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673A - 상수 지연 제로 대기 차동 논리 수신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 지연 제로 대기 차동 논리 수신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673A
KR20050048673A KR1020057005790A KR20057005790A KR20050048673A KR 20050048673 A KR20050048673 A KR 20050048673A KR 1020057005790 A KR1020057005790 A KR 1020057005790A KR 20057005790 A KR20057005790 A KR 20057005790A KR 20050048673 A KR20050048673 A KR 2005004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ransistor
output
pass circuit
signal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853B1 (ko
Inventor
다니엘 비. 페니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4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2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detecting phas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obtained from input signal
    • H03D3/22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detecting phas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obtained from input signal by means of activ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to which two signals are applied derived from the signal to be demodulated and having a phase difference related to the frequency deviation, e.g. phase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04L25/0274Arrangements for ensuring balanced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9/00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23Delay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03Changing the DC lev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0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line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6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집적 회로 상의 차분 수신기 회로는 실질적으로 대기 전원을 소비하지 않으며, 입력 공용 모드 바이어스에 상관없이 정수의 전파 지연을 갖고, 수용가능한 공용 모드 거절을 가지며, 차분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패스 회로들과 버퍼들을 갖는다. 제 1 패스 회로는 "트루" 버퍼링된 신호와 우대 버퍼링된 신호 사이의 차분에 기초하여 트루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제 2 패스 회로는 우대 버퍼링된 신호와 "트루" 버퍼링된 신호 사이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보적"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차분 수신기 회로는 전파 지연 시간들을 변화시키지 않고, 수신된 차분 신호들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공용 모드 바이어스들을 거절한다.

Description

상수 지연 제로 대기 차동 논리 수신기 및 방법{Constant delay zero standby differential logic receiver and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들에서의 스트로브 신호들 및 클록의 분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동 클록(differential clock) 및 스트로브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칩들과 같은 반도체 집적 회로들은 영역이 물리적으로 더 커지고, 동작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상기 회로들에서 한 가지 해결해야 할 것은 상승 시간(rise time), 하강 시간(fall time), 펄스폭 등에 대해 이용가능한 시간 주기들과 비교해 적어도 긴, 긴 거리들로 특징되는 거리들에 걸쳐 클록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분배하는 것이다. 상기 회로들과 함께, 클록 및 스트로브 신호들과 같은 특정 임계 신호들상에서 특히 고주파수에서 정확한 의무 주기(duty cycle)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단일 펄스가 많은 드라이버 수신기 쌍들을 통해 전파(propagate)될 때, (예컨대, 양 또는 음 펄스폭에 의해 측정되는) 의무 주기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들 및 수신기들을 구성하는 p 채널 및 n 채널 트랜지스터의 특징들의 차이점들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브 신호는 DQS("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이고, DQS 신호의 타이밍은 특히 DQS 신호의 상승 및 하강 에지들 양측이 스트로브 데이터 내부 및 DRAM들의 외부에서 사용되는 더블 데이터율(DDR) DRAM들에 대해 중요하다. 어떤 이유에 대한 스트로브의 의무 주기의 증가 또는 감소는 빠른 또는 늦은 데이터 클로킹이 된다. 고주파수들에서, 데이터 라인들 상의 전압들이 데이터 값을 대표하는 레벨에 정주(settle)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빨리 클로킹되는 데이터는 정확하기 않을 수 있다.
신호들이 무거운 다중 부하로 운행하도록 촉진하기 위해, 설계는 신호 자원과 최종 부하 사이의 중간 드라이버들을 "팬 아웃(fan out)" 배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중간 드라이버들은 의무 주기 스큐(duty cycle skew)를 또한 도입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3 나노초 펄스폭은, 펄스가 중간 드라이버를 통해 전파될 때 원래의 3 나노초보다 더 협소하거나 더 폭넓게 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신호가 다른 상태(즉, "1"로부터 "0"으로 또는 "0"으로부터 "1")로 스위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중간 드라이버에서의 임계값(또는 트립 포인트(trip point))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중간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p 채널 및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라이브에서의 차이점들(P-N 드라이브 불균형이라고도 함)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영향들은 "1"을 "0"과 다르게 전파하도록 한다.
차동 신호 중간 드라이버들의 사용은 이러한 유형들의 의무 주기 오류들을 제거할 수 있지만, 차동 수신기를 수신지에서 필요로 한다. 실제적으로 신호 및 그의 상보(compliment)인 차동 입력 신호는 차동 수신기의 입력으로 공급된다. 입력 차동 신호를 구성하는 두 신호들의 교차점은 신호들이 정확히 동일한 시점에서 정확히 동일한 전압을 갖고 교차하는 전압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교차점은 고전압 신호와 저전압 신호 사이의 중간이 될 필요가 없다. 대신, 입력 차동 신호의 교차점은 차동 수신기의 임계값을 설계와 관련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높은 또는 낮은 교차점은 반도체 처리 변화들, P-N 드라이브 차이들, 온도, VCC, 차동 신호에 동등하게 접속되는 공통 모드 노이즈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차동 수신기의 기능은 입력 차동 신호를 차동 출력 신호 또는 단일 종료 출력 신호(single ended output signal)의 어느 한 쪽인 중심 출력 신호로 변환한다. CMOS 논리 함수들에 대해 단일 종료 신호로서 최종적으로 이용되는 차동 드라이버의 출력 신호는 최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타이밍 구성을 갖는다. 양측 논리 상태들에 대해 하나의 신호가 높아지고 다른 신호는 낮아지며 각각의 상태에 대한 교차점은 원래의 의무 주기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의무 주기 오류들은 수신기에서 제거될 수 있다.
