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510A - 키나제 억제제를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키나제 억제제를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510A
KR20050037510A KR1020047019698A KR20047019698A KR20050037510A KR 20050037510 A KR20050037510 A KR 20050037510A KR 1020047019698 A KR1020047019698 A KR 1020047019698A KR 20047019698 A KR20047019698 A KR 20047019698A KR 20050037510 A KR20050037510 A KR 2005003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nase inhibitor
resistance
cancer
amount
kin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비. 아구스
Original Assignee
세다르스-신나이 메디칼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다르스-신나이 메디칼 센터 filed Critical 세다르스-신나이 메디칼 센터
Publication of KR2005003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4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 C12Q1/485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involving kin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23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u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34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pro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원에는 통상의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KI) 치료법에 대해 내성을 발생시켰거나 또는 통상의 TKI 치료법에 최초부터 비-반응성인 개체에서의 암 및 다른 질환 상태의 치료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각종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1주일에 1회 또는 2회 기준으로 하여 환자에게 내성-극복 양의 TKI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피 막 단백질-1 (EMP-1)의 발현 수준에 기초하여 TKI 치료법에 내성이 될 개체의 확률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EMP-1은 TKI 내성을 초래할 것으로 여겨지는 유전자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폐, 유방, 전립선, 난소, 뇌 및 결장 암의 치료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EGFR 키나제 도메인 외에 또는 대신에 HER-2 키나제 도메인의 차단에 유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나제 억제제를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 {METHOD OF TREATING CANCER USING KINASE INHIBITORS}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특히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KI) 치료법에 대해 내성이 발생되었거나 또는 최초부터 반응성이 아닌 개체에서 질환 상태, 예컨대 암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에서의 암이 비-바이러스, 내인성 종양유전자의 활성과 연관되고, 이들 종양유전자의 상당한 부분이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를 코딩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리간드-매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RTK)는 특히 이들 종양유전자의 중요한 하위군을 형성하고, 진핵 세포의 정상 증식을 조절하는 공동작용 세포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대한 "마스터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RTK로서 약 60여종이 현재까지 확인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세포 신호전달 경로는 상세히 연구되었다. 또한, RTK 신호전달 경로의 잘못된 조절이 각종 유형의 인간 암에서 관찰되고 있으며, 이는 신호 전달 치료법이 암 치료에 대해 유용한 치료 양상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RTK가 중추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질환 상태도 이러한 치료법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당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하나의 성공은 이마티니브 메실레이트 (상표명 GLEEVEC로 노파르티스 파마슈티컬스 코포레이션 (Novartis Pharmaceutical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 이하, "GLEEVEC")이며, 이것은 BCR-ABL 티로신 키나제로 인한 융합 유전자의 전좌를 억제함으로써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Ph+)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치료에 유효하다.
암 치료에서 치료적 개입에 대한 표적의 유망한 세트에는 HER-키나제 축의 구성원이 포함된다. 이들은 예로서 전립선, 폐 및 유방의 고형 상피 종양에서 빈번하게 조절되지 않고, 또한 교모세포종 종양에서 조절되지 않는다.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EGFR)는 HER-키나제 축의 구성원이고, 몇몇 상이한 암 치료법의 개발에 대한 선택적 표적이었다. EGFR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EGFR-TKI)는 티로신 잔기의 가역적 인산화가 EGFR 경로의 활성화에 요구되기 때문에 이들 치료법 중에 속한다. 바꾸어 말하면, EGFR-TKI는 종양 세포 성장 및 분화를 유도하는 세포 신호전달 경로를 유발하고(거나) 유지하는 것을 초래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를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억제제가 HER-1로 칭해지는 EGFR 키나제 도메인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 유망한 EGFR-TKI 중에는 퀴나졸린, 피리도피리미딘 및 피롤로피리미딘인 세가지 시리즈의 화합물이 있다.
2개의 임상 개발 중인 더 발전된 화합물에는 게피티니브 (아스트라제네카 유케이 리미티드 (AstraZeneca UK Ltd.)에 의해 개발되고, 상표명 IRESSA로서 입수가능한 화합물 ZD1839; 이하, "IRESSA") 및 에를로티니브 (제넨테크 인크. (Genentech, Inc.) 및 OSI 파마슈티컬스 인크. (OSI Pharmaceuticals, Inc.)에 의해 개발되고, 상표명 TARCEVA로 입수가능한 화합물 OSI-774; 이하, "TARCEVA")가 포함되며, 이 둘은 유망한 임상 결과를 나타냈다. IRESSA 및 TARCEVA 모두를 사용하는 통상의 전립선암 치료는 500 mg 이하의 화합물 각각을 매일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2003년 5월 경에, IRESSA는 미국 시장에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치료에 허가되는 최초의 제품으로 승인되었다.
