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743A -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743A
KR20050040743A KR1020040086025A KR20040086025A KR20050040743A KR 20050040743 A KR20050040743 A KR 20050040743A KR 1020040086025 A KR1020040086025 A KR 1020040086025A KR 20040086025 A KR20040086025 A KR 20040086025A KR 20050040743 A KR20050040743 A KR 20050040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902B1 (ko
Inventor
히다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46Resolving address allocation conflicts; Testing of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채널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는, 우선, 수신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확인한다.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는, 기지국에 대한 통신 접속 요구를 반복하고, 그 회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이 카운트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한 경우에,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기지국에 요구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이 영역 내의 각각의 통신 단말(예컨대, 휴대전화기)에, 해당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단말 식별 정보를 할당하여 통신 채널의 접속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이하 "단말"이라고 함)을 다른 것과 식별하기 위해, 유한 시간 유효한 단말 식별자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여러 가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RFC(Requests For Comments)2131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프로토콜 등과 같이 단말 식별자로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가 부여되는 시스템이나, 무선환경에서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있어서 표준화되어 있는 HRPD(High Rate Packet Data)와 같이 단말 식별자로서 UATI(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가 부여되는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단말과 무선 통신 기지국(이하 "기지국"이라고 함)에 할당된 식별자에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단말을 인식할 수 없어지기 때문에 통신의 불통 상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통신의 불통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식별자의 유효 시간에 기한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프로토콜의 각 처리에 유효 기한을 마련한다. 기간 내에 처리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는 식별자를 무효로 한다. 또는, 기지국측에서 식별자를 확인하여, 무효라고 판단한 경우는 식별자의 재할당 처리가 이루어진다.
HRPD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3-927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식별자에 유효 기한을 마련하는 것에 의한 상태 개선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HRPD와 같은 무선환경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무선자원의 유효 이용의 관점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통신량을 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 이유로, 단말 식별자의 유효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불통 상태의 기간을 짧게 하는 방법은, 통신량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기지국에서 무효인 식별자를 검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단말이 통신을 하는 모든 기지국이 이러한 기능을 행하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에 대응하지 않는 기지국과의 접속이 발생한 경우, 통신 상태의 적절한 회복을 실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의 불통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통신환경에서, 통신의 불통 등, 통신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채널의 접속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통신 단말은 단말 식별자(예컨대, UATI)의 불일치가 접속 장해의 원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식별 정보가 불일치인 경우에는, 접속 장해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현재의 단말 식별자를 파기하고, 새로운 단말 식별 정보를 확보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각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 그 서비스 영역 내의 각 통신 단말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통신 접속 요구 송신 유닛과, 통신 접속 요구에 대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정보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기지국에 요구하는 단말 식별 정보 재할당 요구 유닛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해 발생한 접속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내부의 단말 식별 정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단말측의 처리로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통신 단말의 기능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 수신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확인하는 수신 오류 발생률 확인 유닛을 더 구비하고, 단말 식별 정보 재할당 요구 유닛은,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기지국에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접속(채널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원인이,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인지, 수신 신호 환경에 문제가 있는지를 식별하여,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해 발생한 접속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내부의 단말 식별 정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단말측의 처리로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 수신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확인하는 수신 오류 발생률 확인 유닛과,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접속 요구를 반복하는 접속 요구 반복 유닛과, 접속 요구 반복 유닛에 의한 접속 요구의 회수를 카운트하는 접속 요구 카운트 유닛을 더 구비하며, 접속 요구 카운트 유닛에 의한 카운트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단말 식별 정보 재할당 요구 유닛은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기지국에 요구한다.
이에 따라, 통신 접속(채널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원인이,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인 것을 확실히 확인한다.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한 접속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내부의 단말 식별 정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단말측의 처리로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접속(채널 접속)의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지 않아 통신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 통신 단말은 새로운 단말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기지국에 대하여 단말 식별 정보(UATI 등)의 재할당 요구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 환경에 의해 단말 식별자 등의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한 접속 장해를 주로 단말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내부의 단말 식별 정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말의 처리로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통신 단말의 기능을 이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채널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수신된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측정한다.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이면, 통신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 요구를 한다.