차동 수신기들은 부가된 이득을 가진다. 표유 신호들(stray signals) 또는 공급 잡음으로부터 차동 신호에 접속된 공통 모드 바이어스는 단일 종단 드라이버들에서 타이밍 에러들(원하지않는 지연들)을 초래한다. 하지만, 차동 수신기들은 이러한 타이밍 에러들을 제거한다. 양 차동 신호들에 공통인 어떤 접속 또는 공급 잡음은 차동 수신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공지된 차동 수신기들의 사용에 문제가 존재한다. 공지된 차동 수신기들은 차동 쌍의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파하기위해 정전류 소스를 요청하는 차동 트랜지스터에 기초한다. 따라서, 차동 수신기들은, 차동 신호들이 특정 시간에 수신기를 통해 처리될 필요가 실제로 있는지에 상관없이 충분한 전류를 소비한다.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높은 스탠바이 전류가 포비되기 때문에, 요청될 수 있는 임계 클럭 경로들에서 많은 차동 쌍 수신기들로서 사용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차동 수신기의 이런 유형은 (공통 모드 전압 바이어스가 차동 입력 신호들에 접속될 때 처럼) 차동 입력 신호들의 교차점의 전압에 따라 다른 전파 지연를 가지는 것이 또 다른 문제이다. 변화하는 전파 지연은 임계 타이밍 경로들 특히, 고주파수들에 대해 수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동 입력 신호의 타이밍 속성들을 유지하는 동안, 차동 입력 신호로부터 차동 출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차동 수신기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도 1은 기본 발명의 예에 따른 수신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라 래치를 갖는 도 1의 수신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라 최종 드라이버들을 갖는 도 2의 수신기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수신기로 평형된 차동 입력 신호의 그래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력 파형으로 유도된 때 도 3에 도시된 완전한 차동 수신기로부터 차동 출력 신호의 유도된 결과의 그래프.
도 6은 스큐된 단일의 종료 입력 신호의 그래프.
도 7은 높은 교차점을 유발하는 차동 입력 신호의 각 신호가 스큐된 차동 입력 신호의 그래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와 동일하지만 도 9의 그래프로 정렬된 도 3의 수신기로 높은 교차점들을 갖는 차동 입력 신호의 그래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높은 교차점 입력 파형으로 유도된 때, 도 3에 도시된 완전한 차동 수신기로부터 차동 출력 신호의 유도된 결과의 그래프.
도 10은 도 3의 수신기로 낮은 교차점들을 갖는 차동 입력 신호의 그래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낮은 교차점 입력 파형으로 유도된 때, 도 3에 도시된 완전한 차동 수신기로부터 차동 출력 신호의 유도된 결과의 그래프.
도 12는 도 3의 수신기로 혼합된 낮고 높은 교차점을 갖는 차동 입력 신호의 그래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혼합된 교차점 입력 파형으로 유도된 때, 도 3에 도시된 완전한 차동 수신기로부터 차동 출력 신호의 유도된 결과의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라 도 3의 완전한 차동 수신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및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는 실질적으로 어떤 스탠바이 전력도 소모하지 않고, 입력 공통 모드 바이어스에 상관없이 고정 전파 지연을 가지고, 수용가능한 공통 모드 거부를 가지며, 차동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패스 회로 및 제 2 패스 회로와 버퍼들을 포함하는 차동 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패스 회로는, "진(true)" 버퍼링된 회로와 "상보적인(complementary)" 버퍼링된 신호간 차이가 존재할 때, "진"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제 2 패스 회로는, "상보적인" 버퍼링된 신호와 "진" 버퍼링된 회로간 차이가 존재할 때, "상보적인"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차동 수신기 회로는 상보 상태들에서 진 출력 신호 및 상보적인 출력 신호들을 래칭하는 인버터들과 진 출력 신호 및 상보적인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최종 드라이브 버퍼들에 접속된 교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기술들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모드 수신기(100)가 도 1에 도시된다. 수신기(100)는 인버팅된 신호 GI1OUT을 생성하도록 입력 신호 IN에 접속된 제1 인버터 GI1를 포함하고, 상보적인 신호 GI2OUT을 생성하도록 상보적인 입력 신호 IN*에 접속된 제2 인버터 GI2를 또한 포함한다. 수신기(100)는 또한 진정한 출력 신호 OUT를 생성하도록 제1 패스 회로(110)를 포함한다. 중간 드라이버들로서, 차동 출력 신호들을 원할 때, 수신기(100)는 또한 상보적인 출력 신호 OUT*를 제공하도록 제2 패스 회로(120)를 포함한다.
