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564A -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564A
KR20050036564A KR1020030072270A KR20030072270A KR20050036564A KR 20050036564 A KR20050036564 A KR 20050036564A KR 1020030072270 A KR1020030072270 A KR 1020030072270A KR 20030072270 A KR20030072270 A KR 20030072270A KR 20050036564 A KR20050036564 A KR 2005003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unit
laser scanning
laser
voltage valu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728B1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728B1/ko
Priority to US10/963,543 priority patent/US20050083978A1/en
Priority to JP2004303404A priority patent/JP2005119310A/ja
Publication of KR2005003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25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0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by monitoring the electrical laser parameters, e.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31Edge-emit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 H04N1/4015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of the reproducing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5Optical component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homogenisation or merging of the beams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1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using memorised or pre-programmed lase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각각 검출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얻고 이를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및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구동하여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의 검출시점에 각각 대응되는 제3전압값과 제4전압값을 얻고 이를 제1전압값 및 제2전압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편차만큼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에 의하면, 싱글 또는 멀티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각 레이저빔간의 광파워 밸런스를 자동으로 정확히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수동으로 레이저빔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데 비하여 적은 시간이 소요된다.

Description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aser beam power balence in laser scanning unit}
본 발명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및 복합기와 같은 기기들은 감광드럼에 레이저빔을 주사하기 위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구비한다. 레이저 스캐닝 유닛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와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소정의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한편,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의해 단위 시간당 감광드럼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을 늘리기 위해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주사되는 레이저빔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 이 기술을 적용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멀티빔(multi beam)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라 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레이저빔을 감광드럼에 동시에 주사함으로서 프린터의 인쇄속도를 향상시키거나 디지털 복사기의 복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감광드럼에 주사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가 다른 경우 프린터나 복사기의 인쇄품질을 열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출력 자동조절 회로를 나타낸다.
도시된 광출력 자동조절 회로는 레이저빔을 감광드럼(미도시)에 주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LD)(10)와, 레이저 다이오드(10)와 병렬 연결되며,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감광드럼에 주사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를 센싱하는 포토 다이오드(11), 및 포토 다이오드(11)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트랜지스터(12, 13) 및 저항(14, 15)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커패시터(16, 17)는 전원전압(Vcc)에 포함되는 리플(ripple)전압을 제거하며, 전원전압(Vcc)의 전위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10)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면 레이저 다이오드(10)는 소정 레벨(예컨데 수㎼ ∼ 수십㎼)의 레이저빔을 출력한다. 이때, 포토 다이오드(11)는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방출된 레이저빔에 반응하여 소정의 전류값을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단에 인가하며, 트랜지스터(13)는 인가된 전류에 의해 턴-온 된다. 턴-온된 트랜지스터(13)에 의해 전원전압(Vcc)은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12)를 턴-온 시킨다. 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애노드(anode)단과 캐소드(cathod)단은 전원전압(Vcc)과 접지단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한다. 이때,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단과 접지단 사이에 배치된 저항(15)과 가변저항(14)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애노드단과 캐소드단 사이의 전압이 가변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감광드럼(미도시)에 주사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가 조절된다. 즉, 가변저항(14)을 조절함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감광드럼(미도시)로 주사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감광드럼(미도시)으로 주사되는 빔의 광파워를 제어하는 회로를 통상 APC(Auto Power Control)회로라 하며, 레이저 프린터나 디지털 복사기를 생산하는 생산자가 가변저항(14)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서 레이저빔의 광파워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조작에 의한 광파워제어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갖는 특성, 및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바, 생산되는 각 제품에 장착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간에 편차를 발생시키며, 수동조작에 따른 시간 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동 조정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장착하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품질은 균일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감광드럼으로 멀티빔이 주사되는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경우 주사되는 레이저빔간의 광파워 편차는 프린터나 복사기의 인쇄품질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레이저빔의 광파워간에 밸런스를 조정하는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시점에 대응되는 제2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제1전압값과 비교하여 그 편차만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 Rb는 보정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Ra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 및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전압값과 상기 제2전압값의 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시 에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각각 