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269A -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269A
KR20050033269A KR1020030069250A KR20030069250A KR20050033269A KR 20050033269 A KR20050033269 A KR 20050033269A KR 1020030069250 A KR1020030069250 A KR 1020030069250A KR 20030069250 A KR20030069250 A KR 20030069250A KR 20050033269 A KR20050033269 A KR 20050033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et film
weight
metal pl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509B1 (ko
Inventor
김만곤
Original Assignee
김만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곤 filed Critical 김만곤
Priority to KR102003006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5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표면에 대하여 균일한 발열량을 가질 수 있고, 열전도성을 높여 예열시간의 단축과 함께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온열침구류 또는 의료용 매트의 난방 열원으로 사용되어지는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A making method of generation heat panel and its structure}
본 발명은 열을 필요로하는 온열침구류 및 의료용 온열매트리스의 난방 열원으로 사용하는 발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표면에 대하여 균일한 발열량을 가질 수 있고, 열전도성을 높여 예열시간의 단축과 함께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에너지로 하여 난방을 하는 발열패널은 이미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의 발열패널은, 전열선을 배선하여 피가열물에 열이 전달되도록하는 것이 있는가 하면, 발열패널 일측이 두 전극에 열결되어 타측은 전원에 접속되어서 온(ON)오프(OFF)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져 발열하는 것이 있다.
상기의 전열선을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하는 발열패널은 열 전달 효율이 낮고,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생산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걸려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전열선의 단선으로 인한 기능상실 및 누전에 의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한편, 발열패널은 그 형태가 다양하고 특정지어 기술할 수 없으나 보편적으로 온도가 균질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고, 전기에너지의 손실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발열패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교류 또는 직류의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하는 전극동박테이프의 열 전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피가열물인 금속판을 고른 온도로 가열할 수 있게 한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비금속이면서 전기 전도성이 양호하고 고열에서도 산화되지 않는 흑연39%중량과 엑폭시페인트10%중량, 경화제20%중량, 신나31%중량으로 이루어진 전열도료
(11)를 전극동박테이프(13)가 양쪽으로 깔려 있는 절연페트필름(12)에 스프레이 분무하여 0.5∼1mm두께로 도포하고, 절연페트필름(12)을 건조기로 이송시켜 도포된 전열도료(11)를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절열페트필름(12)을 피가열물인 금속판
(15)에 양면테이프(14)로 압착 합지하며, 금속판(15)이 합지된 절연페트필름(12)을 우레탄폼 발포공정으로 이송시켜 절연페트필름으로 도포된 전열도료(11)가 감싸여지도록 우레탄폼(16)을 발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발열패널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흑연39%중량과 엑폭시페인트10%중량, 경화제20%중량, 신나31%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혼합기에 투입하여 골고루 섞어 전열도료(11)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 제조된 전열도료(11)는 비금속이면서 전기 전도성이 양호하고 고열에서도 산화되지 않는 흑연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열전도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열도료(11)를 스프레이 분무 장치에 공급하여 콘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절연페트필름(12)에 분무 도포하게 된다.
전열도료(11)가 분무 도포되는 절연페트필름(12) 양쪽에는 전극동박테이프
(13)이 깔려 있고, 전극동박테이프(13)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전선이 배선되고, 배선된 전선에는 전원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플러그(도면에 포시하지 않았음)를 가지고 있다.
절연페트필름(12)에 분무 도포되는 전열도료(11)는 0.5∼1mm두께로 도포된다.
전열도료(11)가 도포된 절연페트필름(12)은 컨베이어에 의해 건조기로 이송되어 12시간 동안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도포된 전열도료(11)을 건조시킨다.
전열도료(11)의 건조가 완료된 절연페트필름(12)은 피가열물인 금속판(15)과 합지과정을 거치게 된다.
절연페트필름(12)과 금속판(15)을 합지할 때에는 금속판(15)에 전열도료
(11)가 도포되어지지 않은 쪽이 면접촉되어지게 하여 양면테이프(14)를 이용해 압착 합지시킨다.
금속판(15)이 합지되어진 절연페트필름(12)을 우레탄폼 발포공정으로 이송되어 전열도료(11)를 가지는 면에 우레탄폼(16)을 발포하므로써 발열패널(10)의 제조 가 완료 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패널의 구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발열패널(10)은, 흑연39%중량과 엑폭시페인트10%중량, 경화제20%중량, 신나
31%중량으로 이루어진 전열도료(11)가 전극동박테이프(13)를 양쪽으로 가지고 있는 절연페트필름(12)에 도포되어 있고, 전열도료(11)가 도포된 전열페필름(12)이 양면테이프(14)에 의해 피가열물인 금속판(15)과 합지되어 있으며, 절연페트필름(12)에 도포된 전열도료(11)가 우레탄폼(16)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열패널(10)을 침구류나 의료용 매트의 난방열원으로 사용하게 되고, 난방 열원으로 사용할 때에는 전극동박테이프(13)에 전원 플러그를 가지는 전선을 연결하여 전극동박테이프(13)에 전원이 공급되어지게 한 후, 외측으로 피가열물을 부가 설치하여 사용가능한 제품으로 완성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패널은, 절연페트필름에 도포되는 전열도료의 주성분이 비금속성이면서 전기 전도성이 좋고, 고열에서도 산화되지 않는 흑연이 주성분이어서 전극동박테이프에서 발생된 열 전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피가열물인 금속판을 고른 온도로 가열하여 고품질의 침구류 및 의료용 매트 생산이 가능하고, 열전도율이 좋아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널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발열패널을 측면에서 단면한 예시도.