제1 패스 회로(110)는 p채널 트랜지스터(MP1)와 n채널 트랜지스터(MN1)를 포함한다. 신호 GI1OUT가 트랜지스터들(MP1,MN1)의 게이트에 인가되도록 두 트랜지스터들(MP1,MN1)의 게이트는 제1 인버터 GI1의 출력에 접속된다. 신호 GI1OUT는 트랜지스터들(MP1,MN1)의 도전성 상태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제1 패스 회로(110)의 제어 입력을 구성한다. 두 트랜지스터들(MP1,MN1)의 소스는 제2 인버터 GI2의 출력으로부터 신호 GI2OUT를 수신하도록 접속된다. GI2OUT 신호는 GI1OUT 신호의 상태에 따라 트랜지스터들(MP1,MN1) 중 하나를 통해 트랜지스터들(MP1,MN1)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 GI1OUT 신호가 로우일 때(즉, IN이 하이), GI2OUT 신호는 트랜지스터들(MP1)을 통해 접속되고, GI1OUT 신호가 하이일 때(즉, IN이 로우), 트랜지스터들(MN1)을 통해 접속된다. 트랜지스터들(MP1,MN1)의 드레인은 출력 신호 OUT에 접속되고, 그에 따라 제1 패스 회로(110)의 출력과 수신기(100)의 진정한 출력을 구성한다.
신호 GI2OUT는 트랜지스터들(MP1 또는 MN1) 중 하나를 통해 출력 신호 OUT로 패스되지만, 신호 GI1OUT가 트랜지스터(MP1)를 턴온시키도록 충분히 로우(low)가 될 때까지 트랜지스터(MP1)를 통해 패스되지 않으며, 신호 GI2OUT는 신호 G1IOUT가 트랜지스터(MN1)를 턴온시키도록 충분히 하이(high)가 될 때까지 트랜지스터(MN1)를 통해 패스되지 않는다. 이것은 수신기(100)에 원하는 차동 효과를 제공한다. 차동 효과는 신호 GI1OUT가 신호 GI2OUT과는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트랜지스터들(MP1,MN2)이 도전한다는 사실로부터 유도된다. 패스 회로(120)는 단순히, GI2OUT가 로우(즉, IN*이 하이일 때)일 때 상보적인 출력 신호 OUT*에 p 채널 트랜지스터(MP2)를 통해 그리고 GI2OUT가 하이(즉, IN*이 로우일 때)일 때 상보적인 출력 신호 OUT*에 n 채널 트랜지스터(MN2)를 통해 신호 GI1OUT에 접속하도록 패스 회로(110)에 대해 동작한다. 다시, 신호 GI1OUT는 신호 GI2OUT가 트랜지스터(MP2)를 턴온시키도록 충분히 로우가 될 때까지 트랜지스터(MP2)를 통해 패스되지 않으며, 신호 GI1OUT는 신호 GI2OUT가 트랜지스터(MN2)를 턴온시키도록 충분히 하이가 될 때까지 트랜지스터(MN2)를 통해 패스되지 않는다. 이것은 수신기(100)에 원하는 자동 효과뿐만 아니라 차동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차동 효과는 신호 GI1OUT가 신호 GI2OUT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트랜지스터들(MP1,MN1)이 도전한다는 사실로부터 유도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제 1 및 제 2 반전기(GI1,GI2)가 이롭게는 비반전 버퍼들일 수 있음을 개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버퍼들로부터의 신호들은 패스 회로들(110,120)에서 정확한 신호 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호들(GI1OUT,GI2OUT)을 교체하기 위해 교차 접속된다. 또한, 패스 회로(120)는 차동 출력 신호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수신기(100)는 종래의 차동 수신기에서 발견될 수 있는 임의의 일정한 전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기(100)는 트랜지스터 스위칭 전력을 소비하지만, 정상 전력을 실질적으로 소비하지 않는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차동 효과는 종래 차동 수신기가 공통 모드 바이어스 및 노이즈를 거부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통 모드 바이어스 및 노이즈를 거부하는 능력을 수신기(100)에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 차동 수신기와는 달리, 수신기(100)는 부분적으로는 위에서 논의된 차동 효과로 인해,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신호가 패스 회로를 패스한다는 사실로 인해 공통 모드 바이어스 또는 노이즈에 무관한 입력 신호들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지연에 영향을 미치며, 패스 회로(110, 120) 중 하나 또는 그 둘 모두는 결국 신호 최대와 최소 사이의 고정된 디지털 임계 중간에 비교된다. 종래 차동 수신기들을 통한 전파 지연들은 공통 모드 바이어스 또는 노이즈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수신기(200)의 다른 실시예가 도 2에서 도시된다. 수신기(200)는 도 1의 수신기(100)에 존재하는 모든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간결성을 위해, 이들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들로 제공되고, 이들의 동작의 설명이 되풀이되진 않을 것이다. 수신기(200)는 제 3 인버터(130)와 제 4 인버터(140)를 포함함으로써 수신기(100)와 상이하다. 인버터들(130, 140)은 p 채널 트랜지스터들(MP3, MP4)과 알려진 인버터 구성에 합께 접속된 n 채널 트랜지스터들(MN3, MN4)을 각각 포함한다. 제 3 인버터(130)의 입력은 참(true) 출력 신호(OUT)에 접속되고, 제 3 인버터(130)의 출력은 우대 출력 신호(OUT*)에 접속된다. 제 4 인버터(140)의 입력은 우대 출력 신호(out*)에 접속되고, 제 4 인버터(140)의 출력은 참 출력 신호(out)에 접속된다. 따라서, 인버터들(130, 140)은 양단에 접속되고, 이들은 래칭 기능을 제공한다.
