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417A -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417A
KR20050035417A KR1020030071080A KR20030071080A KR20050035417A KR 20050035417 A KR20050035417 A KR 20050035417A KR 1020030071080 A KR1020030071080 A KR 1020030071080A KR 20030071080 A KR20030071080 A KR 20030071080A KR 20050035417 A KR20050035417 A KR 2005003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ile
screen
image
f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003B1 (ko
Inventor
정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0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영상재생장치, 기록매체로부터 소정 개수의 동영상파일을 인출하고, 인출된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동영상화면, 동영상사운드 및 최초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영상화면 및 최초화면들을 하나의 화면에 재배열한 파일목록과 동영상사운드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및 영상처리부의 인출동작 및 생성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영상파일의 내용인 동영상화면이나 동영상사운드로 이루어진 파일목록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파일들 중 특정파일의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Image reproducing device of generating file index for searching image file easil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파일들 중 특정파일을 검색함에 있어서, 영상파일의 내용인 동영상화면이나 동영상사운드로 이루어진 파일목록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보다 용이한 파일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재생장치는 방송신호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나, HDD, 메모리스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쳐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외에, 영상재생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도 있다.
기록매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영상신호는 소정 포맷으로 압축된 파일의 형식으로 기록된다. 최근에는, 영상신호의 압축기술이 발전하고, 기록매체의 저장용량이 증가하여, 하나의 기록매체에 많은 영상파일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파일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특정파일을 검색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파일검색시 소요되는 노고를 줄이기 위하여, 정지영상의 경우, 수 개의 썸네일(thumbnail)사이즈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동영상의 경우는, 동영상의 최초프레임을 캡쳐하여 얻은 수 개의 정지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위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정지영상의 경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파일검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영상의 경우 상기한 해결수단에 의하는 것은, 그다지 높은 효용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동영상의 경우는 캡쳐된 최초프레임만으로는 그 동영상의 전체내용을 직감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영화파일의 경우를 예로 들면, 영화의 첫장면만으로 이 영화의 제목이나 내용을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해결수단에 의하더라도, 특정 동영상파일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동영상파일을 하나씩 재생하여야 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파일들 중 특정파일을 검색함에 있어서, 영상파일의 내용인 동영상화면이나 동영상사운드로 이루어진 파일목록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보다 용이한 파일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재생장치, 기록매체로부터 소정 개수의 동영상파일을 인출하고,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동영상화면, 동영상사운드 및 상기 동영상화면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최초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동영상화면 및 상기 최초화면들을 하나의 화면에 재배열한 파일목록과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의 인출동작 및 생성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파일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동영상사운드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고, 선택되지 않은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은 a) 기록매체로부터 소정 개수의 동영상파일을 인출하는 단계, b)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동영상화면, 동영상사운드 및 상기 동영상화면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최초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상기 동영상화면 및 상기 최초화면들을 하나의 화면에 재배열하여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생성된 상기 파일목록과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파일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고, 선택되지 않은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재생장치는 기록매체(110), 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및 키입력부(150)로 구성된다.
기록매체(110)에는 영상파일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기록되는 영상파일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기록매체(110)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파일, AVI(Audio Video Interleaving)파일 등과 같은 동영상파일은 물론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파일 등과 같은 정지영상파일도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영상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 매체이면 어느 것이라도 기록매체(110)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내장형 기록매체뿐만 아니라, IC메모리카드, 메모리스틱,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 자기테이프와 같은 장착/탈착이 가능한 기록매체도 기록매체(110)로서 사용가능하다.
영상처리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기록매체(110)로부터 인출한 압축된 영상파일을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한 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기록매체(110)로부터 인출한 소정 개수의 영상파일들을 이용하여 파일목록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부(120)는 에스디램(SDRAM)(121), DSP(Digital Signal Processor)(123), 오디오 DAC(Digital-to-Analog Converter)(125) 및 비디오 인코더(127)로 구성된다.
SDRAM(121)은 기록매체(110)에 기록된 압축된 영상파일과 후술할 DSP(123)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가 임시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DSP(123)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SDRAM(121)으로부터 인출한 압축된 영상파일을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하며, 디코딩된 비디오신호가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상의 어느 부분에 어떤 스케일로 재생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DSP(123)에서는 디코딩된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영상의 크기와 재생되는 화면상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처리과정도 수행되므로, 하나의 화면에는 복수개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오디오 DAC(125)는 DSP(12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비디오 인코더(127)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DSP(123)의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한다.
