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366A -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366A
KR20050048366A KR1020030082279A KR20030082279A KR20050048366A KR 20050048366 A KR20050048366 A KR 20050048366A KR 1020030082279 A KR1020030082279 A KR 1020030082279A KR 20030082279 A KR20030082279 A KR 20030082279A KR 20050048366 A KR20050048366 A KR 20050048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video signal
switching center
mobile termi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721B1 (ko
Inventor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2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 촬영된 날자, 시간, 장소, 영상정보와 휴대단말기 고유번호를 이동교환국에서 기록 관리하여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에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촬영하여 휴대단말기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에서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기는 촬영된 영상신호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이동교환국에 보고하는 제3 과정; 상기 제3 과정의 보고를 받은 이동교환국은 접속된 기지국에 의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저장하고 해당 처리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단말기가 영상신호를 촬영한 장소, 날자, 시간 및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이동교환국에 등록하여, 개인 사생활을 침해하는 촬영을 추적하고, 부당한 촬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METHOD OF MANAGING MOBILE PHONE PHOTOGRAPHING INFORM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촬영된 날자, 시간, 장소, 영상정보와 휴대단말기 고유번호를 이동교환국에서 기록 관리하여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즉시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하여 이동하는 장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초기에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는 방식에서, 문자와 기호 등을 이용하는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현재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휴대단말기는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더 부가되어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는 상대방을 확인하면서 통신하거나 영상신호에 의한 대량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일각에서는 타인의 생활상태를 몰래 촬영하여 부당하게 공개하므로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의 사생활 침범을 차단하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정보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정보 관리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UE)(10)는 개인이 휴대하고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음성급 신호, 문자와 기호에 의한 데이터급 신호,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급 신호를 이용하여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은 기지국(BS: BASE STATION)(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지국(20)이 다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연속 설치되므로, 전국을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한다.
상기 기지국(20)은 서비스 영역 안의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는 이동교환국(MSC)(30)에 전송하고, 이동교환국(3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한다.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급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통신신호를 전송하며, 기록저장의 필요가 있는 정보는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제어 및 감시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정보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촬영에 의한,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단순하게 촬영하여 기록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에 촬영을 주변에서 인지하도록 하는 소리 발생이나, 플래쉬 등에 의한 강한 빛을 발생하며(S20), 상기 단계(S2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휴대단말기(10)의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출력 또는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처리한다(S3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10)로 촬영하고 있음을 주변에서 인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주변의 소음이 심하거나 또는 다른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플래쉬가 터지는 경우, 상기 촬영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 소유자가 거부하는 경우, 촬영된 영상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신호에 촬영 장소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교환국에서 기록저장하여 관리하므로 사생활 침범 및 보안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촬영하여 휴대단말기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기는 촬영된 영상신호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이동교환국에 보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보고를 받은 이동교환국은 접속된 기지국에 의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저장하고 해당 처리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은, 멀티미디어(MULTIMEDIA) 휴대단말기(UE)로 영상을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S100)과,
상기 제1 과정(S100)에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촬영하여 휴대단말기(UE)의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영상신호 촬영을 인지하는 소리 발생하거나 플래쉬를 터트리는 제2 과정(S110)과,
상기 제2 과정(S110)에서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기(UE)는 촬영된 영상신호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이동교환국에 보고하는 것으로, 상기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에 촬영된 영상신호를 휴대단말기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촬영 날자와 시간과 휴대단말기 전화번호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접속된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에 자동 보고하는 제3 과정(S120)과,
상기 제3 과정(S120)의 보고를 받은 이동교환국(MSC)은 접속된 기지국(BS)에 의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저장하고 해당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UE)로부터 촬영되고 인가되는 영상신호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함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제4 과정(S13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며, 호접속된 상대방과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통신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 통신하지 않는 경우는,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자체 구비되는 메모리 등에 기록저장하고 다양한 활용을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를 이용하여 카메라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S100), 촬영된 영상신호를 휴대단말기(UE)에 구비되고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저장하며(S110),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촬영한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접속된 기지국(BS)에 전송하므로, 이동교환국(MSC)에 보고한다(S120).
상기의 보고를 받은 이동교환국은 상기 기지국(BS)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인가되는 영상신호와 촬영 날자, 시간, 전화번호 등의 상세한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13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촬영된 장소, 날자, 시간 및 영상신호를 이동교환국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따라서, 해당 허가기관의 허가 등을 통하여 부당하게 촬영된 영상신호의 촬영장소와 시간 및 촬영자 등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사생활을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촬영된 장소, 날자, 시간 및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이동교환국에 등록하여, 개인 사생활을 침해하는 부당한 촬영을 추적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이동교환국에 자동 등록 및 기록저장하므로, 부당한 촬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정보 관리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휴대단말기 20 : 기지국
30 : 이동교환국

Claims (4)

  1.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촬영하여 휴대단말기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영상을 촬영한 휴대단말기는 촬영된 영상신호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이동교환국에 보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보고를 받은 이동교환국은 접속된 기지국에 의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저장하고 해당 처리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휴대단말기가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에 촬영을 인지하는 소리를 발생하거나 플래쉬를 터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에 촬영된 영상신호를 휴대단말기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촬영 날자와 시간과 휴대단말기 전화번호와 촬영된 영상신호를 접속된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에 자동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촬영되고 인가되는 영상신호와 날자와 시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접속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함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KR1020030082279A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KR100608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279A KR100608721B1 (ko)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279A KR100608721B1 (ko)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366A true KR20050048366A (ko) 2005-05-24
KR100608721B1 KR100608721B1 (ko) 2006-08-04

Family

ID=3724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279A KR100608721B1 (ko)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82B1 (ko) * 2006-02-28 2008-02-12 이재영 휴대단말기의 웹 연동 테그 기반 사진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82B1 (ko) * 2006-02-28 2008-02-12 이재영 휴대단말기의 웹 연동 테그 기반 사진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721B1 (ko) 200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5560B (zh) 访问监控设备的方法及装置
KR100652619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JP6126751B2 (ja) 電話発信識別方法、電話発信識別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WO2004080065A1 (ja) 電子装置、撮影制御方法、撮影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セッサ
KR100548418B1 (ko) 카메라 일체형 휴대 단말기의 촬영 제한 방법 및 시스템
GB2436924A (en) Portable security monitor
KR10060872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 촬영정보 관리방법
JP2005123817A (ja) 携帯通信端末
JP2005136921A (ja) 盗撮防止機能付携帯電話
KR100548394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N110913055B (zh) 终端设备的查找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9151403B (zh) 视频数据获取方法及装置
KR100575756B1 (ko) 통신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동작 제한 장치 및 방법
JP2006041841A (ja) 撮影可否判定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可否判定方法、撮影可否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091414B1 (ko) 휴대단말기의 촬영 경고신호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63158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CN108959888B (zh) 终端操作控制方法及装置
KR20040100152A (ko) 휴대폰의 촬영 제한 방법
KR1009242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063647B1 (ko) 휴대단말기의 촬영음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851580B1 (ko) 지역 기반의 화상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3163822A (ja) 盗撮検知システム
KR100971809B1 (ko)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촬영 제한 방법
KR100611479B1 (ko)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KR100548379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