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692A - 갭 필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갭 필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692A
KR20050036692A KR1020040041119A KR20040041119A KR20050036692A KR 20050036692 A KR20050036692 A KR 20050036692A KR 1020040041119 A KR1020040041119 A KR 1020040041119A KR 20040041119 A KR20040041119 A KR 20040041119A KR 20050036692 A KR20050036692 A KR 20050036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filler
signal
gap
filler system
td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가와히사오
Original Assignee
요코가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가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가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6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32Arrangements for managing transmission, i.e. for transporting data or a signalling message
    • H04B7/18536Shadowing compensation therefor, e.g. by using an additional terrestrial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이 없는 고정밀도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대규모의 케이블부설공사가 불필요하고, 단기간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비교적 저비용의 갭 필러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신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TDM 신호를 지상에서 수신하여 복수의 갭 필러로 분배함에 있어서, 각 갭 필러로의 신호분배를 TDM 신호로 행하고, 각 갭 필러로 TDM 신호를 CDM 신호로 변환한 후 고주파신호로 주파수변환한다.
이에 따라, 장거리전송을 18.433Mbps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구축에 있어서, 염가의 광링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갭 필러시스템의 수신안테나로 수신한 신호를, 리피터를 통해 갭 필러로 공간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신안테나로부터 갭 필러까지의 케이블부설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토지소유권자와의 절충을 극히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계획입안으로부터 설치완료까지의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시스템전체를 염가로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갭 필러 시스템{GAP FILLER SYSTEM}
본 발명은, 위성을 사용한 디지털방송에 따른 위성파가 닿지 않는 장소에 전파를 중계하기 위한 갭 필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갭 필러의 설치에 따른 신호전송에 관한 것이다.
CDMA(코드분할 다중접속: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일종으로 모바일방송이 있다. 이것은, 통신위성으로부터 자동차나 휴대단말등의 모바일기기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음악, 데이터방송 등을 배송하는 디지털 위성방송서비스로, 예를 들면 고속주행중인 탑승물이라 하더라도, 파라볼라 안테나로 전파를 뒤쫓지 않고 모바일기기에 탑재된 작은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방송에 있어서의 과제의 하나는, 고층빌딩 사이나 터널이나 급사면에 따른 도로 등에서의 전파의 끊김이다. 그 대책으로서, 전파가 끊어질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사전에 조사하여, 빌딩 옥상 등에 갭 필러(Gap Filler)를 설치하여, 다채널신호의 진폭에 대하여 게인제어를 하여 다중화출력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갭 필러의 설치검토가, 지하철이나 빌딩내와 같은 복잡한 형상을 한 장소에 대해서도 행하여지고 있다.
하기의 비특허문헌 1에는, 갭 필러라는 말의 뜻이 개시되어 있다.
즉, 비특허문헌 1에는, 갭 필러는, 문제가 있는 부분을 다른 정보로 추종하여,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기술, 또는 통신 등으로 전파가 닿기 어려운 곳 등이 있는 경우, 일단 전파를 수신하고, 전파가 닿기 어려운 곳 등을 향하여 전파출력을 증폭하여 재송신하는 설비의 총칭이며, 고속도로의 터널 등에서, 전파가 끊어지는 경우에도 이용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신호전송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언급은 없다.
[비특허문헌 1]
디지털·크리에이터즈 연락협의회 발행, 멀티미디어·인터넷사전「갭 필러」 [2004년 2월 13일 검색]
<URL: http://www.kaigisho.ne.jp/literacy/midic/data/k7/k793.htm>
또한, 하기의 비특허문헌 2에는, 「모바일방송의 '갭 필러'의 구조로의 접근」이라는 제목으로, 갭 필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비특허문헌 2에는, 모바일방송에서 사용되는 갭 필러의 종류, 갭 필러의 설치예, 갭 필러의 구성예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신호전송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기재는 없다.
