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452A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452A
KR20050043452A KR1020030078358A KR20030078358A KR20050043452A KR 20050043452 A KR20050043452 A KR 20050043452A KR 1020030078358 A KR1020030078358 A KR 1020030078358A KR 20030078358 A KR20030078358 A KR 20030078358A KR 20050043452 A KR20050043452 A KR 2005004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olyphenylene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326B1 (ko
Inventor
정인철
이시춘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3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A) (a1)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60∼95 중량부 및 (a2)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 5∼40 중량부로 이루어진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30 중량부,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05∼5 중량부, 및 (D)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3, R4, R6 및 R7은 각각 C6-C 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이고, R5는 C6-C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 아릴기 유도체이며, l은 수평균중합도로서 l의 평균값은 0∼3 이다.)

Description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Flame Ra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블렌드함으로써 난연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PPE 또는 PPO)는 내열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이 뛰어나다. 그러나,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는 수지 단독으로 가공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용성이 좋은 폴리스티렌 수지와 블렌드하여 주로 전자제품의 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와 폴리스티렌의 블렌드는 가공성이 향상되는 반면에 충격강도가 감소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공지기술로는 고무를 포함하는 고무강화 폴리스티렌 수지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수지의 충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테르와 비닐 방향족 중합체의 혼합물(MPPO 수지)은 기계적 성질 뿐만 아니라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과 전기, 전자부품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열도는 높아지나 충격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스티렌계 충격보강재를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에 적용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충격보강재로써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와 블렌드 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난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다른 물성의 저하가 없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와 블렌드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열변형온도와 용융흐름지수가 저하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A) (a1)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60∼95 중량부 및 (a2)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 5∼40 중량부로 이루어진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30 중량부,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05∼5 중량부, 및 (D)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3, R4, R6 및 R7은 각각 C6-C 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이고, R5는 C6-C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 아릴기 유도체이며, l은 수평균중합도로서 l의 평균값은 0∼3 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성분에 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a1)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60∼95 중량부 및 (a2)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 40∼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a1)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에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 중,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의 중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지조성물의 열 안정성이나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25 ℃의 클로로포름 용매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고유점도가 0.2∼0.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a2)로는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t-부틸스티렌 등과 이들의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폴리스테렌 또는 고충격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수지조성물의 열안정성이나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5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조성물은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성분들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한다.
(B)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인계 화합물 난연제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B)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3, R4, R6 및 R7은 각각 C6-C 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이고, R5는 C6-C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 아릴기 유도체이며, l은 수평균중합도로서 l의 평균값은 0∼3 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R3, R4, R6 및 R7은 페닐기 또는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t-부틸, 이소부틸, 이소아밀, t-아밀 등의 알킬기가 치환된 페닐기가 바람직 하며, 이 중 페닐기,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t-부틸기가 치환된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B)은 C6-C3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30 아릴기로부터 유도된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다. 그 바람직한 예로는 레조시놀, 하이드로퀴논 또는 비스페놀-A로부터 유도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B)은 l의 평균값이 0∼3 인 단량체형 또는 올리고머형의 아릴 유도 인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는 l의 평균값이 0, 1, 2 및 3 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단독 혹은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의 경우는 중합공정에서 제조될 때에 각각의 성분들이 이미 혼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각각 별도로 제조된 l값이 다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산에스테르 중에서 l값이 0인 인산 에스테르로는 트리(알킬페닐)포스페이트, 디(알킬페닐)모노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모노(알킬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상기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B)을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0 중량부를 포함한다.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성분 수지와 함께 혼합하여 압출시킬 때, 수지 내에서 섬유상 망상(fibrillar network)을 형성하여 연소시에 수지의 흐름점도를 저하시키고 수축율을 증가시켜서 수지의 적하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C)는 공지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71 ㎏f/㎠의 압력과 0∼200 ℃의 온도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0∼100 ℃ 하에서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 등의 자유라디칼 형성촉매가 들어있는 수성 매질 내에서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C)는 에멀젼(emulsion) 상태 또는 분말(powder)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에멀젼 상태의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면 전체 수지조성물 내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체 수지조성물 내에서 적절히 분산되어 섬유상 망상을 형성할 수 있으면 가능한 분말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C)는 입자 크기가 0.05∼1,000 ㎛이고, 밀도가 1.2∼2.3 g/㎤이다. 그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 수지(C)의 함량은 상기 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이다.
(D)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는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이다.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에 이용되는 고무의 예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상기 디엔계고무를 수소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클로로프렌고무,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삼원공중합체(EPDM)를 들 수 있다. 이 중, 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며 부타디엔계 고무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입자의 평균 크기는 충격강도 및 외관을 고려하여 0.1∼0.5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와 함께 그라프트 중합가능한 단량체 혼합물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이 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1종 이상 도입하는데, 도입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 비닐계와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D)의 전체 성분 중 고무의 중량비는 10∼60 중량부이다. 고무와 그라프트되는 단량체는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90∼99.5 중량부 및 불포화니트릴계 단량체 0.5∼1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그라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적용한다. 또한, 여기에 가공성이나 내열성과 같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의 단량체를 부가하여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 첨가되는 양은 그라프트 수지 전체에 대하여 0∼40 중량부이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 중 고무성분을 제외한 부분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0.5∼10 중량%이다.
