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078A - 티더블유씨 장치 - Google Patents

티더블유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078A
KR20050051078A KR1020030084789A KR20030084789A KR20050051078A KR 20050051078 A KR20050051078 A KR 20050051078A KR 1020030084789 A KR1020030084789 A KR 1020030084789A KR 20030084789 A KR20030084789 A KR 20030084789A KR 20050051078 A KR20050051078 A KR 2005005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unit
signal
information
tw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479B1 (ko
Inventor
송재호
Original Assignee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4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TWC 장치에 정보처리 상태 및 자체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기능을 부가하고, TWC 자체의 기계 고장이 아닌 프로그램 동작 및 통신상의 장애발생시 자동으로 초기화 작업이 진행 되도록 함으로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조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은 열차가 역 구내에 진입할 경우 열차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지상의 루프코일을 통하여 TWC 장치에서 수신을 하였을 때 열차에서 송신하는 열차의 정보 즉 열차번호, 열차행선지, 열차 편성량, 제로스피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를 열차의 정보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데 특징이 있고,
또한 TWC 자체의 기능에 문제가 없다면 통신상의 오류가 발생하여도 현재 진입한 열차에만 해당되도록 하고 다음 열차 진입시에는 Reset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또 TWC 장치를 PC 및 기타 정보기록 장치와 연결하여 TWC 장치에 입출력 되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에 열차에서 수신하는 정보를 기타의 기록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TWC 장치가 자기 구간에 들어오는 열차의 차상정보를 받아들이도록 하고 그 정보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서 TWC 장치 및 현장의 이상 유,무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장치와의 연결 시 TWC 장치 및 외부장치의 고장 개소를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티더블유씨 장치{TWC Apparatus}
본원 발명은 철도 및 지하철의 신호보안설비 중 열차의 속도 및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위해 활용되는 ATC(Automatic Train Control) /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장치의 지상설비에 속하는 TWC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은 열차가 자동으로 안전하게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열차에서 송신하는 정보에 열차 자신의 열차번호 및 행선지 와 진행방향을 실어서 보냄으로서 지상에서 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열차가 정지했는지 여부와 열차의 현재속도를 표시하고, 열차의 편성량을 표시하여 줌으로서 열차의 자동운전이 가능토록 하는 열차자동운행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의 운행에 관계된 신호분야는 크게 차상시스템과 지상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지상시스템은 현장의 신호장치, 역제어장치, 열차운행종합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역제어장치는 열차가 진행하고자 하는 부분의 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미리 판단하여 열차의 진로를 구성하여 주는 연동장치와, 현장의 장치상태 및 열차진입 시 열차에 관한 정보를 종합제어장치로 올려주는 Interface 장치와, 운행중인 열차에 운행속도 및 정지 등의 신호를 보내고 열차와의 정보 송,수신을 하기 위한 ATC/ATO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차의 신호시스템은 여러 가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장치가 상호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동작되어야만 비로소 열차의 안전 운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만일 위와 같은 신호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고장이 발생하거나 오동작 한다면 즉각적으로 신호시스템의 동작에 문제가 생겨 열차의 안전운행이나 원활한 승객수송은 상당한 지장을 받게 될 것이며 아울러 열차운송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신속, 정확성은 빛을 잃게 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신호시스템은 사소한 고장이나 오동작도 용납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 높은 안전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TWC 장치는 이러한 신호시스템 중 차상장치와 지상장치 간에 수수되는 열차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비로서, 지상에서 열차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역 선로감시장치 및 역 정보전송장치 등 현장 신호기계실의 외부장비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
열차가 운행 중일 때 열차는 ATC/ATO 장비를 통해 열차의 속도 및 출입문 여닫이, 정차시간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열차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게 되어 있다. 만일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TWC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열차의 위치 판별만이 가능하게 될 뿐 열차의 번호나 행선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열차는 기관사의 자체 판단에 따라 출발 및 정차 그리고 출입문 여닫이 등을 해야만 한다. 이 경우 기관사의 확인 및 판단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 열차의 도착 및 출발이 크게 지연되어 신속한 열차의 운행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만에 하나 기관사의 판단에 오류가 있을 경우 열차의 안전운행은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된다.
