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568A -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 Google Patents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568A
KR20050043568A KR1020030078501A KR20030078501A KR20050043568A KR 20050043568 A KR20050043568 A KR 20050043568A KR 1020030078501 A KR1020030078501 A KR 1020030078501A KR 20030078501 A KR20030078501 A KR 20030078501A KR 20050043568 A KR20050043568 A KR 20050043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artificial
cephalopod
natural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102003007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568A/ko
Publication of KR2005004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연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자연산 패각형태로 성형한 인공패각에 관한 것인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성형하기 용이하게 패각을 분할하여 두개의 몸체로 구성한 분할형 인공패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은 합성수지재로 된 소라와 같은 패각형태의 두족류 연체동물 인공포획구를 제공하되, 하나의 몸체로만 형성하지 않고 두개의 분할된 몸체로 성형하여 이들 분할된 두 몸체를 조립하여 구성하므로서 인공포획구의 내부공간을 자연산과 같이 나선상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데 그 구성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Conchoidal artificial dividable body for fishing octopus}
본 발명은 두족류 연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자연산 패각형태로 성형한 인공패각에 관한 것인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성형하기 용이하게 패각을 분할하여 두개의 몸체로 구성한 분할형 인공패각에 관한 것이다.
쭈꾸미, 낙지 등의 두족류(頭足類, Cephalopoda; 동물분류학상 연체동물에 속하는 한 강)는 연체동물인 관계로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므로 협소한 바위 구멍이나 소라 껍질과 같은 속이 빈 패각 내에 서식하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습성을 가지고 있는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재래적인 방법으로는 천연산 빈 패각을 긴 줄에 매달아 바다 밑바닥에 투하함으로써 이들이 산란이나 은신을 위해 들어가 있을 때 건져 올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천연산 빈 패각은 내부공간이 좁고 쉽게 산화되어 구멍이 나기 때문에 두족류가 잘 유인되지 않으며 일단 포획된 두족류를 빼내는 작업도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천연산 빈 패각은 석회질로 취성을 지니고 있어서 여러 번 반복 사용 시 줄에 매달기 위해 뚫어놓은 구멍부위가 쉽게 손상되어 파손되고, 바닷물에 침전시킨 후 인양 과정에서 서로 부딪치거나 배에 부딪침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다량의 폐각이 사용되고 폐기됨으로 인하여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연산 패각은 자연에서 채취하는 것이므로 그 수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공급이 원활치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79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647호(고안의 명칭 : 두족류(頭足類)의 연체동물 포획구)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 고안은 합성수지로 소라껍질형태를 성형하도록 하고 포획된 쭈꾸미등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입구 쪽에 개폐가 가능한 유동편을 착설한 두족류 연체동물포획구인 것이다.
그러나 소라껍질형태로 성형된 상기 "두족류의 연체동물 포획구"의 외형은 소라껍질 형태를 취하나 내부는 자연산 소라의 형태가 금형 제작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자연산 소라껍질형태를 모방하지 못하고 단순히 입구가 크고 넓은 주머니 형태로 성형되었는데 이같은 형태의 것은 낙지나 쭈꾸미등 두족류 연체동물들이 일단 들어간 후에도 곧바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어획량이 적고 또한 바다 속에서 배 위로 인양하는 과정에서 두족류가 빠져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자연산 소라껍질의 내부형태는 일반적으로 입구부는 단면의 넓이가 크고 넓은데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고 좁아지면서 나선상으로 꼬여 있는 나선상 공간형태를 취한다. 자연산 소라껍질이 두족류의 서식처로 사용되는 이유는 상기와 같이 내부 형태가 나선상을 하고 있어 연체동물인 두족류가 침입자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인공두족류 포획구는 외형은 소라와 같은 자연패각을 모방할 수 있으나 나선상의 내부공간을 성형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되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 인공포획구는 합성수지재로 된 소라와 같은 패각형태의 두족류 연체동물 인공포획구를 제공하되, 하나의 몸체로만 형성하지 않고 두개의 분할된 몸체로 성형하여 이들 분할된 두 몸체를 조립하여 구성하므로서 인공포획구의 내부공간을 자연산과 같이 나선상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데 그 구성적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은 소라형태의 인공패각으로 소라의 몸체를 가로로 자른 형태로 분할 하여 구성한 것인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로 구성하고,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는 서로 조립 또는 접착되어 도 1 과 같은 온전한 패각형태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그 절단면 쪽에서 관찰하면 몸체의 나선벽(11, 21)이 나선상으로 꼬인 형태로 형성되고, 벽의 자유단부는 연장되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을 위한 암수단턱(110, 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암수단턱(110, 210)의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암수 단턱(110, 210)이 서로 조립되어 서로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암수단턱(110, 2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조립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기타 다른 공지의 조립용 구조와,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접착제로 연결 조립하는 것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서 제외하지 않는다.