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116A - Dmb 재방송 중계기 - Google Patents

Dmb 재방송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116A
KR20210155116A KR1020200072212A KR20200072212A KR20210155116A KR 20210155116 A KR20210155116 A KR 20210155116A KR 1020200072212 A KR1020200072212 A KR 1020200072212A KR 20200072212 A KR20200072212 A KR 20200072212A KR 20210155116 A KR20210155116 A KR 2021015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broadcasting
repeater
signal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윤 김
Original Assignee
(주)남경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경텔레콤 filed Critical (주)남경텔레콤
Priority to KR102020007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116A/ko
Publication of KR2021015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6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repeated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방송용으로 의무 설치되는 DMB 재방송 중계기(DMB Rebroadcast Repeat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MB 방송신호를 지하 또는 터널 등 음영지역에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중계기의 기능에서는 DMB방송 수신레벨이 미약한 지역에서 중계기 사용이 불가하며, 외부 전파환경(전파전파 특성 및 페이딩 등)에 따른 채널 별 신호 편차 및 신호 품질 저하 등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원이 가능한 수신기 임계레벨 정도의 신호만으로 원 신호를 복원하여 다주와 처리를 거쳐 DMB무선신호로 재 변조하여 송출함으로써, 지상에서 DMB수신기로 신호 수신이 가능한 모든 장소에서 무선 신호 레벨 또는 Fading 등에 무관하게 신호를 복원하여 모든 채널의 DMB방송을 방송국 수준의 품질로 서비스하는 1차적인 중계장치의 기능과,
재난방송 장비의 긴급비상방송 기능 구현을 위하여 별도의 재난방송용 송신기 또는 모듈을 추가하여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상용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의 기본 구성에서 단순하게 재난방송 신호접속부를 추가하여 자체 로컬 또는 원격 비상방송을 특정 또는 다수 또는 전 채널에서 DMB재난방송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2차적인 긴급비상방송 기능을 수행하는,
DMB 재방송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MB 재방송 중계기 {DMB REBROADCAST REPEATER}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신호 변조 및 복조를 이용한 DMB 재방송 중계기(DMB Rebroadcast Repeater)에 관한 것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방송을 위하여 건물지하, 터널, 지하철 지하상가 등에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중계기로, 수신 레벨이 미약한 국소에서도 기본적인 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재난 상황 발생 시 재난방송을 위한 긴급비상방송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DMB 재방송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MB중계기(DMB Repeater)는 지상 중계소 방송수신이 어려운 건물지하, 터널, 지하철, 지하상가 등에 DMB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방송사가 설치한 지상 중계소에서 공중으로 전파된 DMB방송신호는 외부안테나를 통해 입력받아 필터링 등 신호처리 후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송출하는 중계장치로 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 도로관리공사, 철도(지하철)공사 및 건축물사업자 등이 설치 및 운영하여야만 하는 재난방송용 통신장비이다.
현재 DMB중계기는 외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DMB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필터링을 수행한 후 사용대역을 증폭하고, 궤환신호 제거 및 등화(Equalizer)기능의 디지털 신호처리를 추가하여 구성되며, RF중계기 및 광중계기로 분류된다. RF중계기는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으로 수신 안테나와 송신안테나의 격리(Isolation)가 장비 이득(System Gain-출력레벨의 차이) 이상 확보되거나, 궤환신호 제거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처리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신호가 미약한 국소(예를 들어, 산으로 둘러싸인 터널)에서는 정상적인 출력을 송출할 수 없으며, 중계기가 정격 출력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일정 레벨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하지만,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서비스의 발달로 DMB방송 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수익도 급감한 상황에서 무료서비스인 DMB방송을 위하여 방송국의 송신소 설치 등 추가적인 투자로 지상구간의 난청지역 해결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 상황에서 입력신호가 미약하여 RF중계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DMB신호 수신레벨이 좋은 위치에서 DMB신호를 수신하여 광 신호로 변환하는 광중계기 주장치(Master Unit)를 설치하고 광 선로를 통해 원격지에 신호를 전송하며, 이를 증폭하는 광 중계기 보조장치(Remote Unit)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 방식은 광 선로를 포설 또는 임대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큰 공사비와 지속적인 임대료를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국토교통부의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라 재난방송용 중계기의 긴급비상방송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중계기에 별도의 재난방송용 송신기를 장착하거나, 2011년 남산1호터널에 시범 설치 운영된 중계기 내부에 관련 모듈을 추가 장착하여 기존중계기 신호와 RF 또는 IF(중간주파수)단에서 신호를 절체하는 방식이 있지만, 이 방식은 DMB중계기 관점에서 DMB신호 중계를 위한 기존 중계장비에 원하는 재난방송 채널 수 만큼의 재난방송용 송신기 또는 모듈을 추가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DMB중계기의 가격과는 차이가 매우 커서 비용적인 관점에서 상용화되지 않고 있다.
