등 의복일 수 있고, 여기서 스포츠 T 셔츠는 축구복, 농구복, 테니스복, 워킹복, 조깅복, 런닝복(마라톤복을 포함), 사이클 웨어, 오토바이 웨어 등 각 종류의 스포츠 복장일 수 있다. 여기서, 워킹복은 워킹 속도가 0.8m/s 보다 낮을 시 착용하는데 적합하고, 조깅복은 런닝 속도가 0.8~1.6m/s 사이에 있을 시 착용하는데 적합하며, 런닝복(마라톤복을 포함)은 런닝 속도가 1.6m/s 이상일 시 착용하는데 적합하다.
신체 냉각 효과를 더욱 훌륭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런닝 T 셔츠 또는 사이클용 T 셔츠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 셔츠의 섬유 원료는 면, 폴리에스터 또는 기타 스포츠 의복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외부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켜 복장 내부에서 원활하게 유동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각복은 워킹복, 조깅복, 런닝복(마라톤복을 포함)일 시, 측벽 재료(2b)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을 따라 배부의 임의의까지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 재료(2b)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을 따라 허리 둘레 라인(7) 또는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된다면, 배부에서의 공기 흐름 경로는 원활하고, 신체 냉각 효과는 비교적 훌륭하나, 측벽 재료(2b)의 용량이 많고, 원가가 증가되며, 측벽 재료(2b)가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을 따라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된다면, 측벽 재료(2b)의 용량은 적고, 원가가 낮으며, 인체가 직립 운동 시 의류는 인체 배부와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아래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이 있으며, 측벽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여도 공기가 순리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양호한 지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측벽 재료(2b)는 견갑골에서 연장해야 하는 동시에, 더욱 많은 공기량의 요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두 견갑골의 각자의 외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여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최대 너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측벽 재료는 견갑골에서 의류 본체를 신체에서 지지하지 않으며, 바람의 유출 효과를 감소한다. 복장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 입체 부재가 각자 구비되어 있는 연장된 측벽 재료(2b)에서, 신체 중앙선과 더욱 가까운 두개의 측벽 재료(2b)는 함께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측벽 재료(2b)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을 따라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견갑골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최대 너비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2004년~2006년 일본 남성의 신체 측정 자료부터 알 수 있다시피, 20~49세 일본 남성의 견갑골 하단의 평균 간격은 대체로 19㎝이므로 견갑골 하단 수평선(6)의 최대 너비를 19㎝로 설계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하는 것은, 상기 최대 너비 수치의 설정은 상기 평균 수치를 구비하는 성인 남성에 대응되는 M호 복장을 기초로 하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모델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최대 너비를 대응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원칙은 하기 문장 중의 유사한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복은 사이클 웨어, 오토바이 웨어일 시,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배부의 임의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측벽 재료(2b)가 단지 어깨 라인(5)부터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될 시, 측벽 재료는 의류 본체를 지지할 수 있어 공기 유통이 편리하고, 측벽 재료(2b)의 용량이 작으며, 원가가 낮을 수 있으나,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아래는 측벽 재료(2b)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인체 배부가 굴곡 운동 시,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아래에 위치하며, 의류와 인체 배부는 전체적으로 접착되고, 공기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측벽 재료(2b)가 단지 어깨 라인(5)부터 허리 둘레 라인(7)까지 연장될 시, 공기는 어깨 라인(5)부터 허리 둘레 라인(7) 위치까지 순리롭게 유동할 수 있으나. 밀착형 사이클복의 도련은 조임 상태를 이루며, 대체로 엉덩이 둘레 라인(8)에 위치하고, 공기는 엉덩이 둘레 라인(8)에서 순리롭게 유출되지 못하기에,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곧장 연장되어 공기를 순리롭게 유동하는 것을 보장하고 엉덩이 둘레 라인(8)에서 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 재료(2b)는 견갑골 하단 수평선(6)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될 시,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에서 최대 너비를 형성하는 동시에 허리(허리 둘레 라인)의 폭은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된 너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허리 폭은 너무 작아서는 안되며,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된 너비의 1/3보다 작지 않는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으면, 측벽 재료는 견갑골에서 의류 본체를 신체에서 지지하지 않으며, 바람의 유출 효과를 감소시킨다. 복장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 입체 부재가 각자 구비되어 있는 연장된 측벽 재료(2b)에서, 신체 중앙선과 더욱 가까운 두개의 측벽 재료(2b)는 함께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되고, 계속하여 견갑골 하단 수평선(6)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어깨 라인(5)부터 연장을 시작할 시, 견갑골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최대 너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될 시, 바람직하게는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에서 최대 너비를 형성하는 동시에 허리(허리 둘레 라인)의 폭은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되는 너비보다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허리 너비도 너무 작으면 안되며, 바람직하게는,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되는 너비의 1/3보다 작지않은 것이다. 예를 들면, 2004년~2006년 일본 남성의 신체 측정 자료에 의해 알 수 있다시피, 20~49세 일본 남성 견갑골 하단의 평균 간격은 대체로 19㎝, 엉덩이 절반 평균치는 46㎝, 허리 절반 평균치는 39㎝이므로, 견갑골 하단 수평선(6)의 최대 너비를 19㎝,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의 최대 너비를 46㎝, 허리(허리 둘레 라인)의 최대 너비를 6~19㎝로 설계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련된 물리적 특징 등 파라미터의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통풍량
JIS L 1096~2010 "직물과 니트 직물의 시험방법(통기성 측정: A법)"에 의해 표준 시험한다.