현재 열차의 안전운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TWC 장치에서는 레벨검지 계전기의 최소동작 레벨 및 수신입력 레벨, 주파수 편이 변조파 레벨 등을 측정하고 있고, 열차번호 및 차상정보에 이상이 발생할 때 TWC 장치의 리셋 S/W를 초기화 해주고 역선로감시장치에서 열차정보가 정상적으로 들어오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실제로 TWC 장치에서는 차상의 정보를 확인하고 장비의 상태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며, 또한 외부로 TWC 장비의 상태를 표시하는 어떠한 표시기능도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더욱더 TWC 장치의 상태를 알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TWC의 종래 구성은 도2에서와 같이 열차번호, 열차행선지, 제로스피드 등의 정보를 담아 열차의 전부에서 송신하는 TWC 신호와, 상기 TWC 신호와 AND 결합하여 열차가 정상위치에 정차하였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열차의 후부에서 송신하는 AM파 검지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와;
상기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에서 입력되는 TWC신호(예를들어 40250Hz, 40050Hz)를 지정된 주파수를 이용해 복조하여 그 차감분의 FS파를 감시부(300)로 출력하고, 감시부(300)에서 분석된 TWC 정보를 수신한 후 직렬형 정보를 병렬형 정보로 변환하여 열차번호, 열차행선지 등의 정보를 외부장비로 출력하는 한편, 자체내의 계전기 정보를 외부장치(ATC)로 출력하는 주파수변환부(200)와;
상기 주파수변환부(200)로부터 출력된 변조주파수를 MO-DEM용 LSI에 의해 복조하여 그 정보를 감시부(300)내의 CPU부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바른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 후, 바른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수신 데이터를 8Bit 씩 병렬방식으로 주파수 변환부(200)로 출력하는 감시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도3내지 도5는 상기 도2의 각 구성의 상세블록도로서, 도3은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의 상세 블록도 이고, 도4는 주파수변환부(200)의 상세블록도이며, 도5는 감시부(300)의 상세 블록도 이다.
상기 도3을 기초로 하여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를 설명하면,
먼저 열차의 전부에서 차상신호가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로 수신되면 동 신호는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의 임피던스매칭부(111, 121)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됨과 동시에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임피던스매칭부로 입력되는 신호는 두 종류의 신호이다. 상기 두 종류의 입력신호 중 하나는 열차의 전부신호로서 제1임피던스매칭부(111)로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열차의 후부신호로서 제2임피던스매칭부(121)로 입력된다.
상기 임피던스매칭부(111, 121)로 입력되어 이후의 신호변환과정 및 비교회로(118,128)를 거쳐 레벨검지계전기(120,130)까지 처리되는 두 신호의 흐름은 그 처리과정이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하나로 묶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열차의 후부에서 송신한 AM파 검지신호는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로 입력되면 절연용 트랜스포머 및 임피던스 매칭부(121)를 통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하고, 임피던스 매칭부(121)를 통하면서 작아진 신호는 증폭부(122)로 입력되어 증폭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얻기 위해 필터회로(123)로 입력된다. 상기 필터회로(123)에서 잡음이 제거된 다음 원하는 주파수만이 선택 출력되면 이 신호는 레벨증폭을 위해 증폭부(124)로 입력된다. 상기 증폭부에서 레벨증폭된 신호는 전파정류회로(125)에서 정류된 다음 다시 한번 잡음제거를 위해 필터회로(126)로 입력되고 상기 필터회로에서 필터링 된 신호는 BPF(127)회로를 거치면서 설정된 주파수(예 : 78.6Hz)만을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BPF를 통과한 신호는 비교회로(128)로 입력된다. 상기 비교회로(128)에서는 F-CONV에서 Clock Pulse를 입력받은 다음, 동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하여 현장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한 후, 비교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출력을 하고 아니면 출력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출력을 제어한 다음, 다시 정류회로 및 증폭부(129)를 거쳐서 레벨검지계전기(130)를 동작시킨다.
또한 열차의 전부에서 송신한 TWC신호는 현장의 루프코일을 통하여 임피던스매칭부(111)와 연결된다. 임피던스매칭부(111)로 입력된 신호는 증폭부(112)를 통하면서 신호가 증폭되고 필터(113)회로에서 잡음을 제거한 후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을 하기위해 다시금 증폭부(114)를 거친 다음 주파수 변환부(200)로 입력된다.
상기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는 하나의 카드에 같은 회로 두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열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LED가 다르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 도4를 기초로 하여 주파수 변환부(200)을 설명하면,
상기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에서 입력되는 TWC 신호 주파수(예:40250Hz, 40050Hz)는 증폭부(211)에서 증폭되어 변조부(212)로 출력된다. 또한 발진부(215)에서 생성된 임의의 발진주파수는 증폭단(216)을 거쳐 변조부(212)로 출력되며, 상기 변조부(212)는 증폭부(211)와 증폭단(216)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임의의 주파수로 변조한 다음, 필터부(213)로 출력된다. 상기 필터부(213)는 상기 변조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필터링한 후, 동신호를 ATT부(214)로 출력하며 상기 ATT(214)부에서는 입력되는 값의 크기를 조절하여 감시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감시부(300)로 입력된 신호는 전송의 착오 등을 검사한 후 "1" 또는 "0"의 논리 레벨로서 주파수 변환부(200)의 입력 BUFFER(221)단으로 입력되고, 동 신호는 DECODER부(222)와 S/P변환부(220)를 거치면서 입력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하여 직렬유형에서 병렬유형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동 신호는 외부의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레벨을 키우고 외부기기와의 ISOLATION을 하기 위한 ISOLATION부(219)를 통해 외부기기로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조건처리부(223)는 S/P변환부(220)의 정보를 받아 열차의 제로스피드 조건을 검지한 다음, 조건이 맞으면 내부의 DOOR계전기(224)를 동작시켜 ATC 장치로 DOOR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도5를 기초로 하여 감시부(300)에서 에러를 체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열차정차위치검지부(100)에서 감시부(300)로 입력된 TWC 신호는 Mo-Dem용 LSI(318)에 의거 복조되어 HDLC 콘트롤러(317)에 입력된다. 이어서 HDLC 콘트롤러가 수신상태에 들어가면 DMA 제어기(314)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RAM (315)에 전송한다. 1Frame 수신을 완료하면 HDLC 콘트롤러(317)는 수신종료 우선(RX INT)을 입출력 BUFFER(312)를 통하여 CPU(311)에 출력한다. 다음 CPU(311)는 ROM(31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바른 것인지 혹은 그렇지 않은 것인지를 HDLC의 Result Register를 읽어서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바른 데이터로 인정되면 입출력 BUFFER(313)을 통하여 주파수 변환부(200)로 수신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는 한편, 제어정보 출력부(319)를 통하여 제어조건을 출력을 하고 나서, 다음 수신동작을 계속한다.
