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442A -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442A
KR20050040442A KR1020030075639A KR20030075639A KR20050040442A KR 20050040442 A KR20050040442 A KR 20050040442A KR 1020030075639 A KR1020030075639 A KR 1020030075639A KR 20030075639 A KR20030075639 A KR 20030075639A KR 20050040442 A KR20050040442 A KR 2005004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voice message
voice
uni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495B1 (ko
Inventor
한성우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495B1/ko
Priority to EP04025451A priority patent/EP1528821A3/en
Priority to US10/973,416 priority patent/US7352719B2/en
Priority to JP2004313521A priority patent/JP2005176315A/ja
Priority to CNA2004100868044A priority patent/CN1612633A/zh
Publication of KR2005004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1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 is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통화연결이 안 되는 경우 발신자가 착신 단말기에 음성메시지를 남기고자 하면 자동으로 음성채널을 종료하고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을 위해 자동으로 이동통신망과 데이터채널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는 음성채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용 빈도가 낮은 데이터채널을 통해 음성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신회선 사용의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Digital cellular phone for forwarding and receiving voice data by packet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ing voice data}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표적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유럽의 표준 방식인 GSM, 일본의 표준 방식인 PDC, 미국의 표준 방식인 CDMA에 기초한 IS-95(혹은 cdmaOne)이다. 상기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지금까지 아날로그 신호로 송신되었던 음성을 디지털화함에 따라 주파수 효율성을 향상시켰고, 디지털 데이터 전송도 지원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원래 음성서비스를 주체로 개발되었으므로 도입 초기에는 회선 교환 방식만 제공되었다. 상기 회선 교환 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정해진 통신 회선을 설정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일단 통신 회선(또는 음성채널)이 설정되면 그 통신 회선은 한 트랜잭션의 정보 전달만을 위하여 독점된다.
상기와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하에서 기존의 이동통신사업자는 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가 통화중이거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호출에 응답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전화를 건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회선 교환 방식만을 지원하므로 발신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사서함 서비스 이용 시에도 할당된 통신 회선을 독점한다.
이러한 회선 교환 방식에 의한 음성메시지 전송 서비스는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고 이용자의 통신서비스 이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이동통신사업자와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 각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즉, 발신자가 상기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수신자가 이를 확인하지 않으면 발신자는 음성사서함 서비스 이용요금도 부담하고 서비스 이용시간만큼 배터리 전력도 소비하면서도 아무런 이득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동통신사업자는 많은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원활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계속해서 통신 회선을 늘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장비와 인력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한편,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내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업체들(팬택&큐리텔, 삼성, LG, KTF)은 단지 음성이나 문자를 송수신하는 것에서 그 자체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나아가 컬러사진, 애니메이션, 동영상, 음악, 텍스트 이른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하고 이를 친구나 가족에게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이동통신사업자는 단말기와 웹 서버간의 인터넷 연결 또한 단말기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모듈과 패킷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은 통신 중에 회선(또는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용할 수 있고, 패킷 정보량을 기준으로 서비스 이용요금이 부과된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음성통화를 이용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이에 본원 출원 발명자는 상대적으로 사용량이 적은 데이터채널을 사용하여 음성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안하여 통신회선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회선 교환 방식이 아닌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메모리의 저장용량이 충분한 경우 음성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데이터 채널을 연결하여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전송/확인/재녹음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메모리의 저장용량이 부족한 경우 데이터채널을 연결한 후 입력되는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전송하는 음성메시지 송수신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음성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착신 단말기와의 음성통화연결이 안 되는 경우 발신자가 착신 단말기에 음성메시지를 남기고자 하면 자동으로 음성채널을 종료하고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을 위해 자동으로 이동통신망과 데이터채널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사업자는 음성채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용 빈도가 낮은 데이터채널을 통해 음성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신회선 사용의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11)와 기지국(21)과 교환기(23)와 음성사서함부(25)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기지국(21)과 통신을 하여 교환기(23)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그 기능상 이동통신망으로 전화연결을 위한 발호신호를 송신하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음성사서함 서비스에 강제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가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21)은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발호신호를 수신하여 사용 가능한 통신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와 교환기(23)를 연결한다. 여기서, 통신채널은 통화방식에 따라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교환기(23)는 기지국(21)으로부터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발호신호를 입력받아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호출신호를 보낸다. 이후 교환기(23)는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부터 호출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통화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통화정보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착신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와 채널정보와 호출신호타입정보와 메시지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는 자신을 호출하는 정보로 판단하고 벨소리를 울리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출신호타입정보가 음성통화에 관한 정보이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는 수신자가 폴더를 개방하거나 키를 누르거나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벨소리를 울리게 된다. 수신자가 응답을 하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는 교환기(23)로 채널연결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교환기(23)는 채널 연결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양 단말기(10,11)간의 음성채널을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출신호타입정보가 메시지 전달(예컨대,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멀티미디어메시지)에 관한 정보이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는 짧게 벨소리를 울린 후 멈추고 도달된 메시지의 종류에 관한 간단한 아이콘 또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한다.