통신 접속(채널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원인이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인지 수신 신호 환경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를 식별하여,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한 접속 장해를 주로 단말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기지국 내부의 단말 식별 정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단말의 처리로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채널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수신된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측정한다.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이면, 통신 단말은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접속 요구를 반복하고, 반복 회수를 카운트한다. 회수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기지국에 요구한다.
이에 따라,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가 통신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원인인 것이 확인된다. 단말 식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한 접속 장해를 주로 단말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기지국 내부의 단말 식별 정보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단말의 처리로 장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의 일 실시예로서, 휴대전화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휴대전화기(1)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이용하는 안테나(10), HRPD 시스템의 무선 처리를 행하는 무선 처리부(11), HRPD 시스템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처리 및, 휴대전화기 내부의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CPU(12), RAM(13), ROM(14), 타이머로서 동작하는 RTC(Real Time Clock)(15), 입력부(16), 표시부(17), 외부 주변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I/F(18)로 구성된다. UATI 및 UATI의 유효 영역 정보는, RAM(13) 안의 비휘발성 메모리(스태틱 RAM) 또는 ROM(14)(EEPRROM인 경우)에 저장된다.
또한 UATI의 유효 시간(예컨대, 54 시간)은 RTC(15)에 의해 측정된다.
도 2는 HRPD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본 호접속(basic call connection)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대기 상태(Idle State)에서 호접속을 시작하는 휴대전화기(AT)는, 처음에, 접속 요구 메시지(Connection Request Message)를 접속 요구로서 기지국(AN)에 송신한다(단계 S101). HRPD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 등의 장치는 액세스 단말(AT)로 불리고, 기지국 등의 장치는 액세스 노드(AN)로 불린다.
휴대전화기(AT)로부터 기지국(AN)으로 송신되는 무선 신호는, 다른 휴대전화기에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액세스프로브 제어가 적용된다. 휴대전화기(AT)는 액세스프로브 제어에 따라, 처음에는 낮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을 시작하고, 서서히 송신 전력을 상승시킨다. 기지국(AN)은 휴대전화기(AT)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 전력을 더 증가시킬 필요없기 때문에, 휴대전화기(AT)로부터의 송신 전력의 상승을 정지하기 위해, 확인 응답(AcAck)을 돌려보낸다(단계 S102).
휴대전화기(AT)는 기지국(AN)으로부터 확인 응답(AcAck)을 수신하면, 현재 송신되는 전력으로 기지국(AN)과 휴대전화기(AT) 사이의 통신을 하도록, 송신 전력의 상승을 정지한다.
다음에 기지국(AN)은, 단계 S101에서 휴대전화기(AT)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해석하고,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Traffic 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휴대전화기(AT)에 송신한다(단계 S103).
휴대전화기(AT)는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면,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정된 무선 조건으로 다운스트림 트래픽 채널(downstream traffic channel)의 수신 설정을 하고, 계속해서, 업스트림 트래픽 채널(upstream traffic channel)의 확립을 시작한다. 기지국(AN)은, 업스트림 트래픽 채널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채널 확립 통지(RTCAck)를 송신하여, 업스트림 트래픽 채널이 확립된 것을 통지한다(단계 S104).
휴대전화기(AT)는, 기지국(AN)으로부터의 채널 확립 통지(RTCAck)를 수신하면,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트래픽 채널이 확립된 것을, 트래픽 채널 설정 완료 메시지(Traffic Channel Complete Message)를 통해 기지국(AN)에 통지한다(단계 S105).
이상의 처리에 의해, 휴대전화기(AT)는 기지국(AN)과 접속 상태로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HRPD 시스템의 무선 시퀀스에 있어서 UATI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AN)은, 휴대전화기(AT)로부터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106), 휴대전화기(AT)에 확인 응답(AcAck)을 송신한다(단계 S107). 그러나, 메시지의 해석시에 부적절한 UATI를 검출한 메시지는 파기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AT)로부터 기지국(AN)으로의 접속 요구 메시지의 송신과, 기지국(AN)으로부터 휴대전화기(AT)로의 확인 응답(AcAck)의 송신이 각각 반복된다(단계 S108 내지 단계 S111). 이러한 상황은, UATI가 변경될 때까지, 휴대전화기(AT)와 기지국(AN)은 접속할 수 없게 한다.