IRESSA가 EGFR 분자 상에서 티로신 키나제 인산화를 직접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기능하는 경구 활성 퀴나졸린이다. 이는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ATP) 결합 부위와 경쟁하여, HER-키나제 축의 저해를 유도한다. 그러나, IRESSA 반응의 정확한 메카니즘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지만, 그의 연구들은 EGFR의 존재가 그의 작용에 대해 필요 조건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이들 화합물 사용에서의 유의한 제한은 그의 수여자가 치료법에 최초에 반응한 후에 그의 치료 효과에 대한 내성을 발생시킬 수 있거나, 또는 EGFR-TKI에 대해 최초부터 측정가능할 정도로 반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사실,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단지 10-15%가 EGFR 키나제 억제제에 반응한다. 따라서, 화합물이 최초에 강한 항-종양 특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곧 암 치료에 덜 강력해지거나 전혀 유효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의학적 조사가 지금까지 이러한 내성을 초래하는 생분자 또는 병리학상 메카니즘을 밝혀내지 못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러한 내성을 나타내는 환자는 이들 질환 치료에 대한 소수의 치료학적 변법에 맡겨져 있었다. 내성을 발현하는 환자의 경우에, 이 잠재적 구생 치료학적 메카니즘은 환자가 희망하고, 필사적으로 요구하는 암에 대한 활성 치료법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TKI 치료법의 이익을 포함하는 동시에, 다수 환자에 의해 치료에 대한 반응에서 발생된 내성을 제거하고, 여전히 다른 환자에 의해 나타나는 비-반응성을 극복하는, 암, 구체적으로 폐, 난소, 유방, 뇌, 결장 및 전립선 암의 안전한 치료가 당업계에서 상당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개체, 특히 암이 특히 일반적인 노년기 개체의 건강 상에 극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질환 상태, 예컨대 암의 치료, 특히 통상의 TKI 치료법에 대해 내성을 발생시켰거나 또는 그에 대해 최초부터 반응성이지 않은 개체에서의 암의 치료에 대한 치료법을 제공한다. 본원에는 놀랍게도 이러한 내성이 발생한 후에 또는 통상의 TKI 치료법에 반응성이지 않은 환자에서 암, 특히 전립선, 유방, 폐, 난소, 뇌 및 결장 암을 치료하고, 이 질환의 진행을 극적으로 방해하거나 심지어 역전시키는 데 유효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통상의 TKI 치료보다 덜 빈번하게 투여될 수 있는 내성-극복 양의 TKI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어떠한 이론에 구속되기를 바라지는 않지만, 이 변형 치료 처방이 HER-키나제 족의 상이한 구성원을 유효하게 차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TKI의 표준 투여는 EGFR의 활성화 차단에 유효하지만, TKI의 간헐성의 증가된 투여량이 HER-2, 뿐만 아니라 EGFR을 차단함으로써 TKI의 표준 일일 투여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서 임상 이익 (즉, 종양 반응)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내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유전자 중 하나에 대한 개체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여 TKI 치료법에 대한 개체의 민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유전자로서 상피 막 단백질-1 (EMP-1)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체가 EMP-1을 내성에 대해 충분한 정도로 발현하는 경우에, 개체가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EMP-1의 부재 또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발현 수준 (즉, 내성 표시 정도보다 낮은 발현 수준)은 치료에 더 큰 잠재적 민감성으로 추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통상의 투여 처방에서의 동일한 TKI 주 5회의 투여에 비해 TKI (IRESSA) 주 1회의 볼루스 투여 (1 g/kg)의 그래프 비교 (수학적 표준 오차를 포함함)를 도시한다. 대조군 (즉, TKI 투여하지 않음)도 그래프로 도시한다. 이 실험은 안드로겐-독립 전립선 이종이식 모델에서 수행하였다. 동등한 성장 억제가 일일 또는 볼루스 투여의 경우에 나타났다. 일일 투여는 마우스에서의 최고 관용성 투여량에서 나타났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통상의 투여 처방에서의 동일한 TKI 주 5회의 투여에 비해 TKI (IRESSA) 주 1회의 볼루스 투여 (1 g/kg)의 그래프 비교 (수학적 표준 편차를 포함함)를 도시한다. 대조군 (즉, TKI 투여하지 않음)도 그래프로 도시한다. 이 실험은 안드로겐-독립 전립선 이종이식 모델에서 수행하였다. 동등한 성장 억제가 일일 또는 볼루스 투여의 경우에 나타났다. 일일 투여는 마우스에서의 최고 관용성 투여량에서 나타났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TKI 치료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 동물와 대조하여 TKI (IRESSA)로 치료된 동물에서의 피하 이종이식 종양 부피의 그래프 비교를 도시한다. 안드로겐-의존 (CWR22) 종양 부피 (도 3A)에서 대략 51% 및 안드로겐-독립 (CWR22R) 종양 부피 (도 3B)에서 대략 66.4%의 감소가 TKI 치료법을 받은 동물에 대해 나타났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종양을 일련적으로 계대배양하여 2개의 개별적인 IRESSA-내성 (IR) 종양 계통 (CWR22R, CWRSA6)을 발생시키는 도식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IRESSA 내성 유발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IRESSA로 처리한 IR 종양은 처리되지 않은 모 종양과 유사한 성장을 나타냈다.
도 5는 모노클로날 항체 2C4 (제넨테크, 인크.로부터 입수가능함; 이하, "2C4")로 처리한 IR 종양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IRESSA 치료법을 받은 IR 종양에 비해 81% 성장 억제를 보였다. 또한, IRESSA와 2C4의 조합물로 처리한 종양의 결과는 2C4 단독의 종양 성장 커브와 유사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IRESSA-민감성 및 IR 종양 모두와 동등한 수준으로 MAPK를 활성화시키는 EGF의 능력을 나타낸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TGF-α로 자극된 IR 세포 상에서의 p-MAPK의 IRESSA 억제를 나타낸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p-EGFR에 대한 IRESSA의 직접 영향을 나타낸다.
도 7A는 전체 EGFR 단백질이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IR 종양에서 변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B는 EGFR 및 HER-2 mRNA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IR 종양에서 변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환자 EMP-1 발현 수준에 비해 TKI (IRESSA) 치료법에 대한 개별적인 임상 반응을 도시한다. 이 데이타는 IRESSA로 치료한 비-소세포 폐암을 앓는 환자로부터의 것인데, 그의 임상 반응은 EMP-1 발현 수준과 상호관련있었다. TKI (IRESSA) 치료법에 대한 반응 확률이 EMP-1 발현 수준이 표시된 역치 (즉, 점선) 초과인 (즉, 유전자가 TAQMAN 테크놀로지 (technology)로 평가하여 mRNA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탐지가능"함) 개체에서 10% 미만이었다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환자 EMP-1 발현 수준에 대해 TKI (IRESSA) 치료법에 대한 반응의 확률의 그래프 비교를 도시한다. 이 데이타는 IRESSA로 치료한 비-소세포 폐암을 앓는 환자로부터의 것인데, 그의 임상 반응은 EMP-1 발현 수준과 상호관련있었다.
통상의 TKI 치료법, 예컨대 상기 논의한 IRESSA 및 TARCEVA는 EGFR의 활성화를 차단할 의도인 투여량에서 암 치료에 대한 일일 처방에서의 환자에 대한 투여를 나타낸다. 그러나, 또한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환자는 이 치료에 대해 내성을 빈번하게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TKI의 변형 투여 처방을 내성 환자에게 투여하여 그의 내성을 극복하거나 또는 최초부터 TKI 치료법에 반응성이 아닌 환자에게 투여하여 그의 비-반응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이하, 이들 징후는 모두 암을 앓고 있는 개체를 기재하는 경우에 용어 "내성"에 포함됨) 본 발명자의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이 투여 스케줄은 놀랍게도 우수하게 관용성이며, TKI의 증가된 일일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우수하게 관용성이지 않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는 본 발명자가 이 내성 또는 비-반응성을 초래하는 유전자로서 EMP-1을 확인한 것에 기초한다.