DMB신호 처리방식 및 규격 등은 Eureka-147표준을 따르고 있어 송수신기 기술은 이미 개발되어 있다. 다만, 수신기(복조기)의 경우, 휴대폰, 네비게이션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이미 상용칩이 나와 있어 구현이 어렵지 않지만, 송신기(변조기)의 경우 송신소 및 지상 중계소 등 사용 용도가 적어 수신기와 같은 상용칩이 없어 이를 위한 별도의 송신기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특허 제 10-0736116 "지하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시스템" 특허문헌 0002 특허 제 10-0703502 "DMB서비스에 대한 IP멀티캐스팅 방식의 재전송장치" 특허문헌 0003 특허 제 10-0880046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특허문헌 0004 특허 제 10-0999772 "DMB 시스템" 특허문헌 0005 특허 제 10-1320544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중계 장치" 특허문헌 0006 특허 제 10-1341045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소멸) 특허문헌 0007 특허 제 10-1420188 "재난방송 제공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방법" 특허문헌 0008 특허 제 10-1930932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특허문헌 0009 특허 제 10-1930054 "DMB 하이브리드 중계 장치" 특허문헌 0010 특허 제 10-1920304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DMB 신호가 미약하더라도 수신기를 통해 복조가능한 레벨만 입력되면 정상적인 출력을 송출할 수 있으며, 외부 전파 환경, Fading(다중경로 신호) 등의 영향 없이 안정적인 출력이 가능한 중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외부신호 미약 국소에서 RF중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DMB신호가 안정적인 원격의 장소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광(Optic) 신호로 변경하고 광 선로를 이용하여 서비스 국소까지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하는 광 중계기의 광 선로 구축비용 등 복잡한 구성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른 재난방송용 DMB 재방송장치의 긴급재난방송 기능 구현을 위하여 별도의 송신기 및 모듈을 구성하지 않고 기존의 중계기 기능과 긴급비상방송 기능을 함께 구현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장비를 개발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방송 채널만 선택적으로 송출이 가능(예를 들어, 홈쇼핑 채널과 같은 상업방송 제외)하고, 재난 상황 발생 시 특정 채널 또는 전 채널에 재난 방송을 송출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송국에서 재난방송을 하지 않는 국지적인 재난(비상)의 특수상황(예를 들어, 터널 내부화재, 사고 발생 등)에서 중계기 설치 현장의 안내 방송 및 상황 전달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 자체(예를 들어, CCTV나 PC접속 등) 또는 재난 관리 센터 등의 원격 비상방송을 별도의 재난방송용 송신기 및 모듈 없이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인 중계기의 입출력 DMB필터, 저잡음증폭기, 분배기, 채널 또는 대역카드, 전치증폭기, 고출력증폭기 등의 구성장치에서 기존 방식의 일반 채널 또는 대역 카드를 수신레벨이 DMB수신기(예를 들어, 휴대폰, 네비게이션)로 수신이 가능한 레벨의 입력이면 DMB 앙상블 데이터를 추출하는 DMB 복조부; 상기 복조부에서 추출된 앙상블 신호의 고속정보채널(FIC : Fast Information Channel)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채널의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분류하고, 외부 입력 신호, 재난방송신호, 일반방송신호 및 선택적 채널 사용 등의 방식으로 앙상블 데이터를 처리하는 DMB 다중화부; 상기 다중화부에서 다중화된 입력신호를 사용하는 주파수 DMB 무선신호로 변조하는 DMB 변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입력신호의 다양한 인터페이스(원격지 접속 및 자체 영상장비 접속 등)를 제공하는 신호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DMB 신호 변/복조를 이용한 DMB 재방송 중계기는 이하의 특징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1) 지상에서 복조가능한 미약신호 즉, 휴대폰과 같은 수신기로 DMB 방송이 수신되는 곳이라며 장소 제한 없이 어느곳에든 수신 안테나 설치가 가능하고, 터널 및 