이상과 같이 TWC 장치는 여러 종류의 UNIT을 서로 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만들고 그 시스템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정보를 전송함으로 인해서 자동으로 열차를 운행하게 하는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TWC 장치는 Analog 회로를 기준으로 제작이 되어 있으며, 또한 많은 종류의 수동소자(저항, 콘덴서, 코일) 및 능동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복잡한 전자회로를 쉽게 이해하기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설사 회로가 이해되었다고 하더라도 복잡한 회로에서 고장이 난 부위를 찾아서 해결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TWC 장치에서는 정보처리 상태를 확인 할 수 없다는 문제와 함께, TWC 장치 자체의 상태 이상시에만 TWC 전면에 표시되어 있는 램프를 동작시켜 기기의 이상 발생을 표시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의 고장을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현재의 TWC 장치에서는 차상에서 보낸 신호를 TWC 장치에서 수신하였을 때 통신상의 오류시험 시 그 결과가 오류로 인식되면 TWC 자체적으로 오류를 인식하고 NG램프를 켠 다음 동작을 정지하고, 운용자가 다시 리셋 스위치를 눌러야만 비로소 동작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TWC 장치는 현장과 연결되고 또 그 정보는 열차에서 수신을 하기 때문에 사람이 계속 지켜보지 않는 한 오류가 발생하여도 이상 유,무 확인하거나 이상이 발생한 지점을 알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발명은 TWC 장치에 정보처리 상태 및 자체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기능을 부가하고, TWC 자체의 기계 고장이 아닌 프로그램 동작 및 통신상의 장애발생시 자동으로 초기화 작업이 진행 되도록 한다면 장애가 발생할 경우 조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쉽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원 발명의 제1목적은 열차가 역 구내에 진입할 경우 열차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지상의 루프코일을 통하여 TWC 장치에서 수신을 하였을 때 열차에서 송신하는 열차의 정보 즉 열차번호, 열차행선지, 열차 편성량, 제로스피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를 표시하는 열차의 정보표시장치에 열차의 번호, 열차의 행선지, 열차정지 상태, 열차 속도 값, 열차 편성량, ATO 운전상태 등 차상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LCD를 이용하여 표시해 주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2번째 목적은 TWC 자체의 기능에 문제가 없다면 통신상의 오류가 발생하여도 현재 진입한 열차에만 이를 해당되도록 하고 다음 열차 진입시에는 Reset을 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다시금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데 있다.
다음 본원 발명의 제3목적은, TWC 장치를 PC 및 기타 정보기록 장치와 연결하여 TWC 장치에 입출력 되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에 열차에서 수신하는 정보를 기타의 기록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TWC 장치가 자기 구간에 들어오는 열차의 차상정보를 받아들이도록 하고 그 정보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서 TWC 장치 및 현장의 이상 유,무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할 수 있록 함과 동시에 외부장치와의 연결 시 TWC 장치 및 외부장치의 고장 개소를 신속히 찾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구성을 도1 및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원발명이 동작되는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기본동작블록도이고, 도6은 본원발명 TWC장치의 상세블록도이며, 도7 내지 도9는 상기 도6의 각 구성의 상세블록도로서, 도7은 신호레벨검지부(400)의 상세 블록도 이고, 도8은 메인처리부(500)의 상세블록도이며, 도9는 감시부(600)의 상세 블록도 이다.