검출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의 검출시점에 각각 대응되는 제3전압값과 제4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제1전압값 및 상기 제2전압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편차만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 Rb는 보정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Ra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 및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전압값과 상기 제3전압값의 차와 상기 제2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의 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시 에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각각 검출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구하고,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이 목적 광파워에 도달하는 시점에 각각 대응되는 제3전압값과 제4전압값을 구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상기 구해진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토대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제1함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3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을 토대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제2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레이저빔의 검출시점에 대응되는 전압값들을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제1함수 및 상기 제2함수를 적용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함수 및 상기 제2함수를 적용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 Rb는 보정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Ra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 및 상기 f(ra, ra')는 상기 제1전압값과 상기 제3전압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함수 및 상기 제2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함수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서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의 광출력을 광-파워메터(200)에 의해 측정하고, 측정된 광파워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피드백 하여 레이저 스캐닝 유닛(예컨데 "110")에 저장시킴으로서, 각각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예컨데 "110")은 고유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이때,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은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이 각각 최초 방출될때 각각의 레이저빔(LD1, LD2)을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에 인가되는 제어전압값과, 원하는 광파워에 도달될때의 제어전압값을 저장한다. 즉,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이 레이저 프린터나 디지털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대한 상세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은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을 각각 방출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서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을 반사하는 폴리곤 미러(117a), 폴리곤 미러(117a)에 의해 반사된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의 방출을 감지하는 레이저빔 검출부(116), 및 폴리곤 미러(117a)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레이저빔(LD1, LD2)을 빔 검출부(116)로 편향하는 미러(117b)를 구비한다.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서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이 최초 방출되는 시점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빔 검출부(116)에 의해 이루어지고, 광-파워메터(200)에 의해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이 원하는 광파워(예컨데 400㎼)에 도달시, 광-파워메터(200)가 이를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알려줌으로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은 제1 및 제2레이저빔(LD1, LD2)이 최초 방출되는 시점과 원하는 광파워에 도달시 제1 및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 112)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이 레이저 프린터나 디지털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에는 화상형성장치가 갖는 전기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아 광-파워메터(200)에서 측정된 원래의 전기적 특성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도면부호 LD1와 LD2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의 고유한 전기적 특성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LD1'와 LD2'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을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장착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서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LD1)과 제2레이저빔(LD2)의 출력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변화,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주변 부품에 의한 영향, 및 기타 주변환경 변화에 기인한다. 이에 본 발명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이 갖는 전기적 특성을 파악한 후,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때의 특성변화를 파악하여 그 편차만큼을 보정함으로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LD1, LD2)의 광파워간 밸런스를 보정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을 장착한 레이저 프린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레이저 프린터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 프로세서(120), 플래시롬(Flash)(130), 램(RAM)(140), 엔진제어부(150), 제1DAC(Digital Analog Convertor)(160), 및 제2DAC(Digital Analog Convertor)(170)를 갖는다.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은 감광드럼(미도시)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단위 시간당 두개의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멀티빔 레이저 스캐닝 유닛 이외에 하나의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프로세서(120)는 레이저 프린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퍼스널 컴퓨터(미도시)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인쇄데이터를 비트맵(bit map)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엔진제어부(150)로 인가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서 레이저빔(LD1, LD2)이 방출되는 시점과 원하는 광파워에 도달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토대로 제1DAC(160)와 제2DAC(170)를 제어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11a, 111b)의 광파워를 제어한다.
플래시롬(Flash)(130)은 레이저 프린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며, 프로세서(120)가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시, 데이터 변환을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또한, 플래시롬(FLASH)(130)은 룩업테이블(look up table)형태를 갖는 제어전압 정보를 내장한다. 내장된 제어전압 정보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 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대한 정보로서 프로세서(120)에 의해 선택되어 제1DAC(160)와 제2DAC(170)에 인가된다. 제1DAC(160)와 제2DAC(17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인가된 제어전압 정보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소정의 제어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인가한다.
