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093A - 전기영동분석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영동분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093A
KR20050040093A KR1020030082575A KR20030082575A KR20050040093A KR 20050040093 A KR20050040093 A KR 20050040093A KR 1020030082575 A KR1020030082575 A KR 1020030082575A KR 20030082575 A KR20030082575 A KR 20030082575A KR 20050040093 A KR20050040093 A KR 2005004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electrophoretic
lamp
analysis system
aci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덱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덱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덱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03008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0093A/ko
Publication of KR2005004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0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3Particularly adapted electric pow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21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영동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전기를 인가하여 핵산 시료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영동부와, 상기 전기영동부의 일측에 핵산 시료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UV램프를 내장한 UV 조사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전기영동부와 UV 조사부, 그리고 이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된 본 발명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은 보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전기 영동시 발생하는 핵산시료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아울러 작업시간도 훨씬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은 핵산시료 수용물이 놓여진 시료 트레이의 설치로 전기영동과 핵산이동 확인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핵산띠의 이동상태를 보기 위해 전기 영동후 한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을 자외선 투사기로 다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의 이동과정 중에 젤을 떨어뜨려 손상시키거나 한천 표면의 에티디움브로마이드(EtBr) 염색제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영동분석시스템{Electrophoresis System}
본 발명은 전기영동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영동장치와, 전원공급장치, 및 자외선 투사기가 일체로 된 하나의 제품으로 이루어져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전기영동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명공학 분야에 있어서, 전기영동은 일반적으로 자주 실시되는 실험으로서 핵산 분자 (DNA 및 RNA) 및 단백질의 분석을 위해 실시된다.
전기영동 방법에 이용되는 전기영동장치는 일반적으로 핵산이나 단백질이 음전기를 대전하고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한천 등의 구멍 내부에 핵산시료를 넣은 뒤 버퍼용액을 채워 전기를 가하면 핵산 시료가 음극쪽에서 양극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전기영동장치는 구조에 따라 크게 수평형 전기영동장치와 수직형 전기영동장치의 두 종류로 나눌 수가 있는데, 수평형 전기영동장치는 그 구조가 수평으로 되어 시료의 이동이 수평으로 이루어지고, 수직형 전기영동장치는 구조가 수직으로 되어 시료의 이동이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진다.
유전자, 즉 핵산의 분석에는 수평형 전기영동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며, 첨부도면 도 1에 이러한 종래 형태의 수평형 전기영동장치(10)를 포함한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종래의 전기영동장치(10)는 양극(+)과 음극(-)을 이루는 전극단자(12)가 각각 전기영동장치(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전극단자(12)의 주변에는 전해액(13)으로 채워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시료를 분리하는데 이용되는 젤라틴(gel) 계열의 한천(미도시)은 한천틀에 굳혀서 사용하게 되는데, 한천을 굳힌 한천틀(미도시)을 전기영동장치(10)의 내부에 놓고 전기영동하고자 하는 핵산시료를 한천에 형성한 구멍에 넣어 전기영동을 실시하면, 이 구멍 내부의 핵산이 한천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핵산의 이동은 띠(band)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통상 '핵산띠'로 명명되고 있다.