본 TWC 장치는 차상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지상의 사령실 및 기타 장치로 정보를 전달하여 자동열차운행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로서 TWC장치가 설치 동작되는 기본적인 상황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TWC 장치는 각 역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역 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루프코일(40 ~ 90)에 의해 열차에서 송신하는 정보(10, 30)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열차가 역 구내에 진입하게 되면 차상에서 차상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정보는 그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상의 루프 코일(40~90)이 수신하여 차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는 지상의 케이블(L1-L6)을 통하여 TWC 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TWC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루프코일(40~90)에서 열차(20)의 편성량에 따라 열차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게 되면 열차의 전부에서 송신하는 TWC 신호파형(10)과, 열차의 후부에서 송신하는 AM파 검지신호(30)가 TWC의 신호레벨검지부(400)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환경하에서 동작하는 본원발명에 의한 TWC의 구성은,
열차의 후부에서 송신하는 AM파 검지신호(30)를 수신하여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검지하고, 정위치 정차가 확인되면 열차의 전부에서 수신한 TWC 신호(10)를 수신하여 이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 다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레벨검지부(400)와;
상기 신호레벨검지부(400)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신호를 MODEM용 LSI에 의해 복조한 다음, 상기 복조된 신호를 HDLC Controller에서 입력받아 CPU로 정보를 전송하고 CPU는 HDLC CONTROLLER의 정보를 확인하여 정보가 바른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 다음 그 정보가 바른 것이면 외부장치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감시부(600)로 정보를 전송하는 메인처리부(500)와;
상기 메인처리부(500)에서 출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확인한 다음 사용자가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감시부(600)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레벨검지부(400)는,
열차 전부 및 후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인 절연 및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부(411)와;
상기 임피던스매칭부에서 일부 과도하게 진폭되어 출력된 주파수레벨을 필요한 크기의 레벨로 조정하는 Limiter부(412)와;
상기 Limiter부(4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동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예:40.2Khz)의 대역폭으로 필터링하는 병렬공진부(421)와;
상기 병렬공진부(421)를 통과하면서 감쇄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22)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직렬공진)한 다음 직렬공진된 FSK신호(열차의 전부 신호 : 40.25/40.05KHz) 중 열차의 전부에서 송신한 TWC 신호(10)는 메인처리부(500)로 보내고, 후부에서 송신된 AM파 신호(30)는 레벨검지계전기(482,483)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류부(431)로 보내는 직렬공진부(423)와;
상기 FSK 신호의 일부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지정한 주파수(예:78.6Hz)로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431)와;
상기 정류부(431)에서 전파 정류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32)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78.6Hz)만을 통과시키는 BPF부(433)와;
상기 BPF부(433)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변조파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예:1.8V)과 비교하여 입력된 신호가 기준전압 이상이 되면 CPU(473)로 출력하는 전압비교부(471)와;
상기 전압비교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에 의해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CPU(473)와;
상기 CPU(473)에서 정상여부가 판단된 후, 프로그램화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드부(474)와;
상기 디코딩된 신호가 정상일 경우에는 레벨검지계전기(482,483)를 구동시키고, 디코딩한 신호가 비정상일 경우에는 Watchdog Timer부(491)에 의해 통신부(474)를 리셋되도록 함으로서 CPU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레벨검지계전기 구동회로부(481)와;
상기 CPU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그 상태 및 동작여부를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외부장치와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통신상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 장치의 이상 유,무 판별 및 고장 개소의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49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처리부(500)는,
신호레벨검지부(4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적절한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511)와;
상기 PLL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예 : 2025Hz/20225hz)로 복조하는 복조부(512)와;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된 복조 신호를 다시 증폭하는 증폭부(513)와;
상기 복조부(512)에서 주파수를 복조하도록 하기 위한 복조주파수를 공급하는 PLL부(514)와;
상기 증폭부(513)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직렬방식으로 입력된 신호를 PARALLEL BUS 방식으로 변환하여 CPU로 DATA전송을 하는 한편, 지상의 정보를 차상으로 보내기 위하여 상기 PARALLEL BUS 방식의 신호를 직렬방식으로 변환하여 증폭부(522)로 출력하는 Modem부(521)와;
상기 모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이를 열차로 송신하는 증폭부(522)와;
상기 Modem부(521)에서 수신된 정보를 미리 프로그램 되어있는 순서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맞는지 틀리는지를 검토하고, 만약 정보가 맞는다면, 열차에서 송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열차번호, 열차행선, 제로스피드 조건 등을 확인하여 병렬출력부로 출력하는 한편, 열차에서 송신한 TWC 신호(10)에 의해 DOOR 계전기(551)를 동작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이 맞으면 DOOR 계전기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며, 또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출력을 하기 위하여 병렬출력부(541)로 정보를 전송하는 CPU(531)와;
상기 CPU로부터 제공된 열차번호, 열차행선, 제로스피드 등의 정보를 외부장치(예: LLS, LDTS)에 전송하는 병렬출력부(541)와;
상기 CPU부(531)에서 출력된 신호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을 제어하고 DOOR 계전기 동작여부를 감시하는 에러감시부(532)와;
상기 에러감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열차에서 전송한 정보가 정상적이고 열차가 정위치 정차하였을 경우 열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DOOR 계전기 및 구동부(5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부(600)는,
CPU로부터 들어오는 정보의 분석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이를 LCD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610)와;
상기 정보를 외부 DATA 저장장치로 저장하기 위한 직렬통신부(620)와;
현장에서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630)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TWC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차가 진입하지 않고 있을 때 TWC 장치는 이전의 상태 및 현재의 CPU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대기하고 있다. 열차가 진입을 하게 되면 열차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루프코일에서 수신하고 그 정보는 지상레일을 통해서 TWC 장치의 신호레벨검지부(400)의 수신부로 수신된다.
