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753A -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753A
KR20050046753A KR1020057004096A KR20057004096A KR20050046753A KR 20050046753 A KR20050046753 A KR 20050046753A KR 1020057004096 A KR1020057004096 A KR 1020057004096A KR 20057004096 A KR20057004096 A KR 20057004096A KR 20050046753 A KR20050046753 A KR 2005004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separation
sheet material
adjusting
sepa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볼페르트
알로이스 바그너
Original Assignee
지세케 앤드 데브리엔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세케 앤드 데브리엔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세케 앤드 데브리엔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4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7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Adhesive Tap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은 특히 지폐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기구, 유지기구 및 이들 분리기구와 유지기구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틈새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포함한다. 분리틈새를 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캠형상을 갖춘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시트재료 분리시스템{System for decollating sheet-type products}
본 발명은 지폐와 같은 시트재료를 분리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분리기구, 유지기구 및 이들 기구 사이에 생긴 분리틈새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갖는다.
지폐 등의 시트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분리기구와 유지기구를 가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시스템은 예컨대, 지폐처리기계에서 지폐다발로부터 단일 지폐를 점검, 분류, 등을 행할 때 이용된다. 지폐의 분리시, 분리기구는 단일지폐를 파지(grasp)하고 유지기구는 지폐다발을 유지하여tj 단지 단일 한장씩의 지폐로만 분리되도록 한다.
앙호한 지폐분리를 위해, 분리기구와 유지기구가 얼마의 한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간격은 분리틈새로도 불리는 것으로 분리될 지폐의 두께와 대략 일치한다. 통상, 분리틈새의 폭을 분리될 지폐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끔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리틈새를 조정하기 위해 공지의 시스템은 분리틈새의 폭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정기구를 포함한다.
이 공지의 조정기구는 분리틈새의 폭을 조정하기 위해 유지기구와 분리기구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킬 수 있는 편심축을 갖추고 있다. 이 편심축은 편심으로 설치된 원통형 축에 의해 형성된다. 분리틈새의 조정에 있어, 분리틈새폭의 변경은 결국 편심축의 이용으로 인해 그리고 편심축의 특정위치에 따라 매우 크게 변동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공지의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은 조정기구 또는 편심축의 어떤 각도로의 이동이 예정된 분리틈새폭의 확실한 변화를 이끌어 주지 않기 때문에, 결국 분리할 특정 시트재료에 대한 분리틈새의 조정이 매우 어려워지는 단점을 갖는다.
도 1 은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의 기본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및
도 2 는 도 1 에 따른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와 같은 시트재료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기구, 유지기구 및 이들 기구들 사이에 생긴 분리틈새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가지며, 분리틈새폭의 조정부가 조정기구의 이동과 관련하여 확고하고도 쉽게 파지되는 분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문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은 지폐와 같은 시트재료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분리기구, 유지기구 및 이들 기구들 사이에 생기는 분리틈새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가지는 분리시스템에 있어, 조정기구가 캠-형상의 조정수단을 가진다면 분리틈새의 조정시 보다 확고하고도 쉽게 파지(grasp)되는 접속이 이루어진 것이라는 생각으로부터 시작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캠형 조정수단에 의해 분리틈새의 조정에 의한 확고하고도 수월한 파지접속이 가능하여 조정기구 또는 조정수단의 특정위치와 무관하게 정확한 조정이 수행됨으로써, 분리틈새의 조정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게 수행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나타날 것이다.