디스플레이부(130)에서는 비디오 인코더(127)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DAC(12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재생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재생장치내에 마련될 수 있고, TV나 스피커내장형 모니터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키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그에 따라 영상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영상재생장치가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영상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영상파일을 재생하려면, 파일목록을 참조하여, 현재 기록매체(110)에 기록된 영상파일들을 검색하고, 이들 중 재생시킬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야 한다.
통상, 파일목록(File Index)이란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파일들의 파일명이 소정 순서대로 나열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파일목록은 파일명 대신 영상파일을 실제로 재생시키고 썸네일사이즈로 스케일링하여 얻은 영상들을 나열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영상들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일 수 있다.
또한, 파일목록을 구성하는 영상의 갯수에 대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일목록이 6개의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재생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파일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5가지의 파일목록 구성방식을 방법을 제시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파일목록 구성방식을 하나씩 제시하고, 영상재생장치가 그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그 결과 생성된 파일목록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의 영상재생장치에서 생성된 파일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첫번째 구성방식은, 영상파일들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화면들로 파일목록이 구성되는 방식(이하, 'A타입')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입력부(150)를 이용하여 파일목록 디스플레이명령을 입력하면(S310-Y경로), 제어부(140)는 기록매체(110)에 기록된 영상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고, 그에 기초하여 특정순서로 영상파일들을 정렬한다(S321). 제어부(140)는 영상파일들을 정렬함에 있어서, 영상파일의 생성순서(또는 그 역순), 영상파일의 최근재생시점, 영상파일의 재생빈도수를 기준으로 하여 정렬할 수 있다. 영상파일들을 이와 같이 정렬하는 이유는, 파일목록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는 영상파일의 개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본 실시예에서는 6개), 우선적으로 표시할 영상파일들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영상파일들의 정렬이 끝나면, 1번으로 정렬된 영상파일(이하 '제1 영상파일')이 기록매체(110)로부터 독출되어 DSP(123)를 통해 SDRAM(121)에 저장된다(S323).
만약, 제1 영상파일이 정지영상파일인 경우(S330-N경로), DSP(123)는 SDRAM(121)에 저장된 제1 영상파일을 인출 및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하고, 디코딩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썸네일사이즈로 영상크기를 변경하고 파일목록상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S381).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는 비디오 인코더(127)에서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S383),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재생된다(S390).
한편, 제1 영상파일이 동영상파일인 경우(S330-Y경로), 제어부(140)는 제1 영상파일이 파일목록상에서 표시되는 방법을 확인한다(S341).
A타입의 경우, 파일목록은 해당파일의 동영상화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S343-Y, S345-N경로), DSP(123)는 SDRAM(121)에 저장된 제1 영상파일을 인출하여 비디오신호만을 분리하고(S361), 분리된 비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하고, 디코딩된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썸네일사이즈로 영상크기를 변경하고 파일목록상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S363). 신호처리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인코더(127)에서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S365),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재생된다(S390).
이후에, 제2 내지 제6 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S323 내지 S390단계를 반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A타입 파일목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파일목록의 상단(131)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파일목록(File Index)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가 있으며, 중단(133)에는 6개의 영상파일들에 대한 파일목록으로서, 해당파일들을 각각 재생하여 얻은 6개의 영상과 파일명이 표시되어 있으며, 하단(135)에는 현재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로서 총재생시간, 화질, 생성일자, 최근재생일자, 재생횟수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동영상파일(도 3에서, 확장자가 mpg인 파일)인 제1 내지 제5 영상파일의 목록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5 영상(133-1∼133-5)은 해당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화면이며, 정지영상파일(도 3에서, 확장자가 jpg인 파일)인 제6 영상파일의 목록을 나타내는 제6 영상(133-6)은 정지영상화면이다.
두번째 구성방식은, 영상파일들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화면들로 파일목록이 구성되고,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사운드를 출력하는 방식(이하, 'B타입')이다. B타입의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S310∼S341과 S381∼S383의 과정은 A타입과 동일하므로,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B타입의 경우,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의 목록은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고, 그에 대한 동영상사운드도 출력된다(S343-Y, S345-Y경로). 따라서, 제1 영상파일에 커서(133c)가 위치하고 있다면, DSP(123)는 SDRAM(121)에 저장된 제1 영상파일을 인출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S351), 분리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하고, 디코딩된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썸네일사이즈로 영상크기를 변경하고 파일목록상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S353). 신호처리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인코더(127)에서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DAC(125)에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며(S355),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재생된다(S390).