신호레벨검지부(400)기로 수신된 신호는 신호레벨검지부 내의 임피던스 매칭부(411)에서 전기적인 절연 및 임피던스 매칭을 하고, 그 신호는 Limiter 부(412)로 입력되어 일부 과도하게 진폭된 주파수레벨을 필요한 크기의 레벨로 조정한 후, 병렬 공진부(421)로 출력된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411) 및 Limiter 부(412)를 통과한 신호를 수신한 병렬공진부(421)는 동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예:40.2Khz)의 대역폭으로 필터링 한다. 이어서 상기 병렬공진부(421)에 의해 감쇄된 신호는 증폭부(422)로 보내져서 증폭된 후, 증폭된 신호는 다시 직렬공진부(423)로 보내져 필터링(직렬공진) 된다. 상기 직렬공진부(423)에서 직렬 공진된 신호는 FSK신호(열차의 전부 신호 : 40.25/40.05KHz)로서 이 신호 중 열차의 전부에서 송신한 TWC 신호(10)는 메인처리부(500)로 보내어지고, 후부에서 송신된 AM파 신호(30)는 레벨검지계전기(482,483)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류부(431)로 보내어진다.
한편 상기 FSK 신호의 일부는 정류부(431)로 입력되어 사용자가 지정한 주파수(예:78.6Hz)로 전파 정류되며, 정류부(431)에서 전파 정류된 신호는 증폭부(432)에서 증폭된 다음 BPF부(433)에서 설정된 주파수(예:78.6Hz)만을 통과시키고, BPF부(433)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변조파 신호는 전압비교부(471)에서 설정된 기준전압(예:1.8V)과 비교되어, 입력된 신호가 기준전압 이상이 되면 CPU(473)로 출력되고, CPU(473)로 입력된 신호는 CPU(473)에 미리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에 의해 정상인지 여부가 판별된다. 상기 CPU(473)에서 정상여부가 판단된 후, 프로그램화된 신호는 디코드부(474)에서 디코딩되어 레벨검지계전기 구동회로부(481)로 송출되며 상기 디코딩된 신호가 정상일 경우에는 레벨검지계전기(482,483)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디코딩한 신호가 비정상일 경우에는 Watchdog Timer부(491)에 의해 통신부(474)를 리셋토록 함으로서 CPU의 오동작에 의한 동작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CPU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그 상태 및 동작여부를 표시부(493)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에 이상이 있을 시 외부장치와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통신상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 이상 유,무 판별 및 고장 개소의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신호레벨검지부(400)는 CPU부(473) 전단까지는 한 카드에 두개의 수신회로가 구성되어 동작이 되도록 한다. 이는 전부신호 및 후부신호를 받기 위한 역할도 있고, 열차진행 방행이 바뀌었을 경우도 같은 장치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신호레벨검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는 메인처리부(500)로 입력된다. 신호레벨검지부(400)에서 메인처리부(500)로 수신된 신호는 메인처리부의 입력단의 증폭부(511)에서 적절한 크기로 증폭을 하고, 복조부(512)로 출력이 되면, 복조부(512)에서는 상기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를 필요주파수(예 : 2025Hz/20225hz)로 복조한다. 한편 PLL부(514)에서는 상기 복조부(512)에서 복조하기 위한 복조주파수를 만들어내어 내어 복조부(512)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입력주파수가 40250HZ이고 PLL부(514)에서 만들어지는 복조주파수가 38025Hz이면 복조부(512)의 출력주파수는 입력주파수와 PLL부(514)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의 차인 2225Hz의 주파수가 출력된다)
상기 복조부(512)에서 복조된 신호는 증폭부(513)에서 Modem부(521)에서 필요한 레벨까지의 크기로 증폭을 하여 Modem부(521)로 출력이 되며, Modem부(521)에서는 직렬방식으로 입력된 신호를 PARALLEL BUS 방식으로 변환하여 CPU로 DATA전송을 하며, 또한 지상의 정보를 차상으로 보내기 위하여 Modem부(521)에서 PARALLEL BUS 방식의 신호를 직렬방식으로 변환하여 증폭부(522)를 거쳐 열차로 송신한다.
Modem부(521)에서 정보를 수신한 CPU(531)는 미리 프로그램 되어있는 순서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맞는지 틀리는지를 검토하고, 만약 정보가 맞으면, 열차에서 송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열차번호, 열차행선, 제로스피드 조건 등을 확인한다. 또한 열차에서 송신한 TWC 신호(10)에 의해 DOOR 계전기(551)를 동작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이 맞으면 DOOR 계전기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시키지 않는다. 또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출력을 하기 위하여 병렬출력부(541)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병렬출력부(541)는 CPU로부터 제공된 열차번호, 열차행선, 제로스피드 등의 정보를 외부장치(예: LLS, LDTS)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에러감시부(532)는 상기 CPU부(531)에서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을 제어하고 DOOR 계전기 동작여부를 감시하며, 열차에서 전송한 정보가 정상적이며 열차가 정위치 정차하였을 경우 열차의 출입문 제어계전기를 동작시키는 DOOR 계전기를 구동하는 기능은 DOOR 계전기 및 구동부(551)에서 수행한다.