(2) 강연도
JIS L 1096-2010 "직물과 니트 직물의 시험 방법 8.2.2.1A 법 강연도(Gurley법)"에 의해 표준 시험한다.
(3) 시험 대상 배부 온도 및 통풍량
a. 실험 샘플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된 T 셔츠
b. 테스트 환경
인공 기후실에서 시물레이션 런닝, 사이클 운동에 착용하여 실험하고, 환경 온도는 25.0±0.5℃이며, 습도는 65.0±5%이다. 런닝 시 풍속을 2±0.5m/s로 설정하고, 런닝 운동은 런닝 머신을 사용하며, 속도는 1.6m/s로 설정하고, 사이클링 시 풍속을 4±0.5m/s로 설정하고, 사이클링 운동은 전력 사이클을 사용하며, 전력을 80W로 설정한다.
c. 테스트 방법
①상하이 워디슨 전자 과학 유한회사의 IBUTTON DS1923-F5 버튼형 온도 및 습도 리코더를 사용하여 시험 대상이 운동20분 후 배부(견갑골 하단) 피부와 의류 사이의 온도를 시험한다. 온도가 낮을수록 신체 냉각 효과가 훌륭한 것을 표시한다.
②V-01-AND2N 전자 풍속계(핸디타입 풍속계, I denshigiken Co., LTD.)를 사용하여 런닝 운동 시 시험 대상의 배부(견갑골 하단 수평선)의 바람 배출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풍속계를 사용하여 사이클 운동 시 시험 대상의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의 바람 배출량을 측정한다. 배출량이 많을수록 신체의 통풍효과가 좋고, 그 신체 냉각 효과가 우수하다. 여기서, 시험 대상은 보편적으로 시중 판매되는 M호 복장을 착용하는 성인 남성이다.
(4) 시험 대상의 청량감, 편안감 및 복장의 미관
감각 기관으로 평가하고, 5급 법을 사용한다.
Figure pct00001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결부시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외부 공기 인입 부재 중의 저면 재료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니트 직물 면직 재료, 측벽 재료와 지지 재료를 선택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구체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실시예1
런닝용 T 셔츠(사이즈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M호에 해당됨)를 의류 본체(1)로 선택하여, 의류 본체(1)의 신체 좌우 양측의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과 어깨 라인(5) 사이에 각각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를 설치한다. 입체 부재(2)의 형상은 삼각형과 유사하고, 저면 재료(2a), 착용 시 개구부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의 지지 재료(2c)로 구성되며, 개구부는 어깨 라인 부근에 위치하고, 측벽 재료(2b)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을 따라 견갑곡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되며, 여기서,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으로부터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결될 시, 견갑골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된 폭은 19㎝이다.