나아가 교환기(23)는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으면 음성사서함부(25)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가 음성사서함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가입 시 음성사서함 이용안내정보를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교환기(23)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패킷 처리된 음성메시지가 입력되면 이를 데이터채널을 통해 음성사서함부(25)로 전송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로 전송완료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교환기(23)는 음성메시지가 도착한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호출신호를 출력하여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부터 호출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송신한다.
음성사서함부(25)는 교환기(23)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음성사서함부(25)는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상기 음성메시지DB(273)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재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음성사서함부(25)는 음성사서함 가입자정보(271)와 음성메시지DB(273)를 포함하는 메모리(27)와 패킷제어부(29)를 포함한다. 패킷제어부(29)는 음성사서함에 가입된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 앞으로 도착한 패킷 데이터의 오류제어와 압축 전송 및 날짜/시간별로 음성메시지DB(273)에 저장하는 것을 담당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이거나 대응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은 회선 교환 방식 및 패킷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스템의 이해를 위해 중요한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11)와 기지국(21)과 회선교환망(30)과 패킷교환망(40)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왑(WAP)프로토콜에 의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도1에서와 같이 음성사서함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11)는 컨텐츠서비스서버(51)을 이용하여 패킷 처리된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업체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회선교환망(30)은 이동교환국(31)과 공중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이동교환국용 게이트웨이(33)를 포함한다. 상기 회선교환망(30)의 구성과 각 구성의 동작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패킷교환망(40)은 패킷처리부(41)와 인터넷을 통해 각종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컨텐츠 서비스 서버(51)와 연결된 패킷용 게이트웨이(43)를 포함한다. 패킷처리부(41)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의 오류제어와 압축 전송을 처리한다. 패킷용 게이트웨이는 컨텐츠서비스서버(51)에서 지원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과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10,11)에서 지원하는 왑(WAP) 프로토콜을 상호 교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11)에서 컨텐츠 서비스 서버(51)의 메일, 동영상, 뮤직 등을 열람할 수 있고 다운로드 받는 기능을 가능하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서비스서버(51)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패킷 처리된 음성메시지가 전송 완료되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음성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서비스서버(51)는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가 컨텐츠서비스서버(5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문메시지와 함께 음성메시지도 전송할 수 있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900)와, 조작 상태 및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700)와,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500)와,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와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00)와, 통화연결 및 음성메시지의 패킷 처리 및 음성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단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와,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두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이 물리적으로 단일의 패키지로 집적된 칩일 수도 있다.
메모리부(300)는 메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프로그램 실행 파일과 관련 데이터들 및 음성메시지 파일이 저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플래시 저장부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될 수 있다.
조작부(500)는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와 특수문자키와 다양한 기능키 예를 들어 통화버튼 /문자버튼 업/다운 키, 무선인터넷 접속 키, 볼륨 업/다운 키, 다양한 부가 기능 선택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00)는 문자나 그래픽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표시 정보는 배터리 잔량, 플레이모드, 메모리 저장 잔량, 날짜 및 시간, 초기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00)는 CDMA 또는 GSM 방식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알에프(RF) 회로와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회로이며, 예를 들면 몇 개의 알에프 회로와 퀄컴사에 의해 제공되는 MSM 계열의 칩 내부의 변복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블록들은 대체로 논리적인 블록이며, 물리적인 블록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코덱부(910)와 음성처리부(930)의 일부 그리고 통신부(900)의 일부와 제어부(10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일의 칩으로 패키징되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조작부(500)로부터 전화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90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발호신호를 출력하는 통화제어부(120)와, 메모리부(300)의 저장자원을 관리하는 메모리 제어부(140)와, 통신부(900)를 통해 각종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패킷별로 데이터를 처리한 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패킷처리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제어부(120) 내에 교환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연결 불능신호를 수신 시 음성채널 연결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음성채널 자동 해제부(121)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통화연결 불능신호는 수신자가 통화중일 때 통화중임을 알리는 통상적인 비지톤 신호일 수 있다. 혹은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 '죄송합니다. 지금은 고객님께서 전화를 받으실 수 없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연결 불능신호는 '음성사서함에 음성을 남기고 싶으시면 삐∼익 소리가 나면 음성을 녹음하여 주시고 녹음이 끝나시면 별표(*)나 우물정자(#)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음성사서함 이용안내 메시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제어부(120) 내에 음성메시지 전송을 위해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채널 자동 연결부(123)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채널 자동 연결부(123)는 메모리 제어부(140)로부터 메모리의 저장용량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용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조작부(500)로부터 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채널 자동 연결부(123)는 메모리 제어부(123)로부터 메모리 저장용량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음성채널 자동 해제부(121)로부터 음성채널 종료신호 입력 시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140)는 음성메시지 저장을 위한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제어한다. 패킷처리부(160)는 통신부(900)를 통해 입력되는 패킷 처리된 데이터를 각 패킷별로 데이터 처리하여 메모리(300)로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300)로부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1)로 출력되는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한다.