명백히, 본 발명의 방법은 암 치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어드레스 지정되는 생분자 경로 및 제거되는 TKI 내성이 다른 질환 상태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질환 상태는 TKI를 사용하는 치료가 치료시에 환자에 대해 유익한 임의의 질환 상태이다. "유익한 결과"에는 질환 상태의 중증도 저하, 질환 상태의 악화 예방, 질환 상태의 치료 및 환자 수명 또는 기대 수명의 연장이 포함되지만, 이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질환 상태는 EGFR, HER-2 키나제 또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임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키나제와 관련되거나 또는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의 실험적 연구는 이종이식 모델에서 일일 투여 처방에서의 TKI의 임상적 활성을 입증하였고, 상기 종양에 대한 분자적 연구는 EGFR 신호전달 캐스케이드의 유효한 억제를 입증하였다. 이는 이종이식 모델이 다른 모델 시스템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상기 TKI의 거동을 적절하게 반영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권장 일일 투여보다 상당히 많은 양의 1주일 IRESSA 투여량이 우수하게 관용성이고, 이종이식 모델에서, 특히 통상의 TKI 치료법에 내성이 입증된 종양에서도 종양 성장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기를 바라지는 않지만, 이러한 보다 높은 1주일 투여량은 HER-2 키나제 및 EGFR 둘 다, 또는 HER-1 키나제를 억제하는 반면, 통상의 투여량은 단지 HER-1 키나제만을 억제한다고 믿어진다. 또한, 키나제 족 (예를 들어, HER-1, HER-3 또는 HER-4)의 또다른 구성원과의 HER-2 키나제의 공동 자극 효과 (즉, 헤테로이량체화)는 세포 증식을 초래하는 세포 신호전달 경로의 자극을 위해 요구된다고 믿어지기 때문에, 또한 본 발명의 변형 투여 처방에 의한 HER-2 키나제의 추가의 억제는 상기 세포 신호전달을 억제하거나 하향조절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믿어진다. 더욱이, HER-2 키나제가 또한 억제되기 때문에, 심지어 통상의 TKI 치료법에 내성인 환자도 본 발명의 변형 투여 처방에 의해 유익한 항종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가된 투여량은 억제 특이성의 결핍에 관련되어 통상의 TKI 치료법이 실패한 질환 상태의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통상의 방법과 상이하게 작동함으로써 TKI 치료법에 대한 내성 또는 비-반응성을 극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KI의 주 1회- 또는 2회의 증가된 투여량은 통상의 TKI 치료법에 내성인 개체에서, 암, 특히 폐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의 치료에 유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암의 예로는 위암, 결장직장암 및 난소암, 및 교모세포종 종양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상기 형태의 암은 상당한 EGFR 발현이 입증되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치료에 적합한 표적이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TKI의 예로는 암, 특히 유방암, 폐암 및 전립선암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지된 TKI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TKI의 예로는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IRESSA 및 TARCEVA를 들 수 있으나, 추가로 CI1033 (화이자 인크. (Pfizer Inc.)로부터 입수가능함), PKI166 (노파르티스 아게 (Novartis AG)로부터 입수가능함), GW2016 (글락소스미스클라인 (GlaxoSmithKline)으로부터 입수가능함), EKB569 (와이어스 (Wyeth)로부터 입수가능함), IMC-C225 (임클론 시스템즈 인크. (ImClone Systems Inc.) 및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캄파니 (Bristol-Myers Squibb Co.)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등가물을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군의 각각은 현재 I기 또는 II기 임상 시험 단계에 있고, 이들 모두는 "키나제 억제제" 또는 "TKI"라는 용어 내에 포함된다. 특히, EGFR (예를 들어, HER-1) 또는 임의의 다른 HER 군 수용체 (예를 들어, HER-2, HER-3, HER-4)를 차단하는 임의의 TKI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EGFR 및 다른 수용체의 차단이 TKI가 폐, 유방 및 전립선 종양, 및 다른 종류의 암과 관련된 종양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생분자적 수단이기 때문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TKI는 본 발명의 목적상 주 1회 또는 2회 볼루스로서 투여되는 약 500 mg 내지 약 3,000 mg의 양으로서 정의되는, "내성-극복 양"에서 통상의 TKI 치료법에 내성인 암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의 TKI의 적절한 특정 투여량은 치료될 개체의 연령 및 체중, 화합물이 단일 제제 또는 보조 요법으로서 사용되는지 여부, 암의 종류 (예를 들어, 이것이 선암종, 육종, 편평 세포 암종, 관성 이행성 암종, 또는 다른 전립선암인지 여부), 암의 진행 (예를 들어, 이것이 전이되었는지 또는 국소적인지 여부), 치료될 종양(들)의 성질 (예를 들어, 크기, 위치 등) 및 종양학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다른 인자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약 500 mg 내지 3,000 mg의 간헐성 (즉, 1주일 또는 반-주일 간격) 투여량이 (특정 TKI에 따라) 사용될 수 있고; 약 15,000 mg 내지 3,000 mg의 투여량이 대부분의 경우에 바람직하며; 약 2,000 mg의 투여량이 더 바람직하다. 주당 약 2,000 mg의 단일 투여량으로 IRESSA 또는 TARCEVA를 투여하는 것이 특히 유효할 수 있다. 적절한 제약학적 TKI 및 적절한 투여량의 선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 특정 투여량은 몇 가지 내부적 생물학적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초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첫번째로, 투여량은 HER-1, 또는 EGFR 키나제를 차단하는 것 이외에 또는 그 대신에 HER-2 키나제를 차단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두번째로, 투여량은 TKI 약 800 μM 초과의 혈청 농도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세번째로, 투여량은 EGFR 또는 HER-2 이외의 키나제 수용체를 차단하여 항암 치료 양상을 가져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범위 내의 투여량은 상기 생물학적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당업자는 상기 조건 모두가 암의 치료에 유효한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만족되어야 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생물학적 조건을 초래하는 상기 확인된 범위 밖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제약학적 투여의 특정 경로는 실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범위 밖의 투여량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으나, 이러한 투여량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생물학적 조건을 초래할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TKI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지만, 또한 정맥내 및 근육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IRESSA 또는 TARCEVA는 주 1회 약 2,000 mg이 볼루스로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한편, 어떠한 이론에 구속되기를 바라지는 않지만, 내성을 초래하는 메카니즘은 EMP-1의 발현 또는 과발현일 수 있는 것으로 또한 믿어지며, 상기 유전자는 하기 실시예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통상의 TKI 치료법에 내성인 동물에서 보다 강하게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EMP-1의 발현 수준을 스크리닝함으로써 TKI 치료법에 대한 개체의 민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진단 방법을 포함한다. EMP-1의 발현 수준이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개체는 TKI 치료법에 내성 또는 비-반응성이거나, 내성 또는 비-반응성을 발생시킬 것이다. 반대로, EMP-1의 발현 수준이 상대적으로 보다 낮은 개체는 TKI 치료법에 덜 내성 또는 비-반응성이거나, 내성 또는 비-반응성을 덜 발생시킬 것이다. 이는 도 9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에 제시된 데이타는 IRESSA가 투여되고 그의 반응이 EMP-1 발현 수준과 상호관련된, 폐암을 앓는 환자의 종양에서의 RNA 발현에 관한 것이다. TKI 치료법에 내성 또는 비-반응성일 것 같은 개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주 1회 또는 2회 TKI 치료법의 내성-극복 양의 투여를 위한 특히 우수한 후보자일 수 있다. 특히, EMP-1의 정량가능한 발현 수준을 갖는 (즉, 유전자가 "탐지가능"하거나 "턴 온 (turn on)"된) 개체는 TKI 치료법에 대한 반응 확률이 10% 미만이다 (도 8).