제 1 및 제 2 인버터들(GI1, GI2)과 제 1 및 제 2 패스 회로들(110, 120)에서의 트랜지스터들은 제 3 및 제 4 인버터들(130, 140)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동하도록 설계된다. 제 3 및 제 4 인버터들(130, 140)이 양단에 접속되어 두 개의 안정 상태들을 갖는 래치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인버터들(GI1, GI2) 및 제 1 및 제 2 패스 회로들(110, 120)은 필요한 경우 래치가 상태들을 변경하게 하기에 충분한 구동 전류를 제공하도록 크기조절(size)된다. 트랜지스터의 구동 요량은 채널 폭 대 길이비율에 의해 특정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술되는 발명의 예들의 몇몇 컴포넌트들에 대한 길이 대 폭 비율들의 예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기들을 설계하기 위한 지침(guidance)으로서 이하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몇몇 컴포넌트들의 구동은 본 발명을 대표하며, 수정은 이 기술들의 견지에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된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예에서, 각 p 채널 트랜지스터들(MP1, MP2) 및 각 n 채널 트랜지스터들(MN1, MN2)은 15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인버터들(GI1, GI2)의 각각은 P채널 트랜지스터 및 n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인버터들(GI1, GI2)의 p 채널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은 5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인버터들(GI1, GI2)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각각은 2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이들 바람직하게는 복 대 길이 비율들은 특정 반도체 처리들의 함수이며, 연관된 트랜지스터들의 설계 특성들이다. 이 예와 관련하여, P 채널 트랜지스터(MP3, MP4)의 각각은 8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고, n 채널 트랜지스터(MN3, MN4)의 각각은 6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p 채널 트랜지스터(MP3, MP4)는 6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가질 수 있고, n 채널 트랜지스터들(MN3, MN4)은 5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이들 파라미터들과 관련하여, 제 3 및 제 4 인버터들(GI3, GI4)은 제 1 및 제 2 인버터들(GI1, GI2)과 제 1 및 제 2 패스 회로들(110, 120)의 구동 용량에 의해 전력 공급(power)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인버터들(GI3, GI4)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추가로 버퍼링되는 급격히 래칭된 중요 로드 전압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서 수신된다. 수신기(300)는 수신기(200) 및 수신기의 구동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out 및 out* 신호들을 각각 수신하도록 접속된 버퍼들(GI5, GI6)의 마지막 쌍을 포함한다. 버퍼들(GI5, GI6)은 바람직하게는 수신기(200)에 근접하게 위치되어서 파형 왜곡(예를 들어, 긴 전송 라인에서 RC 구조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버퍼들(GI5, GI6)의 마지막 쌍의 각각은 p 채널 트랜지스터와 n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버퍼들(GI5, GI6)의 마지막 쌍의 각 p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바람직하게는 6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고, 버퍼들(GI5, GI6)의 마지막 쌍의 각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30의 복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반도체 칩상의 집적 회로(360)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서 도시된다. 집적 회로(360)는 저 레벨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구동 체인(320)에 부가하여 수신기(300), 차동 신호 전송 라인으로 구성된 기생들(Z1, Z2) 및 로드(340)를 포함한다. 구동 체인(320)은 제 7 및 제 8 인버터들(GI7, GI8)을 포함하고, 제 9 및 제 10 인버터들(GI9, GI10)을 포함한다. 참 및 우대 입력 신호들(INPUT 및 INPUT*)은 제 7 및 제 8 인버터들(GI7, GI8)의 각각의 입력들에 제공된다. 제 7 및 제 8 인버터들(GI7, GI8)의 출력들은 제 9 및 제 10 인버터들(GI9, GI10)의 입력에 각각 접속된다. 각 인버터들(GI7, GI8, GI9, GI10)은 하나의 p 채널 및 하나의 n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인버터들(GI7, GI8, GI9, GI10)은 참 및 우대 입력 신호들(INPUT, INPUT*)을 증폭하기 위해 구동 체인(320)을 모두 함께 구성한다. 인버터들(GI9, GI10)의 출력에서 증폭된 참 및 우대 입력 신호들은 Z1 및 Z2로 표현된 차동 전송 라인을 구동하도록 인가되며, Z1 및 Z2는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고려되는 특정 설계에 의존하는 분배된 저항들 및 커패시턴스들의 합성물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논의되는 것과 같은 폭 대 길이 비율들 및 기생들(Z1 및 Z2)의 특성들은 이하에 논의된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발명의 예시들만을 제한하지만, 이들 기술들의 견지에서 수정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다. 상술한 폭 대 길이 비율의 비례를 유지하면서, 제 7 및 제 8 인버터들(GI7, GI8)의 각 p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바람직하게는 8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고, 제 7 및 제 8 인버터들(GI7, GI8)의 각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바람직하게는 4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제 9 및 제 10 인버터들(GI9, GI10)의 각 p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바람직하게는 25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고, 제 9 및 제 10 인버터들(GI9, GI10)의 각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125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구동 체인(320)은 구동 체인으로부터 로드(340)로(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완전한 차동 수신기들(300)), 그리고 기생(Z1 및 Z2)상의 차동 신호를 런치(launch)하도록 충분한 구동 용량을 제공한다. 기생(Z1) 및 기생(Z2)가 집합적으로, 분배된 저항들 및 커패시턴스들의 합성물들이지만, 각 기생의 분배된 저항은 양 629 옴의 일련의 저항에 의해 공정히 표현되고, 각 기생의 분배된 커패시턴스는 약 0.8926 피코 패러드의 병렬 커패시턴스(접지로)에 의해 공정히 표현되지만, 특정 파라미터들은 고려된 특정 설계에 의존한다. 각 기생은 저역 패스 필터로서 기능 한다.
