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053B1 -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053B1
KR100205053B1 KR1019960041260A KR19960041260A KR100205053B1 KR 100205053 B1 KR100205053 B1 KR 100205053B1 KR 1019960041260 A KR1019960041260 A KR 1019960041260A KR 19960041260 A KR19960041260 A KR 19960041260A KR 100205053 B1 KR100205053 B1 KR 100205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session
connec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175A (ko
Inventor
신영석
오현주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6004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0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ISDN상에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를 적용하여, 개방형통신망을 구축하는 경우, 서비스 세션 개념을 도입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만족하는 호 설정을 하기 위한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형통신망에서는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서비스 세션이 설정되면,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물리적 연결이 설정되어야 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연결설정을 의해 망연결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연결설정을 위해 망연결을 예약하지 않고 통신세션 기능부에게 요구한다. 이때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서비스 세션 기능부의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자원의 부족으로 서비스 연결이 지연되거나, 연결설정을 실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특성에 따라 다자간 통신 및 집속 프로토콜 연결등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처리환경에서 별도의 서비스 세션 자원관리와 네트워크 자원공유 객체를 두어 자원공유를 유지하면서, 서비스 품질에 맞는 연결을 미리 서비스 세션과 연결관리 기능부의 공유된 네트워크 자원을 확인한 후, 통신세션에 요구하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정한 멀티미디어 통신세션의 서비스 연결이 요구된다.
이로서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한 경우, 신욕한 서비스 호 설정에 대한 거절 메세지 처리와 호 설정에 따른 잦은 객체간 연결을 피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자원관리 및 운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Method of Service Session Establishment in Open Networrking Architecture)
제1도는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의 개념도.
제2도는 액세스 세션, 서비스 세션, 통신세션의 개념도.
제3도는 서비스 세션 기능부의 세부기능 구성도.
제4도는 서비스 세션 설정에 따른 연산객체간 접속 절차도.
제5도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서비스 세션 기능부 구성도.
제6도는 서비스 세션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관리와 접속절차도.
제7도는 네트워크 자원관리의 처리 순서도.
제8도는 분산화된 네트워크 자원관리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통신망 사업자 영역 420 : 서비스 제공 사업자 영역
423 : 통신세션 기능부 431, 432 : 사용자
455 : 사용자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
460 : 응용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
470 ; 연결관리 기능부
본 발명은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대역통신망(B-ISDN)을 기반으로한 개방형 정보 통신망 구조(Open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단의 서비스 사용자(End-to-End User)들간에 서비스 세션(Session) 개념을 동입한 신호방식에 의하여 상호간을 연결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에 따라 신속하고, 안정하게 종단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간에 물리적 망연결을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서비스 세션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관리 및 접속절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연결은 사용하는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응용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사용자의 환경에 의존하여 적용된 통신망 위주로 구축되었다. 즉, 새로운 응용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호(Call) 설정 과정에서 종단 사용자간에 망연결(Network Connection)을 도모하여, 미리 망연결을 예약하는 신호방식(Signalling)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신호방식은 사용자간에 망연결이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망에서 인식된다.
따라서 긴급하거나 많은 서비스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 통신망에서 미리 네트워크 자원이 선점되어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지 못하며, 통신망 운용 및 네트워크 자원할당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자원을 마치 사용하는 것처럼 네트워크가 d인식되어 운용되며, 서비스 호 설정과 연결에 상호간 많은 정보교류와 관리에 따라 구현의 어려움과 네트워크 시스템의 성능에 큰 저하를 발생시켰다.
이와같이 서비스 호와 연결이 통합되어 서비스 호를 설정하는 동안에, 망 연결을 선점하여 예약하는 종래의 신호방식에서 서비스 호와 연결을 분리하여 호 설정과 연결을 이원화시키므로서, 네트워크 자원의 선점예약의 효과를 줄이고, 망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호 설정 등의 기능지원이 가능하다.