[비특허문헌 2]
아이티미디어(ITmedia)사의 모바일관련 웹 「모바일방송의 '갭 필러'의 구조로의 접근」 2003년 12월 26일 07:10 AM 갱신[2004년 2월 13일 검색]
<URL: http://www.itmedia.co.jp/mobile/0312/26/gapfiller.html>
도 1은, 위성을 사용한 디지털방송에 있어서의 종래의 갭 필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통신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TDM(시분할 다중: Time Division Multiplex)신호를, 안테나(1) 및 LNB(Low Noise Block Converter)(2)를 통해 튜너(3)로 수신하고, 18.433Mbps의 시리얼신호로 변환한다. 이 시리얼신호는, TDM/CDM 변환기(4)에서 CDM(코드분할 다중: Code Division Multiplex)신호로 변환된 후, 업 콘버터(5)로 2.6GHz 대의 신호로 변환된다.
이 2.6GHz의 전기신호는 E/O(Electric/Optical)변환기(6)에 입력되어 광신호로 변환된다. E/O변환기(6)로 변환된 광신호는 광분배기(7)에 입력되어 복수의 계통으로 분배된다. 광분배기(7)에서 복수의 계통으로 분배된 광신호는, 각각 광파이버(8)를 통해 지하철이나 빌딩 등의 안테나(1)로부터 본 경우의 원격지에 배치되어 있는 갭 필러(9)에 전송된다.
각 갭 필러(9)에서는 광신호를 O/E(Optical/Electric)변환기(91)로 입력하여 다시 2.6GHz대의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신호는 증폭기(92)에서 증폭되어, 안테나(93)로부터 각 갭 필러(9)에 할당되어 있는 서비스지역을 향하여 방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구성에 의하면, 2.6GHz 대의 전기신호를 직접 그대로 E/O 변환기(6)에 입력하여 광신호로 변환한 후 복수계통으로 분배하고, 분배된 광신호를 각 갭 필러(9)로 직접 그대로 O/E 변환기(91)에 입력하고 다시 2.6GHz대의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변환특성이 뛰어난 고가의 E/0변환기나 0/E변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광분배기(7)로서도 고가(高價)인 것이 필요하여, 시스템 전체가 고가가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E/O 변환기(6)나 O/E변환기(91)의 신호 왜에 의해, 갭 필러(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정밀도가 악화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이러한 모바일방송의 전파는, 남쪽 방향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제반 사정으로, 갭 필러를 수신안테나와는 떨어진 남쪽 방면의 통신 위성을 전망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신안테나를 남쪽 방면의 통신 위성을 전망할 수 있는 가까운 빌딩 등에 설치하여, 수신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갭 필러에 전송하게 된다.
도 2는, 수신안테나와 갭 필러를 케이블을 통해 접속하는 형태로 설치한 종래의 설치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1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통신 위성으로부터 일반 모바일방송용의 2.6GHz 대의 신호와 동시에 송신되는 갭 필러용의 12 GHz 대의 TDM 신호를 남쪽 방면의 통신 위성을 전망할 수 있는 가까운 빌딩(10)의 옥상에 설치한 수신안테나(1)로 수신하여, 수신안테나(1)의 수신부에 설치되는 LNB(2)로 1GHz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나서 케이블(11)에 넣는다.