적분 회로(360)에서,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의 차동 출력들은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에 의해 표현되는 로드들(340)에 인가된다.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의 각각은 팬 아웃 배열(fan out arrangement)에서 5개의 개별 인버터들의 실제로 포함하고, 이들 10개의 각 인버터들은 알려진 인버터 배열에서 p 채널 및 n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들 10개의 인버터들은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으로부터의 출력에 인가된 로드(예를 들어, 몇몇 CMOS 회로들의 입력들)를 표현하지만, 이 로드의 특정 배열은 각 적분 회로 설계마다 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대 길이의 비율의 비례를 유지하면서,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의 10개의 인버터들의 각 p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바람직하게는 4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고,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의 10개의 인버터들의 각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은 20의 폭 대 길이 비율을 갖는다.
도 4는, 6 나노초의 완전한 사이클을 갖는 이상적인 구형파가 진짜 및 보충 입력 신호들 INPUT 및 INPUT*(도 3을 보라)로서 입력되고, 드라이브 체인(320) 및 기생 Z1 및 기생 Z2을 통해,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에 대한 입력들인 로드로 전달된 후,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의 입력 신호들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플롯이다. 파형은 왜곡되지만 교차점들은 약 1.1 V에서 대략 중앙에 머무른다(즉, 0 V와 2.2 V 간의 중간, 완전한 파형 진폭). 이러한 평형의 경우에서, 차동 수신기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되지 않는다. CMOS 문턱값(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에서 1.1 V)에서, 두 개의 논리 레벨들 간을 구별하기 위해, 차동 신호의 다른 한 측면의 의무 주기는 평형 50%이다. 드라이브 체인(320)은 단일로 종료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기생 Z1 중의 신호는 로드(340)로 직접 인가될 수 있는데, 로드를 구성하는 CMOS는 평형 50% 의무 주기를 갖는 신호를 입력하기 때문이다. 드라이브 체인(320) 내의 p 채널 및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이 평행일 때 및 기생 Z1, Z2 이 평행일 때, 이러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단일 엔드 신호는 의무 주기의 손실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설명된 신호들이 완전한 차동 수신기(30)로의 입력들에서 제공될 때,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부터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로의 출력 신호들의 시뮬레이션의 결과의 플롯이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가 각각의 전이 타입(업 및 다운)에 대한 입력 교차점으로부터 출력 교차점으로의 0.54 나노초의 고정된 전파 지연을 갖는 중앙의 교차점들을 보존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도 6은 중앙에서 비뚤어진 의무 주기를 갖는 단일 엔드 파형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플롯이다. 비뚤어진 의무 주기는, 중앙에서, 약 1.1 V, 양이 펄스 폭이 음의 펄스 폭보다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에서, 양의 펄스 폭은 약 3.6 나노초 와이드이며, 음의 펄스 폭은 단지 2.4 나노초 와이드이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서, 드라이브 체인(320)으로의 입력 신호는 6 나노초 완전한 사이클을 갖는 이상적인 구형파이다. 그러한 비뚤어진 의무 주기는 드라이브 체인(320)에서 p 채널 미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의 가능한 축적된 불일치의 결과이다. 그러한 비뚤어진 의무 주기들을 갖는 단일 엔드 신호들의 사용들은, 상승 및 하강 에지들 모두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일 때, 제한된다.
도 7은 차동 파형을 구성하기 위해 도 6의 플롯 상에 중첩된 중앙점(예를 들면, 1.1 V)에서 비뚤어진 의무 주기를 갖는 보충 단일 엔드 파형의 시뮬레이션의 결과이다. 중첩된 파형들 모두는 비뚤어지고, 교차점들은 약 1.7 V로 약 1.1 V 중앙점 이상으로 보인다. 교차점에서 교차점까지 의무 주기가 측정되고, 도 7의 중첩된 파형들은 높은 교차점에서 동일한 의무 주기(약 3 나노초)를 갖는다. 차동 신호 경로의 사용은 높은 교차점들의 형태에서만 원래(즉, 외부적으로 적용됨) 50% 의무 주기 정보를 보존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교차점들은 약 1.1 V 중앙점 또는 CMOS 검출 문턱값 이상이며, 1.7 V이다. 유용하기 위해, 50% 의무 주기 정보는, 50% 의무 주기가 중앙점 또는 CMOS 검출 문턱값에 존재하는 COMS 논리 펑션들을 위해 단일 엔드 파형으로서 사용되도록 추출되어야 한다. 수신기(100),(200) 또는 (300)는 단일 진폭 극단들 간의 중앙점에서 문턱값을 갖는 50% 의무 주기 정보를 이롭게 추출한다.