여기서,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100㎝3/㎝2/s이고; 지지 재료(2c)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재료로서, 너비가 10㎜이고, 개구부에서 타원형의 지지링을 형성하며, 그 장축의 길이는 개구부의 너비이고, 길이는 12㎝이며, 강연도는 100.0mN고; 측벽 재료(2b)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며, 그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5㎜에 도달하고; 입체 부재(2)의 길이는 15㎝이며, 삼각형과 유사한 호선 정점부터 보편적인 삼각형 두 변까지 수직 거리는 20㎜이고; 유사 삼각형의 밑변은 개구부 너비가며, 정점부터 밑변까지의 수직 거리는 입체 부재(2)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냉각복의 제조에 대한 평가 결과 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2
바닥 재료(2a)의 통풍량은 5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3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20㎜에 도달하고, 이밖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4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1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3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5
지지 재료 강연도는 10.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6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5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7
지지 재료 강연도는 5.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5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8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20㎜를 지속하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9
측벽 재료(2b)는 폴리에스테르 소프트 플라스틱이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0
지지 재료(2c)는 PVC 플라스틱 재료이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1
입체 부재(2)의 형상은 제형과 유사하고, 제형과 유사한 호선 정점부터 보편적인 제형 양변까지의 수직 거리는 20㎜이며, 유사 제형의 밑변 즉 개구부 폭은 12㎝이고, 윗변은 4㎝이며, 윗변부터 밑변까지 수직 거리 즉 입체 부재(2)의 길이는 15㎝이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2
입체 부재(2)의 길이는 10㎝이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3
개구부의 폭은 6㎝이고, 이밖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4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3㎜에 도달하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런닝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5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30㎜에 도달하고, 이밖에는 실시예7과 동일하며, 런닝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6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15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런닝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7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200.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런닝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8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1.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7과 동일하며, 런닝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19
측벽 재료(2b), 지지 재료(2c)는 일체형 구조이고,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재료이며, 이밖에는 실시예5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20
측벽 재료(2b), 지지 재료(2c)는 일체형 구조이고,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플라스틱 재료이며, 이밖에는 실시예5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실시예21
사이클링용 T 셔츠(사이즈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M호에 해당됨)를 의류 본체(1)로 선택하여, 의류 본체(1)의 신체 좌우 양측의 어깨 라인(5)과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사이에 각각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를 설치한다. 입체 부재(2)의 형상은 삼각형과 유사하고, 저면 재료(2a), 착용 시 개구부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의 지지 재료(2c)로 구성되며, 개구부는 견갑골 하단 수평선(6) 부근에 위치하고,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까지 연장되며, 여기서,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될 시, 견갑골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된 폭은 19㎝이며, 견갑골 하단 수평선(6)부터 허리 둘레 라인(7)까지 연장될 시, 허리(허리 둘레 라인)에서 형성된 폭은 10㎝이고, 허리 둘레 라인(7)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될 시,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에서 형성되는 폭은 46㎝이다.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고,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2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5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3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15㎜에 도달하고, 이밖에는 실시예20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4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1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1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5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10.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6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3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7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5.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3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8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15㎜를 지속하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29
측벽 재료(2b)는 폴리에스테르 소프트 플라스틱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0
지지 재료는 PVC 플라스틱 재료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1
입체 부재(2)의 형상은 제형과 유사하고, 제형과 유사한 호선 정점부터 보편적인 제형 양변까지의 수직 거리는 20㎜이며, 제형과 유사한 밑변 즉 개구부 폭은 12㎝이고, 윗변은 4㎝이며, 윗변부터 밑변까지 수직 거리 즉 입체 부재(2)의 길이는 15㎝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7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2
견갑골 하단 수평선(6)은 허리 둘레 라인(7)까지 연장될 시, 허리(허리 둘레 라인)에서 형성된 폭은 1㎝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3
견갑골 하단 수평선(6)은 허리 둘레 라인(7)까지 연장될 시, 허리(허리 둘레 라인)에서 형성된 폭은 19㎝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4
견갑골 하단 수평선(6)은 허리 둘레 라인(7)까지 연장될 시, 허리(허리 둘레 라인)에서 형성된 폭은 39㎝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5
허리 둘레 라인(7)이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될 시,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에서 형성된 폭은 37㎝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2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6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3㎜에 도달하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7
측벽 재료(2b)의 높이는 0㎜부터 개구부까지 30㎜에 도달하고, 이밖에는 실시예25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8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150㎝3/㎝2/s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39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200.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40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1.0mN이고, 이밖에는 실시예25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41
측벽 재료(2b), 지지 재료(2c)는 일체형 구조이고,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재료이며, 이밖에는 실시예24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42
측벽 재료(2b), 지지 재료(2c)는 일체형 구조이고,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플라스틱 재료이며, 이밖에는 실시예24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실시예43
측벽 재료(2b), 지지 재료(2c)는 일체형 구조이고,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플라스틱 재료이며, 이밖에는 실시예24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냉각복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비교예1
저면 재료(2a)를 설치하지 않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비교예2
측벽 재료(2b)를 설치하지 않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비교예3
지지 재료(2c)를 설치하지 않고, 이밖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비교예4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를 설치하지 않은 동일한 런닝용 T 셔츠, 그 평가 결과는 표1을 참조한다.
