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071A - Park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Park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071A
KR20050046071A KR1020030080050A KR20030080050A KR20050046071A KR 20050046071 A KR20050046071 A KR 20050046071A KR 1020030080050 A KR1020030080050 A KR 1020030080050A KR 20030080050 A KR20030080050 A KR 20030080050A KR 20050046071 A KR20050046071 A KR 2005004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plate
plate
guide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태홍
Original Assignee
황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홍 filed Critical 황태홍
Priority to KR102003008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6071A/en
Publication of KR2005004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071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주차설비가 개시된다. 주차설비는 복수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타워 구조체, 적재된 차량을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이송하는 팔레트 장치, 팔레트 장치를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 차량을 직접적으로 적재하여 이송되는 주차판,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주차판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주차판 연결부재에 의해서 2개 이상의 주차판에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상호 결속된 주차판들 중에서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나머지 주차판들을 같이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동력원의 개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플랫폼 층 및 팔레트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A parking facility is disclosed for safely and promptly loading and unloading a vehicle. The parking equipment includes a tower structure providing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a pallet device for transferring a loaded vehicle between the platform floors, a vertical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a pallet device, a parking plate for directly loading a vehicle, and a parking plate. Parking plate conveying device for transporting and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parking plate.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wo or more parking plates, and the remaining parking plates may be moved together by moving one of the mutually bound parking plates. It can be reduced to a minimum, and the structure of the platform layer and the pallet device can be simply formed.

Description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Parking Equipment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Multistory Parking Equipment)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arking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tory parking equipment that can provide a maximum parking space in a limited space and can quickly wear and leave a vehicle. will be.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이다.As automobiles are becoming more popular, car usage rates and car penetration rates are increasing rapidly every year. With the increase of car penetration rates, the need for automobile-related facilities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In particular, park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due to the increasing use of automobiles.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If there is a large car population for a building or a facility, such as a bustling city, while there is an absolute lack of available parking space, securing parking spaces can be a significant issue among car users. In addition, the parking problem may further develop into a society-wide problem.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In addition, the increasing supply of automobiles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two or more cars, making the task of securing parking spaces more seriou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ypes of parking equipment have been disclosed that can efficiently provide a parking space.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부수적인 목적으로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 조작의 편의성, 신속한 입고 및 출고,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se parking facilities is to provide as much parking space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and for the secondary purpose, there is a simple structure and system, convenience of operation, quick receipt and release, and low construction cost.

종래의 일반적인 다층형 주차설비는 다층의 플랫폼 층을 형성하는 타워 구조체, 차량을 이송하는 팔레트 장치 및 팔레트 장치를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Conventional multi-layer parking facilities include a tower structure for forming a multi-layer platform layer, a palle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and a pallet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pallet device.

다층형 주차설비의 경우 팔레트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목적된 플랫폼 층의 입구로 이송하고, 차량을 팔레트 장치로부터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이송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차량은 차량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송된다.In the case of a multi-layered parking facility, the vehicle is transferred to the entrance of the target platform floor by using a pallet device, and the vehicle is transferred from the pallet device to the desired parking space. In this case, the vehicle is generally transferred automatically by using a vehicle transport apparatus.

하지만, 종래의 주차설비에서 차량이송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2000년 12월 15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8137호인 "타워식 주차장치의 승강대 구동장치"는 승강대를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간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king facility, the vehicle transport apparatus has a complicated structure. For example, the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8137, published on December 15, 2000, "a platform drive device for a tower parking lot," has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for transporting a vehicle between supports using a platform.

상기 승강대 구동장치는 타워식 주차장치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기 본체를 포함한다. 승강기 본체의 하단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승강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승강대의 일측에는 빗살봉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부가 설치된다. 승강기 본체의 하단에 구동부를 설치하고, 각각의 승강대에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체인을 설치한다. 따라서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대는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승강대의 좌우로 1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지지간이 형성되며, 지지간에는 승강대의 빗살봉과 교호할 수 있는 빗살봉이 차량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The lift drive device includes a lift main body moving up and down in a tower parking lot. A guide rail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the lifting platform is mount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guide rail. A comb ba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latform and an opera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 drive un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each platform is provided with a chain connected to the drive unit. Therefore, the platform moves left and right as the drive unit rotates. Then, a support bar for parking one vehicl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latform is formed, and the support bar is formed to support the vehicle alternately with the comb bar of the platform.

상기 승강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의 주차설비에서는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부품 간의 상호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품들이 세밀하게 제어되어야 하고 부품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가 없다. 게다가, 복잡한 구조의 주차설비의 제작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현저하게 높아 비경제적이다.In a parking facility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including the platform driving apparatus, a failure is likely to occur, and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may occur frequently. In addition, the parts must be finely controlled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ceed quickly to the receipt and release of the vehic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parts.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maintenance and repair cost of the complex parking facility is remarkably high and uneconomical.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대의 좌우로 각각 1대의 차량만 주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는 좌우로 2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없으며, 상기 장치 및 방법으로는 2대로 확장하기 위해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As already mentioned, only one vehicle can park each side of the platform. Such a structure cannot park more than two vehicles from side to side, and the apparatus and method must have a very complicated structure to expand to two vehicle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차량을 최대한 많이 수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을 이송하기 위한 동력장치를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acility that can accommodate as many vehicles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and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use a power unit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with a minimu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주차설비의 목적된 주차공간에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acility capable of quickly wearing and leaving a vehicle in an intended parking space of a parking facilit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면서 효율적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주차설비의 제작 비용 및 구입 비용을 저렴하게 유지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수 및 유지 비용이 현저하게 저렴한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acility that can keep the production cost and purchase cost of the parking facilities at a low cost, minimize the occurrence of failure, and significantly lower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by forming a simple and efficient structure It i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facility that can easily and safely transport the vehic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설비는 타워 구조체, 팔레트 장치, 수직이송장치, 주차판,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 이송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facility includes a tower structure, a pallet device, a vertical transport device, a parking plate, a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and a parking plate transporting member.

타워 구조체는 다층형으로서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포함하며, 각 플랫폼 층에는 1열 또는 2열 이상의 주차공간 라인이 형성된다. 각 주차공간 라인에는 1대 또는 그 이상의 차량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으며, 1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일렬로 배열된다.The tower structure is multi-layer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one or more rows of parking space lines. Each parking space line can be arranged in series with one or more vehicles, the parking space for accommodating one vehicle is arranged in a line.

팔레트 장치는 주차판 및 차량을 적재한 후, 목적된 플랫폼 층의 목적된 주차공간 라인의 입구로 차량을 이송한다. 여기서 수직이송장치는 팔레트 장치를 상하로 이송할 수 있으며, 목적된 주차 위치로 차량을 이송 및 고정한다.The pallet device loads the parking plate and the vehicle and then transfers the vehicle to the entrance of the desired parking space line of the desired platform floor. Here,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can transfer the pallet device up and down, and transports and fixes the vehicle to the intended parking position.

차량은 주차판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 및 주차된다. 차량은 제조업자 및 모델명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이렇게 다양한 형상의 차량은 상호적으로 결속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차량의 형상에 따라 차량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간의 결속이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vehicle is transported and parked while being loaded on the parking board. Vehicles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and model name, and these various shapes of vehicles are not easily coupled together.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at which the vehicle can be fix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vehicle, and in some cases, the binding between the vehicles may fai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에서는 차량들을 상호 결속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주차판을 사용한다. 즉, 주차판은 상호 통일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용이하게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이때 주차판 이송부재는 하나의 주차판을 이송시켜 연결된 다른 주차판도 같이 이송할 수가 있다. Therefore,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tandardized parking board to bind vehicles together. That is, the parking plate can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a unified shape, and the parking plate transfer member can transfer one parking plate to transfer the other parking plate connected together.

또한, 주차판 연결부재는 주차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차판들을 상호 결속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다른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인 결속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may selectively bind or separate the parking pl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plate, and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echanical binding and separa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판 이송장치는 제1 피니언 장치, 이송플레이트 및 제2 피니언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includes a first pinion device, a transfer plate and a second pinion device.

주차판의 저면에는 이송 방향과 나란한 제1 랙이 형성되며, 제2 피니언 장치는 제1 랙과 맞물려 주차판을 전후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피니언 장치는 이송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이송플레이트와 함께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제1 피니언 장치는 이송플레이트를 이송시켜 제2 피니언 장치 및 주차판이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A first rack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arking plate, and the second pinion device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rack to transfer the parking plate back and forth. The second pinion device is mounted on the transfer plate and slides on the pallet device together with the transfer plate, and the first pinion device transfers the transfer plate to selectively bind or separate the second pinion device and the parking plate.

주차판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결속된 주차판 뿐만 아니라 그 주차판에 결속된 다른 주차판들도 같이 이송할 수 있다. 게다가 주차판 이송장치는 제1 및 제2 피니언 장치에 각각 하나의 동력원만 장착함으로써 각 플랫폼 층에 위치한 주차판 및 차량을 출고할 수 있으며, 주차판 및 차량을 입고할 수도 있다.The parking plate conveying device may be used to transport not only the parking plate bound to the parking plate but also other parking plates bound to the parking plate. In addition, the parking plate conveying device can be shipped from the parking plate and the vehicle located on each platform floor by mounting only one power sourc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nion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wear the parking plate and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일 플랫폼 층 및 팔레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one platform layer and a pallet device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The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king plate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100)는 타워 구조체(110), 팔레트 장치(130), 수직이송장치(140), 주차판(155), 주차판 이송장치(160) 및 주차판 연결부재(170)를 포함한다.1 to 3, the parking facilit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tower structure 110, a pallet device 130, a vertical transfer device 140, a parking plate 155, and a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170.

