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870A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870A
KR20050049870A KR1020030083627A KR20030083627A KR20050049870A KR 20050049870 A KR20050049870 A KR 20050049870A KR 1020030083627 A KR1020030083627 A KR 1020030083627A KR 20030083627 A KR20030083627 A KR 20030083627A KR 20050049870 A KR20050049870 A KR 2005004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data
emulation
type
print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475B1 (ko
Inventor
김우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75B1/ko
Priority to US10/994,416 priority patent/US20050111025A1/en
Priority to CNA2004101037940A priority patent/CN1673950A/zh
Publication of KR2005004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2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 G06F3/1213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at an intermediate node or at the final n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8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printer language recognition, e.g. PDL, PCL, PD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29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여,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를 하기 위한 에뮬레이션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프린터를 설정하거나 준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인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종래의 프린터와 같이 인쇄할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에 관한 정보를 시간을 들여 찾지 않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에뮬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찾아 그 에뮬레이션에 따른 인쇄 준비 및 인쇄를 할 수 있게 되어 인쇄 특히 첫 번째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인쇄를 위한 환경이 강화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inting the print data transferred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emulation typ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의 구조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전송한 인쇄 데이터를 역시 컴퓨터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린터 드라이버(100)가 프린터 언어로 가공하여 병렬 인터페이스, 직렬 인터페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혹은 네트워크 포트(network port) 등을 통해 프린터(11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부(120)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100)에서 전송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데이터 제어부(130)는 전송되어 저장된 프린터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데이터 제어부(130)는 자동 파서(auto parser)나 PJL(Print Job Language) 분석을 통해 인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파악한다. 그리고 그 에뮬레이션에 따른 프린터의 설정 정보 등을 프린터 내부의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인쇄부(140)는 인쇄 데이터를 데이터 제어부(130)에서 파악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프린트한다.
종래의 프린터 내에서의 인쇄 데이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프린터로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를 상기와 같이 자동 파서(auto parser)나 PJL(Print Job Language) 분석을 통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에뮬레이션 종류를 파악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분석할 시간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프린터로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를 실제로 인쇄할 때까지 그 분석 시간만큼 지연되어 인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인쇄하는 시간이 더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부분적이나마 해결하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에서 프린트하려는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의 종류마다 컴퓨터에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달리하여, 예를 들면 에뮬레이션을 포스트스크립을 사용하는 경우는 병렬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포스트스크립을 지원하는 프린터로 전송한다. 그리고 에뮬레이션으로 PCL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프린트하려는 데이터는 랜(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PCL 지원 프린터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는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가지의 프린터가 각 인터페이스마다 연결되어 있어야 하나 실질적으로 이와 같이 여러 가지의 프린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컴퓨터를 포함한 각 장치가 랜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프린터의 종류와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문제점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쇄 데이터에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분석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의 일 태양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의 다른 태양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의 일 태양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지정 정보로부터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여, 그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의 다른 태양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수신부; 상기 네트워크수신부가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에뮬레이션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제어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200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210 단계).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220 단계),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고(230 단계),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240 단계)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의 구성의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컴퓨터(300) 및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지정 정보로부터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여, 그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330)를 포함한다.
이때에 컴퓨터(300)는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인쇄될 데이터를 받아 그 데이터에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린터드라이버(310)와 이 인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프린터(330)로 전송하는 전송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린터(330)는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수신부(340), 네트워크수신부(340)가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에뮬레이션판단부(350) 및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제어인쇄부(360)를 포함한다.
프린트 에뮬레이션은 프린터로 출력될 문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지시하기 위해 컴퓨터가 프린터로 보내는 명령어들의 집합이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글꼴의 크기, 그래픽, 프린터로 보내지는 데이터의 압축, 색상 등을 관리한다. 프린터 에뮬레이터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와 PCL(Printer Control Language)이며, 각 에뮬레이션에는 예를 들면 PCL 5, PCL 6과 같이 여러 가지 버전이 포함된다.