도 1 은 시트재료 분리시스템(20)의 기본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분리시스템(20)은 예컨대, 원주에 고, 저의 마찰부분이 배치된 구동로울러와 같은 분리기구(40), 마찬가지로 로울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유지기구(41), 및 이들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 사이에 생기는 분리틈새(40)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30 내지 36)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지폐와 같은 시트재료를 분리시키기 위해, 지폐는 랙(50)상에 다발로 배치된다. 이중 최하부의 지폐는 분리기구(40)에 의해 고착되고 지폐다발 전체는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된다. 적층된 지폐들을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예컨대 안내판과 같은 이송기구(37)가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마찰부를 갖춘 분리기구(40)의 일부가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 사이의 영역에 도달할 때, 분리기구(40)와 접촉하고 있는 최하부 지폐는 분리틈새(42)를 통해 운반되고 그리고 또 다른 처리를 위해 지폐를 운반시키는 운반장치(51)로 보내진다. 지폐다발 중 최하부 지폐를 제외한 다른 지폐들은 유지기구(41)에 의해 지지되고 오로지 최하부 한 지폐만이 분리틈새(42)를 통해 운반된다. 이를 위해, 유지기구(41)는 지폐상에 저마찰부분이 분리기구(40)의 힘 보다는 크고 고마찰부분의 분리기구(40)의 힘 보다는 작은 힘이 발휘되도록 형성된다.
이 힘은 예컨대 저, 고마찰부분들을 갖춘 분리기구(40)에 대한 재료의 선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소정의 유지효과는 역시 마찬가지로 적절한 기하학적 디자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유지기구(41)는 분리기구(40)의 고마찰부에 상응하는 마찰부를 가질 수 있다. 기하학적 디자인은 그때 유지기구(41)보다는 분리기구(40)의 고마찰부의 큰 영역에 걸쳐 제공되어서 분리기구(40)가 유지기구(41)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하게 되고 동시에 마찰이 같게 되어 분리기구(41)와 접촉상태에 있는 지폐를 분리시키게 된다.
소정의 유지효과를 얻기 위한 또 하나의 가능성은 독일특허공보 DE 100 08 135 A1에 나타나 있다. 이 특허공보에는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가 각기 승강부 및 하강부를 교대로 가지는 로울러로써 형성되며, 이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는 어느 한 측 기구의 승각부가 다른 측의 기구의 하강부와 만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만약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 사이의 분리틈새(42)가 분리될 지폐들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끔 조정되어 있다면, 분리될 지폐는 물결형상으로 변형되고 분리기구(40)와 유지기구(41)가 서로 인접하는 승강부들의 테두리가 지폐들의 분리 또는 유지를 실행시키게 된다.
분리틈새(42)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기구(30 내지 60)는 멈춤부(detent : 32, 33)에 의해 조정수단(30)에 연결된 레버(31)를 가진다. 이 조정수단(30)은 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캠형상을 갖는다. 조정수단(30)의 캠형상은 액슬(36)의 둘레에 피봇 형태로 설치된 홀더(35)에 형성된다. 액슬(36)은 예컨대 시트재료 분리시스템(20)을 수용하는 하우징 안에 체결된다. 유지기구(41)는 홀더(35)에 설치된다. 하우징에 체결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힘은 홀더(35)에 반해 작용하여서 조정수단(30) 또는 그의 캠형상부를 자극하게 된다. 레버(31)를 이동시키므로써, 분리틈새(42)의 폭(42)은 분리기구(40)가 하우징에 체결되어 결국 유지기구(41)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가능하다. 레버의 멈춤부(32, 33)는 이를테면 15°일 수 있는 특정 멈춤부분(34)을 가진다. 이 멈춤부(32, 33)는 조정을 수월하게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시트재료 분리시스템(20)의 조정수단(30)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 2 는 조정수단(30)의 캠형상을 보여주며, 그리고 비교목적으로 편심축(60) 및 그에 중심적으로 설치된 축(61)의 형상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180°의 조정범위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12부분으로 동일하게 분할된 큰 영역(1 내지 12)을 멈춤부(32, 33)의 상기 기술한 멈춤부분(34)들과 일치한다. 레버(31)를 이동시키므로써 조정범위가 180°까지 가능하게 되며, 그에 의해 분리될 지폐의 두께에 대체로 일치하는 분리틈새(42)의 폭에 대한 소정의 조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조정수단(30)의 캠형상의 선택은 도시한 실시예에서 분리틈새(42)의 일정한 변화가 180°의 조정범위 안에서, 예컨대, 각 멈춤부(1 내지 12)는 분리틈새(42)의 폭을 동일하게 변화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의 표는 캠형상을 갖는 조정수단(30)과 편심축(60)을 비교한 분리틈새(42)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것으로, 각 멈춤부(1 내지 12)는 레버(31)의 15°마다의 위치변화를 의미한다.
