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324A - 전동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전동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324A
KR20050049324A KR1020040064928A KR20040064928A KR20050049324A KR 20050049324 A KR20050049324 A KR 20050049324A KR 1020040064928 A KR1020040064928 A KR 1020040064928A KR 20040064928 A KR20040064928 A KR 20040064928A KR 20050049324 A KR20050049324 A KR 20050049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input member
rotational
engaged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041B1 (ko
Inventor
오카모토다카유키
가자마야스오
Original Assignee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42Connection means between screwdriver handle and screwdriv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의 회전력전달수단에 있어서, 나사풀음시에 나사조임시보다도 큰 회전구동력을 드라이버비트에 걸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이고, 부품의 마모가 적으며,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입력부재(106)와, 해당 회전입력부재에 걸어맞추어져서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롤러(108)와, 비트홀더에 구동연결되는 회전 가능하게 된 회전출력부재(110)와, 해당 회전출력축에 홀딩되고, 구동롤러(108)에 걸어맞추어져서 회전구동력을 회전출력축에 전달하는 피구동볼(112)을 갖고, 구동롤러(108)는 회전구동입력부재가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회전입력부재(106)에 대하여 변위하고, 피구동볼(112)에 대하여 다른 점에서 걸어맞추며, 그에 따라 회전입력부재(106)로부터 구동롤러, 피구동볼을 통하여 회전출력부재(110)에 전달하는 회전구동력이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드라이버{ELECTRIC DRIVER}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비트홀더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수단이 해당 전동드라이버에 의해 나사조임을 실시할 때(정회전시)보다도 나사풀음을 실시할 때(역회전시) 쪽이 큰 회전구동력을 비트홀더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전동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전동드라이버는 체결된 나사를 푸는 최초의 시점에 있어서, 동 나사를 체결할 때보다도 큰 회전구동력을 주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나사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너무 과대한 회전구동력을 주면 나사 자체나 나사가 체결되는 부재, 그리고 전동드라이버 자체에 과대한 힘을 걸어 버려서 그들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전동드라이버는, 통상 구동모터로부터 드라이버비트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은 드라이버비트에 전달하는 회전구동력을 일정 이하로 제한하는 토크제한수단을 갖는다.
도 1은 그와 같은 토크제한수단의 한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토크제한수단(10)에 있어서는, 드라이버비트에 회전구동연결되어 있는 원통상 부재(12)와,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받아들여서 회전하는 구동축(14)과, 해당 구동축의 직경방향반대측의 위치에 설정된 한쌍의 롤러(16)와, 원통상 부재(12)의 직경방향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된 반경방향관통구멍내에 설정된 한쌍의 볼(20)과, 해당 볼을 반경방향안쪽으로 소정의 스프링력(F)으로 밀어누르는 스프링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나사체결시는 구동축(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16)를 (해당 롤러에 대하여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있는)볼(20)에 걸어맞추게 하고, 또 나사풀음시는 구동축(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16)를 (동 롤러에 대하여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있는)볼(20)에 걸어맞추게 하며, 회전구동력을 동 볼(20), 원통상 부재(12)를 통하여 드라이버비트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구동축(14)으로부터 원통상 부재(12)로의 회전구동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볼(20)은 그것에 가해져 있는 반경방향안쪽으로의 스프링력(F)에 대항하여 반경방향외측으로 변위하고, 그에 따라 구동축은 공회전하여 회전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토크제한수단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토크제한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한데, 나사를 조일 때도 풀 때도 롤러가 볼에 대하여 걸어맞추는 (구동축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의)반경방향위치가 같기 때문에 전달할 수 있는 회전구동력의 최대값은 같게 되며, 따라서 상기의 나사풀음시에 보다 큰 구동력을 주도록 한다는 요구를 만족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하여 회전구동축(14)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것으로 하고, 이에 따라 나사풀음을 위해 구동축(1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나사체결을 위해 구동축(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비하여 볼(20)에 대한 해당 회전구동축의 걸어맞춤위치를 도시와 같이 동 회전구동축(14)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반경방향위치에서 걸어맞춤으로써 보다 큰 회전구동력을 해당 볼(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형식의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이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해당 드릴을 일정기간 사용하면 회전구동축(14)의 볼(20)과의 걸어맞춤부분에 마모가 발생하여 그들의 걸어맞춤위치가 반경방향내측으로 변위하고, 그 때문에 회전구동축으로부터 볼(20)에 가해지는 회전구동력이 감소해 버리는 일이 있다.
