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502A -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502A
KR20050033502A KR1020040109319A KR20040109319A KR20050033502A KR 20050033502 A KR20050033502 A KR 20050033502A KR 1020040109319 A KR1020040109319 A KR 1020040109319A KR 20040109319 A KR20040109319 A KR 20040109319A KR 20050033502 A KR20050033502 A KR 2005003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recycled
middle layer
building materials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철
황상열
Original Assignee
(주)금양합판
김요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양합판, 김요철 filed Critical (주)금양합판
Priority to KR102004010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502A/ko
Publication of KR2005003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5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고, 목재단판 (veneer)을 상기 중층 위아래의 (ⅰ)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정중앙 (center core), 상기 중층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중층과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 접착시킨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생합판은 건설현상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폐합판을 재생하여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으로 재생산한 것으로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원목 수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Recycled Plywood for Build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원자재 부족국가로서 합판의 제조를 위해서 전량 수입원목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막대한 양의 합판이 동남아 및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어 이로 인하여 막대한 외화가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현장에서 합판 (2차적으로 합판면 가공합판 포함)이 사용되고 난 후 상태가 양호한 제품은 일부 재사용하는 부분이 있으나, 사용된 합판의 대부분은 버려지고 있고 이로 인해 손실이 년간 1,200억원이 넘는 실정이며 또한 폐기물 처리 비용까지 감안한다면 그 손실은 년간 1,500억원이 넘는다.
최근에는 폐지 (특허등록 163451호), 폐섬유 (특허등록 156952호 및 161818호), 폐비닐 (특허출원 93-11077호) 및 폐플라스틱 (특허등록 156952호) 등을 이용하여 재활용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 분야의 특허출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폐지, 폐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재활용판재의 제조에는 폐지 등의 폐자재를 절단, 분쇄하고, 수지를 녹이고, 혼합하고 이를 결합제,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키며 150 내지 200℃ 이상으로 고온 가압하여 압출하여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고, 다량의 화학물질을 부가하게 됨으로써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지를 이용한 판넬은 높은 흡습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버려지는 합판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용도의 건축용 문틀재 및 바닥재를 생산함으로써 건설현장에 재사용할 경우 합판의 수입과 합판제조를 위해 수입되는 원목의 수입을 재활용 합판으로 대체함으로써 년간 500억원에 달하는 수입 비용을 줄여주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합판을 제조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원목을 벌채함으로써 유발되는 나무의 고갈에 따른 환경파괴를 완화하고 합판의 원목 수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건설현장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폐합판을 수거하여 가공처리를 함으로써 건축용 문틀재 및 바닥재 재생합판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합판을 가공하여 제조한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생합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고, 목재단판 (veneer)을 상기 중층 위아래의 (ⅰ)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정중앙 (center core), 상기 중층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중층과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 접착시킨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폐합판을 가공처리하는 단계;
(b)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는 단계;
(c) 목재단판 (veneer)을 (ⅰ) 상기 중층 위아래의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상기 중층의 정중앙 (center core), 상기 중층 위아래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중층,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은 폐합판을 가공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설현장에서 버려지는 폐합판은 여러 차례 사용으로 인하여 사면 모서리와 양면의 상태가 불량하므로 재단기를 사용하여 사면 절단가공과 양면 연삭공정의 가공단계를 거침으로써 9.0-11.0 mm 두께의 재생합판이 제조 가능하다.
