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243A -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243A
KR20050050243A KR1020030083945A KR20030083945A KR20050050243A KR 20050050243 A KR20050050243 A KR 20050050243A KR 1020030083945 A KR1020030083945 A KR 1020030083945A KR 20030083945 A KR20030083945 A KR 20030083945A KR 20050050243 A KR20050050243 A KR 2005005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ock absorber
vehicle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243A/ko
Publication of KR2005005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40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 주행을 위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스티어링 유압을 이용하여 쇽 업쇼버의 오일경로를 단속함에 의해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쇽 업소버를 갖춘 차량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티어링 오일에 의한 유압을 발생하는 스티어링 수단과, 차량의 선회 주행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을 쇽 업소버의 감쇠력 증대를 위해 전달하는 유압 전달 수단 및, 상기 유압 전달 수단을 통해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스티어링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쇽 업쇼버 내부의 오일 경로를 제한함에 의해 감쇠력을 증대시키는 유압 제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VEHICLE TURNING STABILIZATION APPARATUS USING STEERING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
본 발명은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Shock Absorber)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따라 쇽 업쇼버의 감쇠력을 제어함에 의해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쇽 업쇼버는 차체와 차륜의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 또는 리프(Leaf) 스프링과 함께 조립되고서 차량의 주행시에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차륜의 빠른 회전에 따라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해당 차륜이 노면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에 의해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차량의 쇽 업쇼버는 스티어링 휠의 급격한 회전 조작에 의해 차량을 선회주행시키는 경우에, 쇽 업서버의 감쇠력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는 바, 종래의 선회 안정화 장치로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ECS)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량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요 부위에 주행에 따른 움직임이나 충격량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부착하고, 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값을 근거로 전자 제어 유니트(ECU)에서 현재 주행되는 차량의 자세를 파악함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쇽 업쇼버의 감쇠력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요 부위에 감응도가 우수한 고가의 센서들을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쇽 업쇼버의 감쇠력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주변장치 및 제어 프로그램의 개발 및 배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가중되어 일부 고가격대의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한 종래의 전자 제어 서스펜션 장치로는 차량 선회 주행시에 쇽 업쇼버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차종에 관계없는 대중화된 장치로서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선회 주행을 위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스티어링 유압을 이용하여 쇽 업쇼버의 오일경로를 단속함에 의해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쇽 업소버를 갖춘 차량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티어링 오일에 의한 유압을 발생하는 스티어링 수단과, 차량의 선회 주행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을 쇽 업소버의 감쇠력 증대를 위해 전달하는 유압 전달 수단 및, 상기 유압 전달 수단을 통해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스티어링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쇽 업쇼버 내부의 오일 경로를 제한함에 의해 감쇠력을 증대시키는 유압 제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가 적용된 쇽 업쇼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는, 스티어링 조작부(2)과 유압 펌프(4), 쇽 업쇼버(100)로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조작부(2)는 해당 차량의 운전석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의 운전자 회전조작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오일을 통한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유압 펌프(4)는 상기 스티어링 조작부(2)의 스티어링 휠이 회전조작되는 정도에 따라 스티어링 오일을 분출함에 의해 유압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쇽 업쇼버(100)는 실린더 튜브(6) 내에 피스톤 밸브(10)를 갖춘 실린더(8)가 해당 실린더 튜브(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피스톤 조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6) 내부의 하단에는 하부 밸브(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쇽 업쇼버(100)의 실린더 튜브(6) 내에는 살기 실린더(8)의 피스톤 밸브(10)가 상하 방향으로 조작되는 상태에 대응하여 유압을 발생하는 댐퍼 오일(14)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쇽 업쇼버(100)의 실린더(8)에는 스토퍼(1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16)의 하부에는 상기 실린더(8)의 피스톤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댐퍼 오일(14)로 인한 유압의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한 지지 링(Support Ring)(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지지 링(18)은 상기 유압 펌프(4)로부터 분기되는 유압 라인(2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링(1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를 따라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유압 라인(20)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고무 튜브(22)가 부착되어 있는 바, 상기 고무 튜브(22)는 상기 유압 펌프(4)로부터 유압 라인(20)을 통해 전달되는 스티어링 오일에 의한 유압에 의해 팽창되어 쇽 옵쇼버(100) 내부의 댐퍼 오일(14)에 대한 오일 경로의 폭을 제한함에 의해, 해당 쇽 업쇼버(100)의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주행시에 선회 주행을 진행하지 않음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유압 펌프(4)로부터의 유압이 발생되지 않아서 쇽 업쇼버(100) 내부의 지지 링(18)에 설치된 고무 튜브(22)가 팽창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쇽 업쇼버(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유압 경로가 형성되어 실린더(8)와 피스톤 밸브(10)에 의한 피스톤 조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 반면에, 차량이 선회 주행을 진행해야 함에 따라 스티어링 조작부(2)의 스티어링 휠을 회전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따라 유압 펌프(4)에서 스티어링 오일을 분출하면서 유압이 발생되고, 그 유압이 유압 라인(20)을 통해서 쇽 업쇼버(100) 내부의 실린더(8)에 설치된 지지 링(18)의 고무 튜브(22)에 전달된다.
이에, 상기 지지 링(18)의 고무 튜브(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라인(20)을 통해 유압 펌프(4)로부터 전달받은 유압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상기 고무 튜브(22)의 팽창 정도에 따라 실린더 튜브(6)의 내벽 사이에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서 댐퍼 오일(14)이 지나는 오일 경로가 좁아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6) 내부의 오일 경로가 고무 튜브(22)의 팽창에 의해 좁아지게 되면서, 상기 쇽 업쇼버(100)는 실린더(8)와 피스톤 밸브(10)에 의한 피스톤 조작이 제한되면서 감쇠력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쇽 업쇼버(100)에 대한 감쇠력이 증대되면, 해당 쇽 업쇼버(100)의 실린더(8)와 피스톤 밸브(10)에 의한 신장 또는 압축량이 줄어들게 되어 차량의 롤 각(Roll Angle)이 작아질 수 있게 되면서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스티어링 휠이 회전조작됨에 의해 발생되는 스티어링 오일의 유압을 받아서 쇽 업쇼버의 신장/압축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오일 경로를 제어함에 따라, 종래의 고가격대인 전자 제어 서스펜션 장치보다 휠씬 저렴한 비용으로 동등한 선회시 차량의 주행 안정화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보다 단순화된 장치 구성에 의해 고장의 위험성이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정비 비용의 절감과 함께 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가 적용된 쇽 업쇼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회전조작되기 이전의 쇽 업쇼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회전조작된 이후의 쇽 업쇼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스티어링 조작부, 4:유압 펌프,
6:실린더 튜브, 8:실린더,
10:피스톤 밸브, 12:하부 밸브,
14:댐퍼 오일, 16:스토퍼,
18:지지 링, 20:유압 라인,
22:고무 튜브.