본 발명에는 이렇게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인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를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상기의 구성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난연보조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염료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되는 첨가제는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4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조성물은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고온에서 사출되면서 난연성 및 높은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컴퓨터,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 및 내장재 등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페닐렌에테르(PPE)계 수지(A),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B),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C), 및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페닐렌에테르(PPE)계 수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a1)는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의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 P401을 사용하였으며,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a2)로는 대한민국 제일모직(주)의 고충격 폴리스티렌 HI-1190을 사용하였다.
(B)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로 수평균중합도 l 값이 0인 일본 다이하찌사의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를 사용하였다.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미국 듀퐁사의 테프론 7AJ를 사용하였다.
(D)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는 공중합체 중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 중량%인 스티렌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고형분 부타디엔고무 라텍스 50 중량부, 스티렌 47.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부를 첨가하여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올레인산칼륨 1.0부,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머캅탄계 연쇄이동제 0.2부, 포도당 0.4부, 황산철 수화물 0.01부, 피로포스페이트나트륨염 0.3부를 투입하고 5 시간동안 75 ℃를 유지하고 반응을 완료하여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고, 황산을 수지의 고형분에 대해 0.4 중량부를 투입하고 응고시켜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구성성분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의하여 수지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각 구성성분에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를 첨가하여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스크류 L/D 값이 35, Φ값이 45 ㎜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한 후, 사출온도 240 ℃에서 물성과 난연도 측정을 위한 시편을 10 oz 사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을 23 ℃, 상대습도 50 % 하에서 48시간동안 방치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는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1) 난연도
난연도는 UL-94 규정에 준하여 1.6 ㎜ 두께의 시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총연소시간은 시편 5개를 평가하였을 때 1차 및 2차 연소시간을 모두 더한것이다.
(2)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 아이조드 노치 충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kgf·cm/cm이다.
(3) 굴곡강도
굴곡강도는 ASTM D-790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kgf/㎠이다.
(4) 열변형 온도
열변형 온도는 ASTM D-648 규격에 준하여 18.6 kgf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단위는 ℃이다.
(5) 용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는 ASTM D-1238에 준하여 250 ℃에서 10 kgf의 하중으로 평가하였으며 단위는 g/10min 이다.
실시예
1 2 3 4 5
(A)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1) 75 75 75 75 75
(a2) 25 25 25 25 25
(B)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0 12 15 10 10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1 0.1 0.1 0.1 0.1
(D)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3 3 3 5 10
UL 94 난연도 (1/16") V-0 V-0 V-0 V-0 V-0
총연소시간 31 29 27 27 32
충격강도 (1/8") 24 25 23 32 37
굴곡강도 911 915 900 925 895
열변형온도 122 117 112 121 122
용융흐름지수 5.2 6.1 7.0 5.4 4.8
비교실시예 1∼6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의하여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에서는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를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실시예 2∼6에서는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 대신에 스티렌계 충격보강재로 ABA 트리블록형 공중합체인 미국 Shell사의 Kraton G 1651(D')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는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2 3 4 5 6
(A)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1) 75 75 75 75 75 75
(a2) 25 25 25 25 25 25
(B)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0 10 12 15 10 10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1 0.1 0.1 0.1 0.1 0.1
(D') 스티렌계 충격보강재 - 3 3 3 5 10
UL 94 난연도 (1/16") V-0 V-0 V-0 V-0 V-1 V-1
총연소시간 28 40 29 27 54 61
충격강도 (1/8") 17 22 23 25 30 33
굴곡강도 925 910 915 920 930 924
열변형온도 120 123 118 110 120 119
용융흐름지수 4,5 5.1 6.5 7.8 5.1 5.2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D)를 사용하면, 스티렌계 충격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난연도와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 열변형온도와 용융흐름지수의 큰 변화가 없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갖는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를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와 블렌드함으로써 난연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열변형온도와 용융흐름지수가 저하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A) (a1)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60∼95 중량부 및 (a2)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 5∼40 중량부로 이루어진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
    (B)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1∼30 중량부;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3, R4, R6 및 R7은 각각 C6-C 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이고, R5는 C6-C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C20 아릴기 유도체이며, l은 수평균중합도로서 l의 평균값은 0∼3 이다.)
    (C)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05∼5 중량부; 및
    (D)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1∼20 중량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D)는 고무성분을 제외한 부분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0.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중합체 수지는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t-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염료 및 무기물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30078358A 2003-11-06 2003-11-06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57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58A KR100576326B1 (ko) 2003-11-06 2003-11-06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58A KR100576326B1 (ko) 2003-11-06 2003-11-06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52A true KR20050043452A (ko) 2005-05-11
KR100576326B1 KR100576326B1 (ko) 2006-05-03

Family

ID=3724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358A KR100576326B1 (ko) 2003-11-06 2003-11-06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56B1 (ko) * 2011-12-30 2015-02-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56B1 (ko) * 2011-12-30 2015-02-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6326B1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6900B2 (en) Flameproof styrene containing graft resin compositions substantially free of phenolic resins and containing styrene/acrylonitrile resin compatabilizer
KR100302417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89941B1 (ko) 난연성을갖는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505317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733900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KR100538826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20790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조성물
KR100331377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59903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76465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02416B1 (ko)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48163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64060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76326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391014B1 (ko) 내후성이 개선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96708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1105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48424B1 (ko) 난연성을갖는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396404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60146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64902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79658B1 (ko)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355411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조성물
KR100396405B1 (ko)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