타워 구조체(110)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120)을 포함하며, 플랫폼 층(120)에 의해서 다층형의 구조가 제공된다. 타워 구조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구조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건축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tower structur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120, by which the multi-layered structure is provided. The tower structure 110 may form a steel structure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other building methods.

각 플랫폼 층(120)에는 전후 방향으로 2개의 주차공간이 직렬로 배치되며, 차량은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차공간에 입고 및 출고된다. 차량 자체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은 주차판(155)에 적재되어 팔레트 장치(130) 및 플랫폼 층(120) 간에 이송된다. In each platform layer 120, two parking spaces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hicle is received and released in the parking space while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ince the vehicle itself cannot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vehicle is loaded on the parking plate 155 and is transferred between the pallet device 130 and the platform layer 120.

도 1에는 주차설비(100)의 측면만 도시되어 있지만, 플랫폼 층(120)은 복수개의 주차공간의 배열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주차공간들의 규모는 3차원적으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다. Although only the side of the parking facility 100 is shown in FIG. 1, the platform floor 120 may have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rranged side by sid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parking spaces may be expanded and reduced in three dimensions. Can be.

팔레트 장치(130)는 차량을 적재하며, 차량과 함께 수직으로 이송되어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동하거나 수평하게 이송되어 동일 플랫폼 층의 다른 주차공간 라인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팔레트 장치(130)는 타워 구조체(110)의 정면에 배치되며, 타워 구조체(110)의 정면에서 제공되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1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The pallet device 130 may load a vehicle, and may be vertically moved with the vehicle to move to a desired platform floor or horizontally to move to another parking space line of the same platform floor. The pallet device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11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frame 116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110.

수직 가이드 프레임(116)의 내측에는 상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팔레트 장치(130)는 홈에 대응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하고, 롤러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116)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팔레트 장치(1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수개의 롤러가 팔레트 장치(1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일렬로 장착될 수 있으며, 롤러가 수직 가이드 프레임(116)의 홈에 밀착 수용되어 팔레트 장치(130)의 전후 및 좌우 이동을 제한하고 팔레트 장치(13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vertical guide frame 116 is formed with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the pallet device 130 includes a roller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the roller along the groove of the vertical guide frame 116 It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allet apparatus 130 while moving. To this end, several rollers may be rotatably mounted at the ends of the pallet apparatus 130, and the rollers are tightly received in the grooves of the vertical guide frame 116 to limi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pallet apparatus 130. The shaking of the pallet apparatus 130 can be suppressed.

팔레트 장치(130)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140)가 타워 구조체(110)에 장착되며, 수직이송장치(140)는 구동장치(142), 구동풀리(143), 가이드 풀리(146), 와이어(148) 및 균형추(149)를 포함한다.A vertical transfer device 140 for transferring the pallet device 130 up and down is mounted to the tower structure 110, and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140 includes a drive device 142, a drive pulley 143, and a guide pulley 146. ), Wire 148 and counterweight 149.

구동장치(142)는 타워 구조체(1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의 조절에 의해 구동장치(142)의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며, 팔레트 장치(130)가 상하로 이송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구동장치(142)의 단부에는 구동풀리(143)가 좌우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와이어 부재와 연결된다. 구동풀리(143)는 구동장치(142)의 축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감속기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driving device 142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tower structure 110, an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by using a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device 142 may be switch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llet device 130 is vertically transferred may be changed. Drive pulleys 143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r on either side of the drive unit 142 to be connected to the wire member. The driving pulley 14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device 142, but may be connected indirectly through a reducer or the like.

구동풀리(143)에는 와이어(148)가 연결되며, 와이어(148)는 타워 구조체(110)의 정면에 위치한 팔레트 장치(130)와 연결되며, 타워 구조체(11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균형추(149)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형추(149)와 연결된 균형 와이어는 와이어(148)와 일체로 형성되며, 와이어(148)는 구동풀리(143)에 부분적으로 권취되어 결속된다.A wire 148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143, and the wire 148 is connected to the pallet device 13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110, and extends to the rear surface of the tower structure 110 to balance the weight 149.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lance wire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149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re 148, and the wire 148 is partially wound and bound to the driving pulley 143.

균형추(149)는 자체 무게로 팔레트 장치(130) 및 적재된 차량의 무게를 부분적으로 상쇄할 수 있으며, 구동장치(142)는 상쇄된 무게를 제외한 힘을 부담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팔레트 장치(130) 및 차량을 이송할 수 있다. 균형추(149)를 팔레트 장치(130)의 무게와 동일하게 유지하는 경우, 빈 상태의 팔레트 장치(130)를 동일 위치에 장시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빈 상태가 아니더라도 팔레트 장치(130) 및 차량을 안정적으로 정지 및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unterweight 149 may partially offset the weight of the pallet device 130 and the loaded vehicle with its own weight, and the drive device 142 bears a force other than the offset weight so that the pallet device (with a small force) 130) and the vehicle. When the balance weight 149 is kept equal to the weight of the pallet device 130, the pallet device 130 in an empty state can be stopped at the same position for a long time, and the pallet device 130 and the vehicle can be stably stabilized even if it is not empty. To stop and mov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판(155)은 팔레트 장치(130) 또는 플랫폼 층(120) 상에 위치하며, 차량을 적재한 상태로 팔레트 장치(130) 및 플랫폼 층(120) 사이를 이동하거나 플랫폼 층(120)의 주차공간 사이를 이동하여 차량을 이송한다. 차량은 팔레트 장치(130)의 측면에서 진입하여 주차판(155) 상에 적재되며, 주차판(155)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송되어 팔레트 장치(130) 및 플랫폼 층(120) 간에 차량을 이송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arking plate 155 is located on the pallet device 130 or the platform floor 120, and the pallet device 130 and the platform floor 120 with the vehicle loaded thereon. The vehicle is transported by moving between or moving between parking spaces of the platform floor 120. The vehicle enters from the side of the pallet device 130 and is loaded on the parking plate 155, and the parking plate 155 is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ransfer the vehicle between the pallet device 130 and the platform layer 120. do.

본 실시예 및 이후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차량은 팔레트 장치의 좌우 측면에서 진입하여 주차판 상에 위치하고, 주차판이 팔레트 장치 및 플랫폼 층 상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송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량이 팔레트 장치의 전방에서 진입하여 주차판 상에 위치하고, 주차판이 팔레트 장치 및 플랫폼 층 상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주차설비도 당연히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vehicle enter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llet apparatus and is located on the parking plate, and the parking plate is transfer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pallet apparatus and the platform flo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arking facility in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front of the pallet apparatus and is located on the parking plate, and the parking plate is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pallet apparatus and the platform floor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주차판(155)은 주차설비의 입고 및 출고 위치에서부터 차량과 함께 이송되기 때문에, 차량을 입고하기 전에 팔레트 장치(130) 상에는 빈 상태의 주차판(155)이 제공되며, 대기 중인 주차판들(155)은 별도의 주차판 저장챔버(미도시)에 보관되었다가 차량의 입고와 함께 팔레트 장치(130) 상으로 이송된다.Since the parking plate 155 is transported with the vehicle from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shipping position of the parking facility, an empty parking plate 155 is provided on the pallet device 130 before the vehicle is received and the waiting parking plates ( 155 is stored in a separate parking plate storage chamber (not shown) and transported onto the pallet device 130 with the receipt of the vehicle.

주차판(155)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팔레트 장치(130) 및 플랫폼 층(120) 상에는 레일(122)이 형성되며, 레일(122)에 대응하여 주차판(155)의 하부에는 레일(122)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주차판(155)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 휠(158)이 장착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parking plate 155, a rail 122 is formed on the pallet device 130 and the platform layer 120, and a rail 122 is disposed below the parking plate 155 corresponding to the rail 122. ) Is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158 for partially accommodating and transporting the parking plate 155.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이동 휠(158)이 주차판(155) 저면에 장착되며, 이동 휠(158)은 레일(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이동 휠(158)의 접촉면은 부분적으로 만입되고, 이동 휠(158)의 양 측부는 레일(122)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이동 휠(158)은 레일(122)을 따라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 four moving wheels 158 ar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plate 155, and the moving wheels 158 are fix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ails 122. 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ving wheel 158 is partially indented, both sides of the moving wheel 158 can partially receive the rail 122, and the moving wheel 158 moves along the rail 122. .