갭 필러(9)는, 수신안테나(1)가 설치되어 있는 빌딩(10)의 가까운 지하상가 (12)에 설치되어 있다. 갭 필러(9)는, 케이블(11)을 통해 전송되는 1GHz의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TDM 신호를 TDM/CDM 변환부에서 원상회복하여 CDM(Code Division Multiplex)신호로 변환한 후, 업콘버터부에서 2.6GHz 대의 일반 모바일방송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안테나(93)에 출력한다. 송신안테나(16)는, 2.6GHz대의 일반 모바일방송용의 신호를, 송신안테나(93)에 할당된 서비스지역인 지하상가(12)를 향하여 방송파로서 방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구성에 의하면, 빌딩(10)의 옥상에서 지하상가 (12)에 설치되어 있는 갭 필러(9)까지 케이블(11)을 부설하게 되기 때문에, 공사비가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11)을 부설함에 있어서는, 빌딩(10)내부의 각 층의 복수의 토지소유권자의 장소를 지나는 경우가 많이 있고, 각 토지소유권자와의 절충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비교적 염가의 구성으로, 왜가 없는 고정밀도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갭 필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TDM 신호를 지상에서 수신하여 복수의 갭 필러에 분배하는 데에 있어서, 각 갭 필러로의 신호분배를 TDM 신호로 하고, 각 갭 필러에서 TDM 신호를 CDM 신호로 변환한 후 고주파신호로 주파수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거리전송을 18.433Mbps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구축에 있어서, 염가의 광링크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전체를 염가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대규모의 케이블 부설공사가 불필요하고 토지소유권자와의 절충을 되도록 적게 할 수 있어서, 단기간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비교적 저비용의 갭 필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갭 필러시스템의 수신안테나로 수신한 신호를, 리피터를 통해 갭 필러에 공간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신안테나로부터 갭 필러까지의 케이블부설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토지소유권자와의 절충을 되도록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계획입안으로부터 설치완료까지의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시스템전체를 염가로 구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과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튜너(3)로 수신변환된 18.433Mbps의 시리얼신호는, 광송신 모듈로서 구성된 광링크(13)로부터 광파이버(14)을 통해 지하철이나 빌딩 등의 안테나(1)로부터 본 경우의 원격지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갭 필러(15)로 분배송신된다.
각 갭 필러(15)는, 광링크(13)로부터 광파이버(14)를 통해 전송되는 18.433Mbps의 시리얼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 모듈로서 구성된 광링크(151)와, TDM 신호를 CDM 신호로 변환하는 TDM/CDM 변환기(152)와, CDM 신호를 2.6GHz대의 신호로 변환하는 업 콘버터(153)와, 2.6GHz 대의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54)와, 증폭된 전기신호를 서비스지역을 향하여 방사하는 안테나(15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갭 필러(15)의 기준 클록을 18.433Mbps의 신호로부터 추출재생함으로써, 각 갭 필러(15)에서 송신하는 RF신호의 주파수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각 갭 필러(15)에 고가의 기준발신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각 갭 필러(15)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구성에 의하면, 광링크(13)로부터 각 갭 필러(15)의 광링크 (151)까지의 광파이버(14)에 의한 장거리전송을 비교적 저속의 18.433Mbps의 시리얼신호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시스템에 비교해서 염가인 광링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토탈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각 갭 필러(15)로부터의 출력은 업 콘버터(153)로부터 출력되는 2.6GHz 대의 전기신호를 증폭기(154)로 증폭한 것으로,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의 E/O 변환기(6)나 O/E 변환기(91)와 같은 신호왜를 가질 우려가 있는 비선형부품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시리얼신호를 광링크(13)에서 복수계통의 갭 필러(15)에 병렬로 분배하고 있지만, 도 4의 예에서는 각 갭 필러(15)에 수신용의 광링크(151)와 송신용의 광링크(156)를 설치하여 복수의 갭 필러(15)를 직렬접속하여, 차례차례로 순차 전송해 나가는 방식이다.