EMP-1의 개체의 발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조직의 TAQMAN 정량적 PCR을 사용하여 RNA 발현을 조사하거나, 파라핀 블록으로부터 추출된 RNA의 TAQMAN 정량적 PCR를 사용하여 RNA 발현을 조사할 수 있다 (TAQMAN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스터 시티 소재의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 (Applied Biosystems)로부터 입수가능함). 대안적으로, EMP-1에 대한 표지된 항체로 염색된 파라핀 부분의 면역조직화학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조사할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예시된 방법론 및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다른 통상의 방법론을 사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거나, 과도한 실험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동물이 통상의 TKI 치료법에 내성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변형 투여량의 TKI는 상기 내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주 1회 또는 2회 투여된 내성-극복 양의 TKI는 내성의 극복 및 기본적인 질환 상태의 치료 둘 다에 유효할 수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주 1회 1 g/kg IRESSA의 1주일 볼루스 투여량과 비교시 주 5회 100 mg/kg IRESSA의 투여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1은 표준 오차를 포함하며, 도 2는 표준 편차 정보를 포함함).
실시예에는 EMP-1의 개체의 발현 수준이 TKI 치료법에 대한 개체의 내성을 스크리닝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 방법이 더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는 안드로겐-독립 전립선암 이종이식편에 관한 본 발명의 벙법의 효능을 입증하지만, 유방암, 난소암 및 폐암 이종이식 모델에 관해 유사한 실험도 수행되었다.
실시예 1
전립선암 이종이식편의 제조
IRESSA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EGFR 분자 상의 ATP 결합 부위에 대해 경쟁함으로써 HER-키나제 축을 표적화한다. 전립선 종양을 비롯한 상피 암 이종이식편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은 이전에 입증되었다. 상기 관찰을 확증하고 또한 IRESSA 처리의 작용 모델을 확인하기 위해, 피하 안드로겐-의존 (CWR22) 또는 안드로겐-독립 (CWR22R) 이종이식 종양을 갖는 8 내지 10 주령의 흉선 제거 누드 마우스에게 100 mg/kg의 투여량으로 3주 동안 IRESSA의 일일 경구 처리를 투여하였다. CWR22 (약 50%) 및 CRW22R (약 66.4%) 모델 둘 다에서 종양 부피의 상당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도 1 및 도 2), 이는 안드로겐-독립 전립선암에 있어서 IRESSA의 효능을 확증하였다.
IRESSA-치료된 종양의 파라핀 포매 절편을 이들이 IRESSA 처리의 가능한 결과로서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 세포 증식의 감소 및(또는) 세포 아포프토시스의 증가에 대해 평가하였다 (데이타는 도시되지 않음). IRESSA 처리 후 종양 부피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기는 했지만, 처리 및 비처리 대조군 간의 극적인 차이는 두 가지 분석 중 어디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상기 종양 모델에서 종양 부피의 50 내지 70% 감소가 동시에 발생한 세포 증식률과 아포프토시스 둘 다의 순수한 결과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분자적 수준에서, IRESSA는 예상된 바와 같이 EGFR 인산화 및 후속의 ERK-1/2 인산화의 현저한 억제를 유발하였다.
실시예 2
생체내 IRESSA-내성 모델의 개발
IRESSA 처리에 민감성인 안드로겐-독립 전립선암을 확인하고, 상응하는 IRESSA-내성 (IR) 모델을 개발하여 상기 약물에 내성 메카니즘을 평가하였다. 이는 IRESSA-처리된 CWR22R 종양을 암컷 흉선 제거 누드 마우스에서 12 세대 동안 일련적으로 계대배양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도 4A).
시리즈의 개시시에 IRESSA 처리를 먼저 받은 CWR22R 종양을 "세대 F0"으로 지칭하였다. 세대 F0 내지 F3은 처리 3주 후 천연 CWR22R 종양과 유사한 IRESSA에 대한 민감성이 입증되었다 (종양 성장 곡선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음). 그러나, 세대 F4까지 종양은 IRESSA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입증되었다. 세대 F8에서, 유발 실험이 F0 모 종양과 비교시 두 가지 독립적으로 유래된 IR 세포주 상에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후, 종양은 "내성"으로 특성화되었다 (도 4B). 두 가지 개별적으로 유래된 IR 세포주가 발달되었다.