주차판(155)은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에는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주차판(155)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랙(157)이 형성된다. 제1 랙(157)은 제2 피니언장치(166)의 피니언과 맞물리며, 제1 랙(157) 및 제2 피니언 장치(166)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제2 피니언장치(166)의 회전 운동은 주차판(155)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다.The parking plate 155 is for supporting a vehicle, and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vehicl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rack 157 form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parking plate 155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first rack 157 is engaged with the pinion of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park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rack 157 and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The linear motion of the plate 155 is switched.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판 이송장치(160)는 제1 피니언장치(162), 이송플레이트(164) 및 제2 피니언장치(166)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판 이송장치(160)는 기본적으로 팔레트 장치(130) 상에 설치된다. 왜냐하면, 팔레트 장치(130) 상에 설치된 주차판 이송장치(160)는 다른 플랫폼 층(120)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120)에 별도로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각 플랫폼 층(120)에 장착되어야 하는 장치를 생략함으로써 제작 비용 및 유지 비용을 저렴하게 절감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160 includes a first pinion device 162, a transfer plate 164, and a second pinion device 166. As shown in FIG. 2, the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160 is basically installed on the pallet apparatus 130. This is because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160 installed on the pallet device 130 may be used in another platform layer 120, and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transfer device including a power unit separately in each platform layer 120. to be. By omitting the device to be mounted on each platform layer 1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inexpensively.

구체적으로, 제1 피니언장치(162)는 피니언 및 모터를 포함하며, 팔레트 장치(130)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제1 피니언장치(162) 상에는 이송플레이트(164)가 제공되며, 이송플레이트(164) 역시 팔레트 장치(130)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이미 정해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이송플레이트(164)의 저면에는 제2 랙(164a)이 형성되며, 제2 랙(164a)은 제1 피니언장치(162)의 피니언과 상호 맞물려 제1 피니언장치(162)의 회전을 이송플레이트(164)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한다.Specifically, the first pinion device 162 includes a pinion and a motor, and is partially accommodated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device 130. In addition, a transfer plate 164 is provided on the first pinion device 162, and the transfer plate 164 is also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allet device 130 to slide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cond rack 164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ansfer plate 164, and the second rack 164a meshes with the pinion of the first pinion device 162 to transfer the rotation of the first pinion device 162. Switch to linear motion (164).

이송플레이트(164)에서 플랫폼 층(120)에 인접한 단부에 제2 피니언장치(166)가 장착된다. 제1 피니언장치(162)와 마찬가지로, 제2 피니언장치(166)도 이송플레이트(164)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2 피니언장치(166)의 피니언 상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피니언은 주차판(155)의 제1 랙(157)과 맞물려 주차판(155)을 팔레트 장치(130)에서 플랫폼 층(120)으로 이송하거나 플랫폼 층(120)에 위치한 주차판(155)을 팔레트 장치(130)로 이송하는 데에 사용된다.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plate 164 adjacent to the platform layer 120. Similar to the first pinion device 162,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also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plate 164. The upper part of the pinion of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partially exposed, and the exposed pin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rack 157 of the parking plate 155 to guide the parking plate 155 to the platform layer 120 in the pallet device 130. ) Or a parking plate 155 located on the platform layer 120 to the pallet device 130.

주차판 연결부재(170)는 걸림부(172) 및 고리부(174)를 포함한다. 주차판 연결부재(170)는 걸림부(172) 및 고리부(174)를 이용하여 인접한 주차판(155)을 선택적으로 결속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주차판 이송장치(160)로 어느 한 주차판(155)을 이송하면서 인접한 주차판(155)을 결속하여 같이 이송할 수 있다. The parking plate connection member 170 includes a locking portion 172 and a ring portion 174.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170 may selectively bind and separate the adjacent parking plate 155 by using the engaging portion 172 and the hook portion 174, and the parking plate conveying device 160 may be any one parking plate. Adjacent parking plate 155 may be bound and transferred together while transferring 155.

주차판 이송장치(160)에 의해서 결속된 주차판들(155) 중 하나가 이송될 때 결속된 나머지 주차판(155)도 함께 이송될 수 있으며, 소정의 위치에서 결속된 주차판들(155)은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목적된 주차판(155)만 팔레트 장치(130)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one of the parking plates 155 bound by the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160 is transferred, the remaining parking plates 155 bound together may be transferred together, and the parking plates 155 bou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s selectively separated so that only the intended parking plate 155 can be moved onto the pallet device 130.

따라서 주차판 이송장치(160)가 플랫폼 층(120)의 입구측에 위치한 주차판(155)을 인출할 때 안쪽에 위치한 주차판들(155)들도 상호 결속되어 입구측 주차판(155)과 같이 이송되고, 입구측 주차판(155)이 팔레트 장치(130) 상에 위치할 때 전후방 주차판들(155)이 상호 분리되어 후방의 주차판(155)은 플랫폼 층(120)의 입구에 위치한다.Accordingly, when the parking plate transporter 160 withdraws the parking plate 155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latform layer 120, the parking plates 155 located inside are also bound to each other to allow the entrance parking plate 155 and the entrance side parking plate 155. When the entrance parking plate 155 is positioned on the pallet device 130, the front and rear parking plates 15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ear parking plate 155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layer 120. do.

걸림부(172)는 주차판(155)의 전단 양측에 형성되며, 고리부(174)는 걸림부(172)에 대응하여 주차판(155)의 후단 양측에 형성된다. 고리부(174)는 스프링(미도시)를 이용하여 주차판(155)의 후단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바깥으로 벌어져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벌어진다. The locking portion 172 is formed at both front ends of the parking plate 155, and the ring portion 174 is formed at both rear ends of the parking plate 155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portion 172. The ring portion 174 is elastically rot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parking plate 155 by using a spring (not shown), and is opened while forming an angle by opening outward in an absence of external force.

또한, 고리부(174)의 단부에서 주차판(155)을 향하도록 고리편(174p)이 돌출 형성되어 L-자 형상의 고리부(174)를 형성하며, 고리부(174)가 주차판(155)을 향하도록 이동하면서 고리편(174p)은 인접한 다른 주차판(155)의 걸림부(172)와 결속된다. 고리부(174)의 최외측에는 롤러(176)가 장착되어 플랫폼 층(120) 상에서 고리부(174)가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ing piece 174p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ring portion 174 toward the parking plate 155 to form an L-shaped ring portion 174, and the ring portion 174 is a parking plate ( The ring piece 174p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72 of another adjacent parking plate 155 while moving toward 155. A roller 176 is moun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ring portion 174 to allow the ring portion 174 to slide easily on the platform layer 120.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에서 걸림부 및 고리부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들로서, 주차판(155)이 플랫폼 층(120)의 입구를 통과하면서 걸림부(172) 및 고리부(174)가 상호 결속되는 과정을 설명한다.4A and 4B are partially enlarged plan views illustrat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in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the parking plate 155 passe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layer 120. A process in which 172 and the ring portion 174 are coupled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플랫폼 층(120)은 주차공간을 포함하며, 2개의 주차공간이 플랫폼 층(120)의 입구부터 직렬로 배치된다. 주차공간의 양측으로 경사 가이드(126)가 형성되며, 경사 가이드(126)는 플랫폼 층(120)의 입구측을 향하여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27)을 포함한다. 그리고 경사 가이드(126)는 주차판(155)의 고리부(174)에 대응하기 때문에 고리부(174)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4A and 4B, the platform layer 120 includes a parking space, and two parking spaces are arranged in series from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layer 120. The inclined guide 126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inclined guide 126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127 formed at an end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platform layer 120. And since the inclined guide 126 corresponds to the ring portion 174 of the parking plate 155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ing portion 174.

경사 가이드(126)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었기 때문에 경사 가이드(126)를 통과하는 고리부(174)는 경사면(127)을 따라 이동하고, 고리부(174)는 주차판(155)을 향해 계속 회동하여 다른 주차판(155)의 걸림부(172)와 결속된다. Since the inclined guide 126 protrudes inward, the loop portion 174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guide 126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7, and the loop portion 174 continues to rotate toward the parking plate 155.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172 of the other parking plate 155.

경사면(127)을 통과하면서 고리부(174)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여 주차판(155)에 밀착하게 되고, 이렇게 결속된 걸림부(172) 및 고리부(174)는 경사 가이드(126)의 지지에 의해서 결속을 유지한다. While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27, the hook portion 174 is kept in a folded st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king plate 155, and the engaging portion 172 and the hook portion 174 thus bound are supported by the inclined guide 126. Maintain unity by

이와는 반대로, 입구측에 위치한 주차판(155)이 팔레트 장치(130) 상으로 이송되면서 주차판 연결부재(170)의 결속 부위가 플랫폼 층(120)의 입구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걸림부(172) 및 고리부(174) 사이의 결속은 해제되어 입구측 주차판(155)와 내측 주차판(155)이 분리되고, 내측 주차판(155)은 분리된 후에 플랫폼 층(120)의 입구에 위치한다.On the contrary, while the parking plate 155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is transferred onto the pallet device 130, the binding portion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170 passe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layer 120, and the locking portion 172 ) And the loop 174 is released to separate the entrance parking plate 155 and the inner parking plate 155, and the inner parking plate 155 i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platform layer 120 after the separation. do.

이하,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이송부재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mb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 contents.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5A to 5C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a를 참조하면, 팔레트 장치(130)에 장착된 제1 피니언장치(16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랙(164a)을 밀어내고, 상대적으로 주차판 이송장치(160)가 주차판(155)을 향하여 이동한다. 주차판 이송장치(160)가 이동하면서 이송플레이트(164)에 장착된 제2 피니언 장치(166)는 주차판(155)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때, 제2 피니언장치(166)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2 피니언장치(166)의 피니언은 회전하면서 주차판(155)의 제1 랙(157)과 맞물린다.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pinion device 162 mounted on the pallet device 130 rotates counterclockwise to push out the second rack 164a, and the parking plate feeder 160 is relatively parked. Move towards 155. As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160 moves,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mounted on the transfer plate 16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arking plate 155.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not loaded, the pinion of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engaged with the first rack 157 of the parking plate 155 while rotating.