지하공간의 중계기 서비스 구간에서는 외부 전파환경(전파전파 특성 및 페이딩) 에 관계없이 모든 채널에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터널과 같이 산과 나무같은 장애물 지형 또는 도심지 고층 건물에 둘러싸인 지하 구간(지하철, 지하상가 등)에서도 안정적인 DMB 방송의 중계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2) 지하철과 같이 각 역별로 수신되는 외부 환경이 다른 경우, 수신이 양호한 국소에서 외부 입력신호를 받아 각 역사로 광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광 선로 설치가 필요 없고 이미 설치된 국소에서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터널 등의 지리적인 특성 상 광케이블 포설이 어려운 국소에서 별도의 광 선로 임대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3) 각 방송사 별로 송출하는 3~4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 중계 송출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홈쇼핑과 같은 상업용 방송의 서비스 제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 방송국에 의해 재난방송이 진행되는 경우, 모든 방송 채널에 재난방송 신호를 송출하거나, 재난 방송 채널말 송출하고 타 채널은 중단하는 선택할 수 있으며, 자체 또는 원격의 긴급비상방송 송출은 기존 방송을 끊고 전체 또는 특성채널에 긴급비상방송을 제공하며 별도의 재난방송 송신기 또는 모듈 없이, CCTV, 관리용 PC, 원격 Ethernet접속 등으로 긴급재난방송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일반적으로 사용 할 수 없지만, DMB 변조부에서 송신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여, 특수 상황에서 재난 방송 전용 채널이 필요한 경우, 기존 지역에서 사용하는 상용 DMB 주파수가 아닌 현재 DMB방송용으로 할당된 전 주파수 대역(174㎒~216㎒) 내에서 기존 방송 채널과 별도의 재난방송 전용 주파수 채널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 무선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기반으로 처리하여 DMB 방송 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방송국의 중계소와 같이 무선신호 뿐 아니라 유선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DMB 방송 신호로 변경이 가능하여 재난방송 의무가 있는 사용자, 예를 들어, 터널을 관리하는 국토관리부 또는 각 지하상가를 관리하는 시설관리공단 등에서 긴급비상방송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 DMB 중계기의 구성에서 기존 중계기의 일반 채널(대역)카드 대신 사용되는 DMB신호처리카드(100)가 설치된 저ㄴ체 구성을 타나낸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서 DMB신호처리카드(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지상파 DMB중계기에 별도의 재난방송을 위하여 구성되는 별도의 재난방송용 송신기 및 모듈(200)과 기존 중계기의 접속 방식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존의 재난방송용 송신기 및 모듈 접속 방식 대신 중계기에 구성되는 각 채널의 다중화부(120)와 접속되어 구성되는 긴급비상방송용 신호접속부(3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또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해당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기술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상에 단수 형태로 기재된 구성요소는 별도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DMB 재방송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지하 또는 터널 등에 재난방송용으로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DMB 중계기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선주파수(RF) 또는 중간주파수(IF) 변환 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처리 하는 기존방식이 아닌 신호 복조를 통하여 앙상블 데이터 신호 복원 후 다중화하여 무선신호로 재변환하는 방식을 통하여 외부 입력신호가 미약한 국소에서도 일반 수신기 레벨 이상만 수신되면 정상적인 DMB 방송신호 송출이 가능하여, 외부 안테나의 위치선정에 따른 추가 비용 또는 수신미약 국소에서 사용하는 광 중계기를 위한 광 선로 드으이 추가 설치 비용 없이 안정적인 DMB방송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며,