이러한 호와 연결의 분리원칙에 입각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모델로 1993년도 세계 유수의 통신회사인 일본 NTT, 미국 Bellcore, 영국 BT가 주측이 되어 구성한 TINA(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 컨소시엄에서는 서비스 세션이란 개념을 정립하여,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신호방식을 통신망사업자 혹은 서비스 제공사업자와 접속을 위한 액세스 세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세션, 그리고 실제 네트워크 자원을 연결하는 통신세션으로 구분하여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호 설정시 서비스의 사용자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폭과 서비스 제공에 따른 데이타 정보의 지연(Delay) 및 손실(Loss), 트래픽 제어등의 서비스 품질과 종래의 점대점(Point-to-Point) 연결보다는 일대다자간 연결(Point-to-Multipoint)이나 다중연결(Multiplexing Connection), 다자간 그룹(Multi-Party) 연결등을 요구한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성에 따라 별도의 통신망과 단말기간 접속 프로토콜이 요구되며,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일대다자간 연결에서 멀티캐스팅 혹은 방송형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접속 프로토콜 지원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서 종래의 신호방식과 통신망 구조로는 지원의 한계성에 도달하여, 차세대통신망을 기반으로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새로운 개방형 정보통신망(이하, 개방형통신망) 구조를 TINA 컨소시엄에서 제안하였다.
개방형통신망은, 기본적으로 서비스 호와 연결을 분리하여,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수용하고, 객체지향 설계 기법을 도입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객체 모델링에 의한 서비스 세션을 신호방식으로 정립하였다.
특히, 개방형통신망은 망구성장치(ATM 스위치, 전송장치등)의 하드웨어에 의존되지 않고, 분산처리환경에서 객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구조를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개방형 통신망은 앞으로 기존의 통신망에 큰 변화없이 차세대통신망으로 진화에 대한 전략과 기능성을 유도하고 있으며, 세계 유수의 통신망 운영회사의 벤더들이 기술적으로 여러 검증과 시험을 하고 있다.
따라서, 분산처리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방식으로 서비스 세션에 의한 호 설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자원 관리와 접속절차가 요구된다.
개방형통신망에서 서비스 세션은 기능적인 면에서 호설정 기능등에 대해 종래의 통신망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방식대로 호 설정을 위해서 서비스 세션이 설정되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물리적 연결이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서비스 세션은 서비스 요구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연결설정을 위해 연결을 예약하지 않고 직접 통신세션 기능부에 요구한다. 이때 통신세션에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고려없이 모든 서비스 세션 기능부의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네트워크 자원의 부족으로 서비스 연결이 지원되거나, 연결설정이 실패할 수 있다.
또한 다자간 연결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의 비효율적인 관리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특성에 따라 다자간 통신 및 접속 프로토콜등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처리환경에서 별도의 객체를 두어 서비스 품질에 맞는 연결을 미리 서비스 세션과 연결관리 기능부의 공유된 네트워크 자원을 확인한 후, 통신세션에 요구하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정한 멀티미디어 통신세션의 서비스 연결이 요구된다.
이로서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한 경우, 신속한 서비스 호 설정에 대한 거절메시지 처리와 호 설정에 따른 잦은 객체간 연결을 피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키며, 네트워크 자원관리 및 운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개방형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서비스 품질에 만족하는 연결을 서비스 세션 개념에 입각하여 신속한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해 미리 네트워크 자원 관리부와 정보를 공유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호 설정에 따른 신속성과 효과적인 네트워크 자원공유를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산처리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정보 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제공사업자 영역내 응용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와 통신부 사업자 영역내 연결 관리 기능부를 포함하여 종단의 서비스 사용자간에 서비스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호 설정에 따른 요구가 있는 경우 서비스 호 요구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네트워크 자원할당 요청이 신규요청인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신규요청이면, 상기 응용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내 서비스 세션 정보 관리 기능부에서 네트워크 자원할 당이 불가능할 경우 재시도 시간(T)동안 재시도 횟수(N) 를 증가시키면서 자원할당을 요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자원할당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 받은 후 상기 연결관리 기능부내 통신세션에게 물리적인 망연결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신세션으로 매번 연결을 요구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세션과 통신세션의 연결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서비스 호 요구를 기다리는 제4단계와, 상기 확인에 의해 신규요청이 아니면, 상기 재시도 횟수(N)가 정해진 재시도 횟수(Noptimal) 미만일 경우에는 자원확인요청 횟수를 계속 증가시켜 재시도를 수행하고, 초과할 경우에는 서비스 호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서비스 불가능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5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신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따른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자원공유와 이용으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분산처리환경에서 잦은 객체간의 오퍼레이션 접속으로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소시켜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개방형 정보통신망 구조의 개념도이다.