또한 원웨이클러치를 이용하여 나사조임시만에 있어서, 소요의 회전구동력을 회전구동축으로부터 동 회전구동축이 공회전하는 일 없이 볼에 전달하도록 한 형식의 것이 있는데, 그 경우에는 푸는 나사가 지나치게 단단히 조여져 있으면 구동모터가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해당 드라이버를 다 억누를 수 없어서 부상을 입어 버린다는 염려가 있다.
[특허문헌 1] 특공평2-42631
[특허문헌 2] 실공평2-1205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한 회전전달수단을 구비한 전동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드라이버비트를 고정홀딩하는 비트홀더와,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비트홀더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수단을 구비하는 전동드라이버이며,
회전전달수단이,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받아들여서 회전구동되는 회전입력부재와,
해당 회전입력부재에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회전입력부재로부터 동 회전입력부재의 회전중심축선의 주위에서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롤러와,
상기 비트홀더에 구동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입력부재의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회전출력부재와,
해당 회전출력부재에 홀딩되고, 상기 구동롤러에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구동롤러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며, 해당 회전구동력을 해당 회전출력부재에 전달하는 피구동볼을 갖고,
상기 구동롤러가, 상기 회전구동입력부재가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상기 회전입력부재에 대하여 변위하고, 상기 피구동볼에 대하여 상기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의 다른 방향위치에서 걸어맞추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입력부재로부터 해당 구동롤러, 피구동볼을 통하여 상기 회전출력부재에 전달하는 회전구동력이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 전동드라이버에 따르면, 구동롤러로부터 피구동볼에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을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에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나사의 체결시 및 풀음시에 있어서 적정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구동롤러와 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마모에 의한 회전구동력의 감소를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출력부재를 회전입력부재의 주위에 동심원상으로 된 원통상 부분을 갖는 것으로 하고, 피구동볼을 해당 원통상 부분에 의하여 홀딩하도록 하며, 구동롤러가, 상기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피구동볼과 걸어맞추도록 할 수 있다.
또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입력부재가, 해당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하여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1 홀딩부와, 동 회전입력부재가 역회전하여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2 홀딩부와, 구동롤러가 제 1 홀딩부와 제 2 홀딩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위부를 갖는 볼홀딩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는,
상기 회전입력부재가 상기 회전중심축선에 직각을 이루고, 상기 회전출력부재에 면하는 제 1 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출력부재가 상기 제 1 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된 제 2 면을 갖는 원반상의 부재로 되고,
해당 회전출력부재가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면까지 연장된 관통구멍을 갖고, 해당 관통구멍내에 상기 피구동볼을 홀딩하여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면을 향해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면이 상기 구동롤러를, 그 축선이 상기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하여 홀딩하고, 또한 해당 구동롤러가, 상기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상기 제 2 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피구동볼과 걸어맞추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입력부재가,
해당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할 때에 상기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1 홀딩부와,
동 회전입력부재가 역회전할 때에 상기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2 홀딩부와,
구동롤러가 제 1 홀딩부와 제 2 홀딩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위부를 갖는 볼홀딩부를 구비하고,
제 1 홀딩부에 있어서 홀딩되는 구동롤러가 제 2 홀딩부에 있어서 홀딩되는 구동롤러보다도 상기 제 2 면에 가까워진 위치로 되어 피구동볼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피구동볼이 해당 회전출력부재의 상기 제 2 면 및 그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사이즈로 되고, 상기 반대측의 면에 인접하여 설정된 볼밀어누름부재에 의해 소정 스프링력으로 상기 구동롤러를 향하여 밀어눌러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드라이버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드라이버(100)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A-A선단면도로 나사체결시의 상태를, 또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나사풀음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와 같이, 전동드라이버(100)는 (도 3에서 보아 우단으로부터 삽입되는)드라이버비트(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홀딩하기 위한 비트홀더(102)와, (도 1에서 보아 좌단에 설정되는)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비트홀더(102)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수단(104)을 구비한다.