다음 메인처리부에서 출력되어 감시부(600)로 입력된 정보 신호는 사용자가 CPU로 들어오는 정보의 분석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LCD를 이용해서 표시부(610)에 표시되고, 직렬통신부(620)를 거쳐 외부 DATA 저장장치로 저장되며, 현장으로의 정보 송,수신은 입,출력부(63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은 메인전원장치에 전원부(640)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표시부(610)에는 열차번호, 열차행선, 제로스피드, 열차정지상태, 등의 각종 정보 및 열차와의 직접적인 DATA를 포함한 정보가 표시된다.
위에서 신호레벨검지부(400)는 현장에 설치되는 루프코일이 열차 편성량에 따라 설치 위치가 틀리므로 열차 편성량에 따라 설치 개소가 틀려진다. 여기서는 3종류의 열차 편성량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3장의 카드를 실장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3장의 카드 실장 시 3종류의 편성량을 구분하여 열차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드의 실장은 단지 3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현장 및 열차의 편성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 각각의 수신부에는 전면에 열차의 진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열차 진입 표시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램프를 확인하여 열차의 수신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메인처리부(500)는 상기 신호레벨검지부(400)에서 수신한 정보를 받아서 수신신호를 해독하고 해독한 신호를 직렬방식에서 병렬방식으로 변환하여 신호기계실의 외부 장비에 보내어 열차에서 보내어진 정보를 역제어중계장치, 역정보전송장치 및 외부 표시기에 정보를 보내어 열차의 정지시간을 정해주며 열차의 진행방향의 진로를 취급하도록 하고, 열차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차상신호 이상 시 신속하게 고장부위를 찾아 장애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검출하여 열차의 출입문 계전기를 동작시켜 자동으로 출입문을 열고 닫도록 한다.
도10은 상기 CPU(473)에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으로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단계(700)와;
각종 하드웨어 및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710)와;
시스템을 감시하여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20)와;
상기 시스템의 감시 결과 에러가 없으면 열차의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730)와;
상기 열차의 진입여부를 판단한 결과 열차가 진입되었으면 이를 LCD에 표시하는 단계(740)와;
상기 열차의 진입을 표시하고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750)와;
상기 시스템의 감시 결과가 양호할 경우 통신상태와 코드를 해석하는 단계(760)와;
상기 코드를 해석하고 나서 프로그램을 종료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70)와;
상기 프로그램을 계속할 필요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790)와;
상기 시스템의 감시결과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처리하는 단계(780)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원이 투입되면 CPU(473)가 프로그램의 구동을 시작하고, (700단계) 각종 하드웨어 및 변수들을 초기화한다. (710단계)
이어서 시스템의 전체 상황을 감시(내부 데이터베이스, S/W, Timing 등)하여 에러 여부를 판단한 다음 상기 시스템의 감시 결과 에러가 없으면 열차의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에러가 있으면 에러를 처리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한다. (720단계)
상기 720단계에서 에러가 없으면 열차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열차가 진입하였으면 LCD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열차가 진입하지 않았으면 계속 시스템을 감시하기 위해 다시 시스템 감시단계로 이동한다. (730단계)
다음 열차가 진입하였으면 열차의 진입상황을 표시부(LCD)에 표시하고, (740단계) 다시 시스템을 감시하여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계속 체크한 다음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처리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시스템의 상태가 양호할 경우 통신상태와 코드를 해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750단계)
상기 750단계의 감시결과 시스템의 상태가 양호하면 통신상태와 코드를 해석하고 (760단계) 프로그램을 종료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프로그램을 계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 시스템의 감시 단계로 이동하고 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770단계)
상기 720 및 750단계에서 에러가 발견되면 에러를 처리하고 다시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780단계)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CPU(473)에서는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첫째, 본 발명은 종래의 TWC 장치에는 없는 열차번호, 행선지, 열차정지, 열차와의 통신상태, 열차 편성량, 출입문 여닫이 상태를 외부의 표시기로 표시하여 열차와의 통신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고장 발생시 외부의 표시장치에서 통신 상태 및 정보 입,출력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장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고장 부위도 쉽게 찾아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종래의 TWC 장치에서는 전선으로 직접연결을 하여 수신부와 메인 처리부를 연결함으로서 케이블 연결이 복잡하고 제작 시 소요시간이 많이 들며, 보수를 위해 장치를 분리하였을 시 케이블이 고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많았으나 본원발명에 의하면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케이블의 정리가 쉬워져서 장치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한결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 종래의 TWC 장치는 자체 데이터 분석 중 오류가 발생하면 NG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원발명에서는 이것을 수정하여 오류 발생이 되면 Watch Dog 상태를 만들어서 데이터 오류라도 현재 수신한 데이터는 지워버리고 새로운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운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TWC 장치가 적용되는 기본 블록도
도 2는 종래 TWC 장치의 기본 블록도