개방형 통신망은 직접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업자 영역(1000) 또는 망연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 영역(1000)과, 통신서비스 영역에서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 영역(2000)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개방형통신망은 망구성장치들(100)로 구성되어 있는 고속전송 전달망(200)상에서 분산처리환경(분산 시스템)(300)과, 서비스 호 처리를 위한 액세스 세션, 서비스 세션, 통신 세션 관리기능과 망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킹 미들웨어(Networking Middleware)(400)를 기반으로 한 영상회의(500)와,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600)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같이 개방형통신망은 기본적으로 고속전송 전달망(100)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장치에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적 계층 구조로서 분산처리환경(300)과 기능적으로 망관리 및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킹 미들웨어(400)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멀티미이더 서비스를 지원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되며, 이들은 객체지향 설계개념을 입각하여 구축된다.
분산처리환경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등을 객체지향 설계 개념에 의해 기능을 설계하므로서 소프트웨어와 재사용과 유지보수, 망관리 및 신규 서비스 제공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네트워킹 미들웨어(400)에서 수행하는 호 처리 및 연결등의 기능이 객체지향으로 설계되어 모든 기능들이 객체 단위로 수행되며, 온라인등의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네트워킹 미들웨어(400)의 세부기능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통신망 사업자 영역(410)과 서비스 제공 사업자 영역(42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엑세스 세션 기능부(421), 서비스 세션 기능부(422), 통신세션 기능부(423)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사용자-1(431)은 응용서비스를 사용자-2(432)와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을 요구할 때, 사용자-1(431)은 서비스 제공 사업자(420)에게 분산처리환경 레벨의 객체간 인터페이스 기능으로 접속하여 응용서비스를 요구한다.
이때, 사용자의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사업자(420)와 접속되는 서비스 접속단계(433)를 액세스 세션접속이라고 한다.
액세스 세션은 서비스 가입과 가입자 정보관리, 네트워크 접속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 가입자 ID(Identification)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 환경, 과금정보, 가입자 서비스 범주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필요한 가입자 정보관리 검색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의 제공 서비스에 따른 환경을 설정하여준다. 액세스 세션이 접속되면, 언제든지 망에서 제공하는 필요한 응용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1(431)가 응용서비스를 원하면, 해당 응용서비스의 세션이 설정된다. 이때가 바로 서비스 수행단계(434)이며, 서비스 호설정을 위한 응용서비스 세션을 수행한 상대방 주소와 상대 단말기의 환경을 파악해야 한다.
서비스 세션이 이루어지면 서비스의 대상인 상대방(431)과 서비스 요구자(432)간의 물리적인 데이타 채널(스트림 접속)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채널 연결을 하도록 담당하는 기능부가 통신세션 기능부(423)이며, 실질적으로 연결관리 기능부에서 물리적인 회선을 연결한다.
따라서 통신세션은 서비스 세션과 물리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는 연결관리 기능과 접속되어 통신세션과 물리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매핑하여 준다.
실제로, 통신세션 기능부(423)는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특별한 관리없이 서비스 세션과 통신세션간의 매핑외는 별도의 기능이 없으며, 요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에 따라 물리적 연결을 연결관리 기능부(411)에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연결관리 기능은 통신망 사업자 영역(410)이며, 세션을 제어관리하는 부분은 서비스 제공 사업자 영역(420)으로 고려된다.
네트워크와 액세스 및 서비스 연결설정 과정은 서비스 연결단계(435)로서, 종단간의 서비스 사용자간의 물리적인 연결이며, 연결이 수행된 후, 종단 사용자(431,432)에 응용서비스가 수행된다.
제3도는 제2도의 서비스 제공사업자 영역에서 세부 서비스 세션 기능부(422)를 나타내었다.