프린터에 따라 지원되는 에뮬레이션 혹은 버전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고 혹은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 혹은 컴퓨터의 운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에 따라 지원하는 에뮬레이션이 제한될 수도 있다. 혹은 일부 파일은 예를 들면 포스트스크립트로 제작되어 포스트스크립트 에뮬레이션을 지원하는 프린터에서만 적절하게 인쇄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서 프린터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프린터가 지원할 수 있는 에뮬레이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프린터가 지원할 수 있는 에뮬레이션이 다양하다면 응용프로그램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뮬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프린터드라이버(310)는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200 단계). 인쇄 데이터는 실제 인쇄될 데이터는 물론이며, 상기와 같은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전송부(320)를 통해 프린터(300)로 전송된다. 전송부(320)는 컴퓨터(300)에 내장된 LAN 인터페이스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에 컴퓨터(300)와 프린터(330)는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된다.
인쇄 데이터는 인쇄될 프린터에 대응하는 목적지 아이피(IP),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인 컴퓨터에 대응하는 소스 아이피(source IP), 전송 프로토콜 종류(protocol type, 400) 및 목적지 포트(port, 410)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아이피(IP) 형식에 맞추어 생성되며, 상기의 필드들은 헤더를 형성한다. 그리고 실제 인쇄될 데이터(Real Print Data)는 헤더 다음에 추가된다.
이때에 컴퓨터(300)는 목적지 아이피, 소스 아이피,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아이피 형식에 맞추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때에 에뮬레이션 종류는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린터의 에뮬레이션판단부(350)는 아이피 형식의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에 따라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전송 프로토콜 종류는 티씨피(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혹은 유디피(UDP; User Datagram Protocol)이며, 에뮬레이션 종류는 적어도 피씨엘 및 포스트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표 1은 에뮬레이션에 따른 프로토콜과 포트 번호에 대한 변환 테이블의 일 예이다.
에뮬레이션 프로토콜 포트번호
PCL5 UDP 7622
PCL5e UDP 7877
PCL6 UDP 4823
Postscript TCP 4227
상기의 표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퓨터의 프린터 드라이버(310)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뮬레이션을 판단하는 프린터의 에뮬레이션판단부(350)가 모두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위해서 미리 약속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이 조합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며, 에뮬레이션의 종류가 늘어나면 프로토콜과 포트번호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각 에뮬레이션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300)에서는 도 4와 같은 형식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할 서비스 방식에 따라 포트번호가 달라진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 100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의 목적지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 1의 경우 PCL 5 에뮬레이션으로 생성되고 인쇄될 인쇄 데이터의 경우 7622의 번호가 부여된 포트로 전송하는 것이다. 물론 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린터에서도 7622의 포트를 생성하여 그 포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받아들일 것이다.
도 4와 같은 형식의 인쇄 데이터는 소스 아이피의 값에 대응하는 프린터로 IP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210 단계).
프린터의 네트워크수신부(340)는 프린터에 지정된 아이피 값을 가지는 인쇄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며(220 단계), 에뮬레이션판단부(350)는 이 인쇄 데이터 중에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참조번호 400과 410의 필드값을 참조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한 에뮬레이션을 판단한다(230 단계).
이때에 네트워크수신부(340)를 통해 작은 수의 필드만을 수신하면(도 4의 경우에는 5개의 필드) 에뮬레이션판단부(350)에서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때에 필요한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알 수 있으므로 인쇄하기 위한 시간 특히 첫 번째 페이지를 인쇄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 5개의 필드가 인쇄 데이터의 헤더부에 위치하므로 이 인쇄 시간을 줄이는 효과는 더 커지게 된다.
제어인쇄부(360)는 에뮬레이션판단부(350)에서 판단한 에뮬레이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고 인쇄 이미지를 출력하여 목적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240 단계). 제어인쇄부(360)는 에뮬레이션판단부(350)에서 판단한 에뮬레이션에 따라 실제 인쇄될 데이터를 가공하여 페이지별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한다. 제어인쇄부(360)는 도 1의 종래의 프린터의 데이터제어부(130) 및 인쇄부(140)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도 5a는 컴퓨터에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컴퓨터의 프린터 드라이버(310)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인쇄 요청이 오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500 단계).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인쇄를 요청받아, 인쇄될 데이터를 인식하면(505 단계), 그 데이터를 인쇄하는데 필요한 에뮬레이션을 선택한다(510 단계). 이 에뮬레이션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지정한 바에 따라 혹은 미리 지정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310)는 표 1과 같은 미리 약속된 규칙에 따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프로토콜과 목적지 포트의 값을 설정하여 헤더를 생성하고, 이 헤더를 인쇄 데이터에 삽입하여 도 4와 같은 형태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515 단계). 그리고 이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인쇄 데이터 헤더 부분에 설정된 포트를 통해 전송부(320)에 의해 프린터(330)로 전송된다(520 단계).