즉, 제1 피니언장치(162)의 회전에 의해 주차판 이송장치(160)가 임시로 연장되어 제2 피니언장치(166)가 주차판(155)과 맞물린다.That is, the parking plate feeder 160 is temporarily extend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pinion device 162 so that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is engaged with the parking plate 155.

도 5b를 참조하면, 제1 피니언장치(1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플레이트(164)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와 동시에 제2 피니언장치(166)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차판(155)을 이송플레이트(164)를 향하여 이송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플랫폼 층(120)에 위치한 주차판(155)을 팔레트 장치(130) 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first pinion device 162 rotates clockwise to return the transfer plate 164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also rotates clockwise to transfer the parking plate 155 toward the transfer plate 164. That is, through this process, the parking plate 155 located on the platform layer 120 may be transferred onto the pallet device 130.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구측 주차판(155)이 이송되면서 고리부(174) 및 걸림부(172)의 결속에 의해서 내측 주차판(155)도 입구측 주차판(155)과 함께 팔레트 장치(130)를 향해 이송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the inner side parking plate 155 is also the entrance side parking plate 155 by binding the hook portion 174 and the locking portion 172 while the entrance side parking plate 155 is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pallet apparatus 130.

주차판(155)의 저면에는 이동 휠(158)이 장착되며, 이동 휠(158)은 플랫폼 층(120) 또는 팔레트 장치(130) 상에 형성된 레일(122)을 따라 이동한다.A moving wheel 158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parking plate 155, and the moving wheel 158 moves along the rail 122 formed on the platform layer 120 or the pallet device 130.

도 5c를 참조하면, 제2 피니언장치(166)가 계속 회전하여 입구측에 위치했던 주차판(155)을 팔레트 장치(130) 상에 바로 위치하도록 이송한다. 주차판(155)의 위치는 센서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으며, 이때, 주차판들(155)의 고리부(174)가 경사 가이드(126)로부터 벗어나면서 결속되었던 걸림부(172)로부터 분리되고, 주차판들(155)도 서로 분리되어 후방의 주차판(155)은 플랫폼 층(120)의 입구측 주차공간에 남는다.Referring to FIG. 5C,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continuously rotates and transports the parking plate 155 positioned at the entrance side so as to be located directly on the pallet device 130. The position of the parking plate 155 may be detected by a sensor, at which time the ring portion 174 of the parking plates 155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172 which has been bound while escaping from the inclined guide 126, The parking plates 155 are also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ear parking plate 155 remains in the entrance parking space of the platform layer 120.

입구측 주차공간에 홀로 남은 주차판(155)도 상기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과정에 의해서 팔레트 장치(130) 상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의 역순에 의해서 팔레트 장치(130) 상의 주차판(155)도 플랫폼 층(120)으로 이송될 수도 있다.The parking plate 155 left alone in the entrance parking space may also be transferred onto the pallet apparatus 130 by 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S. 5A to 5C, and the parking on the pallet apparatus 130 may be reversed by the reverse procedure. Plate 155 may also be transferred to platform layer 120.

도 6은 제1 실시예의 주차판 이송장치와 유사한 다른 주차판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similar to the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이송플레이트(164) 및 팔레트 장치(130) 사이에 스프링(168)이 개재된다. 스프링(168)의 하단은 팔레트 장치(130)의 상면에서 지지되며, 스프링(168)의 상단은 이송플레이트(164)를 지지하며, 스프링(168)의 상단에서 이송플레이트(164)는 미끄럼 이동을 한다.Referring to FIG. 6, a spring 168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fer plate 164 and the pallet device 130. The lower end of the spring 168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device 130,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68 supports the transfer plate 164, at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68 the transfer plate 164 is sliding do.

주차판(155)의 모서리 단부에는 피니언 경사면(155a)이 형성된다. 피니언 경사면(155a)은 이송플레이트(164)가 접근하는 측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제2 피니언장치(166)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The pinion inclined surface 155a is formed at the corner end of the parking plate 155. The pinion inclined surface 155a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ide where the transfer plate 164 approaches and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수직이송장치(140)가 팔레트 장치(130)를 거의 정확하게 제어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확한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 내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주차판(155)에는 피니언 경사면(155a)이 형성된다. Although the vertical feeder 140 controls the pallet device 130 almost accurately, in some cases, the pinion inclined surface 155a may be provided on the parking plate 155 in order to correct it. Is formed.

제2 피니언장치(166)가 피니언 경사면(155a)에 닿아 이동 경로가 안내되며, 제2 피니언장치(166) 및 이송플레이트(164)는 스프링(16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제2 피니언 장치(166) 및 주차판(155)의 제1 랙(157) 간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touches the pinion inclined surface 155a, the movement path is guided, and since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and the transfer plate 164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68, Engagement between the pinion device 166 and the first rack 157 of the parking plate 155 may be smoothly performed.

이외에도 이송플레이트(164)의 일부가 힌지로 형성되고, 제2 피니언장치(166)가 피니언 경사면(155a)에 닿아 이동 경로가 안내될 때, 힌지를 중심으로 이송플레이트(164)가 부분적으로 회동하여 제2 피니언 장치(166) 및 주차판(155)의 제1 랙(157) 간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힌지에 탄성 부재를 삽입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In addition, when a portion of the transfer plate 164 is formed as a hinge, and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touches the pinion inclined surface 155a to guide the movement path, the transfer plate 164 is partially rotated about the hing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pinion device 166 and the first rack 157 of the parking plate 155 may be smoothly performed.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hinge to support it elastically.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king facility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and 8B illustrate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is is a partial enlarged view.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상하로 회동하는 고리부(174a) 및 그에 대응하는 걸림부(172a) 및 경사 가이드(12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주차설비(100)와 비교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ng portion 174a that rotates up and down, and a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172a and a slope guide 126a, but other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first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parking facility 100 of the example, it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에서 주차판 연결부재(170a)는 걸림부(172a) 및 고리부(174a)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170a includes a locking portion 172a and a ring portion 174a.

걸림부(172a)는 주차판(155a)의 전단 양측에 형성되며, 걸림부(172a)에 대응하여 고리부(174a)는 주차판(155a)의 후단 양측에 장착된다. 고리부(174a)는 중력 또는 탄성에 의해서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아래를 향하는 경향을 갖는다. 또한, 고리부(174a)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고리편이 돌출 형성되어 L-자 형상의 고리부(174a)를 형성하며, 고리부(174a)가 주차판(155a)을 향하도록 이동하면서 고리편은 인접한 다른 주차판(155a)의 걸림부(172a)와 결속된다.The locking portion 172a is formed at both front ends of the parking plate 155a, and the ring portion 174a is mounted at both rear ends of the parking plate 155a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ortion 172a. The ring portion 174a tends to face downward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by gravity or elasticity. In addition, the ring piece protrude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ring portion 174a to form an L-shaped ring portion 174a, and the ring portion 174a is moved while moving toward the parking plate 155a. The piec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72a of another adjacent parking plate 155a.

고리부(174a)의 외측에는 가이드 바(176a)가 장착되고, 플랫폼 층(120)에서 주차공간의 양측에는 가이드 바(176a)에 대응하여 경사 가이드(126a)가 형성된다. 주차공간의 좌우로 가이드 바(176a)에 대응하여 경사 가이드(126a)가 주차공간의 입구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경사면은 경사 가이드(126a)의 전후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Guide bars 176a are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ng portion 174a, and inclined guides 126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space in the platform layer 120 to correspond to the guide bars 176a. The inclined guide 126a is formed adjacent to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sp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guide bar 176a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inclined guide 126a.

도 8a를 참조하면, 주차공간의 양측으로 경사 가이드(126a)가 언덕 형상(hill shape)으로 형성되며, 경사 가이드(126a)는 주차판(155a)의 진행 방향의 전후로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A, the inclined guide 126a is formed in a hill shape on both sides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inclined guide 126a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before and afte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arking plate 155a.

걸림부(172a) 및 고리부(174a)는 상호 결속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된 부분이 경사 가이드(126a)를 향하여 이송된다. 경사 가이드(126a)가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 가이드(126a)를 통과하는 고리부(174a)의 가이드 바(176a)가 경사 가이드(126a)를 타고 상승한다.The locking portion 172a and the ring portion 174a are bound to each other, and the bound portion is transferred toward the inclined guide 126a. Since the inclined guide 126a protrudes in the shape of a mountain, the guide bar 176a of the ring portion 174a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guide 126a rises on the inclined guide 126a.

도 8b를 참조하면, 고리부(174a)의 가이드 바(176a)가 상승하면서 고리부(174a) 역시 상승하게 되고, 고리부(174a)의 고리편은 걸림부(172a)로부터 이탈한다. Referring to FIG. 8B, as the guide bar 176a of the ring portion 174a is raised, the ring portion 174a is also raised, and the ring piece of the ring portion 174a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172a.