(참고로 도 2의 (a) 및 도 2 의 (b)에는 상기 암수단턱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나선벽(11)과 하부몸체(20)의 나선벽(21)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서로 조립될 때 서로 상합되어 인공패각의 나선벽을 이루어 내부공간이 나선상을 이루도록 하여 자연산 패각과 같은 나선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10)의 단턱이 형성된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측에 뚫린 구멍인 로우프삽입구(도시생략)가 형성되고, 하부몸체(20)의 하단부에도 뚫린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는 공기배출구(도시생략)이다.
상기 공기배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패각이 바다에 투입될 때 내측공간에서 미쳐 빠지지 못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공기 배출구멍이고, 로우프 삽입구는 인공패각이 바다에 투입될 때 서로를 연결하기 위한 로우프를 끼워 넣는 구멍인데, 본 발명에 따른 인공패각은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기에 종래의 자연산 패각과 달리 그 내구성이 크므로 바다에 투입될 때 긴 주(主)로우프에 각 패각을 연결할 때 로우프로 매듭을 지어 연결하지 않고 보다 딱딱한 재질로 된 공지의 후크형 고리로 연결할 수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몸체로 분할되고 분할된 몸체가 서로 조립되어 완전한 패각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적이라 할 것인데, 이는 사출용 금형에 의하여 자연산 패각과 동일하게 외부형태 뿐아니라 내부형태도 자연산 패각과 동일한 나선상으로 꼬인 공간을 갖는 인공패각을 사출성형 가능하게 한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을 구성하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서로 다른 비중의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하되 상부몸체(10)의 비중이 하부몸체(20)의 비중에 비하여 작게 하므로써 본 발명의 인공팩각이 바다에 투입될 때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에 대하여 항상 상부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공팩각의 입구부분이 바다의 바닥에 닿지 않게 하여 낙지등이 쉽게 들어가는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포획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은 종래의 인공패각의 문제점인 내부공간을 자연산 패각과 같이 나선상으로 성형하지 못하기 때문에 낙지나 쭈꾸미 등이 서식하기 적당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낙지등을 포획하기 부적당한 면이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과 같은 인공패각이 수입에 의존하는 자연산 패각에 대하여 수입대체 효과를 갖고, 패각이 필요로 할 때 적기(適期)에 패각을 공급할 수 있는 등 인공패각이 갖는 여러 장점에 불구하고 인공패각이 사용되지 못한 것은 종래의 인공패각이 그 내부공간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낙지등이 서식하기 좋은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인데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은 종래의 인공패각이 갖지 못하였던 나선공간이 형성되므로써 한번 들어간 두족류가 빠져나오지 않아 두족류의 어회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또한 조립가능한 분할형 몸체로 되어 있어 자연패각의 형태를 극히 모사한 형태로 사출되는 사출용 금형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패각은 자연산 패각에 비하여 내구성이 크기에 주(主)로우프에 각 패각을 연결하는 연결용 로우프에 후크형 고리를 사용하여 패각을 고정하므로 패각 연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의 사시도
도 2 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의 상부몸체 사시도
도 2 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의 하부몸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인공패각의 절단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상부몸체 20 : 하부몸체
11, 21 : 나선벽
110, 210 : 암,수 단턱

Claims (3)

  1. 두족류 연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자연산 패각형태로 금형에 의하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인공패각에 있어서, 인공패각의 형태를 두개의 몸체로 분할하되, 패각의 몸체를 좌우로 절단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할 구성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자유단부 쪽에서 관찰하면 몸체의 나선벽이 나선상으로 꼬인 형태로 형성되고, 벽의 자유단부는 연장되어 조립을 위한 암수단턱(110, 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암수단턱(110, 210)의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접하는 상대측 외주면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암수 단턱(110, 210)이 서로 조립되어 서로 걸려 고정되도록 한 분할형 인공패각.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몸체(10)의 비중이 하부몸체(20)의 비중에 비하여 작게 하여 조립된 상태로 인공팩각이 바다에 투입될 때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에 대하여 항상 상부측으로 향하도록 한 분할형 인공패각.