램(RAM)(140)은 프로세서(120)로 인가된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시, 프로세서(120)가 필요로 하는 임시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프로세서(120)가 레이저 프린터를 제어시 필요로 하는 제어데이터의 임시 저장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엔진제어부(15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출력되는 비트맵 형식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레이저 프린터에 구비되는 각종 모터, 액추에이터 및 기타 기계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DAC(160)와 제2DAC(170)는 프로세서(120)에서 제어전압 정보가 인가시 이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전압을 출력하고 이를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인가한다.
제1DAC(160)과 제2DAC(170)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정보와, 제어전압 정보에 응답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과의 관계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제1DAC 0 30 35 140 148
전압(V) 0V 0.3V 0.305V 1V 1.06V
표 1은 프로세서(12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출력전압과의 관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난 제어전압 정보는 플래시롬(FLASH)(130)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20)에 의해 호출되어 제1DAC(160)또는 제2DAC(170)로 인가된다. 이때 인가되는 제어전압 정보는 0 ∼ 148 사이의 값이 예시되어 있다. 표 1에 나타난 제어전압 정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표 1에서는 0 ∼ 148의 범위를 갖는 제어전압 정보가 예시되어 있으나, 제어전압 정보는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은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 포토 다이오드(112), 제1다이오드 제어부(113), 제2다이오드 제어부(114), 스위칭부(115), 레이저빔 검출부(116), 폴리곤 미러 구동부(117), 및 EEPROM(118)을 갖는다.
먼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의 광파워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는 각각의 광 출력 시점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턴-온 시킨 후,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에 매우 낮은 레벨의 제어전압 정보(예컨데 20 ∼ 30)를 인가하여 제1DAC(160)에서 매우 낮은 레벨의 제어전압(예컨데 0.1V ∼ 0.3V)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1DAC(16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에 의해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서 제1레이저빔(LD1)이 방출되면 레이저빔 검출부(116)는 이를 검출하여 프로세서(120)에 알린다. 프로세서(120)는 레이저빔 검출부(116)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서 제1레이저빔(LD1)이 방출된 시점에 제1DAC(160)에서 제1비교기(113a)로 인가된 제어전압 정보를 램(RAM)(140)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120)는 EEPROM(118)에 기 저장된 레이저빔 방출 개시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와 램(RAM)(140)에 저장된 제어전압 정보를 참조하여 제1DAC(160)나 제2DAC(170)에서 그 차를 보정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EEPROM(118)에 기 저장된 레이저빔 방출 제어전압 정보가 30이고, 레이저 프린터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서 제1레이저빔(LD1)이 방출될때의 제어전압 정보가 35인경우, 프로세서(120)는 EEPROM(118)에 저장된 제어전압 정보(30)와 검출된 제어전압 정보(35) 간의 차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도록 제1DAC(16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대한 보정값을 산출 후,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턴-오프 하고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를 턴-온 한다.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 대한 보정값 산출과정은 앞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대한 보정값 산출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와 제2DAC(170)에 대한 보정값을 산출 후, 이를 램(RAM)(140)에 저장하고, 램(RAM)(140)에 저장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제1DAC(160)와 제2DAC(170)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정보를 가감한다.
이에 의해,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서 감광드럼(미도시)으로 주사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가 비슷해진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Rb는 보정전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및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의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가다.
제1다이오드 제어부(113)와 제2다이오드 제어부(114)는 각각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의 광파워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제1다이오드 제어부(113)는 제1비교기(113a), 제1샘플/홀더(113b), 제2비교기(113c), 및 제1정전류 제어부(113d)를 갖는다.