도 3은 종래 TWC 장치의 열차정차위치검지부 상세 블록도
도 4는 종래 TWC 장치의 주파수변환부 상세 블록도
도 5는 종래 TWC 장치의 감시부 상세 블록도
도 6은 본원 TWC 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본원 TWC 장치의 신호레벨검지부 상세 블록도
도 8은 본원 TWC 장치의 메인처리부 상세 블록도
도 9는 본원 TWC 장치의 감시부 상세 블록도
도 10은 본원 TWC 장치의 Watch Dog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WC 신호파형 20 : 열차
30 : AM파 검지신호 파형 40 ~ 90 : 루프코일
100 : 열차정차위치검지부
111, 121 : 임피던스매칭부 112, 114 : 증폭부
118, 128 : 비교회로 120, 130 : 레벨검지계전기
122 : 증폭부 123 : 필터회로
124 : 증폭부 125 : 전파정류회로
126 : 필터 127 : BPF회로
128 : 비교회로 129 : 정류회로 및 증폭부
130 : 레벨검지계전기
200 : 주파수변환부
211 : 증폭부 212 : 변조부
213 : 필터부 214 : ATT부
215 : 발진부 216 : 증폭단
219 : ISOLATION부 220 : S/P변환부
221 : 입력 BUFFER단 222 : DECODER부
223 : 조건처리부 224 : DOOR계전기
300 : 감시부
311 : CPU 312 : 입출력 BUFFER
313 : 입출력 BUFFER 314 : DMA 제어기
315 : RAM 316 : ROM
317 : HDLC 콘트롤러 318 : Mo-Dem용 LSI
319 : 제어정보 출력부
400 : 신호레벨검지부
500 : 메인처리부 600 : 감시부

Claims (7)

  1. 열차의 후부에서 송신하는 AM파 검지신호(30)를 수신하여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검지하고, 정위치 정차가 확인되면 열차의 전부에서 수신한 TWC 신호(10)를 수신하여 이를 필터링하고 잡음을 제거한 다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레벨검지부(400)와;
    상기 신호레벨검지부(400)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신호를 MODEM용 LSI에 의해 복조한 다음, 상기 복조된 신호를 HDLC Controller에서 입력받아 CPU로 정보를 전송하고 CPU는 HDLC CONTROLLER의 정보를 확인하여 정보가 바른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 다음 그 정보가 바른 것이면 외부장치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감시부(600)로 정보를 전송하는 메인처리부(500)와;
    상기 메인처리부(500)에서 출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확인한 다음 사용자가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감시부(600)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레벨검지부(400)는,
    열차 전부 및 후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인 절연 및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411)와;
    상기 임피던스매칭부에서 일부 과도하게 진폭되어 출력된 주파수레벨을 필요한 크기의 레벨로 조정하는 Limiter부(412)와;
    상기 Limiter부(4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동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예:40.2Khz)의 대역폭으로 필터링하는 병렬공진부(421)와;
    상기 병렬공진부(421)를 통과하면서 감쇄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22)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직렬공진)한 다음 직렬공진된 FSK신호(열차의 전부 신호 : 40.25/40.05KHz) 중 열차의 전부에서 송신한 TWC 신호(10)는 메인처리부(500)로 보내고, 후부에서 송신된 AM파 신호(30)는 레벨검지계전기(482,483)를 동작시키기 위해 정류부(431)로 보내는 직렬공진부(423)와;
    상기 FSK 신호의 일부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지정한 주파수(예:78.6Hz)로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431)와;
    상기 정류부(431)에서 전파 정류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32)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주파수(예:78.6Hz)만을 통과시키는 BPF부(433)와;
    상기 BPF부(433)를 통과하면서 추출된 변조파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예:1.8V)과 비교하여 입력된 신호가 기준전압 이상이 되면 CPU(473)로 출력하는 전압비교부(471)와;
    상기 전압비교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에 의해 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CPU(473)와;
    상기 CPU(473)에서 정상여부가 판단된 후, 프로그램화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드부(474)와;
    상기 디코딩된 신호가 정상일 경우에는 레벨검지계전기(482,483)를 구동시키고, 디코딩한 신호가 비정상일 경우에는 Watchdog Timer부(491)에 의해 통신부(474)를 리셋되도록 함으로서 CPU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레벨검지계전기 구동회로부(481)와;
    상기 CPU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그 상태 및 동작여부를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외부장치와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통신상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 장치의 이상 유,무 판별 및 고장 개소의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49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처리부(500)는,
    신호레벨검지부(4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적절한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511)와;
    상기 PLL부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예 : 2025Hz/20225hz)로 복조하는 복조부(512)와;
    상기 복조부에서 출력된 복조 신호를 다시 증폭하는 증폭부(513)와;
    상기 복조부(512)에서 주파수를 복조하도록 하기 위한 복조주파수를 공급하는 PLL부(514)와;
    상기 증폭부(513)에서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여 직렬방식으로 입력된 신호를 PARALLEL BUS 방식으로 변환하여 CPU로 DATA전송을 하는 한편, 지상의 정보를 차상으로 보내기 위하여 상기 PARALLEL BUS 방식의 신호를 직렬방식으로 변환하여 증폭부(522)로 출력하는 Modem부(521)와;
    상기 모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다음 이를 열차로 송신하는 증폭부(522)와;