도 4의 시스템구성에 의하면, 인접한 갭 필러(15) 상호를 광파이버로 접속하면 좋고, 도 3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광파이버의 부설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18.433Mbps의 시리얼신호전송에 광링크와 광파이버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근거리이면 통상의 금속 케이블을 사용한 전기신호전송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광 신호전송에 비교하여 보수조정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와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남쪽 방면의 통신 위성을 전망할 수 있는 가까운 빌딩(10)의 옥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 위성으로부터 일반 모바일방송용의 2.6GHz 대의 신호와 동시에 송신되는 갭 필러용의 12GHz 대의 TDM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16)와, 이 수신안테나(16)에서 수신한 12GHz 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를, 예를 들면 지하상가의 입구에 설치되는 수신안테나(1)를 향하여 공간전송하는 리피터(17)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피터(17)로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성에서 수신하는 마이크로파대 신호를 재송하는 마이크로파방식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전송을 사용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마이크로파방식에서는, 수신안테나(16)에서 수신한 12GHz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는, 마이크로파 리피터(17) 및 송신안테나(18)를 거쳐, 지하상가의 입구에 설치되는 수신안테나(1)를 향하여 공간전송된다. 여기서, 도 6의 구성에 있어서의 토지소유권자는, 빌딩 옥상의 토지소유권자와 지하철이나 지하상가의 토지소유권자만이 된다. 또, 지하상가(12)의 입구에 설치되는 수신안테나(1)로부터 송신안테나(93)에 이르는 경로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와 같고, 그들 중복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마이크로파방식에 의하면,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중간주파수전송에 사용하고 있던 전송 케이블(11) 및 그들 부설공사가 불필요하게 됨 과 동시에, 빌딩(10) 내의 복수 토지소유권자와의 절충도 불필요하게 되어, 비교적 염가로 구성할 수가 있다.
도 7에 도시한 광전송방식에서는, 수신안테나(16)로 수신한 12GHz 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는, TDM/CDM 변환부(19)에서 CDM 신호로 변환된 후 E/O 변환부(20)에서 광신호로 변환되어, 빌딩(10)의 옥상에 설치된 광송신부(21)로부터 지하상가의 입구에 설치되는 광수신부(22)를 향하여 공간전송된다. 광수신부(22)로 수신된 광 신호는 O/E 변환부(23)에서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광전송방식에 의하면,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법에 근거한 각종 규제를 받을 일이 없고, 설계의 자유도가 커진다.
도 6에 도시한 마이크로파방식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8에 도시한 마이크로파대증폭타입, 도 9에 도시한 중간주파수증폭타입, 도 10에 도시한 재생중계타입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마이크로파대증폭타입에서는, 수신안테나(16)로 수신한 12GHz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를 증폭기(24)로 증폭하고, 송신안테나(18)로 출력한다.
마이크로파대 증폭타입은, 높은 주파수의 증폭기가 필요하고 기술적난이도가 높아지지만, 전체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중간주파수 증폭타입에서는, 수신안테나(16)에서 수신한 12GHz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를, 제 1 믹서(25)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입력한다. 믹서(2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발진기(26)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믹서(25)는, 이들을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를 생성한다. 이 중간주파수성분은 증폭기 (27)에서 증폭되고, 제 2 믹서(28)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믹서 (28)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는, 발진기(26)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믹서 (28)는 이들을 혼합하여 다시 12GHz 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로 변환하고, 송신안테나(18)에 출력한다.
중간주파수 증폭타입은, 12GHz대의 높은 주파수신호를 비교적 낮은 주파수가 낮은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고, 그 후 다시 12GHz대의 높은 주파수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기술적 난이도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고, 전체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재생중계타입에서는, 수신안테나(16)로 수신한 12GHz대의 갭 필러용 TDM 신호를 LNB(29)로 1GHz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나서 TDM/CDM 변환부 (30)에서 복조하여 CDM 신호로 변환한 후, 변조부(31)에서 다시 갭 필러용 TDM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안테나(18)로 출력한다.