도 4는 UATI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의, UATI의 불일치에 의한 접속 장해를, 본 발명에 따르 해결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휴대전화기(AT)는, 접속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AN)에 송신하면(단계 S201), 신호가 기지국(AN)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응답(AckAck)의 수신 대기로 된다(단계 S202). 일정 시간 동안에 확인 응답(AcAck)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신호가 기지국(AN)에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송신 전력을 1단계 올려 다시 송신을 시도한다(단계 S203, S204). 확인 응답(AcAck)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송신 전력은 최대가 될 때까지 증가한다(단계 S203, S204).
단계 S202에서 확인 응답(AcAck)이 수신되는 경우는, 접속 요구 메시지가 기지국(AN)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에, 접속 요구 메시지에 의해 요구되는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됐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그 후 일정 시간 내에, 기지국(AN)으로부터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면, 트래픽 채널의 확립 동작을 한다(단계 S206).
또한, 일정 시간 내에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수신 신호 환경에 문제가 있거나, UATI에 불일치가 발생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물리층에서 수신된 패킷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오류 발생률(Merr)을 확인(측정)한다(단계 S207).
수신 오류 발생률(Merr)이 미리 결정된 값(Nerr)을 초과하는 경우는, 수신 신호 환경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신 장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다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208, S209).
수신 오류 발생률(Merr)이 미리 결정된 값(Nerr) 이하인 경우는, 수신 신호 환경에는 문제가 없고, UATI의 불일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신호 상태에서의 접속 장해 발생 회수를 카운트한다(단계 S210, S211). 이 카운트값(Mretry)이 미리 결정된 값(Nretry)을 초과한 경우, UATI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UATI의 재취득 처리(UATI의 재할당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12).
UATI 재취득 처리 후에, 기지국(AN)과 휴대전화기(AT)간의 UATI의 불일치가 해소되기 때문에, 전파 상태는 좋지만 채널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현상은 해결된다.
또한, 도 5에 UATI 재취득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휴대전화기(AT)로부터 기지국(AN)에 대하여, 세션 접속 처리를 종료하기 위해 세션 클로즈 메시지(session close message)를 휴대전화기(AT)로부터 기지국(AN)에 송신한다(단계 S301). 기지국(AN)은, 세션 클로즈 메시지를 수신하면, 휴대전화기(AT)에 대하여 확인 응답(AcAck)을 송신한다(단계 S302).
다음에, 휴대전화기(AT)는 UATI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AN)에 송신한다(단계 S303). 기지국(AN)은 UATI 요구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AcAck)을 돌려보낸다(단계 S304).
그리고나서, 기지국(AN)은 휴대전화기(AT)에 대하여, UATI 할당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305). 휴대전화기(AT)는 기지국(AN)으로부터 수신한 UATI 할당 메시지로부터 새로운 UATI를 취득하여, 휴대전화기(AT) 내에 등록한다. 또한, 휴대전화기(AT)는 UATI 취득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AN)에 송신한다(단계 S306).
기지국(AN)은 휴대전화기(AT)로부터 UATI 취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휴대전화기(AT)가 새로운 UATI를 취득한 것을 확인하여, 확인 응답(AcAcK)을 휴대전화기(AT)에 송신한다(단계 S307).
이상의 처리로부터, 휴대전화기(AT)는 새로운 UATI를 취득하여, 기지국(AN)과의 통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휴대전화기의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뿐만 아니라,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등의 다른 통신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예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추가, 생략, 치환 및 다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의 불통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HRPD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본 호접속(basic call connection)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UATI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UATI의 불일치에 따른 접속 장해의 해결을 위한 흐름도,
도 5는 또다른 UATI 취득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전화기 10 : 안테나
11 : 무선 처리부 12 : CPU
13 : RAM 14 : ROM
15 : 리얼타임 클럭(RTC) 16 : 입력부
17 : 표시부 18 : 접속 인터페이스(I/F)

Claims (3)

  1. 각 통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과 그 서비스 영역 내의 각 통신 단말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단말로서,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통신 접속 요구 송신 유닛과,
    상기 통신 접속 요구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정보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단말 식별 정보 재할당 요구 유닛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 수신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확인하는 수신 오류 발생률 확인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에 근거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 식별 정보 재할당 요구 유닛은 상기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 수신 신호의 수신 오류 발생률을 확인하는 수신 오류 발생률 확인 유닛과,
    상기 수신 오류 발생률이 미리 결정된 값에 근거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통신 접속 요구를 반복하는 접속 요구 반복 유닛과,
    상기 접속 요구 반복 유닛에 의한 접속 요구의 회수를 카운트하는 접속 요구 카운트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요구 카운트 유닛에 의한 카운트값이 미리 결정된 값에 근거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 식별 정보 재할당 요구 유닛은 상기 단말 식별 정보의 재할당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통신 단말.