재난발생 상황에서 방송국에 의한 재난방송 송출을 전체 또는 특정채널 송출 등을 선택적으로 할수 있으며, 기존 방송 채널을 제한 할 수 있고, 방송국이 아닌 자체 또는 원격 재난 방송을 위하여 별도의 송신기 및 모듈 없이 기존 사용 CCTV, 관리용PC 등의 장치 또는 원격 Ethernet접속 등으로 긴급비상방송이 가능한 DMB 재방송 중계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 DMB 중계기 구성에서 기존 중계기의 일반 채널(대역)카드 대신 사용되는 DMB신호처리카드(100)가 설치된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채널 방식 DMB중계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며, 중계기라는 기본 틀에서 기존 방식의 일반 채널(대역)카드를 DMB신호처리카드(100)로 변경하여 동일한 중계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존의 중계기에서 일반 채널(대역)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DMB필터, 저잡음 증폭기, 분배기, 전치 증폭기, 고출력 증폭기 등은 동일하게 구성되며, 기존의 1개 방송사 채널(1.536㎒) 또는 대역(6㎒)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필터링하여 선택도를 높이고 디지털 궤환제거 방식 등을 수행하는 일반 채널(대역)카드와 달리, 외부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DMB신호를 복조하고, 재 다중화하여 무선신호로 다시 변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DMB신호처리카드(100)로 대치하여 처리하는 전체 구성도를 확인한다.
중계기 구성방식은 이미 일반화된 사항이므로 별도 설명은 제외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서 DMB신호처리카드(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신호처리카드(100)에 포함된 카드들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DMB신호처리카드(100)는 DMB복조부(110), 다중화부(120), DMB변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MB복조부(110)는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DMB무선신호를 채널선택기(Tuner), A/D(Analog to Digital)변화 등 복조기를 통하여 원 신호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DMB복조부(1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DMB수신기에 적용된 상용칩셋을 이용하거나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DMB복조부(110)의 수신감도 보장하는 레벨까지 DMB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원 데이터로 복원 후 후술할 다중화부(1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기존 DMB중계기와의 차이점은 복조 이후의 신호는 외부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나 페이딩(Fading) 등의 환경 요소와는 무관한 후속 과정을 거쳐 최종 출력되기 때문에 지상에서 DMB방송 수신이 가능하다면 지상 어느 곳에든 외부 안테나 설치가 가능하며, 이 신호를 재 방송하는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는 방송국과 동등한 품질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의 변호(예를 들어, 차량증가,주변 건물 신축)에 무관하게 동일한 품질을 서비스 할수 있다는 것으로 기존 수신기에서는 일반화된 기술이지만, DMB 중계기에는 적용하지 못한 특화된 기술이다.
다중화부(120)는 상기 DMB복조부(110)에서 출력된 데이터에서 고속정보채널(FIC : Fast Information Channel)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널별 영상 및 음성신호를 분류하고 원하는 방식(예를 들어, 선택적 송출, 전 채널 동일 신호 송출)으로 다시 다중화 처리 후 변조하기 위하여 DMB변조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다중화부(120)는 복조된 3~4개 채널의 방송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할 수있어, 방송국에서 재난방송이 진행되는 경우, 재난방송 채널을 전체 또는 일부 채널로 송출하거나, 일부 채널 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중화부(120)는 DMB복조부(110)에서 입력된 신호화 후술될 신호접속부(300)에서 입력되는 외부 신호(별도의 재난방송용 신호) 중 선택적 송출이 가능하고, 일반 상황에서는 방송국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다중화 처리하며, 재난상황에서는 기존 방송을 중단 하여 전체 또는 일부 채널로 재난방송 신호를 송출이 가능하도록 다중화 처리한다.