핵산띠의 이동상태는 통상 자외선 투사기(Unltraviolet Transilluminator)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 바, 핵산띠의 이동을 보기 위해서는 한천이 얹혀진 한천틀을 들고 도 1에 도시된 자외선 투사기(30)로 이동하여 한천을 한천틀에서 분리하여 자외선 투사기(30) 위로 옮긴 다음, 상기 자외선 투사기(30)에서 한천으로 자외선을 투사하도록 하여 핵산띠의 이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의 미설명된 부호 "31"은 '자외선(UV) 램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에서는 전기영동장치(10)와, 이 전기영동기장치(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 및 자외선 투사기(30)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사용할 경우에도 각 제품들을 적정 위치에 배열한 다음 전기적으로 다시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핵산띠의 이동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한천틀을 들고 한천을 자외선 투사기로 옮겨 놓아야 하는 바, 이러한 이동과정에서 한천을 떨어뜨리거나 손상시키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천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전기영동이 종료된 한천 젤 내에 있는 핵산 분자의 염색을 위해 이용하는 발암물질의 하나인 에티디움브로마이드(EtBr)이나 SYBR Gold, SYBR Green, GelStar 등이 손이나 자외선 투사기에 묻게 되는 위험이 따를 뿐만 아니라, 핵산시료 중에는 암유전자와 같은 위험 유전자나 에이즈(AIDS) 바이러스 같은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핵산 분자 또는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영동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자외선 투사기가 하나의 단품으로 일체화하여 전기영동과 핵산이동 확인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며, 아울러 한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의 이동 중 손상이나 한천 표면의 에티디움브로마이드(EtBr) 등의 염색제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을 크게 줄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전기를 인가하여 핵산 시료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영동부와, 상기 전기영동부의 일측에 핵산 시료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UV 램프를 내장한 UV 조사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전기영동부는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이 내장된 메인프레임과; 내부에 전해액이 수용될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버퍼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UV 조사부는 UV램프가 수용되는 램프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케이스는 UV 램프의 장착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챔버는 이의 내부에 수용될 전해액의 상방으로 융기하여 핵산시료 수용물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된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양측에 위치되어 메인프레임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및 양극의 전극단자와, 상기 버퍼챔버의 상부를 커버하며 실내 관측이 가능하도록 투시창을 가지는 안전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틀의 상면에는 핵산시료 수용물의 제작에 사용되며 이 제작된 핵산시료 수용물이 놓여진 시료 트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틀과 시료 트레이는 UV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가능한 투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투시창은 자외선의 외부 노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필터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챔버는 고정틀의 하부에 요홈부를 가지며, 상기 램프케이스의 상부에는 핵산시료의 이동상태 판별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식별보드가 구비되되, 상기 식별보드는 요홈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램프케이스는 UV램프의 하부에 자외선 반사를 위한 반사판을 내장하고, 상기 램프케이스의 개방 상부에는 상기 UV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중 적합한 파장의 자외선을 얻기 위한 UV 필터가 장착되되, 상기 램프케이스는 메인프레임의 하단을 커버하는 하판과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퍼챔버의 상방으로 상기 안전덮개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상기 전원공급수단이 위치되되,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전원스위치와, 전기영동스위치와, UV램프스위치,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간 전류의 흐름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전류변환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기영동부와 UV 조사부, 그리고 이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된 본 발명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은 보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전기영동시 발생하는 핵산시료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아울러 작업시간도 훨씬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한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내에 있는 핵산시료에 의해 형성된 띠를 확인하기 위해, UV 조사기로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티디움브로마이드(EtBr) 등의 염색제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분리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각각 별도의 단품으로 제공되던 전기영동장치(10)와 전원공급장치(20), 및 UV 조사장치(30)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100)을 제공하는 바,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100)은 핵산시료 수용물 인 젤라틴(gel) 계열의 한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이하 '핵산시료 수용물'이라 함)에 실시간으로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핵산시료 수용물 내부에 수용된 핵산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영동부(110)와, 상기 핵산시료 수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UV램프(125)가 내장된 UV 조사부(120)를 결합하여 일체화시킨 구조로 제공된다.
전기영동부(110)는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소정의 전원공급수단(131)이 내장된 메인프레임(130)과, 내부에 일정량의 전해액(S)이 수용될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버퍼챔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해액은 일반적으로 완충액이 이용되며, 완충액은 염(salt)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전해질로 작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해액은 TAE, TPE, TBE, 트리스-글리신, BPTE, MOPS 또는 TAFE가 이용된다.