회전전달수단(104)은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감속기(105)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회전구동되는 회전입력부재(106)와, 해당 회전입력부재(106)에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회전입력부재(106)로부터 동 회전입력부재(106)의 회전중심축선의 주위에서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롤러(108)와, 비트홀더(102)에 구동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입력부재(106)의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회전출력부재(110)와, 해당 회전출력부재(110)에 홀딩되고, 구동롤러(108)에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구동롤러(108)로부터 회전구동력의 전달을 받으며, 해당 회전구동력을 해당 회전출력부재(110)에 전달하는 피구동볼(112)을 갖는다.
회전출력부재(110)는 회전입력부재(106)의 주위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원통상 부분(110-1)을 갖고, 피구동볼(112)이 해당 원통상 부분(110-1)에 형성된 반경방향관통구멍(110-2)내에 반경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홀딩되어 있다.
회전입력부재(106)는 단면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홈형의 롤러홀딩부(106-1)를 갖고 있으며, 해당 롤러홀딩부(106-1)는 나사체결시에 해당 회전입력부재(106)가 (해당 전동드라이버의 드릴비트측으로부터 모터측을 본 상태에서)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롤러(108)가 피구동볼(112)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108)를 홀딩하는 제 1 홀딩부(106-2)와, 나사풀음시에 동 회전입력부재(106)가 역회전하여 구동롤러(108)가 피구동볼(112)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108)를 홀딩하는 제 2 홀딩부(106-3)와, 구동롤러(108)가 제 1 홀딩부(106-2)와 제 2 홀딩부(106-3)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위부(106-4)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해당 롤러홀딩부(106-1)는 전체로서는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주상으로 된 회전입력부재(106)의 직경방향에서 반대측의 위치에 직경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는 변위부(106-4)와, 해당 변위부(106-4)의 일단에 구동롤러(108)의 곡면에 일치하도록 만곡하여 설치된 제 1 홀딩부(106-2), 타단에 똑같이 반경방향외측으로 만곡하여 설치된 제 2 홀딩부(106-3)를 갖고, 제 2 홀딩부(106-3)에 의해 홀딩된 구동롤러(108)의 (상기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의)반경방향위치(b)가 제 1 홀딩부(106-2)에 의해 홀딩된 구동롤러(108)의 (상기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의)반경방향위치(a)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피구동볼(1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선을 향하여 소정 스프링력(F)이 걸어져 있으며, 회전입력부재(106)로부터 구동롤러(108)를 통하여 전달되는 (해당 볼(112)과 구동롤러(108)의 중심을 잇는 선을 따른 방향에서의)힘의 반경반향외부향함분력이 해당 스프링력(F) 이상이 되면 해당 피구동볼(112)이 반경방향외측으로 변위됨으로써 회전구동력의 전달은 할 수 없게 되는데, 동 스프링력 이하에 있어서는, 피구동볼(112)은 도시의 위치에 홀딩되고, 해당 피구동볼(112)에 전달되는 힘의 접선방향분력이 회전출력부재(110)의 회전구동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2 홀딩부(106-3)는 제 1 홀딩부(106-2)보다도 (상기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떨어진)반경방향위치(b)에서 홀딩하게 되어 있으며, 도 5에 있어서의 각도(β)는 도 4에 있어서의 각도(α)보다도 커지고, 나사풀음시쪽이 큰 회전구동력을 회전출력부재(110)에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120”은 해당 전동드라이버의 원통상 하우징부분이며, 해당 원통상 하우징부분의 선단에는 피구동볼(112)로의 반경방향내부향함의 스프링력을 조절 가능하게 주기 