이 프린터(330)는 인쇄 데이터의 헤더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소스 아이피의 값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프린터가 네트워크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면 이 소스 아이피의 값도 그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프린터(330)의 네트워크수신부(340)는 자신이 지원하는 에뮬레이션에 따라 지원하는 포트를 생성하고(550 단계), 인쇄될 데이터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555 단계). 네트워크수신부(340)는 프린터(330)에 대응하는 아이피 값을 가진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포트에 대한 필드(410) 값에 따라 상기 생성된 포트별로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된다. 예를 들면 프린터가 PCL5를 지원한다면 7622 포트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기다리는 것이다.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560 단계) 에뮬레이션판단부(350)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프로토콜과 포트에 따라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를 제어인쇄부(360)에 전달하여 인쇄에 필요한 에뮬레이션에 다른 동작을 준비하도록 한다(565 단계).
이미 생성된 포트를 통해 입력된 인쇄 데이터이므로 560 단계에서는 포트 번호에 대한 것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이므로 도 5b와 같은 동작의 경우에는 560 단계에서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한 필드의 값을 읽어내서 에뮬레이션을 판단하게 될 것이다.
인쇄 데이터의 헤더 부분만이 네트워크수신부(340)를 통해 에뮬레이션판단부(350)에 입력된 상태에서 에뮬레이션을 준비할 수 있으므로 제어인쇄부(360)는 네트워크수신부(340)를 통해 입력되는 후속되는 인쇄 데이터를 계속하여 수신하여(570 단계) 인쇄를 시작하고, 실제 인쇄될 데이터를 다 인쇄하여 출력하여 인쇄를 완료한다(575 단계). 프린터는 인쇄를 마친 후에 다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상태(555 단계)가 된다.
상기에서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퓨터와 프린터가 IP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환경에 대해 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IP에 따른 네트워크에서만이 아니라 컴퓨터와 프린터가 병렬, 직렬 혹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컴퓨터와 프린터가 연결될 수 있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IEEE1394,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기타 다른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컴퓨터와 하나의 프린터, 혹은 하나의 컴퓨터와 복수의 프린터, 혹은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프린터가 상기에 언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경우 USB는 127개의 장치가 USB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USB 허브를 사용하여 USB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병렬 혹은 직렬의 인터페이스도 각 인터페이스별 전용의 프린터 접속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각 인터페이스별로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프린터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IP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만이 아니라 기타 다른 인터페이스로 하나 혹은 복수의 컴퓨터와 하나 혹은 복수의 프린터가 연결된 경우에도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에 설명된 내용들은 IP에 따른 내용을 제외하고는 그 외의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도 동일 혹은 각 인터페이스에 따른 적절한 변형을 거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컴퓨터의 프린터 드라이버는 상기에 나열된 병렬, 직렬, USB 혹은 IrDA,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각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프린터에서는 상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상기에 설명된 IP에 따른 네트워크의 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는 인쇄 데이터의 헤더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인쇄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여,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여, 인쇄를 하기 위한 에뮬레이션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프린터를 설정하거나 준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인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종래의 프린터와 같이 인쇄할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에 관한 정보를 시간을 들여 찾지 않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에뮬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찾아 그 에뮬레이션에 따른 인쇄 준비 및 인쇄를 할 수 있게 되어 인쇄 특히 첫 번째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인쇄를 위한 환경이 강화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의 구조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의 구성의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컴퓨터에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2)

  1.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은 IP 프로토콜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는 인쇄될 프린터에 대응하는 목적지 아이피(IP),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대응하는 소스 아이피(source IP), 전송 프로토콜 종류(protocol type) 및 목적지 포트(port)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아이피(IP) 형식에 맞추어 생성되며,
    상기 에뮬레이션 종류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으로 결정되며,
    상기 (b) 단계에서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아이피 형식의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의 목적지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4.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은 IP 프로토콜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전송 프로토콜 종류(protocol type) 및 목적지 포트(port)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아이피(IP) 형식에 맞추어 생성되어, 상기 에뮬레이션 종류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으로 결정될 때에,