DMB변조부(130)는 다중화된 DMB신호를 DMB 표준 방식으로 변조하기 위하여 FPGA와 DSP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변조된 신호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송중계 상황에서는 수신채널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출하며, 특수 재난상황에서 자체 주파수를 이용하여 자체 재난방송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에서 1개 대역에 3개의 채널을 구성하는 DMB방식에서 1개의 카드 중 예비로 지정된 카드가 모든 채널을 사용하면서도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기존 카드의 장애 발생 시 대체용으로 사용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지상파 DMB중계기에 별도의 재난방송을 위하여 구성되는 재난방송용 송신기 및 모듈(200)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재난방송을 위한 기존 기술에 대한 구성으로 일반 중계기 관련 장치와 재난방송용 송신기 및 모듈(200)을 접목하여 구성되며, 무선 절체 스위치를 이용하여 방송중계신호와 재난방송신호를 선택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현재 재난방송기능을 포함한 중계기 기본 구성으로, 절체하는 신호가 RF대역이나 IF대역으로 차이는 있을 수 있고, 중계기와 재난방송용 송신기를 각각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중계기 내부에 재난방송용 모듈을 구성하고 일부 중계기 구성요소(예를 들어, 증폭기)를 공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비상방송의 입력 방식이 유선, 무선 혹은 DMB방송신호에서 추출하는 방식 등의 구성방식의 차이는 있으나, DMB중계기에 필요한 블럭과 재난방송용 블럭이 중복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현재방식은 비상방송을 하고자 하는 채널의 수량만큼의 별도의 재난방송 송신기 또는 모듈을 추가하여 구성하므로 기존 중계기 구성요소 외의 비용이 추가되어 기존 DMB중계기와 경쟁이 되지 못하고, 사용화에 한계가 있는 기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존의 재난방송 접속방식 대신 단순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신호접속부(3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3에 표시된 기존 재난방송용 송신기 및 모듈(200)의 기능을 DMB신호처리카드(100)에 내장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방송국에서 하는 재난방송이 아닌 국지적 재난상황 등의 긴급비상방송은 현장의 CCTV, 관리 PC 등과 접속하거나, Ethernet 원격 접속 등을 통하여 재난 현장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수집된 신호는 각 채널의 다중화부(120)로 전송한다. 기본적으로 Ethernet기반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영상 및 음성신호 접속을 위한 타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신호접속부(300)를 통한 원격지와의 접속은 일정대역이 보장된 Ethernet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공지의 통신망, 예를 들어,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접속부(300)는 원격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예를 들어, Ethernet to Optic컨버터를 사용한 광 케이블 접속과 같이, 공지의 통신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인터페이스 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DMB 재방송 중계기는 지하구간과 연결된 지상구간에서 DMB수신기를 이용하여 DMB 방송수신이 가능한 어느 곳에든 안테나를 설치하여 중계기와 접속을 하며 신호를 복조하여 재방송하는 구성으로, 신호의 수신을 방해하는 환경적인 영향, 예를 들어, 산 또는 건물 등과 같은 장애물 지형에서도 안정적인 DMB방송을 중계하는 방송국과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지하철과 같은 연속 구간의 경우, 모든 역사에서 DMB 무선수신이 동일하게 구현되지 않아 신호 수신이 양호한 국소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추가적인 광 선로를 포설하여 수신미약 역사에 전송하는 광 중계기 방식의 광 선로 설치비용 등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며, 외부 안테나 위치선택의 제한도 없어진다. 또한 DMB 신호처리 과정에서 원 데이터복원 후 신호처리가 구현되기 때문에, 방송신호, 외부접속 긴급비상방송 신호 중 사용하고자하는 영상/음성신호를 선택할 수 있고, 원하는 방법으로 전체 채널 혹은 특정 채널을 이용한 자체 재난방송 등의 특수 상황에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고, Ethernet 기반으로 외부 접속 신호를 처리함으로서 원격지에서 IP접속이 가능하여, 재난방송 의무가 있는 사용자, 예를 들어, 각 터널을 관리하는 국토관리부 또는 각 지하상가를 관리하는 시설관리부 등에서 비상 시 원격으로 재난방송을 할 수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DMB 재방송 중계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DMB신호처리카드
110 : DMB 복조기
120 : 다중화부
130 : DMB 변조부
200 : 재난방송용 별도 송신기
300 : 신호접속부

Claims (3)

  1. DMB 재방송 중계기(DMB REBROADCAST REPEATER) 에 있어서,
    외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DMB 무선신호를 각 채널의 앙상블 데이터를 추출하는 DMB복조부;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반 방송, 방송국 재난방송 및 로컬 및 원격 긴급비상방송 채널로 분류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일부 채널의 앙상블 데이터로 다중화 처리하는 다중화부;
    상기 다중화부에서 출력된 앙상블 데이터를 변조하고, 사용하는 DMB 채널주파수에 맞게 변화하여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DMB변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재방송 중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자체 재난방송 및 원격 접속을 위한 외부신호 접속을 위한 신호접속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접속부는 상기 모든 채널카드 다중화부와 접속하여 외부 입력신호(자체 및 원격 재난방송)를 긴급비상방송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재방송 중계기.