가공처리한 폐합판은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고, 목재단판 (veneer)을 (ⅰ) 상기 폐합판으로 조립된 중층 위아래의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정중앙 (center core)과 상기 폐합판으로 조립된 중층 위아래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처리한 폐합판으로 중층을 구성할 때에는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는데, 층당 5-40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며, 층당 5-15 조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층은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되며 조립하는 조각의 수가 많아질 수록 재생합판의 강도가 커지기 때문에 무한개의 조각으로 조립될 수도 있으나, 조립되는 조각의 수가 너무 많아지게 되면 조각 하나 하나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기 때문에 핸들링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당업계에서 합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핸들링이 용이한 크기를 갖는 조각 수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재생합판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중층은 층당 5-40 조각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층당 7조각 또는 12조각으로 조립된 중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중층이 한 층인 경우 목재단판은 가공처리된 폐합판 중층의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에 위치하고, 상기 중층이 두 층 이상인 경우 목재단판은 가공처리된 폐합판 중층의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 또는 정중앙과 갑, 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목재합판은 가공처리된 폐합판 중층의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에는 반드시 위치시켜야 하며,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은 선택사항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두 개의 중층으로 구성하고, 목재단판을 가공처리된 폐합판 중층의 갑, 을면과 정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건축용 문틀재 재생합판을 제조하였고 (참조: 실시예 1),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두 개의 중층으로 구성하고, 목재단판을 가공처리된 폐합판의 갑, 을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건축용 바닥재 재생합판을 제조하였다 (참조: 실시예 2).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에 있어서, 상기 중층, 목재단판 사이에 도포시키는 접착제는 요소수지, 멜라닌수지 및 페놀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요소수지 또는 요소수지와 멜라닌수지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요소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폐합판이나 목재단판의 한 면당 20-35 g/ft2의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4-28 g/ft2의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6 g/ft2의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를 20 g/ft2 이하의 양으로 도포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쉽게 단판간에 박리현상이 발생하며, 접착제를 35 g/ft2 이상의 양으로 도포하는 경우 접착력은 일부 향상되나 접착제 소모량의 증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은 중층,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야 중층 및 목재단판으로 구성된 재생합판이 접착되어 건축자재용으로 사용가능하다. 재생합판에 압력을 가해 접착하는 것은 단위 압력 5-15 kg/cm²의 냉압으로 15-25분간 압축하여 가접착한 뒤, 단위 압력 8-12 kg/cm²의 열압으로 15-35분간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12 kg/cm²의 냉압으로 15-25분간 압축하여 가접착한 뒤 단위 압력 8-12 kg/cm²의 열압으로 20-30분간 압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압력 5 kg/cm² 이하의 냉압으로 가접착할 경우 냉압이 잘 되지 못해 단판간에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단위 압력 15 kg/cm²이상의 냉압으로 접착할 경우 완제품의 두께가 얇아지고 냉압기에 과부하가 발생한다. 또한, 열압으로 압축하는 시간을 15분 이하로 할 경우 접착제의 경화가 덜 되어 단판간에 벌어지는 현상 (접착불량)이 발생하며, 압축시간을 35분 이상으로 할 경우 접착력의 향상은 거의 없고 생산량 감소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아울러, 냉압으로 압축하고 난 뒤 열압으로 압축하는 것은 접착제, 특히 요소수지의 특성상 열을 가해야 합판에 묻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는 문틀재, 바닥재, 벽체재, 천정재 및 거푸집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 12-50 mm의 문틀재 또는 바닥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문틀재용 재생합판은 23.0-25.0 mm 두께이고, 바닥재용 재생합판은 17.5-19.5 mm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5.0 mm 두께의 문틀재용 재생합판 및 18.5 mm 두께의 바닥재용 재생합판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은 추가적으로 연삭과정을 거침으로써 재생합판의 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문틀재용 재생합판의 경우 위아래의 갑, 을면에 놓이는 목재단판이 약 1.0 mm 정도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연삭과정을 거쳐 재생합판의 면을 평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재용 재생합판의 경우 위아래의 갑, 을면에 놓이는 목재단판의 두께가 약 0.3 mm 정도로 얇기 때문에 연삭과정을 거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폐합판을 가공처리하는 단계;
(b)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는 단계;
(c) 목재단판 (veneer)을 (ⅰ) 상기 중층 위아래의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상기 중층의 정중앙 (center core), 상기 중층 위아래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중층,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의 제조방법은 각 제조단계에서의 조건이 상술한 건축자재용 재생합판과 공통되는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의 과도한 중복에 의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설현장에서 버려지는 폐합판은 여러 차례 사용으로 인해서 사면 모서리와 양면의 상태가 불량하므로 재단기를 사용하여 사면 절단가공과 양면 연삭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재생합판을 얻는다. 상기 가공된 재생합판을 중층으로 사용하여 2층을 구성하고 층별로 작게는 6개의 조각에서 많게는 12개의 조각으로 한 층을 구성한다.