도4a, 도4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음성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다. 도4a, 도4b 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성채널을 연결하고자 하였으나, 착신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에 응답이 없어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4a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조작부(500)로부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통화키 입력에 의한 통화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401), 기지국으로 음성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402). 이때 기지국은 비어 있는 음성채널을 할당하고 통화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이후 교환기는 일반적인 호 프로세서 처리과정을 통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로 호출신호를 전송한 후 착신응답신호를 기다린다. 만일 착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이 꺼져 있어 응답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교환기는 예컨대, 발신 이동통신단말기로 비지톤 신호를 보내거나 착신이동통신단말기와 전화연결이 안 된다는 간단한 음성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교환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연결 불능신호를 수신하면 기지국으로 음성채널 연결 종료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403). 이후 통화제어부(120)는 메모리에 남아 있는 저장용량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 저장용량과 비교하여(S404) 남아 있는 저장용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발신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한다(S405). 이후 제어부(100)는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녹음이 완료되면 조작부(500)로부터 전송/확인/재녹음 요청신호 중 어느 것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406). 이때 전송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407). 이후 제어부(10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 채널 연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자에 의해 전송 요청된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된 음성메시지는 교환기(23)를 거쳐 음성사서함부(25)에 도달되어 음성메시지DB(273)에 저장될 수 있다(도1 참조.).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된 음성메시지는 패킷처리부(41)와 패킷용 게이트웨이(43)를 거쳐 컨텐츠서비스서버(51)에 도달되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도2 참조.). 이후 제어부(100)는 전송 완료된 음성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S409).
한편, 제어부(100)는 조작부(500)로부터 메시지 확인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코덱부와 음성처리부를 거쳐 가청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자에게 들려준다(S411). 또한, 제어부(100)는 조작부(500)로부터 메시지 재녹음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삭제한다(S412).
도4b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단계 404에서 남아 있는 저장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여(S421) 데이터채널을 연결한다. 제어부(100)는 연결된 데이터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S422). 이하, 제어부(100)는 음성메시지가 전송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S423) 전송이 완료되었다면 조작부(500)로부터 확인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24). 확인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상기 확인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수신한 후 코덱부와 음성처리부를 거쳐 가청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자에게 들려준다(S425). 이후, 제어부(100)는 조작부(500)로부터 메시지 재녹음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상기 재녹음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412)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422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채널보다 상대적으로 사용량이 적은 데이터채널을 통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통신사업자는 통신회선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에게 원활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데이터 전송량에 상관없이 이용 시간동안 요금이 부과되는 회선 교환 방식 대신 실제 전송 데이터량에 대해 요금이 부과되는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요금을 합리적으로 부과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의 남은 저장용량에 따라 데이터채널을 연결하여 음성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비록 단말기가 저장용량에 상관없이 음성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4a, 도4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음성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다.