메인프레임(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절곡된 구조로 제공된다. 메인프레임(130)의 일단부,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레임(132)에 상기 버퍼챔버(140)가 결합되고, 메인프레임(130)의 타단부,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133)에 상기 전원공급수단(131)이 위치된다.
버퍼챔버(140)는 이의 내부에 핵산시료 수용물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틀(141)과, 이 고정틀(141)의 양측에 양극 및 음극의 전극단자(142)를 각각 구비한다. 고정틀(141)은 버퍼챔버(140)의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해액(S)의 상방으로 융기된 것으로, 이의 상단이 수평 상태의 평면으로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전극 단자(142)는 버퍼챔버(140)의 내부에 위치되되, 이들의 양측 끝단이 버퍼챔버(140)의 양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홈(143)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메인프레임(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고정틀(141)은 이의 상면에, 핵산시료가 내재된 핵산시료 수용물의 외형을 결정함과 동시에, 이 제작된 핵산시료 수용물이 놓여지도록 된 시료 트레이(14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고정틀(141)과 시료 트레이(144)는 상기 UV램프(125)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사체인 판상의 아크릴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챔버(140)의 상부에는 이를 커버함과 동시에 자외선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덮개(145)가 구비된다. 이 안전덮개(145)는 상기 메인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2)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안전덮개(145)의 상면에는 버퍼챔버(140)내 진행 상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투시창(146)이 구비된다. 상기 투시창(146)은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소정 색상을 가지는, 바람직하게는 호박색의 자외선 차단 필터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프레임(130)의 타단부, 바람직하게는 'ㄱ'자 형상으로 된 메인프레임(130)의 하부 프레임(132)에 구비된 상기 전원공급수단(13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스위치(ON/OFF;134), 상기 각 전극단자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기영동스위치(ON/OFF;135), 상기 UV램프(125)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UV램프스위치(ON/OFF;136), 및 상기 전극단자(142)간에 전류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또다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전류변환스위치(정전류/역전류;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UV 조사부(120)는 전기영동부(11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UV램프(125)가 수용되는 램프케이스(121)를 포함하며, 이 램프케이스(121)는 UV램프(125)의 장착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램프케이스(121)내 상기 UV램프(125)의 하부에는 조사된 자외선의 반사를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반사판(122)이 내장되고, 상기 램프케이스(121)의 개방 상부에는 UV램프(122)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중 적합한 파장의 자외선을 얻기 위한 UV필터(123)가 장착된다. 이 UV필터(123)는, 바람직하게는 반사판(122)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램프케이스(121)는 메인프레임(130)의 하단을 커버하기 위한 하판(138)과 일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램프케이스(121)의 상부에는 핵산시료 수용물에 내재된 핵산의 이동상태를 명확하게 관측 및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색상의, 바람직하게는 흰색(white color)의 식별보드(1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틀(1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챔버(140)의 내부에 요철 형상의 융기된 구조로 제공되어 있어 이의 하부, 즉 버퍼챔버(140)의 저면에서 상기 고정틀(141)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방으로 오목한 요홈부(147)로 제공된다. 상기 식별보드(124)는 이 요홈부(147)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시스템(100)의 사용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분석시스템(100)은 전기영동부와 UV 조사부, 그리고 이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100)의 사용을 살펴보면, 먼저 전원스위치를 켠 (switch-on) 상태에서 핵산시료 수용물(W)이 놓여진 시료 트레이(144)를 운반하여 고정틀(141)의 상면에 장착시킨 다음, 안전덮개(145)를 닫고 전기영동스위치(135)를 켜서 전기영동을 실시하면 상기 핵산시료 수용물(W) 내부의 핵산띠(band)가 서서히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100)은 전기영동 과정에서 핵산띠의 이동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전기영동스위치(135)를 켬과 동시에 UV램프스위치(136)를 온(switch-on) 시켜서 UV램프(125)를 점등하게 되면 핵산시료 수용물(W) 내부에서의 핵산띠(band)의 이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도 5의 식별보드(124)는 핵산띠의 이동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상기 버퍼챔버(140) 아래의 요홈부(147) 안으로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에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영동부와 UV 조사부, 그리고 이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된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기 영동시 발생하는 핵산시료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의 사용 및 작동 양태의 일 례는 다음과 같다:
시료 트레이(144) 상에서 한천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제조용 화합물을 이용하여, 핵산시료 수용물(W)을 제조한다. 이때, 핵산 염색제인 에티디움브로마이드 (EtBr)가 첨가된다. 이어, 제조된 핵산시료 수용물 (즉, 한천 젤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젤;W)의 일단에 형성한 구멍(X)에 핵산시료를 로딩 (loading), 즉 삽입한 다음, 시료 트레이(144) 자체를 버퍼챔버(140)의 고정틀(141)상에 올려 놓는다. 한편, 버퍼챔버(140)에는 완충액(미도시)이 들어 있으며, 완충액은 시료 트레이(144)에 있는 핵산시료 수용물(W)이 완전히 잠길 정도의 높이로 채워진다.