따라서 입구측에 위치한 주차판(155a)이 팔레트 장치(130a) 상으로 이송하면서 주차판 연결부재의 결속 부위가 경사 가이드(126a)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걸림부(172a) 및 고리부(174a) 사이의 결속은 해제되고, 안쪽에 위치한 주차판(155a)은 분리된 후에 플랫폼 층(120a)의 입구에 위치한다.Therefore, while the parking plate 155a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is transferred onto the pallet device 130a, the binding portion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inclined guide 126a, and the locking portion 172a and the hook portion 174a are The binding between them is released, and the inner parking plate 155a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layer 120a after being separa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주차판 연결부재는 걸림부(172b) 및 고리부(174b)를 포함하며, 고리부(174b)는 주차판의 후단 양측에 장착된다. 고리부(174b)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방을 향해 회동하려는 경향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9,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172b and a hook portion 174b, and the hook portion 174b is mounted at both rear ends of the parking plate. The ring portion 174b has a tendency to rotate upwards, including the spring.

경사 가이드(126b)는 주차판(155b)의 양 측면에 대응하도록 플랫폼 층(120b)에 형성되며, 고리부(174b)의 회동을 제한한다. 결속된 걸림부(172b) 및 고리부(174b)가 경사 가이드(126b)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사면(127b)을 통과하게 되고, 가이드 바(176b)가 경사면(127b)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부(172b) 및 고리부(174b)가 상호 해제된다. The inclined guide 126b is formed in the platform layer 120b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parking plate 155b, and limits the rotation of the ring portion 174b. The engaged locking portion 172b and the hook portion 174b move along the inclined guide 126b to pas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27b, and the guide bar 176b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7b and in the locked portion 172b. ) And the ring portion 174b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따라서, 후방에 위치한 주차판은 플랫폼 층의 입구에 남게 되고, 입구측에 위치한 주차판은 팔레트 장치 상으로 이송된다.Thus, the parking plate located at the rear remains at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floor, and the parking plate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is transferred onto the pallet device.

실시예 3Example 3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 및 팔레트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parking facility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tform layer and the palle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상하로 회동하는 고리부(174c) 및 그에 대응하는 걸림부(172c) 및 경사 가이드(126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주차설비(100)와 비교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ng portion 174c that rotates up and down, and a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172c and a slope guide 126c, but other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parking facility 100 of the example, it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에서 주차판 연결부재(170c)는 걸림부(172c) 및 고리부(174c)를 포함한다.10 and 11, in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170c includes a locking portion 172c and a ring portion 174c.

걸림부(172c)는 주차판(155c)의 저면 전단부 중앙에 형성되며, 걸림부(172c)에 대응하여 고리부(174c)는 주차판(155c)의 저면 후단부 중앙에 장착된다. 고리부(174c)는 중력 또는 탄성에 의해서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아래를 향하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하방을 향해 벌어져 있다.The locking portion 172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parking plate 155c, and the ring portion 174c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rear end of the parking plate 155c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ortion 172c. Since the ring portion 174c has a tendency to move downward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due to gravity or elasticity, the ring portion 174c forms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and opens downward.

또한, 고리부(174c)의 단부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고리편이 돌출 형성되어 L-자 형상의 고리부(174c)를 형성하며, 고리부(174c)가 주차판(155c)을 향하도록 이동하면서 고리부(174c)는 경사 가이드(126c)를 타고 상승하면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고리편은 인접한 다른 주차판(155c)의 걸림부(172c)와 결속된다.In addition, the ring piece protrudes upward from the end of the ring portion 174c to form an L-shaped ring portion 174c, and the ring portion 174c is moved while moving toward the parking plate 155c. The portion 174c is rotated upward while rising by the inclined guide 126c, and the r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72c of another adjacent parking plate 155c.

플랫폼 층에서 주차공간의 저면에는 고리부(174c)에 대응하여 경사 가이드(126c)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주차공간의 저면에 고리부(174c)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고, 홈의 양단은 더욱 깊게 절삭되어 정면을 향하는 경사면(127c)을 형성한다. 고리부(174c)에 대응하여 경사 가이드(126c)의 경사면(127c)가 주차공간의 입구측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An inclined guide 126c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parking sp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ring portion 174c. Specifically,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174c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arking space, and both ends of the groove are cut deeper to form an inclined surface 127c facing the front. The inclined surface 127c of the inclined guide 126c is formed adjacent to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174c.

주차판 이송장치는 입구측 주차판(155c)을 인출하기 위해 주차판(155c)을 전체적으로 이송하며, 이때 상호 결속된 걸림부(172c) 및 고리부(174c)도 같이 팔레트 장치를 향해 이송된다.The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transfers the parking plate 155c as a whole to draw out the entrance parking plate 155c, and the locking parts 172c and the hook portion 174c, which are mutually bound, are also conveyed toward the pallet device.

상호 결속된 부분이 경사면(127c)을 통과하면서 고리부(174c)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고리부(174c)가 걸림부(172c)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입구측에 위치한 주차판(155c)이 팔레트 장치(130c) 상으로 이송하면서 걸림부(172c) 및 고리부(174c) 사이의 결속은 해제되고, 안쪽에 위치한 주차판(155c)은 분리된 후에 플랫폼 층(120c)의 입구에 위치한다.The ring portion 174c is rotated downward while the mutually bound portions pas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27c, and the ring portion 174c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172c. Therefore, while the parking plate 155c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is transferred onto the pallet device 130c, the binding between the locking portion 172c and the hook portion 174c is released, and the parking plate 155c located inside is separated. Located at the inlet of platform layer 120c.

실시예 4Example 4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12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parking facility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A and 13B illustrate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t is a partial enlarged view.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좌우로 벌어지는 고리부(274) 및 그에 대응하는 걸림부(272), 스프링(277) 및 가이드(278)을 포함하는 것을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을 제1 실시예의 주차설비(100)와 비교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ring portion 274 that extends from side to side and a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272, a spring 277, and a guide 278. Compared with the parking facility 100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판 연결부재(270)는 걸림부(272), 고리부(274), 롤러(276), 스프링(277) 및 가이드(27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270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locking portion 272, a ring portion 274, a roller 276, a spring 277, and a guide 278. Include.

걸림부(272)는 주차판(255)의 저면 전단부 중앙에 형성되며, 입구보다 내부가 더 넓으며 좌우 대칭을 형성한다. 걸림부(272)에 대응하여 주차판(255)의 저면 후단부 중앙에는 고리부(274)가 장착된다. The locking part 27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plate 255, and has a wider interior than the entrance and forms symmetry. The ring part 274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plate 255 in response to the locking part 272.

고리부(274)의 단부에는 고리편이 형성되어 고리부(274)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편이 바깥을 향하도록 2개의 고리부(274)가 맞닿아 주차판(255)의 저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된다. 이때, 고리부(274)의 외측 및 주차판(255)의 수용부 사이에는 스프링(277)이 제공되며, 고리부(274) 및 고리편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78)가 좌우 방향으로 장착된다. 가이드(278)에는 슬릿 형상의 홈 또는 홀이 형성되며, 고리부(274)의 가이드 돌기(274a)가 가이드(278)의 홈 또는 홀을 따라 이동하여 고리부(274)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따라서, 고리부(274)는 주차판(255)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하며, 스프링(277)에 의해서 중앙에 모이려는 경향을 갖는다.At the end of the ring portion 274, a ring piece is formed so that the ring portion 274 is formed in an L-shape, and two ring portions 274 abu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plate 255 so that the ring piece faces outward. It is mounted to the formed receiving portion. At this time, a spring 277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ring portion 274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arking plate 255, the guide 278 for guiding the moving path of the ring portion 274 and the ring pie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mounted. The guide 278 is formed with a slit-shaped groove or hole, the guide protrusion 274a of the ring portion 274 moves along the groove or hole of the guide 278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ing portion 274. Accordingly, the ring portion 274 moves in a straight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rking plate 255 and tends to be collected at the center by the springs 277.

플랫폼 층의 바닥면에는 경사 가이드(226)가 형성된다. 경사 가이드(226)는 플랫폼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플랫폼 층의 입구측으로 쐐기형의 단부를 갖는다. 경사 가이드(226)은 고리부(274)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경사 가이드(226)의 쐐기형 단부는 좌우 대칭인 경사면(227)을 갖는다.An inclined guide 22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layer. The inclined guide 226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form layer and has a wedge shaped end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platform layer. The inclined guide 226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274, and the wedge-shaped end of the inclined guide 226 has an inclined surface 227 which is symmetrical.

상기 경사 가이드(226)에 대응하여 주차판(255)의 저면에는 경사 가이드(226)를 통과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271)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271)은 주차판(255)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주차판(255)이 이동하면서 경사 가이드(226)는 가이드 홈(271)을 통과하게 된다. 이외에도 주차판(255)의 저면에는 이동 휠(258)이 장착되어 주차판(255)은 플랫폼 층 상의 레일을 따라 일정 경로를 움직인다. 주차판 이송장치(260)는 제1 피니언장치(262), 제2 랙(264a)이 형성된 이송플레이트(264) 및 제2 피니언장치(266)를 포함하며, 주차판 이송장치(260)는 주차판(255)의 저면에 형성된 제1 랙(257)과 상호 작동하여 주차판(255)을 이송한다.A guide groove 271 for passing the inclined guide 226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plate 255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guide 226. The guide groove 271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arking plate 255, and the inclined guide 226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271 while the parking plate 255 moves.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parking plate 255 is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258 so that the parking plate 255 moves a predetermined path along the rail on the platform layer. The parking plate feeder 260 includes a first pinion device 262, a transfer plate 264 on which a second rack 264a is formed, and a second pinion device 266, and the parking plate feeder 260 is parked. The parking plate 255 is transported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rack 257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late 255.