비교예5
저면 재료(2a)를 설치하지 않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비교예6
측벽 재료(2b)를 설치하지 않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비교예7
지지 재료(2c)를 설치하지 않고, 이밖에는 실시예19와 동일하며, 사이클링용 T 셔츠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비교예8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를 설치하지 않은 동일한 런닝용 T 셔츠, 그 평가 결과는 표2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종합 평가는 피부와 의류 사이의 공기 온도, 배부 청량감, 바람 배출량, 부재 편안감, 미관 등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론을 얻은 것이다.
상기 시험 결과부터 알 수 있다시피, T 셔츠에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를 설치하여 피부와 의류 사이의 공기 온도를 감소하고, 배부의 청량감을 증가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인체에서 산생되는 열기를 배출하고 신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의 기초상에서 삼각형과 유사한 부재 형상, 폴리우레탄 발포체인 측벽 재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재료인 지지 재료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플라스틱 콜라겐으로 구성된 측벽과 지지 일체형 재료,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플라스틱 콜라겐으로 구성된 측벽과 지지 일체형 재료를 선택하는 종합 평가 효과는 비교적 좋다. 동시에, 저면 재료의 통풍량은 10~50㎝3/㎝2/s이고, 측벽 재료 높이는 5~20㎜이며, 지지 재료의 강연도는 10.0~100.0mN이고, 종합 평가 효과는 더욱 좋으며, 또한, 측벽 재료의 높이는 0㎜로부터 점차으로 증가되고, 효과는 더욱 훌륭하다. 동일한 조건하에, 저면 재료를 설치하지 않은 것, 측벽 재료를 설치하지 않은 것, 지지 재료를 설치하지 않은 것 또는 입체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효과는 비교적 낮다.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의 유동 경로 사이즈의 설계에 있어서,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인체 공학에 부합되는 정황하에,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개구부의 폭은 더욱 넓고, 신체 냉각 효과는 더욱 훌륭하며, 측벽 재료가 둔부(엉덩이 둘레 라인)에서의 너비가 클수록, 신체 냉각 효과가 더욱 좋고, 측벽 재료가 허리(허리 둘레 라인)에서의 너비가 견갑골 하단 수평선(6)에서 형성된 너비보다 작으면, 신체 냉각 효과도 대응되게 비교적 좋으나, 이때 허리 너비가 지나치게 작은 것은 좋지 않고, 너비가 1㎝일 시, 신체 냉각 효과는 대응되게 비교적 차하다.
본 발명은 특정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 종 변화 또는 균등한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기술의 특정된 장소 또는 재료를 적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공개된 특정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청구 보호범위에 속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7)

  1. 의류 본체(1)와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는 공기를 받아들이고 공기를 의류 내에 인입시키는 저면 재료(2a), 착용 시 개구부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벽 재료(2b) 및 개구부 지지 재료(2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는 삼각형 또는 제형과 유사하고, 저면 재료(2a)의 폭은 개구부 방향을 향해 점차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 인입 입체 부재(2)는 신체의 좌우 양측의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과 어깨 라인(5) 사이 또는 어깨 라인(5)과 견갑골 하단 수평선(6)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재료(2a)의 통풍량은 100㎝3/㎝2/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지지 재료(2c)의 강연도는 5.0m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복은 워킹복, 조깅복 또는 런닝복이고, 상기 측벽 재료(2b)는 유두 위치 가슴 둘레 라인(4)부터 어깨 라인(5)을 따라 견갑골 하단 수평선(6)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복은 사이클 웨어 또는 오토바이 웨어이고, 상기 측벽 재료(2b)는 어깨 라인(5)부터 엉덩이 둘레 라인(8)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복.