    상기 Modem부(521)에서 수신된 정보를 미리 프로그램 되어있는 순서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맞는지 틀린지를 검토하고, 만약 정보가 맞는다면, 열차에서 송신한 정보를 분석, 확인하여 병렬출력부로 출력하는 한편, 열차에서 송신한 TWC 신호(10)에 의해 DOOR 계전기(551)를 동작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이 맞으면 DOOR 계전기를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며, 또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출력을 하기 위하여 병렬출력부(541)로 정보를 전송하는 CPU(531)와;
    상기 CPU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외부장치(예: LLS, LDTS)에 전송하는 병렬출력부(541)와;
    상기 CPU부(531)에서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을 제어하고 DOOR 계전기 동작여부를 감시하는 에러감시부(532)와;
    상기 에러감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열차에서 전송한 정보가 정상적이며 열차가 정위치 정차하였을 경우 열차의 출입문 제어하는 DOOR 계전기 및 구동부(5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600)는,
    CPU로부터 들어오는 정보의 분석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이를 LCD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610)와;
    상기 정보를 외부 DATA 저장장치로 저장하기 위한 직렬통신부(620)와;
    현장에서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630)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레벨검지부(400)는,
    CPU부(473) 전단까지는 한 카드에 두개의 수신회로가 구성되어 동작이 되도록 하여 전부신호 및 후부신호를 받도록 함과 동시에 열차진행 방행이 바뀌었을 경우도 같은 장치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U부(473)에 탑재되어 동작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단계(700)와;
    각종 하드웨어 및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710)와;
    시스템을 감시하여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20)와;
    상기 시스템의 감시 결과 에러가 없으면 열차의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730)와;
    상기 열차의 진입여부를 판단한 결과 열차가 진입되었으면 이를 LCD에 표시하는 단계(740)와;
    상기 열차의 진입을 표시하고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750)와;
    상기 시스템의 감시 결과가 양호할 경우 통신상태와 코드를 해석하는 단계(760)와;
    상기 코드를 해석하고 나서 프로그램을 종료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70)와;
    상기 프로그램을 계속할 필요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790)와;
    상기 시스템의 감시결과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처리하는 단계(7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PU(531)과 병렬출력부(541)에서 분석, 확인, 처리하는 정보는
    열차번호, 열차행선, 제로스피드 조건 등임을 특징으로 하는 TWC장치.
KR1020030084789A 2003-11-27 2003-11-27 티더블유씨 장치 KR10059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789A KR100598479B1 (ko) 2003-11-27 2003-11-27 티더블유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789A KR100598479B1 (ko) 2003-11-27 2003-11-27 티더블유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078A true KR20050051078A (ko) 2005-06-01
KR100598479B1 KR100598479B1 (ko) 2006-07-10

Family

ID=3866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789A KR100598479B1 (ko) 2003-11-27 2003-11-27 티더블유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15B1 (ko) * 2009-08-27 2010-05-10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Twc 지상설비 테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951B1 (ko) 2014-08-26 2016-08-10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양방향 및 전이중 통신이 가능한 지상과 차상간의 통신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102498293B1 (ko) * 2021-10-24 2023-02-10 (주)에스디플렉스 승강장 안전문 통합 관제 방법 및 승강장 안전문 통합 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15B1 (ko) * 2009-08-27 2010-05-10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Twc 지상설비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479B1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8373B1 (en) Train detection system
KR870001211B1 (ko) 보안 경보 시스템
KR100669225B1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장치
KR101899381B1 (ko) 자동열차방호장치의 발리스 에러 검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30096607A1 (en) Maintenance/trouble signals for a RF wireless locking system
CN110880944B (zh) 一种多通道应答器报文传输装置及方法
KR102105321B1 (ko) 발리스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200391711Y1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장치
KR100339943B1 (ko) 철도 및 지하철의 궤도회로장치
CN110356432B (zh) 一种可用于轨道电路故障检查的方法及系统
KR20190133939A (ko) 궤도회로 고장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598479B1 (ko) 티더블유씨 장치
KR101102352B1 (ko)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JP2001322547A (ja) 列車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通信方法
JP3792944B2 (ja) 無電源地上子
KR100930539B1 (ko) 부정출발열차의 안전 확보 장치 및 방법
JP2664339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JP2664341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JP2664340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KR200237218Y1 (ko) 원격감시기능을 가진 지락 검출기
KR20040059516A (ko) 통합형 에이티오
JP2697497B2 (ja) 列車運転制御指令送信器および受信器
JPH054584A (ja) 光送信式自動閉塞装置
JPH11227605A (ja) 保守用車割出防止装置
JPS60210049A (ja) 通信回線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