제1비교기(113a)는 제1DAC(160)에서 인가되는 제어전압을 기준전압으로 하고, 포토 다이오드(11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대응되는 전압을 비교전압으로 하여 비교한다. 여기서, 포토 다이오드(112)의 출력전류는 저항(113e)에 의해 전압값으로 환산된다. 비교 결과, 제1DAC(16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크면 논리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며, 제1샘플/홀더(113b)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샘플링하여 이를 검출하고, 홀드(hold)한다. 홀드된 샘플링 전압은 제2비교기(113c)에 인가되며, 제2비교기(113c)는 샘플 및 홀드된 전압과 정전류 제어부(113d)에서 피드백된 전압을 비교하여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관통하는 전류를 일정하게 고정시킨다. 이는 레이저 다이오드(111a, 111b)의 광파워를 제어하는 통상적인 APC회로에 해당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114)의 동작 원리 또한 제1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113)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스위칭부(115)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되며, 프로세서(120)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 대한 각각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시, 포토 다이오드(112)의 출력전류를 제1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113)나 제2다이오드 제어부(114)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EEPROM(118)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 제1및 제2레이저빔(LD1, LD2)이 방출되는 시점에 제1 및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a, 111b)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대한 정보와,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의 출력이 소정 레벨(예컨데 400㎼)에 도달시 레이저 다이오드(111a, 111b)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기 저장된 전기적 특성(레이저빔 방출 개시 전압과 레이저빔이 원하는 광파워에 도달될때의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전압값)을 기록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먼저, 컨베이어 벨트(300)에 얹힌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을 테스트시, 컨베이어 벨트(300) 부근에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의 기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위한 테스트 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는 전자제품을 테스트하고 조립하는 통상적인 공장에는 대게 구비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테스트 유닛(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턴-온 한다(S400). 다음으로, 테스트 유닛(미도시)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소정의 전압(예컨데 0.1V ∼ 1V)을 순차로 인가한다.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는 순차로 인가되는 전압에 응답하여 제1레이저빔(LD1)을 방출하며,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레이저빔 검출부(116)는 이를 검출하여 테스트 유닛(미도시)으로 알린다. 테스트 유닛(미도시)은 레이저빔 검출부(116)에서 제1레이저빔(LD1)을 검출한 시점의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를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EEPROM(118)에 저장한다(S410). 다음으로, 테스트 유닛(미도시)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턴-오프하고(S420)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를 턴-온 한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유닛(미도시)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 소정의 전압(예컨데 0.1V ∼ 1V)을 순차로 인가한다.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는 순차로 인가되는 전압에 응답하여 제2레이저빔(LD2)을 방출하며,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레이저빔 검출부(116)는 이를 검출하여 테스트 유닛(미도시)으로 알린다. 테스트 유닛(미도시)은 레이저빔 검출부(116)에서 제2레이저빔(LD2)을 검출한 시점의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를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EEPROM(118)에 저장한다(S430).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300)에서 테스트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의 레이저빔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정보와, 목표 광파워에 도달시 인가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7은 레이저빔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정보를 갖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을 토대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간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를 제어하여 제1DAC(1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매우 낮은 전압(예컨데 0V)부터 서서히 증가시킨다(S500). 제1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113)가 제1DAC(16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제1레이저빔(LD1)을 감광드럼(미도시)에 주사시, 레이저빔 검출부(116)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120)에 알린다(S510). 프로세서(120)는 레이저빔 검출부(116)의 검출 시점에 따른 제1DAC(160)의 제어전압 정보를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의 제1레이저빔(LD1)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제어전압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램(RAM)(140)에 저장한다(S530). 만일,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로부터 제1레이저빔(LD1)에 대한 검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를 제어하여 레이저빔 검출부(116)에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의 레이저빔을 검출할때까지 서서히 제어전압을 상승시킨다(S520)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램(RAM)(140)에 저장된 제어전압 정보(VL1')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정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방출 개시전압(VL1)에 대한 제어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편차를 얻는다. 얻어진 편차가 기 설정된 범위(예컨데 5 ∼ 10)내의 값이면 정상적인 오차범위 내의 값으로 판단하여 편차값을 반영하고(S550), 그렇지 않은 경우(예컨데 편차가 30 이상)에는 에러처리(S560)한다. 예컨데, 램(RAM)(140)에 저장된 제어전압 정보가 35이고, EEPROM(118)에 저장된 제어전압 정보가 30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를 구동시 편차값 5를 반영하여 제1DAC(16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서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LD1)의 광파워를 제한한다. 에러처리(S560)는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예컨데 LED나 LCD)를 통해 소정의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대한 보정이 종료된 후,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턴-오프 한다음 상기한 S500단계 ∼ S560단계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면 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정보를 갖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을 토대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구비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간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에 기 저장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의 제1레이저빔(LD1) 방출 개시전압과,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서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LD1)이 소정 레벨(예컨데 400㎼)에 도달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제어전압 정보를 토대로 제1함수를 산출한다(S600). 