    상기 (b) 단계에서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IP 형식의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 종류는 티씨피(TCP) 혹은 유디피(UDP)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션 종류는 적어도 피씨엘(PCL) 및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8.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지정 정보로부터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여, 그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프린터는 IP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컴퓨터는 인쇄될 프린터에 대응하는 목적지 아이피(IP),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대응하는 소스 아이피(source IP), 전송 프로토콜 종류(protocol type) 및 목적지 포트(port)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아이피(IP) 형식에 맞추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때에 상기 에뮬레이션 종류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으로 결정하며,
    상기 프린터는 상기 아이피 형식의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에 따라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
  10.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수신부;
    상기 네트워크수신부가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에뮬레이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종류를 판단하는 에뮬레이션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제어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네트워크수신부는 IP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며,
    상기 컴퓨터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전송 프로토콜 종류(protocol type) 및 목적지 포트(port)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아이피(IP) 형식에 맞추어 생성되고, 상기 에뮬레이션 종류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으로 결정될 때에,
    상기 에뮬레이션판단부는 상기 아이피 형식의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전송 프로토콜 종류 및 목적지 포트 필드의 값의 조합에 따라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 종류는 티씨피(TCP) 혹은 유디피(UDP)이며,
    상기 에뮬레이션 종류는 적어도 피씨엘(PCL) 및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 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장치.
KR1020030083627A 2003-11-24 2003-11-24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56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627A KR100561475B1 (ko) 2003-11-24 2003-11-24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994,416 US20050111025A1 (en) 2003-11-24 2004-11-23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print data transmitted via network according to emulation type
CNA2004101037940A CN1673950A (zh) 2003-11-24 2004-11-24 按照仿真类型打印通过网络传输的打印数据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627A KR100561475B1 (ko) 2003-11-24 2003-11-24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870A true KR20050049870A (ko) 2005-05-27
KR100561475B1 KR100561475B1 (ko) 2006-03-16

Family

ID=3458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627A KR100561475B1 (ko) 2003-11-24 2003-11-24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11025A1 (ko)
KR (1) KR100561475B1 (ko)
CN (1) CN16739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88B1 (ko) * 2005-11-2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포트 설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장치
KR20080001117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통한 작업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프린터 및 이프린터에서의 작업요청 정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4612A1 (en) * 2005-07-18 2007-01-18 Seong Kim Parallel printing solution
KR101150989B1 (ko) * 2007-08-07 201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662B2 (ja) * 2002-03-29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88B1 (ko) * 2005-11-2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포트 설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장치
KR20080001117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통한 작업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프린터 및 이프린터에서의 작업요청 정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3950A (zh) 2005-09-28
KR100561475B1 (ko) 2006-03-16
US20050111025A1 (en) 200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2473A1 (en) Simulation system, simul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30083353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erver
JP2000305739A (ja) 印刷システム
KR100561475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에뮬레이션종류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824613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1094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751237B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WO2015186361A1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JP3261233B2 (ja) 印刷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7187226B2 (ja) プログラム、記憶媒体、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6021157A (ja) Usb接続の一台の機器で複数の機能を持つことを可能にするプログラム
JPH08123631A (ja) 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2205443A (ja) 割込み印刷システム、及び、割込み印刷方法
US8139244B2 (en) Print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er
JP7254999B2 (ja) 印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94984B2 (ja) プリント支援モジュール、記録媒体及びプリントジョブ発行方法
JPH11184654A (ja) 画像出力制御装置
JP2003015839A (ja) データ受信装置、印刷システム、データ受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
JP2001202208A (ja) プリント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7155355B2 (ja) 印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224322B2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装置
JP545550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07952B2 (ja) ステータス監視方法
KR20070043528A (ko) 화상 형성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12363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