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409A -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 Google Patents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409A
KR20050051409A KR1020030085189A KR20030085189A KR20050051409A KR 20050051409 A KR20050051409 A KR 20050051409A KR 1020030085189 A KR1020030085189 A KR 1020030085189A KR 20030085189 A KR20030085189 A KR 20030085189A KR 20050051409 A KR20050051409 A KR 2005005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tunnel
water
work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식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지스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8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409A/ko
Publication of KR2005005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작업에 적합한 바지선을 제작하고, 이 바지선을 운용하기 위하여 수로터널내에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치하며, 이들을 이용하여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를 용이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지선을 이용하여 수로터널의 부식, 동공, 열화 및 균열부위를 보수보강 그라우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지선의 몸체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종횡으로 결합시켜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부보강구조체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구획부재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갑판과; 상기 갑판상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이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갑판상 선두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로프에 의해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갑판상의 네 코너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바지선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외측면 하부에 바지선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바지선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지선을 운용하기 위하여 수로터널내에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터널 내측벽에 좌우로 한 쌍의 앵커볼트를 박고, 이 앵커볼트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봉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봉에 바지선을 로프를 이용하여 좌우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바지선의 하부로 위치고정지지부의 지지대를 하강시켜 수로터널내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에 관통 삽입하도록 보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링부에 그라우트재 주입관을 설치하며, 상기 주입관에 주입호스를 연결하여 바지선상에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따라 바지선을 적절하게 운행하면서 작업할 수 있음으로 작업속도 및 시간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An equipment for an aqueduct tunnel inside repair work barge and it's outer grouting method made use of work barge}
본 발명은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그라우팅작업에 적합한 바지선을 제작하고, 이 바지선의 원활한 운용을 위하여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수로터널내에 설치하며, 상기한 바지선과 각종 설비를 이용하여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를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에서 취한 물을 다른 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도수터널이나 발전용수 공급을 위한 하수도 터널 등과 같은 수로터널(압력터널)은 터널 내부에 물을 만수위 상태로 운영함에 따라 외부수압과 내부수압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이와 같은 압력 차에 의하여 터널 내외부가 쉽게 부식되거나 마모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상기한 수로터널은 그 단면의 약 70∼80% 부분이 수로터널내의 상반 아치의 시작선 또는 터널 단면중 최대 폭을 형성하는 횡단선(스프링 라인 약간 상부)에서 터널의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와 같은 부식, 마모, 균열이 발생된 터널의 보수방법으로는 상기 열화된 부분을 깎아내는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타설 양생하여 단면을 복구함과 동시에 표면에 에폭시 수지 등의 내식성이 강한 수지재료를 도포하여 방식라이닝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의 보수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로터널내에 별도의 임시 가설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가설구조물에서 수로터널의 보수 보강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수방법은 가설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그 자체가 고정식 구조물이기 때문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의 그라우팅 작업이 끝나면 다음 구간으로 가설구조물을 옮기기 위해서 가설구조물을 철거한 후 다음 구간에서 다시 가설구조물을 설치한 후 그라우팅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작업에 필요 외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 보강 시에는 수로터널내에 전원 공급 및 환풍기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음으로, 이와 같은 장소에서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수로터널 바깥에서 그라우팅 작업에 필요한 동력을 끌어오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전기사용에 상당한 위험성이 내재된 상태에서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 보강 그라우팅작업을 수행해야될 뿐만 아니라 환풍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채 가스가 찬 상태에서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그라우팅 작업속도가 더딜 뿐만 아니라 열악한 공사환경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건강이 상할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작업에 적합한 바지선을 제작하고, 이 바지선을 운용하기 위하여 수로터널내에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치하며, 이들을 이용하여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를 용이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은 수로터널의 부식, 동공, 열화 및 균열부위를 보수보강 그라우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업용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의 몸체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종횡으로 결합시켜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부보강구조체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구획부재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갑판과; 상기 갑판상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이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갑판상 선두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로프에 의해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갑판상의 네 코너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바지선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외측면 하부에 바지선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크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은 바지선을 이용하여 수로터널의 부식, 동공, 열화 및 균열부위를 보수보강 그라우팅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바지선의 