위한 스프링압조정수단(124)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스프링압조정수단(124)은 원통상 하우징부분(120)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원통부재(124-1)와, 해당 원통부재내에 축선방향에서 가동하게 설치되고, 피구동볼(112)에 걸어맞추는 테이퍼면(124-2)을 갖는 볼밀어누름부재(124-3)와, 해당 볼밀어누름부재(124-3)에 도 3에서 보아 왼쪽방향으로의 스프링압을 거는 코일스프링(124-4)과, 원통부재(124-1)의 도 3에서 보아 우단에 해당 원통부재와 동축상으로 고정된 선단원통부재(124-5)에 나사걸어맞춤되고, 나사회전함으로써 축선방향에서 변위하며, 스프링밀어누름부재(124-6) 및 스프링단부걸어맞춤부재(124-7)를 통하여 코일스프링(124-4)에 적절한 밀어누름력을 주는 스프링조정부재(124-8)를 갖고 있다. 드라이버비트(도시하지 않음)는 비트홀더(102)의 중심구멍(102-1)내에 우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로킹볼(102-2)에 의해 고정되게 되어 있으며, 비트홀더(102)가 삽입되면 해당 전동드라이버의 중심축선을 따라서 신장되는 파일롯핀(130)이 왼쪽으로 밀어넣어져서 구동모터의 기동스위치에 작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체결시에 체결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회전입력부재(106)로부터 구동롤러(108)에 전달되는 힘의 반경방향외부향함의 분력이 상기 스프링력(F) 이상이 되면 피구동볼(112)은 반경방향외부향함으로 변위되며, 그에 동반하여 볼밀어누름부재(124-3)가 (도 3에서 보아)오른쪽으로 변위되고, 동 부재의 우단부 근처에 있는 경사면이 볼(102-3)을 반경방향안쪽으로 밀어누르며, 그에 따라 파일롯핀(130)을 왼쪽으로 밀어넣어서 구동모터의 기동스위치를 닫음으로 하고, 해당 전동드라이버의 구동을 정지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드라이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동드라이버는 기본적 구성은 같지만, 회전입력부재(106)와 회전출력부재(110)의 사이의 회전구동력의 전달기구가 상기의 실시형태의 것과 달라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입력부재(106)는 회전출력부재(110)를 향하는 제 1 면(즉 도 7에 있어서의 오른쪽향함면)(106-5)을 갖고, 한편 회전출력부재(110)는 제 1 면(106-5)에 면하여 평행하게 된 제 2 면(110-3)을 갖는 원반상 부재로 되어 있다. 회전출력부재(110)는 상기 회전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멍(110-4)이 형성되고, 해당 관통구멍(110-4)내에 피구동볼(112)이 변위 가능하게 홀딩되어 있다. 제 1 면(106-5)은 구동롤러(108)를 그 축선이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홀딩되어 있으며, 해당 구동롤러(108)가 회전입력부재(106)의 회전에 동반하여 피구동볼(112)에 원주방향에서 걸어맞추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입력부재(106)의 제 1 면(106-5)에는 상기 회전축선으로 한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 2 면에 면하여 개구한 롤러홀딩부(106-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롤러홀딩부(106-1)내에 구동롤러(108)가, 그 축선이 상기 원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직경방향)이 되도록 하여 전동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롤러홀딩부(106-1)의 (도 7에 있어서 하측의)단부는 나사풀음시에 있어서 회전입력부재(10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구동롤러(108)가 피구동볼(112)에 걸어맞춤으로써 해당 하측의 단부에 걸어맞추어지고, 동 피구동볼(112)을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돌리기 위한 제 2 홀딩부(106-3)를 형성하고 있다. 또 롤러홀딩부(106-1)의 반대측의 (도 7에 있어서 상측의)단부는 나사조임시에 있어서 회전입력부재(1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피구동볼(112)에 걸어맞춤으로써 해당 단부에 걸어맞추어지고, 동 피구동볼(112)을 통하여 회전출력부재(110)를 계속 돌리는 제 1 홀딩부(106-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밀어누름부(124-3)가 회전출력부재(110)에 인접한 원반상으로 되어 있으며, 피구동볼(112)을 구동롤러(108)에 밀어누르도록 축선방향에서의 스프링력을 해당 회전출력부재(110)에 걸고 있다.