멈춤부 조정수단(30) 편심축(60)
1 0.075 0.056
2 0.075 0.056
3 0.075 0.088
4 0.075 0.112
5 0.075 0.126
6 0.075 0.132
7 0.075 0.127
8 0.075 0.112
9 0.075 0.095
10 0.075 0.071
11 0.075 0.044
12 0.075 0.015
상기 표는 0.075㎜의 분리틈새(42)의 폭의 일정한 변화가 조정수단(30)을 구비한 각 멈춤부(1 내지 12)에 일어난다는 것을 지시한다. 그러나, 분리틈새(42)의 폭의 변화는 편심축(60)의 특정위치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분리틈새(42)의 폭의 변화는 멈춤부(1 내지 6)로부터 증가한 후 멈춤부 6 내지 12로 부터는 다시 감소하며, 그에 의해 분리틈새(42)의 조정은 더욱 어렵게 된다. 그러나, 각 케이스마다 조정수단(30)의 0.075㎜의 분리틈새새(42)의 일정한 변화는 소정폭으로의 분리틈새(42)의 조정을 수월하게 한다.
조정수단(30)에 의한 분리틈새(42)의 폭에 대한 상기한 일정변화 대신에, 캠형상도 조정범위의 변화에 대해 용이한 코스에서 이루어지도록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점진적인 코스가 제공되어서 그에 의해 변화량을, 이를테면, 지수적인 코스(exponential course)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강하적인 코스도 제공 가능하며 변화량은 예컨대 역지수적인 코스로 감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정수단(30)의 조정범위의 바람직한 영역에서 특별한 감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로울러로서의 유지기구(41)의 변형예로써, 이를테면 굴림대형(runner-shape) 유지기구와 같은 적절한 형상도 선택 가능한다.
마찬가지로, 유지기구(41)의 위치의 이동을 거쳐 분리틈새(41)의 폭의 상기한 변화대신에 분리기구(40)의 위치의 이동도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유지기구(41)의 위치와 분리기구(40)의 위치 양자가 변경되는 것도 제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은 특히 지폐를 계산, 점검, 평가, 분류, 파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처리기계에 이용하는 데 적절하다.
본 발명의 분리시스템의 이용은 오로지 단 한장의 지폐만이 지폐처리기계의 운반장치에 운반되도록 하며, 그에 의해 지폐처리기계의 전체기능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계는 예금된 지폐를 자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Claims (11)

  1. 지폐와 같은 시트재료를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기구(40), 유지기구(41) 및 이들 기구(40 및 41)사이에 형성되는 분리틈새(42)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930 내지 36)를 가지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30 내지 36)가 캠형상을 갖춘 조정수단(3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41)가 조정기구(30 내지 3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30)이 축(shaft)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30)의 캠형상이 조정수단(30)의 조정에 대해 분리틈새(42)가 일정한 조정을 얻도록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30)의 캠형상이 조정수단(30)의 조정에 대해 분리틈새(42)의 점진적인 조정을 얻도록 한정된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과 분리틈새(42)의 조정의 관계가 지수(指數)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30)의 캠형상이 조정수단(30)의 조정에 대해 분리틈새(42)의 감소적인 조정을 얻도록 한정된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과 분리틈새(42)의 조정의 관계가 역지수(逆指數)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재료 분리시스템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처리기계가 처리될 지폐를 점검, 분류, 및/또는 파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처리기계가 예금지폐를 자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계.