재생중계 타입은, 데이터를 재생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교해서 S/N 비가 뛰어난 신호출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하상가에 갭 필러를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지하철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거리전송을 18.433Mbps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구축에 있어서, 염가의 광링크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전체를 염가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수신안테나로부터 갭 필러까지의 케이블부설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토지소유권자와의 절충을 되도록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계획입안으로부터 설치완료까지의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시스템전체를 염가로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갭 필러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시스템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전송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방식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방식의 다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방식의 다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수신안테나 2, 29 : LNB
3 : 튜너 4, 152 : TDM/CDM변환기
5, 153 : 업 콘버터 6 : E/O 변환기
7 : 광분배기 8, 14 : 광파이버
9, 15 : 갭 필러 10 : 빌딩
11 : 케이블 12 : 지하상가
13, 151, 156 : 광링크 16 : 수신안테나
17 : 리피터 18 : 송신안테나
19, 30 : TDM/CDM 변환부 20 : E/O 변환부
21 : 광송신부 22 : 광수신부
23 : O/E 변환부 24, 154 : 증폭기
31 : 변조부 155 : 안테나

Claims (12)

  1. 통신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TDM 신호를 지상에서 수신하여 복수의 갭 필러로 분배하는 갭 필러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갭 필러로의 신호분배를 TDM 신호로 행하고, 각 갭 필러에서 TDM 신호를 CDM 신호로 변환한 후 고주파신호로 주파수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갭 필러를, 병렬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갭 필러를 직렬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갭 필러로의 신호분배를 광링크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갭 필러로의 신호분배를 금속케이블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갭 필러의 기준 클록을 TDM 신호로부터 추출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7. 통신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와, 이 수신 안테나로부터 떨어져서 통신위성을 볼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된 갭 필러를 포함하는 갭 필러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를, 리피터를 통하여 상기 갭 필러로 공간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는, 전기신호를 공간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는,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를 직접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는,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는, 광신호로 변환하여 공간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필러시스템.
KR1020040041119A 2003-10-16 2004-06-05 갭 필러 시스템 KR20050036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6805A JP2005123901A (ja) 2003-10-16 2003-10-16 ギャップフィラーシステム
JPJP-P-2003-00356805 2003-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692A true KR20050036692A (ko) 2005-04-20

Family

ID=3461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119A KR20050036692A (ko) 2003-10-16 2004-06-05 갭 필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23901A (ko)
KR (1) KR20050036692A (ko)
CN (1) CN1607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69B1 (ko) * 2004-09-10 2007-04-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갭 필러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신호 송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4223A (ja) * 2005-09-06 2007-03-22 Maspro Denkoh Corp デジタル放送再送信システム
CN101175010B (zh) * 2006-10-30 2012-05-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信息非均等编码系统中多中继站协作的方法和装置
EP2991241A1 (en) * 2014-08-27 2016-03-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udac,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udac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69B1 (ko) * 2004-09-10 2007-04-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갭 필러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신호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23901A (ja) 2005-05-12
CN1607745A (zh)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570A (en) Radio coverage in closed environments
US20020181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fiber optic antenna interface
US6374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s
EP2374226B1 (en) System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in tunnels
CN104380782A (zh) 适用于提供空对地连接的地面通信网络
CN1211889A (zh) 利用混合系统的双工室外基站收发信机子系统
JPH09130322A (ja) 移動体通信用中継増幅システム
KR20050036692A (ko) 갭 필러 시스템
JP2843459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0544675B1 (ko)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위성신호중계 장치
CN101247517A (zh) 基于泄漏电缆的移动电视信号地铁隧道覆盖系统
JP2005236448A (ja) ギャップフィラーシステム
JPH09139705A (ja) 無線中継装置
KR100953566B1 (ko) 방송 신호 수신 및 통신 신호 중계를 위한 양방향 갭필러장치 및 그 신호 전송 방법
JP4041697B2 (ja) 移動体用放送信号再送信システム
KR100736116B1 (ko) 지하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서비스 시스템
KR19990080649A (ko) 이동전화시스템,의사주파수송수신장치및의사주파수중계기
KR100608538B1 (ko) 위성 디엠비 서비스를 위한 분산 시스템, 마스터 장치, 광중계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KR20000008295A (ko)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효과적으로 커버하고 그 서어비스 지역의확장이 용이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07018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5183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수신장치에 사용되는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10155116A (ko) Dmb 재방송 중계기
JP3243507B2 (ja) 統合基地局、受信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KR100442132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터널용 광분산 시스템
KR100221286B1 (ko) 시디엠에이 방식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음영 지역용 분산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