도시와 같이, 롤러홀딩홈의 저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2 홀딩부(106-3)에 있어서는 얕고, 제 1 홀딩부(106-2)에 있어서는 깊어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홀딩부(106-3)에 있어서 홀딩된 구동롤러(108)는 제 1 홀딩부(106-2)에 있어서 홀딩된 구동롤러(108)보다도 보다 제 2 면(110-3)에 가까워진 위치로 되어서 피구동볼(112)에 걸어맞추며,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홀딩부재에 있어서보다도 큰 회전구동력을 회전출력부재(110)에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의 회전력전달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의 다른 형식의 회전력전달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드라이버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A-A선단면도이며, 나사조임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동 A-A선단면도이며, 나사풀음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드라이버의 다른 실시형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B-B선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동드라이버 102: 비트홀더
102-1: 중심구멍 102-2, 102-3: 로킹볼
104: 회전전달수단 105: 감속기
106: 회전입력부재 106-1: 롤러홀딩부
106-2: 제 1 홀딩부 106-3: 제 2 홀딩부
106-4: 변위부 106-5: 제 1 면
108: 구동롤러 110: 회전출력부재
110-1: 원통상 부분 110-2: 반경방향관통구멍
110-3: 제 2 면 110-4: 관통구멍
112: 피구동볼 120: 원통하우징부분
124: 스프링압조정수단 124-1: 원통부재
124-2: 테이퍼면 124-3: 볼밀어누름부재
124-4: 코일스프링 124-5: 선단원통부재
124-6: 스프링밀어누름부재 124-7: 스프링단부걸어맞춤부재
124-8: 스프링조정부재 130: 파일롯핀
a, b: 반경방향위치 F: 스프링력
α, β: 각도

Claims (6)

  1. 드라이버비트를 고정홀딩하는 비트홀더와,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비트홀더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수단을 구비하는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
    회전전달수단이,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받아들여서 회전구동되는 회전입력부재와,
    해당 회전입력부재에 걸어맞추어지고, 해당 회전입력부재로부터 동 회전입력부재의 회전중심축선의 주위에서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비트홀더에 구동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입력부재의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회전출력부재와,
    해당 회전출력부재에 홀딩되고, 상기 구동롤러에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구동롤러로부터 회전구동력이 전달되고, 해당 회전구동력을 해당 회전출력부재에 전달하는 피구동볼을 갖고,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회전구동입력부재가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상기 회전입력부재에 대하여 변위하고, 상기 피구동볼에 대하여 다른 점에서 걸어맞추며, 그에 따라 상기 회전입력부재로부터 해당 구동롤러, 피구동볼을 통하여 상기 회전출력부재에 전달하는 상기 회전중심축선의 주위에서의 회전구동력이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출력부재가 상기 회전입력부재의 주위에 동심원상으로 된 원통상 부분을 갖고,
    상기 피구동볼이 해당 원통상 부분에 의하여 홀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상기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피구동볼과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입력부재는,
    해당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하여 상기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1 홀딩부와,
    동 회전입력부재가 역회전하여 상기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2 홀딩부와,
    구동롤러가 제 1 홀딩부와 제 2 홀딩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위부를 갖는 볼홀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입력부재는 상기 회전중심축선에 직각을 이루고, 상기 회전출력부재에 면하는 제 1 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출력부재는 상기 제 1 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된 제 2 면을 갖는 원반상의 부재로 되고,
    해당 회전출력부재는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면까지 연장된 관통구멍을 갖고, 해당 관통구멍내에 상기 피구동볼을 홀딩하여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면을 향해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면은 상기 구동롤러를, 그 축선이 상기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하여 홀딩하고, 또한 구동롤러가, 상기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할 때와 역회전할 때에서 상기 제 2 면까지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피구동볼과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입력부재는,
    해당 회전입력부재가 정회전하여 상기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1 홀딩부와,
    동 회전입력부재가 역회전하여 상기 구동롤러가 피구동볼에 걸어맞출 때에 해당 구동롤러를 홀딩하는 제 2 홀딩부와,
    구동롤러가 제 1 홀딩부와 제 2 홀딩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위부를 갖는 볼홀딩부를 구비하고,