완제품 생산 용도에 따라,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문틀재용의 경우, 중층에 층당 약 10.0-11.0 mm 두께의 조각 가공된 재생합판으로 두 층을 구성하고, 요소수지 약 24-28 g/ft²이 양면에 도포된 약 2.0 mm 목재단판을 정중앙에 넣고, 한 면에 요소수지 약 24-28 g/ft²이 도포된 1.0 mm 목재단판을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에 각각 구성하여, 약 24.0-26.0 mm 두께의 반제품 재생합판을 만든다. 그리고 난 후, 냉압기로 약 단위 압력 8-12 kg/cm²로 약 15-25분간 압축하여 가접착을 한 후, 열압기에서 약 단위 압력 8-12 kg/cm²로 20-30분간 압축한 후, 완전히 접착이 완료된 재생합판을 만든다. 이렇게 완전히 접착된 재생합판을 원하는 크기로 1,220 mm × 2,440 mm (4ft × 8ft) 또는 1,220 mm × 2,130 mm (4ft x 7ft)로 재단한 후, 연삭하여 평활한 면을 갖는 약 23.0-25.0 mm 두께의 최종 완제품 문틀재 재생합판을 제조한다 (참조: 실시예 1).
다음으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바닥재용 재생합판의 경우, 중층에 층당 약 9.0-10.0 mm 두께의 조각 가공된 재생합판으로 두 층을 구성한다. 그리고 난 뒤, 한 층의 조각 가공된 재생합판은 양면에 요소수지 약 24-28 g/ft²을 도포하고, 다른 한 층은 한 면에만 요소수지 약 24-28 g/ft²을 도포하며, 위아래의 갑, 을면에 약 0.3 mm 목재단판을 구성함으로써, 약 18.6-20.6 mm 두께의 반제품 재생합판을 만든다. 그리고 난 후 냉압기로 약 단위 압력 8-12 kg/cm²로 약 15-25분간 압축하여 가접착을 한 후, 열압기에서 약 단위 압력 8-12 kg/cm²로 20-30분간 압축한 후 완전히 접착이 완료된 재생합판을 만든다. 접착이 완료된 재생합판을 원하는 크기 1,220 mm × 2,440 mm (4ft × 8ft)로 재단하며, 갑, 을판 목재단판이 너무나 얇으므로 연삭하지 않음으로써 약 17.5-19.5mm 두께의 최종 완제품 바닥재 재생합판을 제조한다 (참조: 실시예 2).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문틀재 재생합판의 제조
건설현장에서 버려지는 폐합판은 여러 차례 사용으로 인해서 사면 모서리와 양면의 상태가 불량하므로, 재단기를 사용하여 사면 절단가공과 양면 연삭공정을 수행하여 재생합판을 제조하였다.
약 11.0 mm 두께로 조각 가공된 재생합판으로 두 층의 중층을 구성하였으며, 층별로 작게는 6개의 조각에서 많게는 12개의 조각으로 한 층을 구성하였다. 요소수지 ((주) 영일화학) 26 g/ft²으로 양면이 도포된 약 2.0 mm 목재단판 (veneer)을 정중앙 (center core)에 넣고, 요소수지 26 g/ft²으로 한 면이 도포된 약 1.0 mm 목재단판을 위아래의 갑면 (face)과 을면 (back)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약 26.0 mm 두께의 반제품 재생합판을 만들었다. 상기 반제품 재생합판을 냉압기 (cold press) ((주) 대우기계)로 단위 압력 10 kg/cm²로 20분간 압축하여 가접착을 한 후, 요소수지의 특성상 열을 가해야 합판에 묻어지므로 열압기 (hot press) ((주) 대우기계)를 이용하여 단위 압력 10 kg/cm²로 25분간 압축하였다. 압축된 재생합판을 양면 절단기 (double saw machine) ((주) 삼호기계)에 통과시켜 원하는 크기로 1,220 mm × 2,440 mm (4ft × 8ft) 또는 1,220 mm × 2,130 mm (4ft × 7ft)로 재단한 후, 연삭기 (wide belt sander)(키쿠가와 (KIKUKAWA, Japan))로 연삭하여 평활한 면을 갖는 약 26.0 mm 두께의 문틀재 재생합판을 만들었다 (도 1 내지 도 4).
실시예 2: 바닥재 재생합판의 제조
바닥재 재생합판을 제조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버려지는 폐합판을 상기 실시예 1의 문틀재 재생합판 제조에서 수행한 것과 동일하게 가공하여 재생합판을 제조하였다.
