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479B1 -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479B1
KR100611479B1 KR1020040049079A KR20040049079A KR100611479B1 KR 100611479 B1 KR100611479 B1 KR 100611479B1 KR 1020040049079 A KR1020040049079 A KR 1020040049079A KR 20040049079 A KR20040049079 A KR 20040049079A KR 100611479 B1 KR100611479 B1 KR 10061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ound
image
input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143A (ko
Inventor
윤성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4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4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1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ctive ranging signals, e.g. using light or sound signals emitted toward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함에 따라 출력되는 촬영음을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삭제함으로써, 촬영 장치에서 촬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일예로, 스피커나 리시버)를 물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테잎 등을 이용하여 출력음을 낮추어, 사진을 촬영하고 있음을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편법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에 있어서,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는 촬영음 출력 단계;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입력받는 촬영음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는 촬영음 비교단계; 상기 비교 결과, 입력받은 촬영음이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임에 따라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촬영 영상 저장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입력받은 촬영음이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임에 따라 주위 사람들에게 현재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는 촬영 영상 삭제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촬영 장치 및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몰래 촬영 방지, 촬영음의 음량 측정, 특정 주파수, 임계치 음량, 무선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Method for preventing taking a picture by stealth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선 송수신부 12 : 코덱
13 : 음성/음향 출력부 14 : 음성/음향 입력부
15 : 디스플레이부 16 : 키입력부
17 : 버퍼 18 : 저장부
19 : 카메라부 20 : 제어부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촬영함에 따라 출력되는 촬영음을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기 위한,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촬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이 때,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최대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더 많은 부가 기능을 수행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최근에 카메라폰이 출시되었고, 사용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폰의 오·남용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카메라폰은 휴대폰에 카메라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휴대폰으로 목욕탕이나 수영장 등에서 몰래카메라로 사용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는 카메라폰의 불법적인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카메라폰으로 사진 촬영시, 빛을 발산하거나 신호음을 내도록 하여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현재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적극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는 카메라폰으로 사진 촬영시 촬영음 발생 의무화에 대한 최종 기술표준안을 마련하여 2004년 6월부터 적용키로 계획중이다.
최종 기술표준안에 의하면 카메라폰의 촬영음의 음량은 60 ~ 68 데시벨(dB) 사이에서 각 업체별 선택이 가능하고, 촬영음의 종류는 찰칵 또는 하나 둘 셋 등과 같이 사진이 촬영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소리를 업체가 자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최종 기술표준안에는 동영상 촬영과 관련하여 촬영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촬영음의 강제 발생에 대한 표준안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적극적인 규제 방안에도 불구하고, 이를 편법으로 회피하려는 사용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카메라폰의 촬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일예로, 스피커나 리시버)를 물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테잎 등을 이용하여 출력음을 낮추어, 사진을 촬영하고 있음을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편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편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함에 따라 출력되는 촬영음을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삭제함으로써, 촬영 장치에서 촬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일예로, 스피커나 리시버)를 물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테잎 등을 이용하여 출력음을 낮추어, 사진을 촬영하고 있음을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편법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에 있어서,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는 촬영음 출력 단계;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입력받는 촬영음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는 촬영음 비교단계; 상기 비교 결과, 입력받은 촬영음이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임에 따라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촬영 영상 저장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입력받은 촬영음이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임에 따라 주위 사람들에게 현재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는 촬영 영상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촬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획득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촬영음을 입력받기 위한 촬영음 입력수단; 주위 사람들에게 현재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고수단; 촬영음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영상 촬영모드에서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상기 촬영음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을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한 촬영음이 아니면 상기 경고수단을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1), 상기 무선 송수신부(11)를 통하여 전달받은 디지털신호를 음성신호 또는/및 음향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음향 입력부(마이크)(14)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신호 또는/및 음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11)를 통해 송출되도록 하거나, 음성/음향 입력부(마이크)(14)로부터 입력받은 촬영음을 분석하기 위 한 코덱(12), 상기 코덱(12)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신호 또는/및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음향 출력부(스피커)(13), 음성신호 또는/및 음향신호(촬영음 포함)를 입력받아 상기 코덱(12)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음향 입력부(14), 수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전화번호, 영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단문 메시지, 멀티디미어 메시지, 스케쥴 정보 등을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LCD)(15), 각종 기능키와 숫자키들을 구비하고 있어 무선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신상정보), 촬영모드 설정신호, 촬영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키패드)(16),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17), 무선통신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신상정보), 영상 데이터, 촬영음, 촬영음의 임계치 음량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8),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19) 및 촬영모드에서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입력받도록 상기 음성/음향 입력부(14)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과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을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버퍼(17)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한 촬영음이 아니면 상기 버퍼(17)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삭제하도록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음은 주위 소음과 구별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를 갖는 멜로디, 음성 등을 의미하며, 60 ~ 68dB 정도의 음압(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성/음향 입력부(14)는 촬영모드에서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입력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입력받은 촬영음이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이 아니거나, 동일한 촬영음일지라도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A/S(After-sales Service) 센터 등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입력받은 촬영음이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이 아니거나, 동일한 촬영음일지라도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으면 주위 사람들에게 현재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을 내거나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방식으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촬영) 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제어부(20)는 카메라부(19)를 활성화시킨다. 이 때, 촬영음의 종류는 기 설정되어 있다.