Claims (3)

  1. 비금속이면서 전기 전도성이 양호하고 고열에서도 산화되지 않는 흑연39%중량과 엑폭시페인트10%중량, 경화제20%중량, 신나31%중량으로 이루어진 전열도료
    (11)를 전극동박테이프(13)가 양쪽으로 깔려 있는 절연페트필름(12)에 스프레이 분무하여 0.5∼1mm두께로 도포하고, 절연페트필름(12)을 건조기로 이송시켜 도포된 전열도료(11)를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절열페트필름(12)을 피가열물인 금속판
    (15)에 양면테이프(14)로 압착 합지하며, 금속판(15)이 합지된 절연페트필름(12)을 우레탄폼 발포공정으로 이송시켜 절연페트로필름으로 도포된 전열도료(11)가 감싸여지도록 우레탄폼(16)을 발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널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발열패널(10)은, 흑연39%중량과 엑폭시페인트10%중량, 경화제20%중량, 신나31%중량으로 이루어진 전열도료(11)가 전극동박테이프(13)를 양쪽으로 가지고 있는 절연페트필름(12)에 도포되어 있고, 전열도료(11)가 도포된 전열페필름(12)이 양면테이프(14)에 의해 피가열물인 금속판(15)과 합지되어 있으며, 절연페트필름(12)에 도포된 전열도료(11)가 우레탄폼(16)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널.
KR1020030069250A 2003-10-06 2003-10-06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665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250A KR100665509B1 (ko) 2003-10-06 2003-10-06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250A KR100665509B1 (ko) 2003-10-06 2003-10-06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269A true KR20050033269A (ko) 2005-04-12
KR100665509B1 KR100665509B1 (ko) 2007-01-09

Family

ID=3723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250A KR100665509B1 (ko) 2003-10-06 2003-10-06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5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4778A (zh) * 2018-08-07 2018-12-28 江阴亿霖包装有限公司 一种低温辐射电热膜的制作方法
CN114873963A (zh) * 2022-04-22 2022-08-09 武汉理工大学 一种石墨电热板和制备方法及室内供暖结构
CN115104940A (zh) * 2022-07-25 2022-09-27 陕西天柔华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马桶座垫及其制备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4778A (zh) * 2018-08-07 2018-12-28 江阴亿霖包装有限公司 一种低温辐射电热膜的制作方法
CN114873963A (zh) * 2022-04-22 2022-08-09 武汉理工大学 一种石墨电热板和制备方法及室内供暖结构
CN114873963B (zh) * 2022-04-22 2023-02-24 武汉理工大学 一种石墨电热板和制备方法及室内供暖结构
CN115104940A (zh) * 2022-07-25 2022-09-27 陕西天柔华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马桶座垫及其制备工艺
CN115104940B (zh) * 2022-07-25 2023-09-01 陕西天柔华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马桶座垫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509B1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52008B (zh) 一种石墨烯自发热地板及低电压自发热地板系统
HK1054715A1 (en) Thick film heater apparatus
TW200735690A (en) Ceramic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88934A (ko) 전자파감소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N111712001A (zh) 一种地暖用石墨烯电热膜
KR100665509B1 (ko) 발열패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N111278176A (zh) 一种石墨烯发热膜及石墨烯发热装置
CN103954117B (zh) 一种用于真空烘箱的电加热板
KR20060086061A (ko) 난방용 보드
KR200342054Y1 (ko) 발열패널 구조
CN111669846A (zh) 一种地暖用石墨烯电热膜的制备方法
CN109462900B (zh) 一种高温石墨烯加热板及其制备方法
CN206061182U (zh) 一种pi发热片
KR200354469Y1 (ko) 발열패널 구조
CN204377168U (zh) 安全环保节能电加热系统
KR100783184B1 (ko) Ac 겸용 dc 발열직물의 제조방법
KR20220161782A (ko) 저자기장 면상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퀵워밍 온열침대
CN106466933A (zh) 阻燃碳晶发热板及其制备方法
CN201328474Y (zh) 一种直发器发热板
CN207099346U (zh) 取暖器及表面绝缘型ptc电热器
CN206058985U (zh) 一种高温铁氟龙防水高压电线电缆
CN214627406U (zh) 一种应用于电加热的发热板
CN211531348U (zh) 一种石墨烯发热膜及石墨烯发热装置
RU2074521C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2573000U (zh) 一种全绝缘的云母片电发热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