약 10.0 mm 두께로 조각 가공된 재생합판으로 두 층의 중층을 구성하였으며, 층별로 작게는 6개의 조각에서 많게는 12개의 조각으로 한 층을 구성하였다. 한 층의 조각 가공된 재생합판은 요소수지 26 g/ft²으로 양면을 도포하고, 다른 한 층은 한 면에만 요소수지 26 g/ft²을 도포하였으며, 약 0.3 mm 두께의 목재단판을 상기 중층의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약 20.6 mm 두께의 반제품 재생합판을 만들었다.
반제품 재생합판을 냉압기로 단위 압력 10 kg/cm²로 20분간 압축하여 가접착을 한 후, 요소수지의 특성상 열을 가해야 합판에 묻어지므로 열압기를 이용하여 단위 압력 10 kg/cm²로 25분간 압축하였다. 압축된 재생합판을 양면 절단기 에 통과시켜 원하는 크기 1,220 mm × 2,440 mm (4ft × 8ft)로 재단하였으며, 갑, 을면 목재단판이 너무 얇으므로 연삭기로 연삭하지 않아 약 18.5 mm 두께의 바닥재 재생합판을 만들었다.
실험예 1 : 접착력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와 같이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고 요소수지 도포량을 달리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중앙 (center core)과 갑, 을면 (face & back)의 목재단판에 도포되는 요소수지의 양을 20 g/ft²이하 또는 35 g/ft²이상이 되도록 도포를 한 후, 30 cm × 30 cm 크기로 재단하여 재생합판을 제조한 후 임업연구원고시 제2000-40호 및 KS F 3001의 시험 방법에 준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요소수지의 양을 20 g/ft²이하가 되도록 도포하여 제조한 재생합판의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쉽게 단판간에 박리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요소수지의 양을 35 g/ft²이상으로 도포하여 제조한 재생합판의 경우 접착력은 일부 향상되었으나 접착제 소모량의 증가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졌다.
실험예 2 : 냉압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와 같이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고 냉압기의 단위 압력을 5 kg/cm²이하 또는 15 kg/cm²이상으로 하여 재생합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단위 압력을 5 kg/cm²이하로 할 경우 냉압이 잘 되지 못해 단판간에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단위 압력을 15 kg/cm²이상으로 할 경우 완제품의 두께가 얇아지고 냉압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다.
실험예 3 : 열압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서와 같이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고 열압기의 압축시간을 15분 이하 또는 35분 이상으로 다르게 하여 재생합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열압기의 압축시간을 15분 이하로 할 경우 접착제의 경화가 덜 되어 단판간에 벌어지는 현상 (접착불량)이 발생하였으며, 열압기의 압축시간을 35분 이상으로 할 경우 접착력의 향상은 거의 없고 생산량 감소로 경제성이 떨어졌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버려지는 폐합판을 가공처리하여 제조한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생합판을 이용하게 되면 원목자원의 고갈에 따른 환경 파괴와 합판과 원목의 수입에 따른 외화 낭비의 문제들을 보완하고 폐합판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활용 가능한 자원이 버려짐으로써 이로 인한 손실이 폐기물 처리 비용까지 감안한다면 년간 1,500억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저가의 폐합판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수입합판 가격의 1/2 수준의 경제적인 문틀재용 및 바닥재용 대용합판을 공급함으로써 건축비용 절감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가공처리된 폐합판, 목재단판 및 접착제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재생합판의 측면이다.