실시예 3
IR 종양 CWR22R 종양은 2C4에 민감성임
IRESSA의 연속적 존재와 연계된 종양의 일련의 계대배양은 HER-키나제 축에 대한 비가역성 "손상" (즉, 비-기능성 EGFR 경로, 및 그에 따른 관찰된 내성)을 유발하였을 가능성이 있었다. 상기 가능성을 상기 모델에서의 내성에 대한 이유로서 배제하기 위해, 세대 F12에서의 IR 종양을 IRESSA (100 mg/kg/일) 또는 2C4 (20 mg/kg/2x/주)로 처리하였다. 2C4는 HER-1, HER-3 또는 HER-4와의 헤테로이량체화를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리간드-매개 신호전달을 제거함으로써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HER-2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현저하게, 2주 처리 기간 후, 2C4를 받은 IR 종양은 IRESSA를 받은 것과 비교시 81% 성장 억제를 나타내었다 (도 5).
2C4와 IRESSA의 조합물은 2C4 단독과 유사한 성장 곡선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IRESSA가 2C4 효과를 증가시킬 수 없음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결과는 HER-키나제 축이 상기 IR 모델에서 여전히 기능하였으며 획득된 IRESSA 내성은 상기 경로를 통한 신호전달의 결핍 때문이 아니었음을 입증한다. 이는 또한 IRESSA 및 2C4가 EGFR 경로에서 별개의 분자를 표적화한다는 이론을 강화한다.
실시예 4
IR CWR22R 종양은 기능성 EGFR을 가짐
IR 이종이식편이 기능성 EGFR을 갖는지 여부 (즉, 대리 마커인 인산화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p-MAPK)가 적절한 리간드로 자극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IRESSA-민감성 및 IR 종양 둘 다로부터의) 종양 세포를 생체외에서 배양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성장 인자를 결핍시켰다. 그 후, 이를 IRESSA 또는 비히클의 투여량 곡선으로 처리하고, 상피 성장 인자 (EGF)로 자극하였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EGF는 종양 형태 둘 다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MAPK를 활성화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EGFR 분자가 기능성이었음을 암시한다. 증가하는 투여량의 IRESSA는 민감성 CWR22R 모델로부터 유래된 세포에서 100 내지 1000 nM에서 리간드-자극된 MAPK를 억제하였다. 놀랍게도, IR 생체외 세포는 민감성 세포와 동일한 MAPK 억제 패턴을 따랐으며, 따라서 이는 EGFR 경로가 IR 모델에서 무손상이고; p-MAPK 억제에 대한 IC50은 내성 세포주에 있어서 증가하지 않으며; 내성은 상기 신호전달 메카니즘의 구조적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음을 확증하였다. IR 세포에 대한 p-MARK의 IRESSA 억제는 또한 성장 인자-α (TGF-α)-자극된 세포 (도 6B) (EGFR에 대한 또다른 리간드)의 형질전환시 명백하였다. CWR22R 이종이식편으로부터 유래된 세포주인 22Rv1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인산화된 EGFR (p-EGFR)에 대한 IRESSA의 직접적 효과를 또한 평가하였다. 이는 먼저 22Rv1 세포에 대해 수행하였다 (도 6C). p-EGFR은 EGF 자극시 명백히 상향조절되었으며, 상기 효과는 10 nM IRESSA로 완전히 차단될 수 있었다 (EGFR에 대한 IC50은 0.015 내지 0.05 μM 미만임).
실시예 5
IRESSA 내성은 구성적으로 활성인 EGFRvIII 돌연변이체의 표적 유전자 증폭 또는 상향조절의 결과가 아님
인간 악성종양에서 EGFR의 과발현은 심도있는 연구의 주제였으며, EGFR의 증폭이 종양발생 효과에 관해 중요할 수 있음이 점점 명백해졌고, 이러한 변경은 좋지 않은 예후와 상호관련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더욱이, 표적 유전자의 증폭은 대개 신생물성 세포에 내성인 약물을 생성하는 메카니즘으로서 사용된다 (문헌 [Goker et al., Blood, vol. 86:677-684 (1995)]). 예를 들어, 유전자 증폭에 기인한 BCR-ABL 과발현은 GLEEVEC 내성에 대한 메카니즘의 하나로서 제안되었다 (문헌 [Various Authors, Science: Technical Comments, vol. 293:2163a (2001)]). 상기 관찰은 본 발명자가 EGFR 과발현이 IR 세포주에서 발달되었는지 여부에 의문을 가지는 것을 촉진하였다.
전체 EGFR 단백질은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IR 종양에서 변화되지 않은 채로 남았다. EGFR (HER-1) mRNA 및 HER-2 mRNA (IRESSA에 대한 2차 표적)는 또한 실시간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RT-PCR)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변화되지 않은 채로 남았다 (도 7B).
두 가지 세포주 간의 수용체 mRNA의 수준이 유사했기 때문에, IR 모델에서 EGFR (HER-1) 또는 HER-2 유전자 증폭의 가능성은 제외되었다. 또한, HER-키나제 축의 다른 구성원, 즉 HER-3, HER-4, EGF, TGF-α 및 헤레굴린 (HRG)의 발현 수준을 시험하였다. 이들은 민감성 및 내성 세포주 간에 동일하였다 (데이타는 도시되지 않음).
내성 메카니즘에 대한 또다른 가능성은 구조적으로 활성인 EGFR 군 III 변이체인 EGFRvIII의 상향조절이었을 수 있다. EGFRvIII은 그의 세포외 도메인으로부터 267개의 아미노산이 결실되었으며, 다형성 교모세포종, 유방, 난소, 전립선 및 폐 암종에서 보고되었다. EGF 및 TGF-α에 의한 EGFRvIII의 조절에 대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IR 모델에서 상향조절될 상기 분자의 가망성은 적었다. 그러나, IR 세포주로부터 유래된 생체외 세포는 분자적 수준에서 리간드 자극을 명백히 입증하였다 (도 6A).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감성 및 IR 종양 간의 EGFRvIII 발현 변화의 차이는 TAQMAN PCR 분석에 의해 발견되지 않았다 (데이타는 도시되지 않음).