이후, 키입력부(16)를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면서 기 설정되어 있는 촬영음을 출력한다(201, 202). 이 때, 상기 촬영음은 주위 소음과 구별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를 갖는다.
이후,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음성/음향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받는다(203).
이후, 입력받은 촬영음을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한다(204).
상기 비교결과(204), 입력받은 촬영음이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 과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삭제한다(205).
반면, 상기 비교결과(204), 입력받은 촬영음과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이 동일하면,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의 음량이 임계치(일예로, 50 ~ 58dB)를 초과하지는지 확인한다(206).
상기 확인결과(206),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의 음량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고(205), 임계치를 초과하면 촬영한 영상을 저장한다(207).
한편, 본 발명에서 촬영한 영상을 삭제한 후 바로 종료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재촬영 요청에 따라 촬영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함에 따라 출력되는 촬영음을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이면 상기 촬영한 영상을 삭제함으로써, 촬영 장치에서 촬영음을 출력하는 출력부(일예로, 스피커나 리시버)를 물리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테잎 등을 이용하여 출력음을 낮추어, 사진을 촬영하고 있음을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편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에 있어서,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는 촬영음 출력 단계;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입력받는 촬영음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과 비교하는 촬영음 비교단계;
    상기 비교 결과, 입력받은 촬영음이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임에 따라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촬영 영상 저장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입력받은 촬영음이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촬영음임에 따라 주위 사람들에게 현재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촬영한 영상을 삭제하는 촬영 영상 삭제 단계
    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음은,
    주위 소음과 구별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를 갖는 촬영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4. 삭제
  5.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촬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획득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촬영음을 입력받기 위한 촬영음 입력수단;
    주위 사람들에게 현재 영상이 촬영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고수단;
    촬영음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영상 촬영모드에서 촬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상 촬영에 따른 촬영음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촬영음을 상기 촬영음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촬영음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음을 비교하여 소정의 음량을 가지는 동일한 촬영음이면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소정의 음량을 가지지 않거나 동일한 촬영음이 아니면 상기 경고수단을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음은,
    주위 소음과 구별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를 갖는 촬영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촬영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KR1020040049079A 2004-06-28 2004-06-28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KR10061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079A KR100611479B1 (ko) 2004-06-28 2004-06-28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079A KR100611479B1 (ko) 2004-06-28 2004-06-28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143A KR20060000143A (ko) 2006-01-06
KR100611479B1 true KR100611479B1 (ko) 2006-08-10

Family

ID=3710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079A KR100611479B1 (ko) 2004-06-28 2004-06-28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4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143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5530B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US7110666B2 (en) Electronic device,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photographing control program, and processor
KR101196130B1 (ko) 휴대 정보 단말
KR101714534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14110B1 (ko) 통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70024262A (ko) 발신자 정보 음성 출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KR101083381B1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KR100611479B1 (ko) 촬영 장치에서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JP5371847B2 (ja) 携帯情報端末
JP4459916B2 (ja) 携帯情報端末
CN110913055B (zh) 终端设备的查找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4813210B2 (ja) 携帯情報端末
CN106170038B (zh) 录制方法及装置
JP4963029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801732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CN108494423B (zh) 消息解码方法及装置
CN101185320A (zh) 图像显示系统、终端设备、图像显示方法以及程序
JP2005136569A (ja) 携帯電話装置
JP2005204035A (ja) 盗撮防止システム、カメラ搭載型携帯端末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091414B1 (ko) 휴대단말기의 촬영 경고신호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51887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착신 잠금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29078B1 (ko) 요청받은 전화 번호로의 통화 요청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63647B1 (ko) 휴대단말기의 촬영음 출력장치 및 방법
KR20020061955A (ko) 화상 전화기에서 호 연결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
RU2581608C2 (ru) Квартирная станция домашней системы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