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898A - 낚싯대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898A
KR20050034898A KR1020030070660A KR20030070660A KR20050034898A KR 20050034898 A KR20050034898 A KR 20050034898A KR 1020030070660 A KR1020030070660 A KR 1020030070660A KR 20030070660 A KR20030070660 A KR 20030070660A KR 20050034898 A KR20050034898 A KR 2005003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le
fishing rod
cylindric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김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범 filed Critical 김성범
Priority to KR102003007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4898A/ko
Priority to AU2003273102A priority patent/AU2003273102A1/en
Priority to PCT/KR2003/002245 priority patent/WO2004036980A2/en
Publication of KR2005003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8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에 낚싯대를 거치하고, 거치각을 낚시중에 편리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표를 위한 본 발명에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상기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 상기 고정몸체부에 설치된 제 1 래취트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1 기어부의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 2 래취트 기어를 갖는 제 2 기어부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상기 제 2 래취트 기어를 분리 또는 치합되도록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상기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2 기어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거치각 조정수단; 상기 제 2 기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몸체부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켜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상기 제 2 래취트 기어를 분리시켜 회전시키는 낚싯대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낚싯대 받침장치{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인체에 낚싯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낚싯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에 낚싯대를 거치하고, 거치각을 낚시중에 편리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중에 낚싯대를 장시간 손으로 들고 있는 경우에는 팔에 무리가 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되어 인체에 착용한 벨트에 낚싯대를 고정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한 벨트에 낚싯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고정용 낚싯대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 고정용 낚싯대 받침장치를 제공하되 낚싯대의 거치각도를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에 고정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상기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 상기 고정몸체부에 설치된 제 1 래취트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1 기어부의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 2 래취트 기어를 갖는 제 2 기어부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상기 제 2 래취트 기어를 분리 또는 치합되도록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상기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2 기어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거치각 조정수단; 상기 제 2 기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몸체부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켜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상기 제 2 래취트 기어를 분리시켜 회전시키는 낚싯대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몸체부에는 낚싯대의 단부를 넣어 직립시킬 수 있는 저면이 막힌 원통형상의 낚싯대 삽입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기어부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부에 고정되고, 중심에는 내저면에 제 1 관통공을 갖는 원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공의 저부에는 제 1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나 상기 원통홈의 측벽보다 직경이 작은 측벽으로 이루어진 제 2 관통공이 상기 제 1 관통공에 연설되고, 상기 제 2 관통공에는 상기 제 2 관통공보다 직경이 큰 제 3 관통공이 연설되며, 상기 제 2 관통공과 제 3 관통공의 경계면에는 턱이 형성되고, 상기 턱의 면에는 제 1 래취트기어가 형성되며, 제 2 기어부의 외측은 외경이 제 1 기어부보다 외경이 큰 제 1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원통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원통부보다 직경이 작되 상기 제 3 관통공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 2 원통부가 연설되고, 상기 제 2 원통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 2 원통부보다 직경이 작되 상기 제 2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 3 원통부가 연설되며, 상기 제 2 원통부와 상기 제 3 원통부의 경계면은 턱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턱면에는 제 2 래취트 기어가 형성되어져 되며, 상기 제 3 원통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3 원통부보다 직경이 작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 4 원통부가 연설되며, 상기 제 2 기어부의 제 1 원통부에는 상기 낚싯대 거취수단이 체결되며, 상기 제 4 원통부는 상기 제 1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홈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중심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져 스프링 지지판이 나사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원통홈의 내저면간에는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에 고정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상기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 일측에 회전판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수단에 결합되고, 타측에 스톱기어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몸체; 내주면에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지지하며 외주면이 상기 고정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가능케하는 클러치베어링; 상기 클러치베어링, 상기 스톱기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몸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스톱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스톱기어의 기어홈을 탄력지지하기 위하여 선단부에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다.