실시예 6
IRESSA 내성 및 MDR1
매우 다양한 소수성 화합물의 압출에 의한 주요 다중약물 수송제인 MDR1 및 MRP1은 암 약물 내성에 관련된다. MDR1의 과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 둘 다에서 IR 세포주에서 평가하였다. IR 종양에서 MDR1의 발현은 민감성 종양에서와 동일하였다. MDR1을 각각의 종양으로부터 유래된 생체외 세포에서 분석하였을 경우,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종이식 모델에서, IR 세포는 MAPK의 자극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EGF에 여전히 반응할 수 있었으며, 이는 MDR1 과발현의 부재를 더 뒷받침한다. 상기 효과가 민감성 세포에 대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 IRESSA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은 내성 세포에서 약물 유출 펌프의 존재에 반대결론을 보인다.
실시예 7
내성은 EGFR 및 HER-2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의 ATP 결합 영역 내의 돌연변이체의 결과가 아님
GLEEVEC의 내성 메카니즘은 과거 수년 동안 강도 높은 연구의 주제였다. 내성 메카니즘이 다인성일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지지만, 내성 메카니즘의 일 구성요소는 표적 유전자인 BCR-ABL의 APT-결합 포켓 내의 점 돌연변이 (T315I)로서 기재되었다 (문헌 [Shah et al., Cancer Cell, vol. 2(2):117-25 (2002)]). 상기 돌연변이는 GLEEVEC-저항성 질환을 앓거나 치료하는 동안 재발된 CML 환자에서 최초로 기재되었다 (문헌 [Roumiantsev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99 (16):10700-05 (2002)]).
IRESSA는 또한 EGFR 및 HER-2 (EGFR에 대한 IC50은 0.015 내지 0.05 μM 미만이고, HER-2에 대한 IC50은 1.2 내지 3.7 μM 미만임)의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 내의 ATP 결합 부위의 경쟁적 억제제이기 때문에, 내성이 IRESSA 결합 및 그에 따른 억제를 위해 요구되는 표적 수용체의 키나제 영역 내의 돌연변이 때문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HER-2 및 EGFR 둘 다의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을 표 1에 기재된 서열분석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서열분석하였다.
서열분석 프라이머
CAGCAGAAGATCCGGAAG 유전자의 5' 말단에 대한 HER-2 전방 프라이머
AGCCCGAAGTCTGTAATTT 유전자의 5' 말단에 대한 HER-2 역방 프라이머
CTGCTGAACTGGTGTATG 유전자의 3' 말단에 대한 HER-2 전방 프라이머
TCCAGCAGTGAGCGGTAG 유전자의 3' 말단에 대한 HER-2 역방 프라이머
CCAAGCTCTCTTGAGGATC 유전자의 5' 말단에 대한 EGFR 전방 프라이머
AAGCGACGGTCCTCCAAG 유전자의 5' 말단에 대한 EGFR 역방 프라이머
CTGGACTATGTCCGGGAA 유전자의 3' 말단에 대한 EGFR 전방 프라이머
GGCCATTTTGGAGAATTCG 유전자의 3' 말단에 대한 EGFR 역방 프라이머
상기 영역은 또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ATP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종양 F0 내지 F9에 대한 서열 데이타의 분석으로 내성 종양 내에 어떠한 일치된 돌연변이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내성 메카니즘에 기여하는 임의의 키나제 영역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제외한다. 또한, 내성 종양으로부터의 촉매적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을 TOPO 클로닝 벡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의 인비트로젠 코포레이션 (Invitrogen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 내로 서브클로닝하고, 재서열분석하여 돌연변이의 부재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IR 종양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EMP-1을 밝힘
IR 종양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문헌 [Al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96(12):6745-50 (1999)]에 기재된 유전자 정렬을 이용한 유전자 칩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천연 종양, 및 IRESSA로 12시간 동안 처리된 IR 세포주 및 천연 종양 둘 다의 세대 F8로부터의 종양을 칩화하였다. 통계적 분석 후, 96개의 유전자가 IR 종양에서 천연 종양과 비교시 20배 초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데이타는 도시되지 않음). IRESSA에 대한 임상적 반응의 결핍과 EMP-1 RNA의 존재의 강한 상호관련성이 입증되었다 (도 8). EMP-1 RNA의 존재를 파라핀 샘플로부터 TAQMAN로 분석하였다. 더욱이, TKI 치료법에 대한 개체의 반응 확률은 EMP-1 발현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도 9).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를 언급하는 한편,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개념 내에 있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시된 실시양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지시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상기 청구의 범위에 등가인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화는 본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7)

  1.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 및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를 통상의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내성이거나 또는 비-반응성인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
    을 포함하는, 통상의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내성이거나 또는 비-반응성인 환자에서의 질환 상태의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질환 상태가 암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가 약 500 mg 내지 약 3,000 mg의 키나제 억제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가 약 1,500 mg 내지 약 3,000 mg의 키나제 억제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가 약 2,000 mg의 키나제 억제제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의 투여가 주 1회 및 2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시간 간격으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가 게피티니브 (IRESSA), 에를로티니브 (TARCEVA), 화합물 CI1033, 화합물 PKI166, 화합물 GW2016, 화합물 EKB569, 화합물 IMC-C225,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등가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내성-극복 양이 환자에서 HER-2 키나제를 차단하기에 충분한 양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내성-극복 양이 환자에서 약 800 μM 이상의 혈청 농도를 얻기에 충분한 양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내성-극복 양이 환자에서 EGFR 또는 HER-2 이외에 키나제 수용체를 차단하기에 충분한 양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투여가 경구, 정맥내 주사 및 근육내 주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여 기법에 의한 키나제 억제제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암이 전립선암, 폐암, 유방암, 위암, 결장직장암, 췌장암, 난소암 및 교모세포종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 유형인 방법.