몸체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종횡으로 결합시켜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부보강구조체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구획부재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갑판과; 상기 갑판상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이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갑판상 선두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로프에 의해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갑판상의 네 코너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바지선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외측면 하부에 바지선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바지선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지선을 운용하기 위하여 수로터널내에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터널 내측벽에 좌우로 한 쌍의 앵커볼트를 박고, 이 앵커볼트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봉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봉에 바지선을 로프를 이용하여 좌우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바지선의 하부로 위치고정지지부의 지지대를 하강시켜 수로터널내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에 관통 삽입하도록 보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링부에 그라우트재 주입관을 설치하며, 상기 주입관에 주입호스를 연결하여 바지선상에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의 위치고정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이 수로터널내에 고정 설치되어 수로터널 내부를 보수 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확대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은 수로터널의 부식, 동공, 열화 및 균열부위를 보수보강 그라우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업용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B)의 몸체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100)를 종횡으로 결합시켜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부보강구조체(110)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110)의 구획부재(100)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갑판(120)과; 상기 갑판(120)상에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이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작업대(140)와; 상기 갑판(120)상 선두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로프(300)에 의해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310)와; 상기 갑판(120)상의 네 코너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바지선(B)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130)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110)의 외측면 하부에 바지선(B)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크류(16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보강구조체(110), 갑판(120), 작업대(140), 걸이대(310), 위치고정지지부(130) 및 스크류(16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지선(B)은 수로터널(T)내 유수의 영향으로부터 바지선(B)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측면 네모서리부분을 둥글게 하여 라운딩부(155)를 형성하고, 상기 라운딩부(155)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완충재(150)를 설치하여, 바지선(B)의 이동시 유수의 흐름에 원활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부터 바지선(B)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지지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B)의 갑판(120) 상 네 코너부에 설치되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내에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공간(132)과; 상기 공간(132) 내부에 서로 90°각도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주동베벨기어(138)와 종동베벨기어(139); 상기 주동베벨기어(138)와 연결된 회전축(136)과; 상기 회전축(136)에 연결되며, 하우징(131)의 외부로 노출 설치되는 핸들(135)과; 상기 하우징(131)의 상부로부터 공간(132)을 관통하여 종동베벨기어(139)의 내측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측에 나사산(133a)이 형성된 지지대(133)와; 상기 지지대(133)의 최하단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지지대(133)의 폭보다 넓어지며 바지선(B)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발(13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바지선(B)은 바지선(B)이 고정 설치되도록 수로터널(T)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터널(T)의 내벽면에 좌우로 각각 한 쌍의 앵커볼트(200)를 설치하고, 이 한 쌍의 앵커볼트(200)간을 가로질러 고정봉(210)을 설치하여, 이 고정봉(210)에 로프(300)를 연결하고, 이 로프(300)는 바지선(B)의 걸이대(310)에 연결시켜 고정토록 한다.
또한, 상기 바지선(B)이 설치되는 수로터널(T)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터널(T)의 천정부에는 그라우팅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명(400)과 환풍기(410)와 주입관(5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로터널(T)의 내측면 고정봉(210) 부근에는 전선, 덕트, 등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전선은 연결 후 절연재로서 탭핑 후 우레탄으로 도포하여 설치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바지선(B) 제작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100)를 종횡으로 결합하여 하부보강구조체(110)를 완성하고, 상기 하부보강구조체(110)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갑판(120)을 형성하며, 상기 갑판(120)에는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작업대(140)를 설치하며, 상기 갑판(120)의 네 코너부에는 각각 위치고정지지부(130)를 설치하여, 이 위치고정지지부(130)에 의하여 바지선(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갑판(120)상 선두 양측에 각각 로프(300)에 의해 걸리도록 걸이대(310)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하부보강구조체(110)의 외측면에 바지선(B)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스크류(160)를 설치한 바지선(B)을 제작한다.
이어서, 수로터널(T)내 설비 설치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선(B)을 운용하기 위하여 수로터널(T)내에 조명(400)과 환풍기(410)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로, 상기 바지선(B)이 운용되는 수로터널(T)에는 내부 균열부위의 그라우팅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수로터널(T)의 천정부에 조명(400)과 환풍기(410)와 주입관(500)을 설치하여, 최적의 그라우팅 작업을 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한다.
그리고, 고정봉(210) 설치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터널(T)의 내측벽 좌우에 한 쌍의 앵커볼트(200)를 박고, 이 한 쌍의 앵커볼트(200)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봉(210)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고정봉(210) 부근에는 필요에 따라 전선, 덕트 등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떼 상기 전선은 연결후 절연재로서 탭핑 후 우레탄으로 도포하여 절연 처리하여 사용토록 한다.
이어서, 바지선(B) 고정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210)에 바지선(B)을 로프(300)를 이용하여 좌우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바지선(B)의 하부로 위치고정지지부(130)의 지지대(133)를 하강시켜 수로터널(T)내 수직으로 고정 설치한다.