이하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주차판 연결부재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도 13a를 참조하면, 2개의 고리부(274)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 있으며, 주차판(255)의 후단이 다른 주차판(255)의 전단에 접근한다. 여기서 고리부(274) 사이에는 스프링(277)에 의한 압력이 형성되며, 고리부(274)의 가이드 돌기(274a)는 가이드(278)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Referring to FIG. 13A, two ring portions 27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ear end of the parking plate 255 approaches the front end of the other parking plate 255. Here, the pressure is formed by the spring 277 between the ring portion 274, the guide protrusion 274a of the ring portion 274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guide 278.

또한, 다른 주차판(255)의 전단에는 걸림부(272)가 형성되고, 그 걸림부(272)에 인접하게 경사 가이드(226)의 쐐기형 단부가 배치된다. In addition, at the front end of the other parking plate 255, a locking portion 272 is formed, and the wedge-shaped end of the inclined guide 22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cking portion 272.

도 13b를 참조하면, 주차판(255)가 다른 주차판(255)의 전단에 접근할 때, 고리부(274)는 걸림부(272)의 입구를 통과하여 경사 가이드(226)의 단부에 접촉한다.Referring to FIG. 13B, when the parking plate 255 approaches the front end of the other parking plate 255, the hook portion 274 passe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locking portion 272 to contact the end of the inclined guide 226. do.

경사 가이드(226)의 뾰족한 단부가 고리부(274) 사이로 파고 들면서 고리부(274) 간의 거리를 멀어지고, 고리부(274)가 벌어져 고리편이 걸림부(272) 안쪽에 결속된다.As the pointed end of the inclined guide 226 digs between the ring portions 274, the distance between the ring portions 274 is increased, and the ring portions 274 are opened so that the ring piece is bound inside the locking portion 272.

경사 가이드(226)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고리부(226)의 접촉면에는 롤러(276)이 형성되며, 고리부(274)가 상호 벌어져 있는 동안 경사 가이드(226) 및 고리부(274)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inclined guide 226, a roller 276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226,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inclined guide 226 and the annular portion 274 while the annular portions 274 are open to each other. Can be reduced.

반대로 주차판(255)을 플랫폼 층에서 팔레트 장치로 이송하면서, 벌어진 고리부(274)는 경사 가이드(226)를 타고 원위치로 모이게 되고, 고리편 및 걸림부(272) 간의 결속이 해제되어 주차판 연결 부위가 분리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ile conveying the parking plate 255 from the platform floor to the pallet device, the opened loop portion 274 is gathe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inclined guide 226, the binding between the ring piece and the locking portion 272 is released, the parking plate The linking site can be separated.

실시예 5Example 5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타워 구조체(310), 팔레트 장치(330) 및 수직이송장치(340)를 포함하며, 차량을 이송하기 위해 주차판,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판,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 연결부재는 이전 실시예들의 주차판(155~155c), 주차판 이송장치(160) 및 주차판 연결부재(170~17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관해서는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tower structure 310, a pallet device 330 and a vertical transport device 340, and further includes a parking plate,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and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Include. The parking plat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and parking plate connection member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re the parking plate 155 to 155c,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160 and the parking plate connection member 170 to 170c of the previous embodiment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According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vious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hese, and repeate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14를 참조하면, 타워 구조체(310)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320)을 포함하며, 플랫폼 층(320)에 의해서 다층형의 구조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tower structure 310 includes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320 and forms a multi-layered structure by the platform layers 320.

플랫폼 층(320)에는 전후 방향으로 2개의 주차공간(PR)이 직렬로 배치되며, 차량은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하여 주차공간(PR)에 입고된다. 차량 자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상기 주차공간(PR)에 입고되기 위해서 주차판,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별도의 차량이송부재를 이용한다.Two parking spaces PR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platform layer 320, and the vehicle is moved into the parking spaces P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vehicle itself cannot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separate vehicle transport member including a parking plate, a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is used to receive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PR.

팔레트 장치(330)는 차량을 적재하여 목적된 플랫폼 층 또는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이송한다. 팔레트 장치(330)는 타워 구조체(310)의 정면에 배치되며, 타워 구조체(310)의 정면에서 제공되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3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The pallet device 330 loads the vehicle and transfers the vehicle to the desired platform floor or the desired parking space. The pallet device 33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310 and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frame 316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310.

수직 가이드 프레임(316)의 내측에는 상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팔레트 장치(330)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316)의 홈에 수용되어 팔레트 장치(330)를 안내하기 위한 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수개의 롤러가 팔레트 장치(3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일렬로 장착되고, 롤러가 수직 가이드 프레임(316)의 홈에 수용되어 팔레트 장치(330)의 이동을 안내하고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Groov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guide frame 316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pallet device 330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of the vertical guide frame 316 to guide the roller device 330 (not shown). It includes. Several rollers are rotatably mounted at the ends of the pallet apparatus 330, and the rollers are accommodated in the grooves of the vertical guide frame 31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allet apparatus 330 and to suppress the shaking.

팔레트 장치(330)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340)가 타워 구조체(310)에 장착된다. 수직이송장치(340)는 구동장치(342), 가이드 부재 및 와이어 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는 와이어 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 프레임(344), 제1 가이드 풀리(346-1) 및 제2 가이드 풀리(346-2)를 포함한다. 와이어 부재는 기본적으로 구동장치(342)와 팔레트 장치(330)의 제1 연결지점(334-1) 및 제2 연결지점(334-2)을 연결하며, 제1 와이어(348-1), 제2 와이어(348-2), 균형 와이어(348-3) 및 균형추(349)를 포함한다.The vertical transfer device 340 for transferring the pallet device 330 up and down is mounted to the tower structure 310.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340 includes a drive device 342, a guide member and a wire member. The guide member is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ire member and includes a guide frame 344, a first guide pulley 346-1, and a second guide pulley 346-2. The wire member basically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oint 33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int 334-2 of the driving device 342 and the pallet device 330. Two wires 348-2, a balance wire 348-3, and a balance weight 349.

구동장치(342)는 타워 구조체(3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The driving device 342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tower structure 310, an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by using a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구동장치(342)의 단부에는 구동풀리(343)가 좌우 양측 또는 어느 한측에 장착되며, 구동풀리(343)에는 제1 및 제2 와이어(348-1, 348-2)가 부분적으로 권취되어 구동풀리(343)의 회전과 함께 이동한다. Drive pulleys 343 are mounted at left and right sides or at either end of the drive unit 342,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348-1 and 348-2 are partially wound on the drive pulleys 343 and driven. It moves with the rotation of the pulley 343.

가이드 프레임(344)은 타워 구조체(310)의 정면 상단에 장착되며, 대략 차량의 폭 길이만큼 정면 상단으로부터 정면을 향해 돌출된다. 가이드 프레임(344) 및 타워 구조체(310)의 연결 부위에 인접하게 제1 가이드 풀리(346-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워 구조체(310)로부터 대략 차량의 폭만큼 이격되어 제2 가이드 풀리(346-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guide frame 344 is mounted on the front top of the tower structure 310 and protrudes from the front top to the front by approximately the width of the vehicle. The first guide pulley 346-1 is rotatably mount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guide frame 344 and the tower structure 3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tower structure 310 by approximately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thus the second guide pulley. 346-2 is rotatably mounted.

제1 와이어(348-1)는 구동풀리(343)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 풀리(346-1)를 경유하여 팔레트 장치(330)의 제1 연결지점(334-1)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와이어(348-2)도 역시 구동풀리(343)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 풀리(346-2)를 경유하여 팔레트 장치(330)의 제2 연결지점(334-2)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first wire 348-1 is wound on the driving pulley 343,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int 334-1 of the pallet apparatus 330 via the first guide pulley 346-1. Connect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wire 348-2 is also wound on the driving pulley 34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348-2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pulley 346-2. 2) is connected.

즉, 제1 와이어(348-1)는 타워 구조체(31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가이드 풀리(346-1)를 경유하여 팔레트 장치(330) 및 타워 구조체(310)의 연결 부위에 인접한 제1 연결지점(334-1)에 연결되고, 제2 와이어(348-2)는 타워 구조체(31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2 가이드 풀리(346-2)를 경유하여 제2 연결지점(334-2)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풀리(346-1, 346-2) 사이의 간격은 제1 및 제2 연결지점(334-1, 334-2)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 및 제2 와이어(348-1, 348-2)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지점(334-1, 334-2)을 거의 수직하게 지지한다.That is, the first wire 348-1 is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allet device 330 and the tower structure 310 via the first guide pulley 346-1 relatively close to the tower structure 310. The second wire 348-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334-1, and the second wire 348-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int 334-2 via the second guide pulley 346-2 relatively far from the tower structure 310. Is connect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ulleys 346-1 and 346-2 is spaced apart by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ints 334-1 and 334-2,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 348-1 and 348-2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ints 334-1 and 334-2, respectively, almost vertically.