Claims (8)

  1.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저장자원을 관리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화 연결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발호신호를 출력하는 통화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각종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패킷별로 데이터를 처리한 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패킷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제어부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연결 불능신호를 수신 시 음성채널 연결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음성채널 자동 해제부와;
    음성메시지 전송을 위해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채널 자동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채널 자동 연결부가: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부터 저장용량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용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메시지 전송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채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채널 자동 연결부가: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부터 저장용량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음성채널 자동 해제부로부터 음성채널 종료신호 입력 시 데이터채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로부터 패킷 처리된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해당 패킷별로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킷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음성사서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따른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전송 방법이:
    조작부로부터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이동통신망으로 음성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연결 불능신호 수신 시 음성채널 연결 종료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메모리부의 저장용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메모리부의 저장용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조작부로부터 상기 음성메시지 전송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연결응답신호 수신 시 상기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전송방법이:
    조작부로부터 저장된 음성메시지 확인신호 입력 시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단계와;
    조작부로부터 음성메시지 재녹음신호 입력 시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전송방법이:
    전송이 완료된 음성메시지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전송방법이:
    메모리부의 저장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망으로 데이터채널 연결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연결응답신호 수신 시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패킷 처리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30075639A 2003-10-28 2003-10-28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54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39A KR100541495B1 (ko) 2003-10-28 2003-10-28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EP04025451A EP1528821A3 (en) 2003-10-28 2004-10-26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a voice message using a packet-switched scheme
US10/973,416 US7352719B2 (en) 2003-10-28 2004-10-27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 using packet-switched scheme
JP2004313521A JP2005176315A (ja) 2003-10-28 2004-10-28 音声メッセージをパケット通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そして、これを遂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CNA2004100868044A CN1612633A (zh) 2003-10-28 2004-10-28 使用包交换方案进行语音消息通讯的方法和移动通讯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39A KR100541495B1 (ko) 2003-10-28 2003-10-28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442A true KR20050040442A (ko) 2005-05-03
KR100541495B1 KR100541495B1 (ko) 2006-01-10

Family

ID=3442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639A KR100541495B1 (ko) 2003-10-28 2003-10-28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52719B2 (ko)
EP (1) EP1528821A3 (ko)
JP (1) JP2005176315A (ko)
KR (1) KR100541495B1 (ko)
CN (1) CN16126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6975B2 (en) * 2004-11-23 2010-09-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transferring data files to and from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898175B2 (ja) * 2005-09-14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47692A (ja) * 2007-12-14 2009-07-02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交換局、蓄積装置、及び、メッセージ蓄積方法
US8170006B2 (en) * 2008-07-17 2012-05-01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Inc. Digital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gram product for, and method of managing such a system
JP5352621B2 (ja) * 2011-04-27 2013-11-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5222974B2 (ja) * 2011-04-27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5222973B2 (ja) * 2011-04-27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通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7540B2 (ja) * 1994-05-12 2002-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化通信装置および切替え装置
US5697060A (en) * 1996-03-25 1997-12-09 Sony Corporation Portable voice messag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pre-set text-based information
DE69836715T2 (de) 1997-11-03 2007-05-16 Nortel Networks Ltd., St. Laurent Nachrichtenübertragungssystem
EP1093696A1 (en) * 1998-07-06 2001-04-25 Nokia Corporation Voice mail server,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voice mail message transmission
JP4051794B2 (ja) * 1999-01-13 2008-02-27 富士通株式会社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その方路選択方法
CA2298486A1 (en) * 1999-03-01 2000-09-01 Lucent Technologies, Inc. Voice mail on packet networks
JP3485060B2 (ja) * 2000-03-08 2004-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電話端末接続方法
US7075936B2 (en) * 2000-11-02 2006-07-11 Agere Systems, Inc. Voice packet proces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20080782A1 (en) * 2000-12-22 2002-06-27 Broadband Gateways, Inc.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 control of terminal units
US7161939B2 (en) * 2001-06-29 2007-01-09 Ip Unity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mong independent packetized audio streams
WO2003073678A2 (en) * 2002-02-26 2003-09-04 Jetque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a circuit switched channel and a packet data network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00004A1 (en) 2005-05-12
KR100541495B1 (ko) 2006-01-10
JP2005176315A (ja) 2005-06-30
EP1528821A2 (en) 2005-05-04
CN1612633A (zh) 2005-05-04
EP1528821A3 (en) 2006-05-17
US7352719B2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863B2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JP3288050B2 (ja) 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着信通知方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CN101090361A (zh) 在通信网络中将定制的多媒体问候语传递到呼叫方的方法
KR100541495B1 (ko)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WO2006051611A1 (ja) 用件提示方法及び用件情報蓄積装置及び端末
KR100743987B1 (ko) 링백톤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7353015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erasing a notification message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3616577B2 (ja) 発信者選択による着信音および画像表示着信通知方式、並びに方法
KR100617288B1 (ko)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3219469A (ja) 携帯型通信端末及び着信転送方法
JP3564377B2 (ja) 電子メール着信通知方式および方法、並びに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100637039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H1198256A (ja) 通信端末機及びディジタル交換機ならびに発信者情報転送システム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880978B1 (ko) 단문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911818B1 (ko) 음성 대화 저장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88622A (ko)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후 착신자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500952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7800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4032449A (ja) 通話内容記録サービスシステムとサービ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