서비스 세션 기능부(도면부호 '450'는 '422'와 동일함)는 사용자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455)와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458)로 구성된다.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458)는 응용서비스의 호 설정을 위한 전반적인 서비스 세션이 총괄적인 제어와 관리를 수행하며, 사용자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455)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구성되며, 서비스 사용자에 의존된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458)는 사용자 서비스 세션관리 접속 기능부(458a), 응용서비스 세션접속관리 기능부(458b), 응용서비스 세션설정/해지 제어 기능부(458c), 통신세션 관리접속 기능부(458d)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 서비스세션관리 기능부(455)는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접속 기능부(455a), 사용자 접속 응용서비스 제어 기능부(455b), 사용자 접속 응용 서비스 접속관리 기능부(455c)로 구성된다.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458)와 사용자 서비스 세션 관리기능부(455)는 각 기능부에 세션관리 접속 기능부를 통하여 연산객체간 접속(456)이 이루어진다.
또한 서비스 세션에서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물리적 망연결을 위해 연결관리 기능부(411)와 접속되어야 한다. 이때, 서비스 세션과 통신세션간 기능 접속을 위해 통신세션 관리접속 기능부(458d)를 통하여 접속된다.
제4도는 일반적인 서비스 세션 기능부에 있어서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서비스 세션 설정에 따른 연산객체간 접속 절차도이다.
서비스 사용자-1과 사용자-2는 응용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사업자에게 먼저 액세스 세션으로 접속한다. 이때 사용자들은 먼저 서비스 제공사업자에게 응용서비스가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들은 먼저 분산처리환경에서 객체간 접속 프로토콜과 연산으로 액세스 세션 접속 메시지(1)를 요구하면,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액세스 세션 접속 허락 메시지(2)를 송신하여 서비스사용자와 서비스제공 사업자간에 접속을 승인한다.
엑세스 세션이 접속되면, 먼저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1은 응용서비스를 사용자-2와 같이 받겠다고 응용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서비스 세션설정(3)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서비스를 요구한 사용자-1에게 서비스 세션이 설정되었다는 메세지(4)를 발송하여, 서비스 팩토리에서 해당 사용자들의 사용자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1의 객체그룹을 생성한다.
사용자-1의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가 생성되면, 사용자-1은 서비스 세션이 설정되어 언제든지 응용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상위의 응용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1은 사용자-2와 응용서비스를 받도록 요청하는 메시지(5)를 사용자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를 통하여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에 송신한다.
서비스 세션 관리자는 사용자-1에서 요구받는 용융서비스 요구 메시지(5)를 사용자-2에서 응용서비스가 가능한 허락 메시지를 사용자-2의 액세스 세션 접속 기능부를 통하여 메세지(7,8)를 전달하면서 요구한다.
사용자-2가 응용서비스의 참가를 수락하는 메시지(9,10)를 보내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세션 레벨의 호 설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사용자-2의 서비스 세션관리를 의한 사용자-2를 위한 사용자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가 생성된다(11).
이와같은 서비스 세션설정 과정이 완료되면, 실질적으로 응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물리적 네트워크 연결설정(12)을 연결관리부의 통신 세션 관리 기능부에게 요구한다. 제4도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물리적 망연결을 위한 절차에서 네트워크의 자원에 대한 조사나 확인 없이 직접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에서 상대방과 서비스 세션이 설정되면, 연결관리 기능부에 연결설정을 요구하므로서(12)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하거나, 사용자간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비스 세션이 설정되었더라도, 실제 물리적 연결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또한 물리적 연결이 될 때까지 연결을 대기하고 있거나, 네트워크의 다른 연결경로를 찾기 위하여 서비스 설정시간과 연결지연 시간이 길어 질수 있다. 제5도는 종래의 서비스세션 기능부(제3도의 '450)에서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구에 따른 서비스 품질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을 고려하지않고 직접 통신세션으로 물리적 연결을 요구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서비스 세션에서 통신세션으로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서비스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을 확인한 후, 통신세션 기능부에 물리적 연결을 요구하는 서비스 호 설정을 위한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 구성도이다.