한편, 커서(133c)가 위치하지 않은 영상파일의 목록은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지만, 그에 대한 동영상사운드는 출력되지 않는다(S343-Y, S345-N경로). 따라서, 제1 영상파일에 커서(133c)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는 S361∼S365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A타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에는, 제2 내지 제6 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S323 내지 S390단계를 반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B타입 파일목록에 대해 설명한다. B타입의 경우, 제1 내지 제5 영상(133-1∼133-5)은 해당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화면이며, 제6 영상(133-6)은 정지영상화면이다. 이외에 커서(133c)가 위치한 제1 영상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사운드가 출력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50)에 마련된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133c)를 제2 내지 제5 영상파일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면, 제1 영상파일에 대한 동영상사운드의 재생은 중단되며, 커서가 새로이 위치한 영상파일의 동영상사운드가 재생된다.
세번째 구성방식은,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의 목록은 해당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고, 커서(133c)가 위치하지 않은 영상파일의 목록은 해당파일을 재생하여 얻은 동영상화면의 최초 프레임(이하 '최초화면')으로 표시되어, 파일목록이 구성되는 방식(이하, 'C타입')이다. C타입의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S310∼S341 과 S381∼S383의 과정은 A타입과 동일하므로,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C타입의 경우,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의 목록은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된다(S343-Y, S345-N경로). 따라서, 제1 영상파일에 커서(133c)가 위치하고 있다면, S361∼S365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A타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커서(133c)가 위치하지 않은 영상파일의 목록은 최초화면으로 표시된다(S343-N경로). 따라서, 제1 영상파일에 커서(133c)가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DSP(123)는 SDRAM(121)에 저장된 제1 영상파일을 인출하여 비디오신호를 분리하고(S371), 분리된 비디오신호 중 초기화면에 해당하는 비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신장(압축해제)하고, 디코딩된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섬네일사이즈로 영상크기를 변경하고 파일목록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S373). 신호처리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인코더(127)에서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S375),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재생된다(S390).
이후에, 제2 내지 제6 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S323 내지 S390단계를 반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C타입 파일목록에 대해 설명한다. C타입의 경우, 커서(133c)가 위치한 제1 영상파일의 목록을 나타내는 제1 영상(133-1)은 해당파일의 동영상화면이고, 제2 내지 제5 영상(133-2∼133-5)은 해당파일들의 최초화면이며, 제6 영상(133-6)은 정지영상화면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한 커서(133c)의 이동에 따라,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파일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번째 구성방식은, 영상파일들의 최초화면들로 파일목록이 구성되고,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의 목록은 해당파일의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고 동영상사운드까지 출력되는 방식(이하, 'D타입')이다. D타입의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S310∼S341 과 S381∼S383의 과정은 A타입과 동일하므로,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D타입의 경우,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의 목록은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고 동영상사운드까지 출력된다(S343-Y, S345-Y경로), 따라서, 제1 영상파일에 커서(133c)가 위치하고 있다면, S351∼S355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B타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커서(133c)가 위치하지 않은 영상파일의 목록은 최초화면으로 표시된다(S343-N경로). 따라서, 제1 영상파일에 커서(133c)가 위치하고 있지 않다면, S371∼S375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C타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에, 제2 내지 제6 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S323 내지 S390단계를 반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D타입 파일목록에 대해 설명한다. D타입의 경우, 커서(133c)가 위치한 제1 영상파일의 목록을 나타내는 제1 영상(133-1)은 해당파일의 동영상화면이며, 이외에 제1 영상파일의 동영상사운드가 출력된다. 제2 내지 제5 영상(133-2∼133-5)은 해당파일들의 최초화면이며, 제6 영상(133-6)은 정지영상화면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한 커서(133c)의 이동에 따라, 동영상화면으로 표시되고 동영상사운드가 재생되는 영상파일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섯번째 구성방식은, 영상파일들의 최초화면들로 파일목록이 구성되는 방식(이하, 'E타입')이다. E타입의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S310∼S341 과 S381∼S383의 과정은 A타입과 동일하므로,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E타입의 경우, 파일목록은 해당파일의 최초화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S343-N경로), S371∼S375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C타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에, 제2 내지 제6 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S323 내지 S390단계를 반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E타입 파일목록에 대해 설명한다. E타입의 경우, 제1 내지 제5 영상(133-1∼133-5)은 해당파일들의 최초화면들이며, 제6 영상(133-6)은 정지영상화면이다.