    제 1 홀딩부에 있어서 홀딩되는 구동롤러가 제 2 홀딩부에 있어서 홀딩되는 구동롤러보다도 상기 제 2 면에 가까워진 위치로 되어 피구동볼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볼이 상기 회전출력부재의 상기 제 2 면 및 그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사이즈로 되고, 상기 반대측의 면에 인접하여 설정된 볼밀어누름부재에 의해 소정 스프링력으로 상기 구동롤러를 향하여 밀어눌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KR1020040064928A 2003-11-20 2004-08-18 전동드라이버 KR100556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0943A JP3992676B2 (ja) 2003-11-20 2003-11-20 電動ドライバ
JPJP-P-2003-00390943 2003-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324A true KR20050049324A (ko) 2005-05-25
KR100556041B1 KR100556041B1 (ko) 2006-03-03

Family

ID=3471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928A KR100556041B1 (ko) 2003-11-20 2004-08-18 전동드라이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92676B2 (ko)
KR (1) KR100556041B1 (ko)
CN (1) CN100345661C (ko)
HK (1) HK1080031B (ko)
TW (1) TWI2533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385B2 (ja) * 2010-05-31 2015-08-26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DE102010030055A1 (de) * 2010-06-15 2011-12-15 Hilti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 betreibbares Bolzensetz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Bolzensetzgerätes
TWI491477B (zh) * 2012-09-21 2015-07-11 Nitto Kohki Co Electric screwdriver
JP6482351B2 (ja) 2015-03-27 2019-03-13 日東工器株式会社 螺合部材締付け工具
DE112016003913B4 (de) 2015-08-31 2022-05-25 Nitto Kohki Co., Ltd. Angetriebenes Werkzeug
TWI622468B (zh) * 2015-12-25 2018-05-01 日東工器股份有限公司 螺合構件緊固工具及螺合構件緊固工具中的驅動時間設定方法
TWI702117B (zh) * 2019-08-07 2020-08-21 佳銘精密工業有限公司 扭力接頭結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063A (ja) * 1982-03-15 1983-09-22 日東工器株式会社 電動ドライバ−
JPS60153767U (ja) * 1984-03-23 1985-10-14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電動ドライバ
DE3636026A1 (de) * 1986-10-23 1988-04-28 Hilti Ag Handgeraet mit werkzeughalter
JP2991002B2 (ja) * 1993-05-12 1999-12-20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微小トルクドライバのトルク制御機構
CN2174300Y (zh) * 1993-09-02 1994-08-17 辛富荣 电动起子的离合器
JP2000190246A (ja) * 1998-12-21 2000-07-11 Nakamura Seisakusho:Kk トルクドライ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5661C (zh) 2007-10-31
HK1080031B (zh) 2008-06-06
CN1657235A (zh) 2005-08-24
TW200529987A (en) 2005-09-16
HK1080031A1 (en) 2006-04-21
JP2005153033A (ja) 2005-06-16
JP3992676B2 (ja) 2007-10-17
KR100556041B1 (ko) 2006-03-03
TWI253377B (en)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8636B1 (en) Precision torque tool
US7287602B2 (en) Spindle lock for rotary power tool
US6715380B2 (en) Power-driven screwdriver
US5094133A (en) Screwdriver with switch-off means for screw-in depth and screw-in torque
EP0809558B1 (en) Gear shifting power tool
EP1834735B1 (en) Electric power tool with a torque limiter
US6076438A (en) Power nutrunner with torque release clutch and a setting tool
US20060237205A1 (en) Mode selector mechanism for an impact driver
EP2087958B1 (en) Auto locking chuck
SE520263C2 (sv) Kombinerad borrmaskin/skruvdragare med ställbar koppling för de olika användningarna
JPH06114749A (ja) 携帯電動工具
US5083990A (en) Two-speed power transmission for a power tool
KR100556041B1 (ko) 전동드라이버
US2111280A (en) Clutch mechanism
US7370561B2 (en) Electric driver
US3220526A (en) One shot clutch
US20040069511A1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torque cut-off device
US4711457A (en) Drill chuck for hand-held tools
EP0212381B1 (en) Slip clutch with adjustable threshold torque
US4652187A (en) Clamping chuck for holding drilling and/or cutting tools
US4122928A (en) Torque clutch coupling
US4867019A (en) Screwdriving tool
GB2178680A (en) Driving tools for screw-threaded fasteners
JPS6216285Y2 (ko)
JP2000237968A (ja) 電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