도 8는 도 9에 관련하여 배열된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의 입력들로서 동일한 높은 교차점 파형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동 신호가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의 입력들에 제공될 때,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부터 제 11 및 제 12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로의 출력 신호들의 시뮬레이션의 플롯이다. 입력 교차점으로부터 출력 교차점으로 약 0.59 나노초의 지연을 갖는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를 통해 패스한 후에, 높은 교차점 차동 신호는, 도 4 및 도 5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중앙 교차점과 관련된 지연으로서 약 동일한 고정된 전파 지연을 갖는 중앙(즉, 1.1 V)에 더 가깝게 복구된다. 그후,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부터의 차동 출력들 중 어느 한 쪽은 단일 엔드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원래 의무 주기의 대부분이 모두에 대해 복구되기 때문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높은 교차점 파형의 역인 낮은 교차점 파형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차동 신호들이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의 입력들에 제공될 때,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부터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로의 출력 신호들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플롯이다. 높은 교차점의 경우와 같이, 낮은 교차점 파형은, 입력 교차점으로부터 출력 교차점으로 약 0.59 나노초의 지연을 갖는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를 패스한다. 높은 교차점의 경우와 같이, 낮은 교차점 차동 신호는 중앙에 가깝게 복구된다.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부터의 차동 출력들 중 어느 한쪽은 단일 엔드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원래 의무 주기의 대부분이 모두에 대해 복구되기 때문이다.
도 12는 차동 입력들로 커플링하는 공통 모드 바이어스 또는 공급 잡음의 결과로서 혼합된 낮은 교차점 및 높은 교차점 파형을 도시한다. 도 13는, 도 12에 도시된 차동 신호들이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의 입력들에 제공될 때,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로부터 제 11 및 제 12 인버터 로드들(GI11) 및 (GI12)로의 출력 신호들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플롯이다. 혼합된 교차점 파형은 입력 교차점에서 출력 교차점까지 0.56 나노초와 0.59 나노초 간의 지연을 갖는 완전한 차동 수신기(300)를 패스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 신호들은 보다 더 중앙의 출력에서 복구된 교차점들을 보여준다. 이것은 공통 모드 바이어스들 및 공급 노이즈에 의해 발생된 왜곡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간단한 회로는, 일정한 전류 소스를 갖고 전파 지연이 변동하는 차동 쌍 기반 증폭기(differential pair based amplifier)와 비교될 때, 온당한 성능을 준다.
도 14는 칩(400)상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500), 및 집적 회로(400)의 일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회로 구성요소(460)를 도시한다. 집적회로(400)는 참 및 보수 신호들 INPUT 및 INPUT*(도 3에 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를 발생하기 위한 차분 신호 발생기(410), 구동 체인(420)(예컨대, 도 3의 구동 트레인(320) 또는 그 동등물), 기생(parasitic)들 Z1, Z2, 완전한 차분 수신기(300), 및 부하들(320)(도 3)과 유사할 수 있지만 부가 회로를 원래 포함하는 부하들(440)을 포함한다. 예컨대, 부하들(440)은 부하들(320)의 인버터들 GI11, GI12를 포함할 수 있고,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DRAM이라 호칭되는 모던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칩과 같은 대규모의 반도체 집적 회로내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차분 신호 발생기(410)는 집적 회로(400) 외부로부터 단일 종단 또는 차분 클록 또는 스트로브를 수신하기 위한 1개의 버퍼만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체인(420)에서 증폭되기 전에 클록 또는 스트로브를 차분 신호로 변환한다. 대안으로, 차분 신호 발생기는 집적 회로(400)의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논리 조합으로부터 차분 신호를 발생하는 논리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집적 회로(400)의 일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 구성요소(460)는 집적 회로(400)이 메모리 디바이스인 CPU 칩일 수 있다. 대안으로, 집적 회로(400)의 일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 구성요소(460)는 집적 회로(400)가 CPU 칩인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중 어떤 경우에서도, 시스템(500)은 2개 이상의 개별 집적 회로 칩들을 포함한다. 이들 개별 집적 회로들은 장치의 마더보드에 인스톨되기 전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프린트된 와이어링 어셈플리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개별 집적 회로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장치에 어떤 방법으로도 장착될 수 있고 데스크톱 컴퓨터가 프린터 장체에 케이블 접속된 것과 같이 케이블들에 의해 함께 접속될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어떤 다른 집적 회로에서, 또는 그러한 집적 회로가 개별 프린트된 와이어링 어셈블리들 또는 개별 장치들상에 장착된 시스템에서, 낮은 대기 전력의 종래 기술에 대한 이점들, 불변의 펄스 듀티 싸이클, 및 반복가능한 전파 지연들(repeatable propagation delays)은 집적 회로(400) 및 시스템(500)에 제공된다.
노블 상수 지연 제로 대기 차분 논리 수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예시적으로 의도되고 제한되지 않는) 특허법에서 요구하는 상세함 및 세심함으로 기술하면서, 변경들 및 변화들이 상술된 기술들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있는, 공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무엇이 Latters Patent에 의해 청구되고 보호되기를 바라는지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설명되어 있다.