이 밖에, 영상파일들의 최초화면들로 파일목록이 구성되고, 커서(133c)가 위치한 영상파일의 동영상사운드가 출력되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목록을 구성함에 있어, 미리 설정된 방식(A타입∼E타입)에 따르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파일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사용자의 타입변경명령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된 파일목록의 구성방식을 다른 구성방식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파일의 내용인 동영상화면이나 동영상사운드로 이루어진 파일목록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파일들 중 특정파일의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영상재생장치에서 생성된 파일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록매체 120 : 영상처리부
121 : SDRAM 123 : DSP
125 : 오디오 DAC 127 : 비디오 인코더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150 : 키입력부

Claims (16)

  1. 기록매체로부터 소정 개수의 동영상파일을 인출하고,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동영상화면, 동영상사운드 및 상기 동영상화면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최초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동영상화면 및 상기 최초화면들을 하나의 화면에 재배열한 파일목록과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의 인출동작 및 생성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파일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동영상사운드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고, 선택되지 않은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9. a) 기록매체로부터 소정 개수의 동영상파일을 인출하는 단계;
    b)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동영상화면, 동영상사운드 및 상기 동영상화면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최초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상기 동영상화면 및 상기 최초화면들을 하나의 화면에 재배열하여 파일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생성된 상기 파일목록과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e) 상기 파일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화면을 생성하고, 선택되지 않은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파일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모든 동영상파일 각각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최초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출된 동영상파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대응되는 상기 동영상사운드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KR1020030071080A 2003-10-13 2003-10-13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KR101039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80A KR101039003B1 (ko) 2003-10-13 2003-10-13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80A KR101039003B1 (ko) 2003-10-13 2003-10-13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417A true KR20050035417A (ko) 2005-04-18
KR101039003B1 KR101039003B1 (ko) 2011-06-07

Family

ID=3723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080A KR101039003B1 (ko) 2003-10-13 2003-10-13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760B1 (ko) * 2005-09-23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비디오 파일 검색 방법
KR100827232B1 (ko) * 2006-12-2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07025A1 (en) * 2013-01-0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KR101506490B1 (ko) * 2008-05-07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007B1 (ko) * 1998-04-27 2001-09-22 윤종용 썸네일 데이터와 이를 위한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기록 매체 및 기록 재생방법과 장치
US6373507B1 (en) 1998-09-14 2002-04-16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image acquistion system
US6456334B1 (en) 1999-06-29 2002-09-24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20020069724A (ko) * 2001-02-27 200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영상 데이터 관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760B1 (ko) * 2005-09-23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비디오 파일 검색 방법
KR100827232B1 (ko) * 2006-12-2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6490B1 (ko) * 2008-05-07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107025A1 (en) * 2013-01-0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US9607651B2 (en) 2013-01-07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AU2014200042B2 (en) * 2013-01-07 2019-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003B1 (ko) 201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599B2 (ja) プレイリストの管理装置及び方法
US6687454B1 (en) Audio data and still picture recording medium and corresponding playback apparatus which enable displaying of a still picture at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imings during playback of recorded audio data
US200600082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mpressed information
US8458616B2 (en) Data display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9004999A (ja) 映像データ管理装置
KR101039003B1 (ko)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JP2000090651A (ja) データ再生システム
JP2002281433A (ja) 動画像検索閲覧編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6510162A (ja) 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780910B2 (ja) 光ディスク録画装置
JP2003153140A (ja) 情報記録装置
JP2006510163A (ja) 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98090B2 (ja)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07015417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 selection menu
KR100357242B1 (ko) 디지탈데이터 맵핑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반복재생방법
JPH0686222A (ja) 静止画再生装置
JP4021449B2 (ja) 動画像編集方法および動画像編集装置
JP4129517B2 (ja) データ管理方法、記録再生装置
JP4585641B2 (ja) 記録映像の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
JP4030328B2 (ja) ダイジェスト映像ファイル作成方法及び映像記録再生装置
JP3804411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8203255A (ja) 情報提供制御装置及び情報提供制御方法
KR100724352B1 (ko)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 장치의 영상 데이터 관리방법
US20060133776A1 (en) Disk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20050058638A (ko) 저장 매체에 기록된 녹화 목록의 표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09

Effective date: 20110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