제1 및 제2 와이어(348-1, 348-2)에 대향하게 구동풀리(343)에는 균형 와이어(348-3)가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균형 와이어(348-3)의 단부에는 균형추(349)가 장착된다. 균형추(349)는 자체 무게로 팔레트 장치(330) 및 차량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으며, 팔레트 장치(330) 및 차량을 안정적으로 정지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동장치(342)에 발생하여야 하는 최소한의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 balancing wire 348-3 extends rearward to the drive pulley 343 opposite the first and second wires 348-1 and 348-2, and a balance weight at an end of the balancing wire 348-3. 349) is mounted. The counterweight 349 can offset the weight of the pallet device 330 and the vehicle by its own weight, can stably stop and move the pallet device 330 and the vehicle, and must be generated at the driving device 342. Can reduce the driving force.

제1 및 제2 와이어(348-1, 348-2)에 의해서 팔레트 장치(330)의 제1 및 제2 연결지점(334-1, 334-2), 즉 총 4개의 지점이 지지된다. 즉, 제1 및 제2 연결 지점(334-1, 334-2)은 팔레트 장치(330)의 각각 좌우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 연결 지점(334-1, 334-2)에서 팔레트 장치의 전방 및 후방이 지지되어 총 4개의 지점이 지지된다. 따라서, 팔레트 장치(330)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팔레트 장치(330)를 지지하는 힘이 4개로 분산되어 각 와이어에 적용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 사고 방지 및 와이어 수명의 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ires 348-1, 348-2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ints 334-1, 334-2, that is, a total of four points of the pallet device 33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ints 334-1 and 334-2 are dispos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llet apparatus 330, respectively, and the pallet device 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ints 334-1 and 334-2. The front and rear of are supported so that a total of four points are supported. Therefore, the pallet apparatus 330 is stably supported, and the force supporting the pallet apparatus 330 is distributed to four, thereby reducing the force applied to each wire,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increasing wire life. The effect can be obtained.

실시예 6Example 6

도 15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 15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는 타워 구조체(410), 팔레트 장치(430) 및 수직이송장치(440)를 포함하며, 차량을 이송하기 위해 주차판,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판, 주차판 이송장치 및 주차판 연결부재는 이전 실시예들의 주차판(155~155c), 주차판 이송장치(160) 및 주차판 연결부재(170~170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관해서는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tower structure 410, a pallet device 430 and a vertical transport device 440,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plate,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and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Include. Parking plate,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and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arking plate (155 ~ 155c), parking plate transporting device 160 and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170 ~ 170c) of the previous embodiment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According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vious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hese, and repeate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15를 참조하면, 타워 구조체(410)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420)을 포함하며, 플랫폼 층(420)에 의해서 다층형의 구조가 제공된다. 각 플랫폼 층(420)에는 전후 방향으로 2개의 주차공간이 직렬로 배치되며, 차량은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차공간에 입고 및 출고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tower structure 410 includes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420, and the multi-layered structure is provided by the platform layers 420. Two parking spaces are arranged in series in each of the platform layers 4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vehicle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e put into and out of the parking space.

팔레트 장치(430)는 차량을 적재하며, 차량과 함께 수직으로 이송되어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동하거나 수평하게 이송되어 동일 플랫폼 층의 다른 주차공간 배열로 이동한다. 팔레트 장치(430)는 타워 구조체(410)의 정면에 배치되며, 타워 구조체(410)의 정면에서 제공되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4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팔레트 장치(430)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436)이 제공되며, 상부 프레임(436)의 중심에는 와이어(448)와 연결되는 연결지점(434)이 형성된다. 팔레트 장치(430)는 연결지점(434)을 통해 와이어(448)와 연결되며, 와이어(448)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한다.The pallet device 430 loads a vehicle and is moved vertically with the vehicle to move to the desired platform floor or horizontally to move to another parking space arrangement of the same platform floor. The pallet device 43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41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frame 416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410. In addition, an upper frame 436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llet apparatus 430, and a connection point 434 connected to the wire 44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436. The pallet device 430 is connected to the wire 448 through the connection point 434, and moves up and down by the wire 448.

팔레트 장치(430)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440)가 타워 구조체(410)에 장착되며, 수직이송장치(440)는 구동장치(442), 구동풀리(443), 가이드 풀리(446), 와이어(448) 및 균형추(449)를 포함한다.A vertical transfer device 440 for transferring the pallet device 430 up and down is mounted to the tower structure 410, and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440 includes a drive device 442, a drive pulley 443, and a guide pulley 446. ), Wire 448 and counterweight 449.

구동장치(442)는 타워 구조체(410)의 상단에 장착되며, 구동장치(442)의 단부에는 구동풀리(443)가 장착되며, 구동풀리(443)는 구동장치(442)의 축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감속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The drive unit 442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tower structure 410, the drive pulley 443 is mounted to the end of the drive unit 442, the drive pulley 44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drive unit 442 It can be connected, or alternatively it can be connected indirectly via a speed reducer.

구동풀리(443)에는 와이어(448)가 연결되며, 와이어(448)는 타워 구조체(410)의 정면에 위치한 팔레트 장치(430)의 상부 프레임(436)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448)는 상부 프레임(436)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지점(434)에 연결되며, 연결지점(434)에 대향하여 와이어(448)는 타워 구조체(41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균형추(449)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균형 와이어는 와이어(448)와 일체로 형성되며, 와이어(448)는 구동풀리(443)에 부분적으로 권취되어 결속된다.A wire 448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443, and the wire 448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436 of the pallet device 430 located in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410. Specifically, the wire 448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434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436, and the wire 448 extends to the rear surface of the tower structure 410 opposite to the connection point 434, so that the balance weight ( 449).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balance wir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ire 448, and the wire 448 is partially wound on the driving pulley 443 and bound.

균형추(449)는 자체 무게로 팔레트 장치(430) 및 적재된 차량의 무게를 부분적으로 상쇄할 수 있으며, 팔레트 장치(430) 및 차량을 안정적으로 정지 및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unterweight 449 may partially offset the weight of the pallet apparatus 430 and the loaded vehicle by its own weight, and stably stop and move the pallet apparatus 430 and the vehicle.

도 16은 제6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16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주차설비는 타워 구조체(510), 팔레트 장치(530) 및 수직이송장치(5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6, the parking facility includes a tower structure 510, a pallet device 530, and a vertical transfer device 540.

타워 구조체(510)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520)을 제공하며 다층형의 구조를 형성한다. 팔레트 장치(530)는 상부 프레임(536) 및 연결지점(534)을 포함하며, 팔레트 장치(530)는 타워 구조체(510)의 정면에 배치된다. Tower structure 510 provides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520 and forms a multi-layered structure. The pallet device 530 includes an upper frame 536 and a connection point 534,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510.

타워 구조체(510)의 정면에서는 팔레트 장치(530)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여 수직 가이드 프레임(516a, 516b)가 제공되며, 팔레트 장치(530)는 수직 가이드 프레임(516a, 516b)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In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510, vertical guide frames 516a and 516b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of the pallet apparatus 530, and the pallet apparatus 53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frames 516a and 516b. do.

팔레트 장치(530)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540)가 타워 구조체(510)에 장착되며, 수직이송장치(540)는 구동장치(542), 구동풀리(543), 와이어(548) 및 균형추(549)를 포함한다.A vertical transfer device 540 for vertically transferring the pallet device 530 is mounted to the tower structure 510, and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540 includes a drive device 542, a drive pulley 543, and a wire 548. And counterweight 549.

수직 가이드 프레임(516a, 516b)가 팔레트 장치(530)를 4개 지점에서 가이드 하기 때문에, 팔레트 장치(530)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송될 수 있다.Since the vertical guide frames 516a and 516b guide the pallet apparatus 530 at four points, the pallet apparatus 530 can be conveyed up and down more stably.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는 차량 및 팔레트 장치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차량을 목적된 주차공간에 신속하게 입고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출고할 수 있다. Park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support the vehicle and the pallet device, can quickly put the vehicle in the intended parking space, can be shipped quickly.