Claims (36)

  1. 수신기 회로에 있어서,
    차동 전송 라인의 제 1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 및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제 2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1 패스 회로(pass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이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제 2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 및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제 1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2 패스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출력이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제 1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버터;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제 2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 2 인버터;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 3 인버터;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 및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 4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5 인버터;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6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7. 집적 회로에 있어서,
    칩 상의 차동 전송 라인으로서,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은 제 1 및 제 2 출력을 갖고 저역 패스(low band pass)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동 전송 라인과,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1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 및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2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1 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칩 상의 차동 수신기로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차동 수신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수신기는,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2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 및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1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2 패스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출력은 제 2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수신기는,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1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버터와,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2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 1 신호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3 인버터로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상기 제 3 인버터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4 인버터로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상기 제 4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집적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5 인버터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6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집적 회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제어 입력은 상기 제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신호 입력은 상기 제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상기 제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p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 n 채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13.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차동 신호 발생기와,
    상기 차동 신호 발생기에 접속된 칩 상의 차동 전송 라인으로서,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은 제 1 및 제 2 출력을 갖고 저역 패스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동 전송 라인과,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1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 및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2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1 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칩 상의 차동 수신기로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차동 수신기와,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상기 칩상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수신기는,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2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 및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1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2 패스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출력은 제 2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진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진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출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진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진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수신기는,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1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버터,
    상기 차동 전송 라인의 상기 제 2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 3 인버터로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가진, 상기 제 3 인버터,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 4 인버터로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가진, 상기 제 4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 5 인버터,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 6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진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진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및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9. 집적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차동 신호 발생기와,
    상기 차동 신호 발생기에 접속된 칩상의 차동 전송선으로서, 상기 차동 전송선은 제 1 및 제 2 출력들을 가지며 저대역 패스를 특징으로 하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회로는 상기 칩상에 구현되지 않는 회로인, 상기 차동 전송선과,
    상기 차동 전송선의 제 1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과 상기 차동 전송선의 제 2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1 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칩상의 차동 수신기로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출력은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차동 수신기와,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상기 칩상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수신기는 상기 차동 전송선의 제 2 출력에 접속된 제어 입력과 상기 차동 전송선의 제 1 출력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2 패스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출력은 제 2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상기 제 1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제 1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 1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와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스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제 2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및 상기 제 2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을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수신기는,
    상기 차동 전송선의 상기 제 1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 사이에 접속되는 제 1 인버터와,
    상기 차동 전송선의 상기 제 2 출력과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 사이에 접속되는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 3 인버터로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 3 인버터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 4 인버터로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 4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5 인버터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6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p 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는 드레인, 소스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n 채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제어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신호 입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와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스 회로의 상기 출력은 상기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과 상기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을 포함하는, 시스템.
  25. 수신기 회로에 있어서:
    입력 차분 신호를 버퍼링하고 제 1 및 제 2 버퍼링된 신호들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버퍼링된 신호와 상기 제 2 버퍼링된 신호 사이의 차분에 기초하여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 제공 수단은 상기 제 1 버퍼링된 신호에 접속된 제어 입력과 상기 제 2 버퍼링된 신호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1 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퍼링된 신호와 상기 제 1 버퍼링된 신호 사이의 다른 차분에 기초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 제공 수단은 상기 제 2 버퍼링된 신호에 접속된 제어 입력과 상기 제 1 버퍼링된 신호에 접속된 신호 입력을 갖는 제 2 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신호들을 래칭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30. 제 29 항에 있어서,
    래칭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1 인버터로서,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상기 제 1 인버터와,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2 인버터로서,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상기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신호들을 증폭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증폭 수단은:
    상기 제 1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수신기 회로.
  33.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버퍼링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입력 차분 신호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버퍼링된 신호와 상기 제 2 버퍼링된 신호 사이의 차분에 기초하여 제 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퍼링된 신호와 상기 제 1 버퍼링된 신호 사이의 다른 차분에 기초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신호들을 래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신호들을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20057005790A 2002-10-02 2003-10-02 상수 지연 제로 대기 차동 논리 수신기 및 방법 KR101017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64,008 2002-10-02
US10/264,008 US6920187B2 (en) 2002-10-02 2002-10-02 Constant delay zero standby differential logic receiver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673A true KR20050048673A (ko) 2005-05-24
KR101017853B1 KR101017853B1 (ko) 2011-03-04

Family

ID=3204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5790A KR101017853B1 (ko) 2002-10-02 2003-10-02 상수 지연 제로 대기 차동 논리 수신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920187B2 (ko)
EP (1) EP1550149B1 (ko)
JP (1) JP4491730B2 (ko)
KR (1) KR101017853B1 (ko)
CN (1) CN100536335C (ko)
AU (1) AU2003299171A1 (ko)
WO (1) WO20040321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260A (ko) * 2004-07-09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체 바이어스 차동 증폭기
JP4725472B2 (ja) * 2006-09-29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引き算回路および演算増幅器
US7786750B2 (en) * 2007-03-15 2010-08-31 Agere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skew in a differential signal using non-complementary inverters
US8107910B2 (en) * 2007-08-29 2012-01-31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ial to single-ended conversion for radio frequency devices
US9473120B1 (en) * 2015-05-18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High-speed AC-coupled inverter-based buffer with replica biasing
US10334518B2 (en) * 2015-10-20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gains and capacity gains for a relaxed frame erasure rate
US10090922B2 (en) * 2016-07-20 2018-10-02 Finisar Corporation Loss of signal detector
KR102449194B1 (ko) 2017-11-17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통 모드 추출기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173A (en) * 1985-06-13 1988-06-2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mitter coupled logic latch with boolean logic input gating network
US5216298A (en) * 1989-12-14 1993-06-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CL input buffer for BiCMOS
US5386207A (en) * 1992-06-23 1995-01-31 Winbond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mparator with application in data communication
US5436934A (en) * 1992-08-13 1995-07-25 3 Com Corporation Differential high frequency level detector and data restoration circuit including squelch offset and slicing offset
US5319259A (en) * 1992-12-22 1994-06-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 Low voltage input and output circuits with overvoltage protection
US5369316A (en) * 1993-11-22 1994-11-2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Advanced output buffer with reduced voltage swing at output terminal
US5513140A (en) * 1994-06-01 1996-04-30 Micron Technology, Inc. Data output buffer
US5486777A (en) * 1994-09-07 1996-01-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power differential receiver input circuit
US5549476A (en) * 1995-03-27 1996-08-27 Stern; Sylvan S. Method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and the dental restoration made thereby
US5654933A (en) * 1995-06-30 1997-08-05 Micron Technology, Inc. Equilibrated sam read transfer circuit
US5657266A (en) * 1995-06-30 1997-08-12 Micron Technology, Inc. Single ended transfer circuit
JP3262481B2 (ja) * 1995-07-21 2002-03-04 東芝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6115318A (en) 1996-12-03 2000-09-05 Micron Technology, Inc. Clock vernier adjustment
US5896047A (en) * 1997-02-05 1999-04-20 Xilinx, Inc. Balanced truth-and-complement circuit
US5963053A (en) * 1997-10-09 1999-10-05 Pericom Semiconductor Corp. Self-biasing CMOS PECL receiver with wide common-mode range and multi-level-transmit to binary decoder
US6028448A (en) * 1998-03-27 2000-02-22 Cypress Semiconductor Corp. Circuit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improving output tri-state time
US6016282A (en) 1998-05-28 2000-01-18 Micron Technology, Inc. Clock vernier adjustment
JP3470797B2 (ja) * 2000-06-12 2003-11-25 富士通カンタムデバイス株式会社 バッファ回路
EP1303914B8 (en) * 2000-07-10 2010-11-10 ST-Ericsson SA Circuit for generating an inverse signal of a digital signal with a minimal delay difference between the inverse signal and the digital signal
US6522160B1 (en) * 2001-06-13 2003-02-18 Micron Technology, Inc. Input buffer with automatic switching point adjustment circuitry, and synchronous DRAM device including same
US6552596B2 (en) * 2001-08-10 2003-04-22 Micron Technology, Inc. Current saving mode for input buffers
US6650157B2 (en) * 2002-01-11 2003-11-18 Sun Microsystems, Inc. Using a push/pull buffer to improve delay locked loop performance
US6766155B2 (en) * 2002-01-24 2004-07-20 Agilent Technologies, Inc. Fixed termination scheme for differential receiver that compensates for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variations
JP3662233B2 (ja) * 2002-03-06 2005-06-22 株式会社東芝 論理回路を含むバスバッファ回路
US6593801B1 (en) * 2002-06-07 2003-07-15 Pericom Semiconductor Corp. Power down mode signaled by differential transmitter's high-Z state detected by receiver sensing same voltage on differential lines
US6784700B1 (en) * 2002-09-03 2004-08-3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nput buffer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1730B2 (ja) 2010-06-30
WO2004032199A2 (en) 2004-04-15
AU2003299171A8 (en) 2004-04-23
CN100536335C (zh) 2009-09-02
AU2003299171A1 (en) 2004-04-23
JP2006502621A (ja) 2006-01-19
KR101017853B1 (ko) 2011-03-04
CN1720604A (zh) 2006-01-11
US9130793B2 (en) 2015-09-08
WO2004032199A3 (en) 2004-07-01
EP1550149A4 (en) 2006-06-07
US7848457B2 (en) 2010-12-07
US20040066858A1 (en) 2004-04-08
US20060013337A1 (en) 2006-01-19
US20110075765A1 (en) 2011-03-31
EP1550149A2 (en) 2005-07-06
EP1550149B1 (en) 2018-05-16
US6920187B2 (en) 200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305B2 (en) Multi-PAM output driver with distortion compensation
US9130793B2 (en) Constant delay zero standby differential logic receiver and method
US7453299B1 (en) Programmable amplifiers with positive and negative hysteresis
US7863936B1 (en) Driving circuit with impedence calibration and pre-emphasis functionalities
US20090257294A1 (en) Programmable linear receiver for digital data clock signals
US5818261A (en) Pseudo differential bus driver/receiver for field programmable devices
US7023243B2 (en) Current source evaluation sense-amplifier
US7826279B2 (en) Programmable bias circuit architecture for a digital data/clock receiver
Narasimhan et al. A low-swing differential signalling scheme for on-chip global interconnects
US20090259872A1 (en) Programmable data sampling receiver for digital data signals
KR20010039393A (ko) 부스팅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회로
US8000672B2 (en) Rail-to-rail data receiver for high-speed communication
US7826497B2 (en) Data receiving circuit that can correctly receive data, even when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using small amplitude clock
US6593769B1 (en) Differential, reduced swing buffer design
JP4197553B2 (ja) 信号伝送回路、cmos半導体デバイス、及び回路基板
US6556074B2 (en) Differential amplifying circuit and multi-stage differential amplifying circuit using the same
KR20020081058A (ko) 반도체 집적 회로
JP4332574B2 (ja) 信号伝送回路、cmos半導体デバイス、及び回路基板
US20090160559A1 (e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impedance to provide symmetrical differential signals
KR0154747B1 (ko) 저전력 레벨 컨버터
KR100567384B1 (ko) 지터특성과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한 드라이버및 상기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집적회로
KR2001006824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 버퍼
Huang et al. Input isolated sense amplifiers
KR20070041964A (ko) 전류 미러형 단일 출력 차동 증폭기
JP2002094367A (ja) レベル変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