고정몸체부는 벨트에 고정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인체에 체형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고정몸체부는 판형상의 제 1 고정몸체(1)와 제 1 고정몸체(1)에 대하여 힌지결합된 판 형상의 제 2 고정몸체(2)로 이루어진다. 제 1 고정몸체(1)는 제 2 고정몸체(2) 보다 그 길이가 길고, 제 1 고정몸체(1)의 대략 중간부분에 폭방향으로 힌지(11)가 형성되어져 있어 제 2 고정몸체(2)의 선단부가 힌지(11)에 결합된다. 또한, 제 1 고정몸체(1)의 후단부와 제 2 고정몸체(2)의 후단부들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고정몸체(1)와 제 2 고정몸체(2)의 후단부에는 후술되는 벨트의 삽입공들에 삽입되어 고정몸체들(1), (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걸이(12), (13)이 형성된다. 고정걸이(12), (13)는 고정몸체들(1), (2)들에 연설되는 연설부와 연설부에 절곡되어 벨트의 삽입공들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고정몸체의 선단부에는 거취각 조정수단(4)이 설치되고, 거취각 조정수단(4)의 중심에는 거취수단(3)이 설치되어 거취수단(3)이 회전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거취수단 및 거취각 조정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취각 조정수단의 단면도이다.
제 1 고정몸체의 선단부에는 제 1 기어부(42)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외측으로는 소정 길이만큼의 가이드부(14)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때, 가이드부(14)는 그 내주면이 관통공의 내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내주면은 제 1 기어부(42)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용접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고정몸체(1)의 가이드부(14)가 설치된 면의 배면에는 제 1 기어부(42)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43)이 고정설치되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4개의 나사결합판(15)들이 설치된다. 이때, 나사 결합판(15)은 나사공들이 상기 배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제 1 기어부(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제 1 관통공(423)이 형성되어 측벽(421) 및 저면(422)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원통홈이 형성되고, 제 1 관통공(423)의 저부에는 제 1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지만 측벽(421)보다 직경이 작은 측벽(424)으로 이루어진 제 2 관통공(424)이 제 1 관통공에 연설되고, 제 2 관통공(424)에는 제 2 관통공(424)보다 직경이 큰 제 3 관통공(426)이 연설되며, 제 2 관통공(424)와 제 3 관통공(426)의 경계면에는 턱이 형성되고, 턱면에는 암 래취트기어(425)가 형성된다. 제 2 기어부(41)는 외측으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는 여러 단의 원통기둥들로 이루어진다. 제 2 기어부(41)의 최외측은 외경이 제 1 기어부(42)보다 외경이 큰 제 1 원통부(401)의 내면은 제 1 기어부(42)의 내면에 접하게 되고, 제 1 원통부(401)의 내측으로 제 1 원통부(401)보다 직경이 작되 제 3 관통공(426)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 2 원통부(402)가 연설되고, 제 2 원통부(402)의 내측으로는 제 2 원통부(402)보다 직경이 작되 제 2 관통공(424)에 삽입되는 제 3 원통부(403)가 연설된다. 이때, 제 2 원통부(402)와 제 3 원통부(403)의 경계면은 턱면으로 형성되며, 턱면에는 수 래취트기어(425')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제 3 원통부(403)의 내측으로 제 3 원통부(403)보다 직경이 작되 제 1 관통공(423)에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 4 원통부(404)가 연설된다. 또한, 제 2 기어부(41)의 제 1 원통부(401)의 중심에는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어 낚싯대 거취수단(3)의 고정판(35)이 결합나사(353)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결합나사(353)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보조 결합나사(354)들에 의하여 고정판(35)이 제 2 기어부(41)에 결합된다. 또한, 제 4 원통부(405)는 제 1 관통공(423)을 관통하여 제 1 기어부(42)의 외면에 형성된 원통홈의 중심으로부터 일정높이 위치하게 되고, 중심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져 스프링 지지판(406)이 나사(407)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때, 스프링 지지판(446)과 원통홈의 내저면(422)간에는 스프링(44)에 설치되어져 있어 스프링 지지판(446)과 제 1 기어부(42)는 탄발지지된다. 또한, 제 1 기어부(42)의 외측으로는 하우징(43) 의 나사 결합판(15)에 나사(431)들에 의하여 제 1 고정몸체(1)에 결합된다.
낚싯대 거치수단(3)은 일자형 프레임(31)과, 일자형 프레임(31)의 선단에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 프레임(32)과, 절곡 프레임(32)에 고정설치된 반원통형상의 받침판(33)과, 일자형 프레임(3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고리형상으로 절곡된 걸림고리(34)와, 일자형 프레임(31)의 대략 중간부분에 상방으로 형성된 고정판(35)으로 이루어진다. 받침판(33)은 원통형상에서 상부가 절개된 반원통형상으로 저면이 절곡프레임(32)에 고정설치되고, 낚싯대는 반원통 형상의 받침판 내면에 걸쳐지며, 걸림고리(34)는 대략 저부가 개방되고, 상면이 패쇄되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낚싯대(5)의 후단부가 들려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판(35)은 일자형 프레임(31)의 상방으로 설치되되 회전몸체(41)에 나사결합된다. 회전몸체(41)의 중심에는 나사공(411)이 형성되고, 나사공(411)에 인접된 부분에 점대칭으로 보조나사공(412)이 형성되고, 고정판(35)에도 이들 나사공(411), (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나사공(351), 보조 결합나사공(352)들이 형성되어져 결합나사(353)와 보조 결합나사들(354)들에 의하여 고정판(35)은 제 2 기어부(41)에 결합되게 된다.