마찬가지로, 제1함수를 산출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를 제어하기 위한 제2함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를 턴-온 후(S610), 제1DAC(160)를 제어하여 제1DAC(16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매우 낮은 전압(예컨데 0.1V)부터 서서히 증가시킨다.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가 제1DAC(16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에 의해 제1레이저빔(LD1)을 감광드럼(미도시)에 주사시, 레이저빔 검출부(116)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120)에 알린다(S620). 프로세서(120)는 레이저빔 검출부(116)의 검출 시점에 따른 제1DAC(160)의 제어전압을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의 레이저빔 방출 개시전압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를 램(RAM)(140)에 저장한다. 만일, 레이저빔 검출부(116)에 의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대한 제1레이저빔(LD1) 검출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를 제어하여 레이저빔 검출부(116)에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의 제1레이저빔(LD1)이 검출될때까지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을 서서히 상승시킨다(S630).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의 레이저빔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제어전압 정보와 제1함수를 토대로 보정식을 산출한다(S640). 이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Rb는 보정전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의 전압에 대응되는 제어전압 정보, 및 f(ra, ra')는 제1전압값과 상기 제3전압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함수 또는 상기 제2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함수이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 보정식을 토대로 프로세서(120)는 제1DAC(160)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정보를 가감함으로서 제1DAC(160)에서 제1레이저 다이오드(111a)로 인가되는 전압을 가감한다(S650). 이는 제2레이저 다이오드(11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레이저 스캐닝 유닛(110)이 갖는 각각의 전기적 특성과,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발생되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간의 광파워 밸런스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글 또는 멀티빔을 방출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각 레이저빔간의 광파워 밸런스를 자동으로 정확히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또한, 종래에 수동으로 레이저빔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데 비하여 적은 시간이 소요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출력 자동조절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대한 상세 블록개념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 변화에 대한 그래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장착한 레이저 프린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7은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정보를 갖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토대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구비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간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방출 개시전압에 대한 정보를 갖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토대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구비되는 제1레이저 다이오드와 제2레이저 다이오드간의 광파워 밸런스를 조정하는 다른 방법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Claims (8)

  1.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시점에 대응되는 제2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제1전압값과 비교하여 그 편차만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 Rb는 보정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Ra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 및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전압값과 상기 제2전압값의 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시 에러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4.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각각 검출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얻고 이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의 검출시점에 각각 대응되는 제3전압값과 제4전압값 을 얻고 이를 상기 제1전압값 및 상기 제2전압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편차만큼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 Rb는 보정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Ra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 및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전압값과 상기 제3전압값의 차와 상기 제2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의 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시 에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7.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제1레이저빔과 제2레이저빔이 각각 검출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구하고, 상기 제1레이저빔과 상기 제2레이저빔이 목적 광파워에 도달하는 시점에 각각 대응되는 제3전압값과 제4전압값을 구하여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상기 구해진 제1전압값과 제2전압값을 토대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제1함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3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을 토대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제2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서 방출되는 각각의 레이저빔의 검출시점에 대응되는 전압값들을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제1함수 및 상기 제2함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수 및 상기 제2함수를 적용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
    여기서, Rb'는 보정된 제어전압, Rb는 보정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인가되는 제어전압, Ra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기 저장된 광파워 검출전압, Ra'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파워의 검출 시점에 대응되는 전압, 및 상기 f(ra, ra')는 상기 제1전압값과 상기 제3전압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함수 및 상기 제2전압값과 상기 제4전압값을 토대로 산출되는 함수중 어느 하나.