  13. 개체에서 EMP-1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조사하는 것; 및
    EMP-1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기초하여 통상의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대한 개체의 민감성에 관해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대한 민감성에 관하여 개체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민감성에 관한 결정이, EMP-1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탐지가능한 경우에 개체가 통상의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대해 10% 미만의 반응 확률을 갖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개체에서 EMP-1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조사하는 것;
    EMP-1 유전자의 발현 수준에 기초하여 통상의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대한 개체의 민감성에 관해 결정하는 것; 및
    개체에게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개체에서의 질환 상태의 치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질환 상태가 암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민감성에 관한 결정이, EMP-1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탐지가능한 경우에 개체가 통상의 키나제 억제제 치료법에 대해 10% 미만의 반응 확률을 갖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가 약 500 mg 내지 약 3,000 mg의 키나제 억제제인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가 약 1,500 mg 내지 약 3,000 mg의 키나제 억제제인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가 약 2,000 mg의 키나제 억제제인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의 투여가 주 1회 및 2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시간 간격으로 내성-극복 양의 키나제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가 게피티니브 (IRESSA), 에를로티니브 (TARCEVA), 화합물 CI1033, 화합물 PKI166, 화합물 GW2016, 화합물 EKB569, 화합물 IMC-C225,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등가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내성-극복 양이 환자에서 HER-2 키나제를 차단하기에 충분한 양인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내성-극복 양이 환자에서 약 800 μM 이상의 혈청 농도를 얻기에 충분한 양인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내성-극복 양이 환자에서 EGFR 또는 HER-2 이외에 키나제 수용체를 차단하기에 충분한 양인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키나제 억제제의 투여가 경구, 정맥내 주사 및 근육내 주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여 기법에 의한 키나제 억제제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암이 전립선암, 폐암, 유방암, 위암, 결장직장암, 췌장암, 난소암 및 교모세포종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 유형인 방법.
KR1020047019698A 2002-06-05 2003-06-04 키나제 억제제를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 KR20050037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662202P 2002-06-05 2002-06-05
US60/386,622 2002-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510A true KR20050037510A (ko) 2005-04-22

Family

ID=2973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698A KR20050037510A (ko) 2002-06-05 2003-06-04 키나제 억제제를 사용하는 암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7384940B2 (ko)
EP (3) EP1803821B1 (ko)
JP (1) JP2005529162A (ko)
KR (1) KR20050037510A (ko)
AT (2) ATE547708T1 (ko)
AU (1) AU2003238871B2 (ko)
BR (1) BR0311814A (ko)
CA (2) CA2487983A1 (ko)
DE (1) DE60310922T2 (ko)
DK (1) DK1509230T3 (ko)
ES (1) ES2279120T3 (ko)
MX (1) MXPA04012129A (ko)
PT (1) PT1509230E (ko)
SI (1) SI1509230T1 (ko)
WO (1) WO20031036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4801A1 (en) * 2001-01-24 2007-01-18 Gish Kurt C Methods of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screening for modulators of prostate cancer
ATE547708T1 (de) 2002-06-05 2012-03-15 Cedars Sinai Medical Center Verfahren zur handhabung der kinasehemmertherapie
US20050059012A1 (en) * 2002-07-31 2005-03-17 Daniel Afar Diagnosis of ZD1839 resistant tumors
TW200501960A (en) * 2002-10-02 2005-01-16 Bristol Myers Squibb Co Synergistic kit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EP1493445A1 (en) * 2003-07-04 2005-01-05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Inhibition of stress-induced ligand-dependent EGFR activation
AU2005263972A1 (en) * 2004-07-23 2006-01-26 Astrazeneca Ab Method of predicting the responsiveness of a tumor to erbB receptor drugs
WO2006084058A2 (en) * 2005-02-03 2006-08-1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gefitinib resistant cancer
US8524731B2 (en) 2005-03-07 2013-09-03 The University Of Chicago Use of opioid antagonists to attenuat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JP5241484B2 (ja) 2005-03-07 2013-07-17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ヴ シカゴ 内皮細胞増殖及び内皮細胞遊走を減弱するためのオピオイドアンタゴニストの使用
US9662325B2 (en) * 2005-03-07 2017-05-30 The University Of Chicago Use of opioid antagonists to attenuat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US8518962B2 (en) 2005-03-07 2013-08-27 The University Of Chicago Use of opioid antagonists
ATE477495T1 (de) 2005-03-16 2010-08-15 Osi Pharm Inc Biologische marker prediktiv für das ansprechen von krebs auf inhibitoren der kinase des rezeptors für epidermalen wachstumsfaktor
WO2007056118A1 (en) 2005-11-04 2007-05-18 Wyeth Antineoplastic combinations with mtor inhibitor, herceptin, and/or hki-272
US7820159B2 (en) * 2006-10-31 2010-10-26 Instiute of Virology of the Slovak Academy of Sciences MN/CA IX and EGFR pathway inhibition
JP5656406B2 (ja) * 2006-11-28 2015-01-21 ユースリー ファーマ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U3 Pharma GmbH 治療効力を予測するためのマーカーとしての活性化her3
DK2413142T3 (da) * 2007-02-27 2013-07-22 Nuclea Biomarkers Llc Fremgangsmåde til forudsigelse af NSCLC-patienters reaktion på behandling med en EGFR-TK-inhibitor
JP5240739B2 (ja) * 2007-04-13 2013-07-17 オーエスアイ・フアーマシユーテイカルズ・エル・エル・シー キナーゼ阻害剤に対する抗癌応答を予測する生物学的マーカー
AU2008307579A1 (en) * 2007-10-03 2009-04-09 Osi Pharmaceuticals, Inc. Biological markers predictive of anti-cancer response to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kinase inhibitors
CA2694154A1 (en) * 2007-10-03 2009-04-09 Osi Pharmaceuticals, Inc. Biological markers predictive of anti-cancer response to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kinase inhibitors
US8022216B2 (en) 2007-10-17 2011-09-20 Wyeth Llc Maleate salts of (E)-N-{4-[3-chloro-4-(2-pyridinylmethoxy)anilino]-3-cyano-7-ethoxy-6-quinolinyl}-4-(dimethylamino)-2-butenamide and crystalline forms thereof
EP2915532B1 (en) 2008-06-17 2016-10-19 Wyeth LLC Antineoplastic combinations containing hki-272 and vinorelbine
ES2614912T3 (es) 2008-08-04 2017-06-02 Wyeth Llc Combinaciones antineoplásicas de 4-anilino-3-cianoquinolinas y capecitabina
US20110171124A1 (en) * 2009-02-26 2011-07-14 Osi Pharmaceuticals, Inc. In situ methods for monitoring the EMT status of tumor cells in vivo
EP3000467B1 (en) 2009-04-06 2023-03-01 Wyeth LLC Treatment regimen utilizing neratinib for breast cancer
EP2542893A2 (en) * 2010-03-03 2013-01-09 OSI Pharmaceuticals, LLC Biological markers predictive of anti-cancer response to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kinase inhibitors
CN103038364A (zh) 2010-03-09 2013-04-10 达纳-法伯癌症研究所公司 诊断和治疗具有或发展对于第一种癌症治疗的抗性的患者中的癌症的方法
WO2011113942A2 (en) * 2010-03-18 2011-09-22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Method for predicting the responsiveness to chemotherapy
CL2011000273A1 (es) 2011-02-08 2011-06-17 Univ Pontificia Catolica Chile Uso de un inhibidor de la enzima fosfohidrolasa de acido fosfatidico (pap) o combinacion de inhibidores, en que el inhibidor es d(+) propranolol, y la combinacion es mezcla racemica de propranolol o d(+) propranolol junto con desipramina,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util en el tratamiento del cancer.