제 1 고정몸체(1)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제 2 고정몸체(2)의 외측면에는 낚시대 삽입통(6)이 설치된다. 낚싯대 삽입통(6)은 하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원통에 낚싯대를 삽입함으로써 낚싯밥을 낚시에 줄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낚싯대 거치수단(3)에 낚시대를 거치하여 사용할 때 낚시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거치수단(3)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기어부(42)에 대하여 제 2 기어부(41)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어 낚싯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기어부(42)의 암 래취트기어(425)에 대하여 제 2 기어부(41)의 수 래취트기어(425')가 회전을 하게 되면, 치차에 의하여 스프링(44)은 인장, 압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작은 힘에 의해서도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을 종료시키게 되면, 래취트기어의 특성상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반대방향으로는 회전을 못하게 됨으로써 그대로 거치각을 유지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낚싯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낚싯대를 외측으로 당겨서 고정판(35)이 당겨지고, 고정판(35)이 당겨짐으로써 스프링 지지판(406)이 당겨짐으로써 스프링(44)가 외측으로 당겨져 압축되도록 한다. 이때, 수 래취트기어(425')는 암 래취트기어(425)와 이격되게 되어 회전가능상태로 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상태로 되고, 원하는 만큼 회전을 시킨 후 낚싯대를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풀어주게 되면 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하여 스프링 지지판(406)은 원래상태로 복원되고, 수 래취트기어(425')와 암 래취트기어(425)는 원래상태로 치합되게 되어 더 이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거취각 조정수단(4)가 제 1 실시예의 거취각 조정수단과 그 구성을 달리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제 1 고정몸체(1)의 선단부의 가이드부(14)의 내주면에는 클러치베어링(60)이 설치되어져 있어 원통형 회전몸체(50)가 화살표a와 같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몸체(50)의 선단부에는 원통형 회전몸체(50) 보다 직경이 큰 두께를 갖는 회전판(51)이 연설되며 회전판(51)의 중심에는 고정판(35)이 결합나사(35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나사공이 형성되며, 결합나사공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결합핀(354')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핀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몸체(50)의 후단부에는 나사산(52)이 형성되어져 스톱기어(7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클러치베어링(60)은 클러치면과 회전면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원통형 회전볼이 회전면을 향하여 회전할 때 회전몸체(50)를 회전시키고, 클러치면을 향하여 회전될 때는 원통형 회전볼을 정지시키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클러치 베어링(60)의 외주면은 가이드부(14)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클러치 베어링의 원통형 회전볼과 회전몸체(50)는 접촉되어 마찰을 줄이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몸체(50)를 회전지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스톱기어와 판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스톱기어(70)의 나사산은 판스프링(80)에 의하여 가압지지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된다. 판스프링(80)은 하우징(14)의 내측에 스폿 용접되어 고정되되 선단부에는 스톱기어(70)의 기어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돌출턱(81)이 형성되어 스톱기어(70)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는 낚싯대의 거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낚싯대 거치수단(3)을 회전시키면 낚싯대 거치수단에 결합된 회전판(51)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51)과 일체로 결합된 스톱기어(70)가 회전하게 된다. 일정각도를 회전시키고 낚싯대 거치수단(3)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판스프링(80)에 의하여 스톱기어(70)가 회전을 방지하게 되기 때문에 낚싯대 거치수단(3)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때 클러치 베어링(60)과 스톱기어(70)는 회전몸체(50)의 회전을 일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낚싯대 거치수단(3)을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진행방향으로 한바퀴를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각도에 정지시켜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대의 거치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거치각 조정수단은 별도의 스톱퍼 장치가 누를 필요없이 낚싯대를 외측으로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거치각을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조를 래취트기어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거취수단 및 거취각 조정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취각 조정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스톱기어와 판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4)

  1.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에 고정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상기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
    상기 고정몸체부에 설치된 제 1 래취트 기어를 갖는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1 기어부의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 2 래취트 기어를 갖는 제 2 기어부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상기 제 2 래취트 기어를 분리 또는 치합되도록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상기 제 1 기어부와 상기 제 2 기어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거치각 조정수단;