KR1020030072270A 2003-10-16 2003-10-16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KR10055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270A KR100555728B1 (ko) 2003-10-16 2003-10-16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US10/963,543 US20050083978A1 (en) 2003-10-16 2004-10-14 Method for controlling laser beam power balance in laser scanning unit
JP2004303404A JP2005119310A (ja) 2003-10-16 2004-10-18 レーザ走査ユニットの光パワーバランス調整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270A KR100555728B1 (ko) 2003-10-16 2003-10-16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564A true KR20050036564A (ko) 2005-04-20
KR100555728B1 KR100555728B1 (ko) 2006-03-03

Family

ID=3451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270A KR100555728B1 (ko) 2003-10-16 2003-10-16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83978A1 (ko)
JP (1) JP2005119310A (ko)
KR (1) KR100555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508B1 (ko) * 2005-04-20 200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사진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934055B1 (ko) * 2006-08-23 2009-1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용의 레이저 광 제어 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7902C (zh) * 2006-03-17 2008-10-22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多路激光系统功率平衡参数测量处理装置及功率平衡方法
US7822086B2 (en) * 2007-07-27 2010-10-26 Microvision, Inc. Laser projec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US8630158B2 (en) * 2010-06-13 2014-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reducing a number of input terminals of an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and associated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583A (en) * 1972-03-29 1975-08-05 Xerox Corp Laser stabilization technique
US4890288A (en) * 1986-08-27 1989-12-26 Canon Kabushiki Kaisha Light quantity control device
DE68925852T2 (de) * 1988-09-06 1996-10-17 Canon Kk Belichtungsstärkesteuergerät
JP2905229B2 (ja) * 1989-09-26 1999-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ビーム駆動装置
JP3201796B2 (ja) * 1991-10-31 2001-08-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830591B2 (ja) * 1996-11-05 2006-10-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レーザ装置
KR100243157B1 (ko) * 1997-11-25 2000-03-02 윤종용 광주사유니트모듈
US6344866B1 (en) * 1999-04-01 2002-02-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Light beam scanner unit with passing position and power contro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89871B2 (ja) * 1999-06-29 2010-06-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2127492A (ja) * 2000-10-27 2002-05-08 Ricoh Co Ltd 光書き込みユニットおよび光書き込みユニットの検査装置
JP2002178559A (ja) * 2000-12-14 2002-06-26 Asahi Optical Co Ltd レーザ走査装置の出力制御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508B1 (ko) * 2005-04-20 200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사진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934055B1 (ko) * 2006-08-23 2009-1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용의 레이저 광 제어 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19310A (ja) 2005-05-12
KR100555728B1 (ko) 2006-03-03
US20050083978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5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auto light power control method
US8238393B2 (en) Multi-beam laser light-intensity control circuit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94217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623148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mount of ligh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24082B2 (en) Semiconductor laser dri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642949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55728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닛의 광파워 밸런스 조정방법
JP324520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30153746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light intensity adjustme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724163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light power control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djusting drive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S8520711B2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7927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58022A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US890799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0414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192967A (ja) 光走査装置
US6377381B1 (en) Light beam deflection scanner
JP4374936B2 (ja) 光量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00831A (ja) 半導体レーザ制御装置
JP5219405B2 (ja) 補正値決定装置、補正値決定方法、及び、光学走査装置
JP4186563B2 (ja) 光源制御装置
US6678295B2 (en) Laser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JP5134386B2 (ja) 光量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0165981A (ja) 半導体レーザー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走査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615058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