즉, 상기 바지선(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두가 수로터널(T)내 좌우측벽에 앵커볼트(200)에 의해 설치된 고정봉(210)에 로프(300)에 의해서 고정되어 수로터널(T)내 유수의 흐름으로 인하여 바지선(B)이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동시에 바지선(B)의 네 코너부에 설치된 위치고정지지부(130)에 의해서 수직으로 바지선(B)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바,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선(B)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130)의 핸들(135)을 회전시키면 핸들(135)과 연결된 회전축(136)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36)에 연결된 주동베벨기어(138)와 종동베벨기어(139)가 회전되며, 이 종동베벨기어(139)와 맞물린 나사부(133a)가 형성된 지지대(133)가 하측으로 이동되며, 계속 핸들(135)을 돌리면 수로터널(T)내 바닥까지 지지대(133)가 내려오며, 이 때 지지대(133)의 단부에 연결된 지지발(134)이 수로터널(T)의 바닥에 닿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지선(B)의 네 코너부에 설치된 위치고정지지부(130)의 지지대(133)를 핸들(135)을 사용하여 적절히 지지대(133)의 길이를 조정하면 바지선(B)이 수로터널(T)내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수평면상으로도 바지선(B)의 평형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바지선(B)이 수로터널(T)내에 고정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바지선(B)상에서 작업자가 위치하면서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의 그라우팅작업을 수행하는 바, 즉 수로터널(T)의 내부 균열부위를 관통 삽입하도록 보링기를 이용하여 천공하여 보링부(430)를 형성한 후, 상기 천공된 보링부(430)에 그라우트재 주입을 위한 주입관(500)과 이 주입관(500)에 주입호스(51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후, 바지선(B)상에서 그라우트펌프(520)를 작동시켜 그라우트재를 보링부(430)에 주입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은 사전에 수로터널(T)내에서 유수되는 물 사용량을 년중 및 주야의 물 사용량을 먼저 파악하여 수로터널(T)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에 필요한 해당 수위를 설정하고, 이를 감안하여 그라우팅 공사기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수로터널(T)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시 수로터널(T)의 수문에서 수위를 적절히 조절해 가면서 수로터널(T)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하되, 즉 수문을 적절히 막아서 수로터널(T)내 수위를 일정한 높이로 강하시킨 후 바지선(B)을 이용하여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의 그라우팅 작업을 시행토록 한다.
즉, 상기 바지선(B)을 이용한 수로터널(T)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은 바지선(B)의 선두가 수로터널(T)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먼저 상류측 수로터널(T)의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한 후, 점차 하류로 바지선(B)을 옮겨가면서 내부 균열부위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지선(B)을 이용한 수로터널(T)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은 대개 여러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한 구간의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 그라우팅 작업이 완료되면 바지선(B)을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바지선(B)의 로프(300)를 다음 구간의 앵커볼트(200)의 고정봉(210)에 묶으면서, 하류측으로 바지선(B)을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바지선(B)에 하부보강구조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160)를 이용하여 바지선(B)을 수로터널(B)내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며, 이는 수로터널(B)내 제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바지선(B)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 외에도 바지선(B)을 이용하여 수로터널(T)의 크라운 부위의 단면복구, 표면정리, 배면동공 그라우팅, 균열보수 및 철판보수 등 다양한 수로터널(T) 내외의 각종 보수 보강공사를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혀두며, 어느 특정한 한 가지 공사에만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수로터널(T)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시 바지선(B)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기계식 위치고정지지부(13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기계식 외에 공기압, 수압,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바지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두며, 어느 특정한 장치에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은 유수의 흐름에 따라 바지선을 적절하게 운행하면서 작업선상에서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의 그라우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으로 그라우팅 작업에 따른 작업속도 및 시간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은 수로터널내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기 위한 각종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를 설치한 후에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하여 보다 쾌적한 공사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의 위치고정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이 수로터널내에 고정 설치되
어 수로터널 내부를 보수 보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확대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획부재 110 : 하부보강구조체
120 : 갑판 130 : 위치고정지지부
131 : 하우징 132 : 공간
133 : 지지대 133a : 나사산
134 : 지지발 135 : 핸들
136 : 회전축 137 : 베어링
138 : 주동베벨기어 139 : 종동베벨기어
140 : 작업대 150 : 완충재
155 : 라운딩부 160 : 스크류
170 : 난간 200 : 앵커볼트
210 : 고정봉 300 : 로프
310 : 걸이대 400 : 조명
410 : 환풍기 430 : 보링부
500 : 주입관 510 : 주입호스
520 : 그라우트펌프
B : 바지선 T : 수로터널

Claims (6)

  1. 수로터널의 부식, 동공, 열화 및 균열부위를 보수보강 그라우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업용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의 몸체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종횡으로 결합시켜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부보강구조체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구획부재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갑판과;