    상기 제 2 기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몸체부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켜 상기 제 1 래취트 기어와 상기 제 2 래취트 기어를 분리시켜 회전시키는 낚싯대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에는 낚싯대의 단부를 넣어 직립시킬 수 있는 저면이 막힌 원통형상의 낚싯대 삽입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부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부에 고정되고, 중심에는 내저면에 제 1 관통공을 갖는 원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공의 저부에는 제 1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나 상기 원통홈의 측벽보다 직경이 작은 측벽으로 이루어진 제 2 관통공이 상기 제 1 관통공에 연설되고, 상기 제 2 관통공에는 상기 제 2 관통공보다 직경이 큰 제 3 관통공이 연설되며, 상기 제 2 관통공과 제 3 관통공의 경계면에는 턱이 형성되고, 상기 턱의 면에는 제 1 래취트기어가 형성되며,
    제 2 기어부의 외측은 외경이 제 1 기어부보다 외경이 큰 제 1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원통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원통부보다 직경이 작되 상기 제 3 관통공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 2 원통부가 연설되고, 상기 제 2 원통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제 2 원통부보다 직경이 작되 상기 제 2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 3 원통부가 연설되며, 상기 제 2 원통부와 상기 제 3 원통부의 경계면은 턱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턱면에는 제 2 래취트 기어가 형성되어져 되며, 상기 제 3 원통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3 원통부보다 직경이 작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 4 원통부가 연설되며, 상기 제 2 기어부의 제 1 원통부에는 상기 낚싯대 거취수단이 체결되며, 상기 제 4 원통부는 상기 제 1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홈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중심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져 스프링 지지판이 나사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원통홈의 내저면간에는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4.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에 고정되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
    상기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
    일측에 회전판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수단에 결합되고, 타측에 스톱기어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회전몸체;
    내주면에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지지하며 외주면이 상기 고정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가능케하는 클러치베어링;
    상기 클러치베어링, 상기 스톱기어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몸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스톱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스톱기어의 기어홈을 탄력지지하기 위하여 선단부에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장치.
KR1020030070660A 2002-10-26 2003-10-10 낚싯대 받침장치 KR20050034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60A KR20050034898A (ko) 2003-10-10 2003-10-10 낚싯대 받침장치
AU2003273102A AU2003273102A1 (en) 2002-10-26 2003-10-23 Device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to the human body
PCT/KR2003/002245 WO2004036980A2 (en) 2002-10-26 2003-10-23 Device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to the huma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660A KR20050034898A (ko) 2003-10-10 2003-10-10 낚싯대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898A true KR20050034898A (ko) 2005-04-15

Family

ID=3723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660A KR20050034898A (ko) 2002-10-26 2003-10-10 낚싯대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48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36A (ko) * 2021-07-27 2023-02-03 곽명해 낚시받침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36A (ko) * 2021-07-27 2023-02-03 곽명해 낚시받침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74B1 (ko) 파라솔의 각도 조절 장치
KR19990067074A (ko) 카메라 지지다리
KR20050034898A (ko) 낚싯대 받침장치
GB2263303A (en) Door holder
KR100479544B1 (ko) 인체고정용 낚싯대 받침장치
FR2577631A3 (fr) Attache du type bouton-poussoir
JP3089518U (ja) ハンドプレス機
KR20050096880A (ko) 포스트 길이 조절 스토퍼장치
JP3090380U (ja) 照明カバー取付装置
JP2000237092A (ja) ロールペーパのカッティングホルダ
KR200260455Y1 (ko) 낚시대 안전 받침간
JP6734996B2 (ja) ステー
JP3119381U (ja) 釣竿受け具及びこれを備えた釣具用キャリア
JP2009002063A (ja) 螺旋杭立設具
KR0143229B1 (ko) 와이어체의 연결장치
JPH02177841A (ja) 魚釣り装置
JP4043589B2 (ja) ワイヤ張装具
KR0115601Y1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JP4355259B2 (ja) あおり止め具
JP3564033B2 (ja) ケーブルハンガー取付け装置
JP2007111110A (ja) フック付きのボールチャック
JP2003052443A (ja) パーマネント用ロッド回転装置
JP2599708Y2 (ja) テープ保持装置
KR970003571B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제어장치
JP2004105454A (ja) 便器用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