또한, 주차판을 이용하여 차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다. 팔레트 장치에 장착된 주차판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주차판을 이송하기 때문에 플랫폼 층에는 별도로 차량 또는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동력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2 이상의 주차판을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차량의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board can be used to safely and quickly load and unload the vehicle. Since the parking plate is transported by using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mounted on the pallet uni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power unit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or the parking plate separately on the platform floor, and the vehicle is moved by selectively binding two or more parking plates. Can be done quick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일 플랫폼 층 및 팔레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one platform layer and a pallet apparatus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주차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king plate of the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에서 걸림부 및 고리부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들이다.4A and 4B are partially enlarged plan views illustrating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in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5A to 5C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1 실시예의 주차판 이송장치와 유사한 다른 주차판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similar to the parking plate convey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king facility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들이다.8A and 8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10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parking facility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층 및 팔레트 장치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form layer and palle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 및 주차판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12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parking facility and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차판 연결부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들이다.13A and 13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 15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제6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의 측면도이다.16 is a side view of a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주차설비 110:타워 구조체100: parking lot 110: tower structure

120:플랫폼 층 130:팔레트 장치120: platform layer 130: pallet device

140:수직이송장치 150:차량이송부재140: vertical conveying device 150: vehicle conveying member

155:주차판 160:주차판 이송장치155: Parking plate 160: Parking plate feeder

170:주차판 연결부재170: Parking plate connection member

Claims (20)

복수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타워 구조체;A tower structure providing a plurality of platform layers; 상기 타워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며, 적재된 차량을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이송하는 팔레트 장치;A pallet device moving along the tower structure and transferring a loaded vehicle between the platform floors; 상기 팔레트 장치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이송장치;A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the pallet apparatus up and down; 상기 차량을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에 이송되는 주차판;A parking plate for loading the vehicle and being transported between the pallet apparatus and the platform floor; 상기 주차판을 이송하기 위한 주차판 이송장치; 및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arking plate; And 상기 주차판에 장착되어 인접한 다른 주차판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주차판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A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mounted to the parking plate and selective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parking plate, 상기 주차판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주차판에 결속된 상기 인접한 다른 주차판은 상기 주차판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And another adjacent parking plate bound to the parking plate by 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park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차판 이송장치는 The parking plate transfer device 상기 팔레트 장치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제1 피니언장치;A first pinion device partially accommod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llet device;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피니언 장치에 의해서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플레이트; 그리고A conveying plate provided on the pallet apparatus and slidingly moved on the pallet apparatus by the first pinion apparatus; And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일 단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제2 피니언 장치를 포함하며,A second pinion device partially receiv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plate; 상기 제2 피니언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판의 저면에는 제1 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니언장치 및 상기 제1 랙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주차판이 상기 플랫폼 층 및 상기 팔레트 장치 간에 이송되며,A first rack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nion device, and the parking plate is transferred between the platform layer and the pallet device by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pinion device and the first rack. 상기 제1 피니언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2 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니언장치 및 상기 제2 랙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가 상기 팔레트 장치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A second rack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nion device, and the transfer plate slides on the pallet device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pinion device and the second rack. Parking facilitie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주차판에 밀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 피니언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판의 모서리 저단부에는 피니언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니언 장치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피니언 경사면에 의해서 상하로 위치가 조정되어 상기 제2 피니언 장치가 상기 제1 랙에 용이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A portion of the transfer plate is elastically suppor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king plate, and a pinio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corner bottom end of the park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nion device, and the second pinion device and the transfer plate And a portion thereof is adjusted up and down by the pinio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econd pinion device is easily engaged with the first rack.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팔레트 장치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 사이에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pallet device and the transfer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a portion of the transfer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차판 연결부재는 상기 주차판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 및The parking plat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parking plate; And 상기 걸림부에 대향하게 상기 주차판의 타단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고리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ring portion movably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plate facing the locking portion,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고리부에 대응하여 경사면을 제공하는 경사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가 상기 경사 가이드를 통과하면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리부가 이동하면서 상기 주차판에 인접한 다른 주차판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latform layer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guide that provide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portion, and the annular portion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guide, and the annular portion moves to the parking plat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vely engaged with or released from the engaging portion of the other adjacent parking plat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주차판 일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고리부는 상기 주차판 타단의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결속되기 위해 내측을 향하여 고리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parking plate, and the ring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plat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at the end of the ring portion.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iece is formed toward the insi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주차공간의 좌우로 상기 고리부에 대응하여 상기 경사 가이드가 상기 주차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차공간의 입구측에 인접하게 상기 경사 가이드의 단부에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latform layer is provided with a park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rking plate, and the inclined guid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rking space, and is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spac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inclined guid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주차판 일단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고리부는 상기 주차판 타단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결속되기 위해 상방을 향하여 고리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parking plate, and the ring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at an end of the parking portion.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iece is form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고리부에 대응하여 상기 경사 가이드가 상기 주차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차공간의 입구측에 인접하게 상기 경사 가이드의 단부에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latform layer is provided with a park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rking plate, and the inclined guid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ring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parking space, an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spac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inclined guid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주차판 일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고리부는 상기 주차판 타단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결속되기 위해 하방을 향하여 고리편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의 외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가이드 바가 형성되고,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parking plate, and the ring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plate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ortion. A ring piece is formed downward, and a guide ba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ing portion toward the outside.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주차공간의 좌우로 상기 가이드 바에 대응하여 상기 경사 가이드가 상기 주차공간의 입구측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 가이드의 전후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latform layer is provided with a park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rking plate, and the inclined guide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rk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guide bar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inclined surface is before and after the inclined guide. Park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direction.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상기 고리부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ring portion includes a spring, the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elastically with respect to the parking plate.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상기 고리부는 상기 경사 가이드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면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ark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er mounted on the contact surface to reduce the friction with the inclined guid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주차판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입구보다 그 내부가 넓고,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arking plate, the locking portion is wider than the entrance,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고리부는 단부에 돌출 형성된 고리편, 상기 고리편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고리편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편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주차판의 타단에 배치되고,In response to the locking portion, the ring portion includes a ring piece protruding at an end portion, a spring for returning the ring piece to an initial state, and a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ring piec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plate so as to face outward;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주차판을 수용하기 위한 주차공간이 제공되며, 쐐기 형상의 상기 경사 가이드가 상기 주차공간의 입구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들이 상기 경사 가이드를 통과하면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리부들이 상기 걸림부 입구를 통과하면서 벌어져 상기 걸림부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latform layer is provided with a park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rking plate, the inclined guide having a wedge shape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 r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guide. And the ring portions are open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of the hook portion and are coupled to the hook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고리부들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고리부는 접촉면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And the ring portion includes a roller mounted to the contact surface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ring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직이송장치는 상기 타워 구조체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팔레트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팔레트 장치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와이어 부재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vertical transfer device is a drive device mounted on the tower structure; A wire member connecting the driving device and the pallet device to transmit a driving force for transporting the pallet device up and down;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ire member.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와이어 부재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풀리에 부분적으로 결속되며, The wire member includes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the first and second wire is partially bound to the drive pulley of the drive device,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타워 구조체의 상부 정면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타워 구조체로부터 각기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제1 가이드 풀리 및 제2 가이드 풀리를 포함하며,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guide frame installed at an upper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a first guide pulley and a second guide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tower structure at different distances, and mounted to the guide frame.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팔레트 장치의 제1 및 제2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ints of the pallet apparatus via the first and second guide pulleys, respectively.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풀리에 부분적으로 결속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The wire member includes a wire partially bound to the drive pulley of the drive device,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타워 구조체의 상부 정면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타워 구조체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가이드 풀리를 포함하며, The guide member includes a guide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tower structure, a guide pulley mounted to the guide fram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wer structure,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팔레트 장치의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And the wire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int of the pallet device via the guide pulley.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팔레트 장치는 상기 적재되는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pallet apparatus includes an upper frame positioned above the loaded vehicle, and the connection point is located in the upper frame so that the wire supports the upper frame.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수직이송장치는 적어도 3개의 수직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팔레트 장치와 결속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vertical transport apparatus includes at least three vertical guide frames, wherein the vertical guide frame is coupled with the pallet devic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allet devic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수직이송장치는 상기 와이어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결속된 균형 와이어 및 상기 균형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팔레트 장치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부분적으로 상쇄하기 위한 균형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The vertical transport apparatus includes a balance wire coupled to the driv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wire member and a balance weight mounted at an end of the balance wire to partially offset the load applied from the pallet device. equipment.
KR1020030080050A 2003-11-13 2003-11-13 Parking equipment KR200500460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50A KR20050046071A (en) 2003-11-13 2003-11-13 Park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050A KR20050046071A (en) 2003-11-13 2003-11-13 Park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071A true KR20050046071A (en) 2005-05-18

Family

ID=3724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050A KR20050046071A (en) 2003-11-13 2003-11-13 Park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60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2110A (en) * 2016-04-27 2016-08-03 王洋 Two-position sensor for clamping ar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2110A (en) * 2016-04-27 2016-08-03 王洋 Two-position sensor for clamping arms
CN105822110B (en) * 2016-04-27 2018-05-18 王洋 A kind of clamping limb dibit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87B1 (en) Pallet Parking Equipment
JP2007038896A (en) Carriage type transport device
JP5293999B2 (en) Stacker crane and goods storage equipment
JP2007302242A (en) Truck type conveying device
JP4507014B2 (en) Conveyor using sliding bed
KR20050046071A (en) Parking equipment
JP5170543B2 (en) Stacker crane and goods storage equipment
CN113291689A (en) Lifting machine and warehousing system
KR101529959B1 (en) Garage for Removable automation bicycle
JP3902893B2 (en) Vehicle direction change device and mechanical parking device
JP5046040B2 (en) Stacker crane and goods storage equipment
JP3545539B2 (en) Pallet fall prevention device for mechanical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JP3786346B2 (en) Automated warehouse with three-way stacker crane
US20230243173A1 (en) Automated parking floor conveyor systems
JP5618168B2 (en) Stacker crane and goods storage equipment
KR101586695B1 (en) Carriage
JP2649739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JP4465125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KR20050122548A (en) Multi-story parking system
JP2007146515A (en) Pallet locking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device
KR100632390B1 (en) Moving-type parking device
KR20050041232A (en) Parking equipment
KR930006344B1 (en) Elevator-type parking apparatus
JP2000352214A (en) Multistory parking garage
JP2022187785A (en) Convey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