  3. 제 1항에 있어서,
    다중화부는 각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3~4개의 방송채널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다중화 하거나, 하나의 방송 채널을 전체 또는 일부 채널에 동일한 신호로 다중화 처리하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방송 채널을 운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재방송 중계기.

KR1020200072212A 2020-06-15 2020-06-15 Dmb 재방송 중계기 KR20210155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12A KR20210155116A (ko) 2020-06-15 2020-06-15 Dmb 재방송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12A KR20210155116A (ko) 2020-06-15 2020-06-15 Dmb 재방송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16A true KR20210155116A (ko) 2021-12-22

Family

ID=7916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212A KR20210155116A (ko) 2020-06-15 2020-06-15 Dmb 재방송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116A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02B1 (ko) 2006-01-1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서비스에 대한 ip 멀티캐스팅 방식의 재전송 장치
KR100736116B1 (ko) 2005-06-01 2007-07-06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지하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서비스 시스템
KR100880046B1 (ko) 2007-07-26 2009-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9772B1 (ko) 2008-06-16 201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mb 시스템
KR101320544B1 (ko)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341045B1 (ko)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1420188B1 (ko) 2010-05-17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KR101920304B1 (ko) 2012-10-29 2018-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30054B1 (ko) 2012-06-11 2018-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mb 하이브리드 중계 장치
KR101930932B1 (ko) 2012-04-16 2018-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16B1 (ko) 2005-06-01 2007-07-06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지하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서비스 시스템
KR100703502B1 (ko) 2006-01-1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서비스에 대한 ip 멀티캐스팅 방식의 재전송 장치
KR100880046B1 (ko) 2007-07-26 2009-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9772B1 (ko) 2008-06-16 201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mb 시스템
KR101320544B1 (ko)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341045B1 (ko)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1420188B1 (ko) 2010-05-17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KR101930932B1 (ko) 2012-04-16 2018-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30054B1 (ko) 2012-06-11 2018-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mb 하이브리드 중계 장치
KR101920304B1 (ko) 2012-10-29 2018-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1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fiber optic antenna interface
CN1238077A (zh) 用于航空器的实时信息传送系统
JP200701980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中継装置及び遠隔無線基地局装置
US7756469B2 (en) Extended radio base station system having broadcast wave retransmitting function
EP2517378B1 (en) Installation for emission/reception of satellite signals
KR20080102754A (ko)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1341045B1 (ko) 등화기능을 구비한 터널용 지상파 디엠비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0621331B1 (ko) 광신호 분배기를 구비한 광 분산 시스템
CN103023573B (zh) 一种调频广播数字光纤直放站系统
KR20210155116A (ko) Dmb 재방송 중계기
KR20030036540A (ko) 임의 채널을 이용한 위성 방송 중계기 식별 방안 및 부가채널 사용 방안
JP4537926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監視方法
KR100669899B1 (ko) 양방향 성층권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 및그 방법
KR101958924B1 (ko) Fm 및 dmb 중계 장치
US20050213526A1 (en) Broadcast retransmitter, method of retransmitting a broadcast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799501B2 (en) Coverage extension antenna system
KR100711169B1 (ko) 갭 필러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신호 송신 방법
JP2000244383A (ja) 衛星通信システムとその再送信装置
JPH10308695A (ja) 衛星放送システムとそのギャップフィラー装置
KR100630453B1 (ko) 차량용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부스터
CN212305395U (zh) 放大和转发l波段卫星电话信号的装置
KR1007018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60124914A (ko) 지하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서비스 시스템
JP2005123901A (ja) ギャップフィラーシステム
JP2006174505A (ja) 衛星通信システムの再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