도 2는 가공처리된 폐합판 여러 조각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재생합판의 중층중에 첫째 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가공처리된 폐합판 여러 조각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재생합판의 중층 중에 둘째 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폐합판과 목재단판으로 조성한 본 발명의 재생합판의 완제품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가공처리된 폐합판 조각
1a: 중층의 첫째 층, 1b: 중층의 둘째 층
2: 접착제 (요소수지)
3: 정중앙 (center core)의 목재단판
4: 갑면 (face) 목재단판
5: 을면 (back) 목재단판

Claims (9)

  1.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고, 목재단판 (veneer)을 상기 중층 위아래의 (ⅰ)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정중앙 (center core), 상기 중층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중층과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 접착시킨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폐합판의 가공처리는 가장자리 재단 및 양면 연삭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이 한 층인 경우 목재단판은 폐합판의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에 위치하고, 상기 중층이 두 층 이상인 경우 목재단판은 폐합판의 위아래의 갑면과 을면 또는 정중앙과 갑, 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요소수지, 멜라닌수지 및 페놀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폐합판이나 목재단판의 한 면당 20-35 g/ft2의 양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을 가해 접착하는 것은 단위 압력 5-15 kg/cm²의 냉압으로 15-25분간 압축하여 가접착한 뒤 단위 압력 8-12 kg/cm²의 열압으로 15-35분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는 문틀재, 바닥재, 벽체재, 천정재 및 거푸집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는 두께 12-50 mm의 문틀재 또는 바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9. (a) 폐합판을 가공처리하는 단계;
    (b) 가공처리한 폐합판을 층당 5 조각 이상으로 조립하여 한층 이상의 중층 (core layer)을 구성하는 단계;
    (c) 목재단판 (veneer)을 (ⅰ) 상기 중층 위아래의 갑면 (face)과 을면 (back) 또는 (ⅱ) 상기 중층의 정중앙 (center core), 상기 중층 위아래의 갑면 및 을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중층, 목재단판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압력을 가해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상기 건축자재용 재생합판의 제조방법.
KR1020040109319A 2004-12-21 2004-12-21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33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319A KR20050033502A (ko) 2004-12-21 2004-12-21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319A KR20050033502A (ko) 2004-12-21 2004-12-21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02A true KR20050033502A (ko) 2005-04-12

Family

ID=3723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319A KR20050033502A (ko) 2004-12-21 2004-12-21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7510A (zh) * 2016-08-22 2016-12-14 蒙城县华飞缝纫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利用废弃木模板为原料的环保缝纫机毛坯板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701A (ko) * 1983-10-12 1985-06-26 민병훈 제재목 소할재(小割材)를 접합 연결하여 심재(芯材)로한 판재제조방법
KR980000826A (ko) * 1997-11-10 1998-03-30 양우인 목재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 물품
CA2304889A1 (en) * 1999-04-09 2000-10-09 Maschinenfabrik J. Dieffenbacher Gmbh & Co. Process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verwidth veneers
KR200361680Y1 (ko) * 2004-06-14 2004-09-13 홍기호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701A (ko) * 1983-10-12 1985-06-26 민병훈 제재목 소할재(小割材)를 접합 연결하여 심재(芯材)로한 판재제조방법
KR980000826A (ko) * 1997-11-10 1998-03-30 양우인 목재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 물품
CA2304889A1 (en) * 1999-04-09 2000-10-09 Maschinenfabrik J. Dieffenbacher Gmbh & Co. Process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verwidth veneers
KR200361680Y1 (ko) * 2004-06-14 2004-09-13 홍기호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7510A (zh) * 2016-08-22 2016-12-14 蒙城县华飞缝纫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利用废弃木模板为原料的环保缝纫机毛坯板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3891B (zh) 一种以低密度杨木单板为基材的无甲醛实木复合地板的制作方法
CN101664952B (zh) 一种竹杉复合板材的制造方法
CN101342723B (zh) 一种葵花秸秆人造板的制作方法
JPH08197507A (ja) 強力竹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85677A (zh) 废旧胶合板水泥模板生产木质复合材料的新工艺
CN101332614A (zh) 平整面木质定向结构刨花板和其制造方法及用途
JPH06280376A (ja) 建築用板
CN102785273A (zh) 一种三热压两砂光桉杨复合人造板及其制造方法
JP2684598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KR20050033502A (ko) 건축자재용 재생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28879A (zh) 建筑木模板回收利用方法
CN202344632U (zh) 集装箱底板用胶合板
CN201059055Y (zh) 表板侧拼型实木复合地板
CN209831980U (zh) 一种新型竹木混合颗粒板
CN211073955U (zh) 一种集装箱底板用胶合板
CN201505967U (zh) 三层复合集成板
CN1018166B (zh) 一种新型竹木复合人造板及制造方法
CN105904568B (zh) 压合木板及其制造方法与用其制造的电缆盘
CN201058449Y (zh) 一种细木工板
CN212045166U (zh) 一种采用竹集成材与规格材制备的复合交错层积材
CN109109116A (zh) 一种再生木材实木门制造方法
CN201023257Y (zh) 一种三层胶合拼接板
JPH06322950A (ja) 建築用板
CN109049253A (zh) 防止开裂变形的再生木材门制造方法
CN2698892Y (zh) 一种复合式实木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