KR1020177009999A 2014-09-15 2015-09-10 냉각복 KR20170054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67793.8A CN105476125A (zh) 2014-09-15 2014-09-15 一种冷却服
CN201410467793.8 2014-09-15
PCT/CN2015/089309 WO2016041461A1 (zh) 2014-09-15 2015-09-10 一种冷却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491A true KR20170054491A (ko) 2017-05-17

Family

ID=5553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999A KR20170054491A (ko) 2014-09-15 2015-09-10 냉각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251738A1 (ko)
EP (1) EP3195744A4 (ko)
JP (1) JP2017528615A (ko)
KR (1) KR20170054491A (ko)
CN (2) CN105476125A (ko)
TW (1) TW201615110A (ko)
WO (1) WO20160414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25B1 (ko) * 2018-02-19 2019-03-04 최경진 레저용 냉풍자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227A (en) * 1978-10-30 1981-06-02 American Clearwater Corp. Articles incorporating air vents
US5704064A (en) * 1994-12-05 1998-01-06 Vanson Leathers, Inc. Garment with structural vent
IT1306681B1 (it) * 1999-07-06 2001-10-02 Nottington Holding Bv Struttura di capo traspirante da indossare per migliorare il comfortdel corpo umano.
US6540585B1 (en) * 2000-11-17 2003-04-01 William Lee Ventilated padded lingerie
US20030140399A1 (en) * 2002-01-29 2003-07-31 Paul Golde Aerodynamic ventilated protective garment
GB2388299A (en) * 2002-05-10 2003-11-12 Antoine Yvon Messiou An active ventilation structure for garments
JP2005029914A (ja) * 2003-07-09 2005-02-03 Yoshihiro Sakaida 通気性衣服
US8555414B2 (en) * 2004-05-06 2013-10-15 Nike, Inc. Article of apparel utilizing zoned venting and/or other body cooling features or methods
DE202009005236U1 (de) * 2009-09-04 2010-02-11 X-Technology Swiss Gmbh Bekleidungsstück
CN102188053A (zh) * 2010-03-15 2011-09-21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 一种透气服饰
CN202566332U (zh) * 2011-12-28 2012-12-05 李荣基 透气服装
JP5736324B2 (ja) * 2012-01-23 2015-06-17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ベンチ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ベンチレーション構造
US20140020150A1 (en) * 2012-07-20 2014-01-23 Chi-Chih Yang Ventilating raincoat with bay windows
US20140201891A1 (en) * 2013-01-23 2014-07-24 Nike, Inc. Ventilated And Protective Articles Of Appar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25B1 (ko) * 2018-02-19 2019-03-04 최경진 레저용 냉풍자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8615A (ja) 2017-09-28
EP3195744A1 (en) 2017-07-26
EP3195744A4 (en) 2018-05-09
CN105476125A (zh) 2016-04-13
CN106793841A (zh) 2017-05-31
WO2016041461A1 (zh) 2016-03-24
TW201615110A (zh) 2016-05-01
US20170251738A1 (en)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3824B2 (en) Fabrics and articles of apparel including dimensionalized mesh and other fabrics
US10463085B2 (en) Athletic garment with weather barrier insert
CN205757306U (zh) 一种单向导湿功能性无缝内衣
WO2004006699A1 (ja) 冷却衣服
CN205306015U (zh) 一种健康环保镂空状多孔透气胸垫
WO2003103424A1 (ja) 冷却衣服
CN203748698U (zh) 内衣
CN105747306B (zh) 一种防暑降温服
CN212697718U (zh) 一种新型夹克
KR20170054491A (ko) 냉각복
CN204888763U (zh) 吸湿透气运动服
CN204169103U (zh) 一种新型面料拼接的运动服
CN216300349U (zh) 一种鳞片结构的面料
CN210353255U (zh) 一种安全的运动短裤
CN207269878U (zh) 一种户外运动裤
CN217523998U (zh) 一种具有透气塑身功能的运动上衣
CN202436115U (zh) 一种具有运动防护和散热功能的男士内裤
CN213215425U (zh) 一种快速排汗透气的运动外套
CN205250380U (zh) 一种降温服
CN212139368U (zh) 一种便于透气的运动短裤
CN214547277U (zh) 一种恒温针织服装
CN216875078U (zh) 一种高透气性女士运动背心
CN220947005U (zh) 一种透气散热针织面料
CN216568470U (zh) 一种抗菌吸湿排汗运动服
CN110604348B (zh) 一种抹胸式内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