Claims (4)

  1.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쇽 업소버를 갖춘 차량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티어링 오일에 의한 유압을 발생하는 스티어링 수단과,
    차량의 선회 주행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을 쇽 업소버의 감쇠력 증대를 위해 전달하는 유압 전달 수단 및,
    상기 유압 전달 수단을 통해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스티어링 유압을 전달받아 상기 쇽 업쇼버 내부의 오일 경로를 제한함에 의해 감쇠력을 증대시키는 유압 제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전달 수단은 스티어링 수단의 유압 펌프로부터 분기되어 유압 제한 수단과 연결되는 유압 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제한 수단은 쇽 업쇼버의 실린더 부위에 설치되는 지지 링과, 상기 지지 링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중공 형태를 갖추고서 상기 유압 전달 수단을 통해 스티어링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스티어링 유압에 의해 팽창되는 고무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제한 수단은 상기 지지 링의 상부에 스토퍼가 실린더에 결합되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
KR1020030083945A 2003-11-25 2003-11-25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KR20050050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45A KR20050050243A (ko) 2003-11-25 2003-11-25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945A KR20050050243A (ko) 2003-11-25 2003-11-25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243A true KR20050050243A (ko) 2005-05-31

Family

ID=3866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945A KR20050050243A (ko) 2003-11-25 2003-11-25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2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2655B1 (en) Control apparatus of a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JP3059527U (ja) 能動懸架装置
CN104842825A (zh) 用于在至少一个空间方向上关于相对可移动的下悬挂部件对上悬挂部件减震的设备
JP2007055593A (ja) 自動車用のタイヤ空気充填装置のための装置を運転する方法
JPH01103511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050243A (ko) 스티어링 감응식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장치
KR101339218B1 (ko) 차량의 차고 제어장치
KR100527771B1 (ko) 쇽 업쇼버를 이용한 차량의 선회 안정화 장치
CN113784858A (zh) 双轨车辆的稳定器组件
KR100693149B1 (ko) 차량의 반능동 현가장치
KR100398231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구조 및 제어 방법
KR100610061B1 (ko) 토오션 바아 스프링의 스프링상수 가변장치
KR0152549B1 (ko) 2단스프링 상수 가변식 전자제어 현가장치
JP4987762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2009137342A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KR19990057517A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00559888B1 (ko) 자동차의 선회 안정화 시스템
KR20020045771A (ko) 승차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 능동전자 현가 시스템
JPS5918671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KR100783689B1 (ko) 유압을 이용한 스테이빌라이저
KR100320523B1 (ko) 타이어 공기압 유지장치
KR100820411B1 (ko) 차량의 마찰방지형 현가장치
JP4825163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54451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0174419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자동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