제5도의 구성은 연결관리의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는 연결관리 기능부(470)의 통신세션 자원관리 기능부(472) 및 통신세션 매핑기능부(474)와 응용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460)의 응용서비스 세션 설정/해지 기능부(463), 응용서비스 세션 정보관리 기능부(465)와 서비스 세션 매핑 기능부(466)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제5도의 '460')에서는 종래의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제3도의 '458')보다 응용서비스 세션정보관리 기능부(465)와 서비스 세션 메핑 기능부(466)가 추가 되었으며, 분산처리환경상의 객체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관리 기능부(470)의 통신세션 매핑 기능부(74)간에 네트워크 자원과 세션간의 매핑정보를 공유한다.
상기 연결관리 기능부(470)에서는 통신사업자 영역에서 많은 망구성장치의 네트워크 자원의 정보를 관리해야하므로 별도의 데이타 정보를 보관, 관리하는 시스템(472,473)이 요구되면, 관련 네트워크 자원정보를 하드디스크(473)로 저장하여 관리하며, 자주 사용하느 네트워크 정보는 세션연결 테이블을 구성하여 별도의 상주 메모리에 보관하여 관리한다.
통신세션 매핑 기능부(474)는 서비스 세션에서 요구한 물리적 연결이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신세션 관리기능부의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서비스 세션과 매핑하면서 서비스 메핑 기능부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세션메핑 기능부(466)는 서비스 세션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에 따른 호 설정 네트워크 자원이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정보로 사용한다. 따라서 서비스 세션 메핑 기능부(466)는 서비스 호 설정에 대한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기능과 자원할당이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며, 통신세션 메핑 기능부(474)와 접속되어 상호간 정보를 공유하는 최근의 연결정보를 가지도록 수정, 변경한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즉, 미리 통신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나, 네트워크의 자원할당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통신세션에게 요구하여 망연결에 따른 연결지연과 망내 연결에 따른 많은 제어신호로 네트워크의 성능에 저하시키는 면보다 유리한 조건을 가진다. 이러한 서비스 세션 메핑기능부와 통신세션 메핑기능부는 서로 다른 사업자 환경영역에서 분산처리시스템으로 객체그룹 단위의 접속절차인 컨트렉트(Contract)에 의하여 접속(475)되며, 통신사업자가 허락하는 범위에서 통신세션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면서 서비스 세션의 설정을 지원한다.
제6도는 개방형통신망에서 서비스 세션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서비스 호 설정시 네트워크 자원을 확인하여 서비스 세션을 설정하는 연결 접속 절차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연결접속 절차의 기본적으로 엑세스 세션까지도 동일하다. 그러나 사용자-2가 응용서비스 제공을 수락하는 경우(4), 사용자 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2를 생성하고(5),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에서 통신세션 기능부에 물리적 연결을 요구하기 전에 서비스 세션 정보관리 기능부에 네트워크 자원할당의 여부를 메시지(6)로 요청한다.
자원할당이 가능하면 바로 자원할당이 가능하여 통신세션 기능부를 통하여 물리적 연결을 시도하도록 메시지(7,8)를 보낸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자원의 부족으로 자원할당이 불가능한 경우, 먼저 서비스 호 설정이 어렵다는 메시지(11)를 송신하고, 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에서 타이머 T(14)를 가동하여 몇번의 메시지(12)를 재전송하여 자원할당을 요구한다.
이때 타이머 값과 재전송을 요구하는 횟수 N(10,12)는 네트워크의 성능이나 전달망,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추후 통신망을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결정된다.
제7도는 응용서비스 세션관리 기능부(제5도의 '460')에서 서비스 호 설정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할당을 위한 처리 순서도이다.
서비스 호 설정에 따른 요구가 있는 경우, 서비스 호 요구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네트워크 자원할당이 가능한가를 확인한다.
이때 제6도의 절차도에서 볼 수 있듯이, 자원할당이 불가능한 경우(제6도의 10)와 재할당의 요청 경우(제6도의 12)가 있기 때문에 먼저 신규 자원할당 요청(제7도의 S3)인가를 확인한다. 이때, 신규 요청인 경우, 자원할당이 가능하면(S4) 요구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을 즉시 할당(제7도의 S6, 제6도의 6,7)받으며, 통신세션에게 구체적인 물리적 망연결을 요청한다(제6도의 8,9, 제7도의 S7).