이어, 전원공급수단(131)을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고정틀(141)의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의해, 핵산시료 수용물(W) 내의 핵산이 양극(+)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는 UV 조사부가 고정틀(141) 하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핵산시료가 이동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핵산시료의 이동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전원 공급을 정지하게 되면, 전기영동이 완료되며, 최종적인 핵산시료의 이동상태는 UV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그 자리에서 (in situ)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핵산시료의 이동 상태를 통해, 핵산시료의 분자량을 측정하거나, 원하는 핵산시료의 유무 등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영동부와 UV 조사부, 그리고 이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하나의 제품으로 일체화된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보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전기 영동시 발생하는 핵산시료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아울러 작업시간도 훨씬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핵산시료 수용물이 놓여진 시료 트레이의 설치로 전기영동과 핵산이동 확인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핵산띠의 이동상태를 보기 위해 전기 영동후 한천틀을 자외선 투사기로 다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천틀의 이동과정 중에 한천을 떨어뜨려 손상시키거나 한천 표면의 에티디움브로마이드(EtBr), SYBR Gold, SYBR Green, GelStar 등의 염색제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형태의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분석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영동분석시스템 110 : 전기영동부
120 : UV 조사부 121 : 램프케이스
122 : 반사판 123 : UV 필터
124 : 식별보드 125 : UV 램프
130 : 메인프레임 131 : 전원공급수단
132 : 상부 프레임 133 : 하부 프레임
134 : 전원 스위치 135 : 전기영동 스위치
136 : UV램프 스위치 137 : 전류변환 스위치
138 : 하판 140 : 버퍼챔버
141 : 고정틀 142 : 전극단자
143 : 홈 144 : 시료 트레이
145 ; 안전덮개 146 : 투시창
147 : 요홈부 S : 전해액
W : 핵산시료 수용물 X : 구멍

Claims (9)

  1. 실시간으로 전기를 인가하여 핵산 시료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영동부와, 상기 전기영동부의 일측에 핵산 시료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UV램프를 내장한 UV 조사부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부는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이 내장된 메인프레임과; 내부에 전해액이 수용될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버퍼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UV 조사부는 UV램프가 수용되는 램프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케이스는 UV램프의 장착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챔버는 이의 내부에 수용될 전해액의 상방으로 융기하여 핵산시료 수용물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된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양측에 위치되어 메인프레임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및 양극의 전극단자와, 상기 버퍼챔버의 상부를 커버하며 실내 관측이 가능하도록 투시창을 가지는 안전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의 상면에는 핵산시료 수용물의 제작에 사용되며 이 제작된 핵산시료 수용물이 놓여진 시료 트레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자외선의 외부 노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필터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챔버는 고정틀의 하부에 요홈부를 가지며, 상기 램프케이스의 상부에는 핵산시료의 이동상태 판별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식별보드가 구비되되, 상기 식별보드는 요홈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케이스는 UV램프의 하부에 자외선 반사를 위한 반사판을 내장하고, 상기 램프케이스의 개방 상부에는 상기 UV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중 적합한 파장의 자외선을 얻기 위한 UV 필터가 장착되되, 상기 램프케이스는 메인프레임의 하단을 커버하는 하판과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8.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버퍼챔버의 상방으로 상기 안전덮개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상기 전원공급수단이 위치되되,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전원스위치와, 전기영동스위치와, UV램프스위치,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간 전류의 흐름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전류변환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9.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과 시료 트레이는 UV램프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가능한 투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분석시스템.