  3. 두족류 연체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자연산 패각형태로 금형에 의하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인공패각에 있어서, 인공패각을 고정하여 주(主)로우프에 연결하는 연결용 로우프에 후크형 고리를 형성하고 인공패각에 형성된 로우프 삽입구에 클립을 끼워 인공패각을 고정하도록 한 인공패각.
KR1020030078501A 2003-11-06 2003-11-06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KR20050043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501A KR20050043568A (ko) 2003-11-06 2003-11-06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501A KR20050043568A (ko) 2003-11-06 2003-11-06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568A true KR20050043568A (ko) 2005-05-11

Family

ID=3724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501A KR20050043568A (ko) 2003-11-06 2003-11-06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5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48B1 (ko) * 2007-08-14 2008-04-08 손장배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KR200446237Y1 (ko) * 2007-11-30 2009-10-09 남용희 조립식 두족류 포획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764Y1 (ko) * 1979-11-05 1980-10-28 황선진 두족류(頭足類)의 연체동물 포획구
KR920004346A (ko) * 1990-08-15 1992-03-27 원본미기재 6-치환된-헥사하이드로벤즈[cd]인돌
KR200179400Y1 (ko) * 1999-12-08 2000-04-15 이중희 두족류 포획을 위한 어구
KR200327169Y1 (ko) * 2003-07-03 2003-09-19 주식회사 케이시알 탄산칼슘 복합재료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 어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764Y1 (ko) * 1979-11-05 1980-10-28 황선진 두족류(頭足類)의 연체동물 포획구
KR920004346A (ko) * 1990-08-15 1992-03-27 원본미기재 6-치환된-헥사하이드로벤즈[cd]인돌
KR200179400Y1 (ko) * 1999-12-08 2000-04-15 이중희 두족류 포획을 위한 어구
KR200327169Y1 (ko) * 2003-07-03 2003-09-19 주식회사 케이시알 탄산칼슘 복합재료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 어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48B1 (ko) * 2007-08-14 2008-04-08 손장배 두족류 포획용 인공패각
KR200446237Y1 (ko) * 2007-11-30 2009-10-09 남용희 조립식 두족류 포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KR100944424B1 (ko) 주꾸미 포획기
KR101533969B1 (ko)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US20230107358A1 (en) Modular fishing-lure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WO2005077163A1 (en) Fishing lure
KR20050043568A (ko)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KR101789797B1 (ko) 양식용 친환경 부자
US20200245601A1 (en) Fishing lures
KR100499560B1 (ko) 두족류 연체동물 포획용 분할형 인공패각
KR200459187Y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0447551Y1 (ko) 쭈꾸미 포획용 통발식 어구
KR20100000457U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179400Y1 (ko) 두족류 포획을 위한 어구
JP2005229824A (ja) ルアー
KR102092371B1 (ko) 다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루어 낚시용 일체형 낚시채비
KR200361101Y1 (ko) 해중림초 세라믹판
KR102640855B1 (ko) 다기능 산란 서식장 어초
US6212817B1 (en) Fly pattern, fabric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20200000425U (ko) 발광체를 구비한 인조미끼
JPH09121719A (ja) 釣 針
CN207461238U (zh) 一种虾形仿生鱼饵
KR20120002977U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0720169B1 (ko) 루어용 다기능 싱커
JP2007205136A (ja) 消波ブロック
KR200411470Y1 (ko) 주꾸미 포획용 통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