그러나 자원할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N번 재할당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시간동안으로 N번 재시도를 한다. 이때 재시도 대기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값(T)과 재시도 횟수(N)는 네트워크의 성능에 따라 통신망사업자와 서비스 제공사업자의 정책에 의하여 튜닝된다. 그러나 T와 N의 곱이 500ms 미만이여야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정상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정해진 재시도 횟수인 Noptimal미만인 경우(S9)에는 계속 재시도를 수행하며, 재시도 결과 자원할당이 가능하면 즉시 통신세션에게 물리적 연결을 요청한다. 또한 서비스 세션의 매핑 테이블과 통신세션의 매핑 테이블이 상호간 불일치성을 가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매번 통신세션으로 연결을 요구할 때마다 상호 매핑 테이블간에 내용을 업데이트(update)한다(제7도의 S8).
그러나 정해진 재시도 횟수인 Noptimal을 초과하는 경우(S9)에는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하므로 서비스 호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제6도의 14,15)를 전달하여 서비스 호 요구를 거절, 즉 서비스 세션 연결을 취소한 후(S10), 서비스 세션 연결정보 테이블을 정리한다(S11).
제8도는 네트워크 자원관리를 위한 정보를 특정한 지역의 모든 시스템에 있는 것보다, 분산처리환경을 이용하므로 상호간 같은 특성의 망 구성장치(예 : 스위치)(714)와 고속전송 전달망(713)의 특성에 따라 그룹핑하여 통신영역(715,716)을 설정하며, 동일영역에서는 1개의 시스템의 자원정보를 관리하는 관리기능(711)을 두어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고속전송 전달망에서 각 망구성장치는 자체의 네트워크 자원관리를 수행하면서 정보를 스스로 관리한다. 그러나 분산환경과 망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인 네트워크 자원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해서 대표적인 통신세션의 자원 관리 시스템(711)을 둔다.
제8도는 이러한 망관리 시스템을 지역과 특성에 따라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통신영역당 1개의 대표 통신세션과 물리적인 망 연결등의 네트워크 자원 관리 시스템을 두며, 서비스 세션 관리시스템과 접속된다.
이와 같이 분산처리환경에서 특정한 망구성장치를 위치적인 면과 장치의 특성을 분류하여 통신영역을 구분하고, 네트워크 자원을 여러개로 통신영역에 따라 관리하는 분산화된 네트워크 자원과리가 필요하다.
제8도는 통신영역에 따라 이러한 분산화된 네트워크 자원관리를 구성한 구성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로, 본 발명은 종래방식의 서비스 호 설정 방식과는 달리 개방 형통신망의 서비스 세션 그래프 방식을 적용하여 서비스 호출 설정하는 방법으로, 분산처리환경에서 개방형통신망 구조에서 정의하지 않은 별도의 서비스 세션 및 통신세션 매핑기능의 연산객체를 두어 서비스 품질에 맞는 연결을 서비스 세션과 연결관리 기능부의 공유된 네트워크 자원을 확인한 후, 통신세션을 요구하도록 설정하므로서, 신속하고, 안정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연결이 가능하다.
이로서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한 경우, 신속한 서비스 호 설정에 대한 거절 메세지 처리와 호 설정에 따른 잦은 객체간 연결(오퍼레이션)을 피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키며, 네트워크 자원관리 및 운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둘째로, 본 방식은 서비스 호 설정 기능을 개방형 객체 분산처리환경을 이용하여, 기존의 분산처리환경의 네트워크 자원관리를 객체정보로 관리하므로서 다른 분산환경에 손쉽게 이식이 가능하며, 객체지향 개념에 의한 네트워크 자원관리를 사용하므로서 구현이 간단하며, 실제 적용이 손쉬어 여러 환경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객체지향의 설계 개념을 적용하여 서비스 호 설정과 별도로 상호간 네트워크 자원공유를 위한 서비스 및 통신세션의 정보관리는 분산처리시스템 환경에서 객체간의 오퍼레이션 접속으로 서로 다른 객체간의 접속 서비스에 쉽게, 신속하게 적용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네트워크 자원관리로 효율적인 망관리과 구축이 가능하여 부가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로, 네트워크의 성능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 세션을 설정한 후,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요구에 있어서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하여 통신세션의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여 연결 재시도 횟수 Noptimal(제6도의 10,12)와 재시도 대기시간인 T(제6도의 14)을 설정하여 네트워크의 구성과 응용서비스 특성에 따라 적합한 네트워크 튜닝 파라메터를 추출하여 망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므로서 네트워크에 효율적인 탄력적인 방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분산처리환경에서 통신사업자 영역과 서비스 제공사업자 영역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정보의 분산화와 체계화로 네트워크 자원의 이중화와 재구성화를 이용하여 안정한 네트워크를 구측할 수 있다.