KR20040086025A 2003-10-27 2004-10-27 통신 단말 KR100626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66083 2003-10-27
JP2003366083A JP4818581B2 (ja) 2003-10-27 2003-10-27 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43A true KR20050040743A (ko) 2005-05-03
KR100626902B1 KR100626902B1 (ko) 2006-09-20

Family

ID=3451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6025A KR100626902B1 (ko) 2003-10-27 2004-10-27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88804B2 (ko)
JP (1) JP4818581B2 (ko)
KR (1) KR100626902B1 (ko)
CN (1) CN1003808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149B2 (ja) * 2005-05-31 2013-07-17 京セラ株式会社 放送装置、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
WO2007016337A2 (en) * 2005-07-28 2007-02-08 Mfor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quality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s
US8064401B2 (en) * 2006-07-14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Expedited handoff
KR100768096B1 (ko) 2007-01-23 2007-10-17 (주)엘켐텍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5338367B2 (ja) * 2009-02-19 2013-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障害検出方法、通信制御回路及びプログラム
CN104113939A (zh) * 2013-04-17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终端外设的操作的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911A (en) * 1990-11-02 1994-01-04 Motorola, Inc. Contention reducing technique for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5673259A (en) * 1995-05-17 1997-09-30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ommunications channel for data services
KR100205053B1 (ko) * 1996-09-20 1999-06-15 정선종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KR100318940B1 (ko) * 1998-04-17 2002-04-22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재접속방법
US6469998B1 (en) * 1998-10-06 2002-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packets from an external packet network to a mobile radio station
KR20000047250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멀티미디어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억세스채널할당방법
JP3339469B2 (ja) * 1999-07-23 2002-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無線データ通信方法
US6477373B1 (en) * 1999-08-10 2002-11-05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connectivity for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an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GB2366705B (en) * 2000-08-29 2004-07-14 Motorola Inc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US6996060B1 (en) * 2001-03-20 2006-02-07 Arraycomm, Inc. Closing a communications stream between terminals of a communications system
US7068669B2 (en) * 2001-04-20 2006-06-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IP connectivity with a radio network
JP4011319B2 (ja) 2001-09-18 2007-11-2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001726B2 (ja) * 2001-05-11 2007-10-3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式切替方法
US7103662B2 (en) * 2002-01-16 2006-09-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ession management in a data cellular network
US20030145091A1 (en) * 2002-01-28 2003-07-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ccess terminal profile in a data cellular network
KR100526536B1 (ko) * 2002-06-0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임시식별자 할당 방법
KR100842580B1 (ko) * 2002-06-03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정보 관리 방법
US7689196B2 (en) * 2002-06-26 2010-03-30 Qualcomm Incorporated Timer-based sleep for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902B1 (ko) 2006-09-20
US20050090254A1 (en) 2005-04-28
US8588804B2 (en) 2013-11-19
JP2005130374A (ja) 2005-05-19
JP4818581B2 (ja) 2011-11-16
CN1612502A (zh) 2005-05-04
CN100380848C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3814B2 (en) Method of tracing and monitoring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200404465A (en) Selective processing of the common control channel
EP2559314B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US20090310579A1 (en) Mobile station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706156A (zh) 紧急分组数据服务
JP2007533280A (ja) 改善されたumrlcデータ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EP1677480A1 (en) Method for setting and releasing a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60434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7227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packet data service connections
CN110463239B (zh)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0626902B1 (ko) 통신 단말
US8769367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P address negotiations
EP4152795A1 (e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in sidelink relay architecture
CN110521226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122548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2475199A1 (en) Handover method and device for an access service network
CN107211404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3974456A (zh) 通信系统和方法
EP316396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20160014814A1 (en) User equipment collision detec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1867063B (zh) 上行传输方法和通信装置
JP7166337B2 (ja) データ生成方法、論理チャネルの設定方法、端末装置及びチップ
WO2021081928A1 (zh) 无线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KR1007812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N109792729B (zh) 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