    상기 갑판상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이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갑판상 선두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로프에 의해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갑판상의 네 코너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바지선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외측면 하부에 바지선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크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은 그 외측면 네모서리부분을 둥글게 하여 라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딩부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완충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지지부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공간과; 상기 공간 내부에서 90°각도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주동베벨기와 종동베벨기어; 상기 주동베벨기어와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과; 상기 하우징 상부로부터 공간을 관통하여 종동베벨기어 내측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최하단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지지대의 폭보다 넓어지며 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터널은 그 내측벽 좌우로 한 쌍의 앵커볼트가 각각 설치되고, 이 한 쌍의 앵커볼트간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고정봉이 설치되어, 이 고정봉에 로프를 이용하여 바지선을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터널에는 수로터널의 천장부에 조명과 환풍기가 설치되어, 바지선을 이용한 균열부위의 보수보강 그라우팅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6. 바지선을 이용하여 수로터널의 부식, 동공, 열화 및 균열부위를 보수보강 그라우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지선의 몸체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종횡으로 결합시켜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하부보강구조체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구획부재상에 철판을 수평하게 배치하여 형성된 갑판과; 상기 갑판상에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 보수보강에 필요한 각종 공구, 재료, 기기 등이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갑판상 선두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로프에 의해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상기 갑판상의 네 코너부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바지선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고정지지부와; 상기 하부보강구조체의 외측면 하부에 바지선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바지선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바지선을 운용하기 위하여 수로터널내에 조명, 환풍기 및 전원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터널 내측벽에 좌우로 한 쌍의 앵커볼트를 박고, 이 앵커볼트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봉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봉에 바지선을 로프를 이용하여 좌우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바지선의 하부로 위치고정지지부의 지지대를 하강시켜 수로터널내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로터널 내부 균열부위에 관통 삽입하도록 보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링부에 그라우트재 주입관을 설치하며, 상기 주입관에 주입호스를 연결하여 바지선상에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을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 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KR1020030085189A 2003-11-27 2003-11-27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KR20050051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189A KR20050051409A (ko) 2003-11-27 2003-11-27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189A KR20050051409A (ko) 2003-11-27 2003-11-27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409A true KR20050051409A (ko) 2005-06-01

Family

ID=3866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189A KR20050051409A (ko) 2003-11-27 2003-11-27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1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32B1 (ko) *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JP2015217941A (ja) * 2014-05-20 2015-12-07 ソク−ムン,キム 水平維持装置を備えるバージ船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32B1 (ko) *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JP2015217941A (ja) * 2014-05-20 2015-12-07 ソク−ムン,キム 水平維持装置を備えるバージ船及びそ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86103897A (zh) 衬砌模板
CN104669449B (zh) 一种钻孔装置和钢筋混凝土支撑梁的切割方法
JP7232665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等の施工方法
CN102628336A (zh) 斜桩施工钻机及施工方法
CN111878115B (zh) 一种空腔装配式隧道仰拱及施工方法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CN110645010A (zh) 顶管设备及顶管施工方法
KR20050051409A (ko) 수로터널용 작업 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수로터널 내부보수보강 그라우팅공법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CN110616716B (zh) 一种基坑挂网锚固喷浆施工工艺及施工标识板
CN103343577B (zh) 可拆式对接螺杆的剪力墙止水方法
CN1111705A (zh) 建筑工程中使用的组件及其使用方法
CN203769317U (zh) 一种成套的可调式止水螺杆套件
CN105927146B (zh) 一种轻型便捷式液压电动钻井机及钻井方法
CN214942375U (zh) 用于室内隔墙止水台铝合金模板抗浮装置
RU1702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ремонтных работ на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м сооружении
JP2019155659A (ja) 削孔機
CN112854199B (zh) 一种地铁车站洞门处地下连续墙施工方法及其切割装置
CN103806653A (zh) 一种成套的可调式止水螺杆套件及其施工方法
CN104368574B (zh) 风动管路疏通机
CN108202162B (zh) 一种柔性多孔钻孔机及对支撑梁的切割方法
CN211692472U (zh) 顶管设备
JP2002168096A (ja) 鋼製セグメントの二次覆工法
JP5528200B2 (ja) ウェルポイント利用の地下水位低下工法
CN206581979U (zh) 一种便于维修的预埋槽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