KR1020030082575A 2003-11-20 2003-11-20 전기영동분석시스템 KR20050040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575A KR20050040093A (ko) 2003-11-20 2003-11-20 전기영동분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575A KR20050040093A (ko) 2003-11-20 2003-11-20 전기영동분석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589U Division KR200340399Y1 (ko) 2003-10-27 2003-10-27 전기영동분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093A true KR20050040093A (ko) 2005-05-03

Family

ID=3724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575A KR20050040093A (ko) 2003-11-20 2003-11-20 전기영동분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00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04A1 (ko) * 2008-07-22 2010-01-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일체형 전기영동장치
KR200447697Y1 (ko) * 2008-12-12 2010-0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일체형 전기영동장치
KR20190031872A (ko) 2017-09-18 2019-03-27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균일한 면조명기술이 확보된 uv led 투과조명기
KR102250148B1 (ko) * 2019-11-12 2021-05-10 주식회사 티맥 수평형 전기영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04A1 (ko) * 2008-07-22 2010-01-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일체형 전기영동장치
KR200447697Y1 (ko) * 2008-12-12 2010-0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일체형 전기영동장치
KR20190031872A (ko) 2017-09-18 2019-03-27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균일한 면조명기술이 확보된 uv led 투과조명기
KR102250148B1 (ko) * 2019-11-12 2021-05-10 주식회사 티맥 수평형 전기영동장치
WO2021096092A1 (ko) * 2019-11-12 2021-05-20 (주) 티맥 수평형 전기영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3642B2 (ja) マイクロ流体処理デバイス
JP2010502962A5 (ko)
US112371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phoretic separation and analysis of analytes
US9128046B2 (en) Slide holder assembly for comet assay
CA2454045A1 (en) Arrays of buffers for analysing biomolecules by their isoelectric point
JP2010502962A (ja) 電気泳動ゲルから生体分子を単離し、かつ収集する方法、カセット、ゲル及び装置
AU772361B2 (en) Compact cell clamp for slab gel plate assembly
WO2005098408A1 (en) Multi function gel electrophoresis and apparatus
KR20050040093A (ko) 전기영동분석시스템
KR200340399Y1 (ko) 전기영동분석시스템
US5882495A (en) Electrophoresis system
US20010037940A1 (en) Apparatus for horizontal gel electrophoresis and method of using same
US7850835B2 (en) Solution phase electrophoresis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JP2007178433A (ja) 統合型2次元ゲル電気泳動
US7622028B2 (en) Solution phase electrophoresis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US7077940B2 (en) Strip holder, chamber, cassette, and 2-D gel electrophoresis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his method for separating molecules
JP2017509905A (ja) 電気泳動分離の方法
US20230160852A1 (en) Electrophoresis device for use in an electroclearing method
US10641731B2 (en) Electrophoresis running tank assembly
CN110186988A (zh) 一种高通量琼脂糖凝胶电泳装置
JPH0134114Y2 (ko)
JP2003315312A (ja) 分子分離用カセット、システム、および2dゲル電気泳動方法
KR101595930B1 (ko) 다기능 엘이디 일루미네이터
RU2147315C1 (ru) Камера для электрослия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WO2020049354A1 (en) A gel casting assembly for horizontal gel electrophor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