KR1020057004096A 2002-09-13 2003-09-11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KR20050046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2573A DE10242573B3 (de) 2002-09-13 2002-09-13 Anordnung für die Vereinzelung von Blattgut
DE10242573.6 2002-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753A true KR20050046753A (ko) 2005-05-18

Family

ID=319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096A KR20050046753A (ko) 2002-09-13 2003-09-11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40602B1 (ko)
KR (1) KR20050046753A (ko)
CN (1) CN100501778C (ko)
AT (1) ATE387688T1 (ko)
AU (1) AU2003264292A1 (ko)
DE (2) DE10242573B3 (ko)
WO (1) WO20040277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0162B (zh) 2009-06-05 2011-09-07 杨东佐 一种带插口座的车载电脑
CN106815930B (zh) * 2017-03-02 2023-01-06 浙江万联电器有限公司 一种进钞机构的调节装置
CN107111912B (zh) * 2017-03-28 2020-01-1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分钞间隙调节装置、暂存模块及自动存取款设备
WO2018191934A1 (zh) * 2017-04-21 2018-10-2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存款模块、接客部及存取款一体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5222B (en) * 1984-10-09 1987-11-04 De La Rue Syst Sheet separation apparatus
US5120043A (en) * 1990-11-19 1992-06-09 Pitney Bowes Inc. Jam clearing and daily mail device for a document feeder
DE29519061U1 (de) * 1995-12-01 1996-01-25 Baeuerle Gmbh Mathias Einstellbare Schleuse für Papierbogen o.dgl.
DE29622921U1 (de) * 1996-07-25 1997-09-04 Siemens Nixdorf Inf Syst Vereinzelungseinrichtung mit einstellbarem Vereinzelungsspalt
US5975519A (en) * 1997-09-08 1999-11-02 Pitney Bowes Inc. Separator stone adjustme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09270D1 (de) 2008-04-10
WO2004027716A3 (de) 2004-08-12
DE10242573B3 (de) 2004-04-08
ATE387688T1 (de) 2008-03-15
CN1682251A (zh) 2005-10-12
WO2004027716A2 (de) 2004-04-01
AU2003264292A8 (en) 2004-04-08
AU2003264292A1 (en) 2004-04-08
EP1540602B1 (de) 2008-02-27
CN100501778C (zh) 2009-06-17
EP1540602A2 (de)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870B2 (en) Sorting and bundling all-in-one machine and banknote stacking and sorting module thereof
CN100587734C (zh) 纸币自动存取款机
EP1302425A3 (en) Banknote stacking apparatus
US4330115A (en) Disbursing device in machine for counting paper sheets
EP1319619A2 (en) Device for stacking sheets
WO1994019269A9 (en) Device for stacking sheets
US5618035A (en) Offset stacker
KR100966702B1 (ko) 시트재료분리기
JP3514999B2 (ja) 紙幣繰り出し装置
US20210049853A1 (en) Banknote recycler
GB1592241A (en) Conveyor device with a stripper for holding back multiple flat articles
KR20050046753A (ko) 시트재료 분리시스템
CN101884055B (zh) 接收和分送钞票的装置
US5044623A (en) Apparatus for stacking sheets
KR0131440B1 (ko) 시트공급장치
GB211318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assage of multiple superposed documents along a feed path
GB2066542A (en) Device for adjusting coin passage of coin handling machine
KR102416321B1 (ko) 에스크로우 장치
US8100249B2 (en) Apparatus for accepting and dispensing bank notes
JPH01150651A (ja) 紙葉類送り機構
US9171430B2 (en) Media item transporter
US9472041B2 (en) Clamping of media items
US20060113726A1 (en) Sheet conveyor for conveying individual sheets
US11462081B2 (en) Storing and issuing module for multiple flexible documents
JP2000149092A (ja) シート材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2

Effective date: 201304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