Claims (4)

  1. 분산처리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정보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제공사업자 영역내 응용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와 통신망 사업자 영역내 연결 관리 기능부를 포함하여 종단의 서비스 사용자간에 서비스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호 설정에 따른 요구가 있는 경우 서비스 호 요구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네트워크 자원할당 요청이 신규요청인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신규요청이면, 상기 응용서비스 세션 관리 기능부내 서비스 세션 정보 관리 기능부에서 네트워크 자원할당이 불가능할 경우 재시도 시간(T)동안 재시도 횟수(N) 를 증가시키면서 자원할당을 요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자원할당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 받은 후 상기 연결관리 기능부내 통신세션에게 물리적인 망연결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신세션으로 매번 연결을 요구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세션과 통신세션의 연결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서비스 호 요구를 기다리는 제4단계와, 상기 확인에 의해 신규요청이 아니면, 상기 재시도 횟수(N)가 정해진 재시도 횟수(Noptimal) 미만일 경우에는 자원확인요청 횟수를 계속 증가시켜 재시도를 수행하고, 초과할 경우에는 서비스 호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서비스 불가능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져,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도 시간(T)과 재시도 횟수(N)의 곱 결과는 정상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500ms 미만으로 튜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자원공유 확인은 통신세션에게 망연결 요구전에 별도의 서비스 세션 및 통신세션 메핑기능의 연산객체를 두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세션 연결 정보는 별도의 서비스 세션 연결테이프로 구성하여 상주메모리에 보관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KR1019960041260A 1996-09-20 1996-09-20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KR100205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260A KR100205053B1 (ko) 1996-09-20 1996-09-20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260A KR100205053B1 (ko) 1996-09-20 1996-09-20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75A KR19980022175A (ko) 1998-07-06
KR100205053B1 true KR100205053B1 (ko) 1999-06-15

Family

ID=1947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260A KR100205053B1 (ko) 1996-09-20 1996-09-20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154B1 (ko) * 1999-08-02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동적 서비스 조합 구성방법
KR100309256B1 (ko) * 1999-10-25 2001-11-02 서평원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세션 식별자 설정 방법
JP4818581B2 (ja) * 2003-10-27 2011-11-1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75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1611A (en)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for source routing multimedia packet networks
US6092113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VPN having an assured bandwidth
US5809129A (en) Resource separation in a call and connection separated network
US6553014B1 (en) ATM communication system, process migration method in the ATM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processing method
AU7543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aranteed quality/class of service within and across networks using existing reservation protocols and frame formats
US6434612B1 (en) Connection control interface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es
JPS63214043A (ja) パケツト通信サ−ビス方式
US200300334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network router and switch
US7457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quality of service path through networks
EP1176766A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prioritised quality of service arrangements
JPH03500836A (ja) 交換経路予約構成
KR100205053B1 (ko)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KR100705564B1 (ko)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CA2282110A1 (en) Access network for mobile terminals
JPH1078931A (ja) 資源管理方法および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US6243363B1 (en) Process of switching to a server of cells sent by a module linked to a local access network for mobile (stations), as well as such a network for implementation of said process
US67852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anout of a multicast tree
KR100385468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KR100221304B1 (ko) 에이티이엠기반의 개인휴대통신망에서의 대역폭 할당 방법
US6785281B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via bypass line in connection-type network
JPH1132083A (ja) 交換網および交換装置
JPH07221837A (ja) 加入者複数交換機収容方式
KR10024367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단말의 다자간 통신을 위한 제어 방법
KR100205026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연결 설정장치 및 그 방법
JP3555514B2 (ja) 品質保証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品質保証型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