WO2012149014A1 (en) 2011-04-25 2012-11-01 OSI Pharmaceuticals, LLC Use of emt gene signatures in cancer drug discovery, diagnostics, and treatment
CN105891496A (zh) * 2014-12-09 2016-08-24 上海华盈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酪氨酸激酶抑制剂类靶向用药指导抗体芯片和检测方法
US9890187B2 (en) 2015-06-26 2018-02-13 Epos-Iasis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totype systems of theranostic biomarkers for in vivo molecular management of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9764A1 (en) * 1999-03-12 2002-04-04 Rosen Craig A. Nucleic, acids, proteins, and antibodies
US20020110563A1 (en) * 2000-11-01 2002-08-15 Reed Steven 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herapy and diagnosis of lung cancer
CA2383493C (en) * 1999-06-25 2010-08-10 Genentech, Inc. Treating prostate cancer with anti-erbb2 antibodies
GB9925958D0 (en) 1999-11-02 1999-12-29 Bundred Nigel J Therapeutic use
GB0008368D0 (en) * 2000-04-06 2000-05-24 Astrazeneca Ab Combination product
US20040029151A1 (en) * 2002-04-09 2004-02-12 Affymetrix, Inc. Molecular genetic profiling of gleason grades 3 and 4/5 prostate cancer
ATE547708T1 (de) 2002-06-05 2012-03-15 Cedars Sinai Medical Center Verfahren zur handhabung der kinasehemmertherapie
US20050059012A1 (en) * 2002-07-31 2005-03-17 Daniel Afar Diagnosis of ZD1839 resistant tumors
US20050244419A1 (en) * 2003-07-25 2005-11-03 Pierre-Francois Tosi Therapeutic vaccine targeted against P-glycoprotein 170 for inhibiting multidrug resistance in the treatment of can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4115A1 (en) 2006-06-22
EP1803821B1 (en) 2012-02-29
US7384940B2 (en) 2008-06-10
SI1509230T1 (sl) 2007-06-30
CA2487983A1 (en) 2003-12-18
US20070141621A1 (en) 2007-06-21
EP1837025A2 (en) 2007-09-26
DE60310922D1 (de) 2007-02-15
ATE547708T1 (de) 2012-03-15
EP1803821A2 (en) 2007-07-04
PT1509230E (pt) 2007-03-30
MXPA04012129A (es) 2005-04-19
EP1509230B1 (en) 2007-01-03
WO2003103676A3 (en) 2004-03-25
CA2590618A1 (en) 2003-12-18
EP1509230A2 (en) 2005-03-02
JP2005529162A (ja) 2005-09-29
BR0311814A (pt) 2005-03-15
ATE350039T1 (de) 2007-01-15
DE60310922T2 (de) 2007-10-11
AU2003238871A1 (en) 2003-12-22
WO2003103676A2 (en) 2003-12-18
EP1837025A3 (en) 2007-12-19
ES2279120T3 (es) 2007-08-16
US7803546B2 (en) 2010-09-28
DK1509230T3 (da) 2007-05-14
AU2003238871B2 (en) 2009-04-23
US20040001833A1 (en) 2004-01-01
EP1803821A3 (en)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3546B2 (en) Method of screening for sensitivity to kinase inhibitor therapy
Schuler et al. Molecular correlates of response to capmatinib in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clinical and biomarker results from a phase I trial
Tosi et al. Long-term clinical outcome of trastuzumab and lapatinib for HER2-positive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Herbst et al. Phase I dose-escalation study of recombinant human Apo2L/TRAIL, a dual proapoptotic receptor agonist,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TW201032796A (en) Treatment of lung cancer with a PARP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a growth factor inhibitor
Dotan et al. Phase Ib study of Wnt inhibitor ipafricept with gemcitabine and nab-paclitaxel in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stage IV pancreatic cancer
JP2018508183A (ja) 化学療法耐性癌を治療及び診断する組成物及び方法
JP2019518426A (ja) がんの診断及び治療方法
CN102014913A (zh) C-met和egfr拮抗剂的联合疗法
JP2023182572A (ja) がんの診断及び治療方法
Wakelee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onartuzumab in combination with first-line bevacizumab-or pemetrexed-based chemotherapy regimens in advanced non-squamous non–small-cell lung cancer
US20170067116A1 (en) Biomarkers of Response to Cyclin D-CDK4/6 Targeted Therapies in Cancer
JP2010508277A (ja) 癌を検出および抑制するための方法
WO2011123427A2 (en) Treatment of cancer by inhibiting activity or expression of late sv-40 factor
Wang et al. Cancer‐derived IgG involved in cisplatin resistance through PTP‐BAS/Src/PDK1/AKT signaling pathway
JP2024041781A (ja) 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と併用してegf/egfr経路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EP3272771A1 (en) Treatment for use for preventing metastasis in a subject exposed to cancer treatment inducing p38 activation
WO2006017317A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US20220184228A1 (en) Methods of promoting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advanced chemotherapy-resistant malignancies
Vincenzi et al. Predictive factors for response to chemotherapy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KR20200110452A (ko) 담도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합 요법
Dammert Characterization and therapeutic exploitation of molecular vulnerabilities in genetically defined lung cancer
Dotan et al. Phase 1b study of Wnt inhibitor ipafricept (IPA) with nab-paclitaxel (Nab-P) and gemcitabine (G) in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stage IV pancreatic cancer (mPDAC)
Hong et al. Phase II study investigat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glesatinib (MGCD265) in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containing MET activating alterations
Aloisi et al.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