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194A -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194A
KR20050033194A KR1020030069162A KR20030069162A KR20050033194A KR 20050033194 A KR20050033194 A KR 20050033194A KR 1020030069162 A KR1020030069162 A KR 1020030069162A KR 20030069162 A KR20030069162 A KR 20030069162A KR 20050033194 A KR20050033194 A KR 2005003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arm rest
rear arm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684B1 (ko
Inventor
홍성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6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6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전방에 컵 홀더를 부설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를 신축식으로 형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간편하고, 리어 암레스트와 컵 홀더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에 요부(2)를 형성한 시트백(1)과; 상기 요부(2)에 하방을 힌지 결합하고, 전방 상면에 계단형 지지부(4)를 형성하며, 하방에 가이드 부재(5)(5')를 설치한 리어 암레스트 본체(3)와; 상면 전방에 컵 홀더(9)를 설치하고, 후방에 상기 계단형 지지부(4)에 지지되는 돌출부(10)를 형성하며, 하방에 상기 가이드 부재(5)(5')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11)(11')를 고정한 컵 홀더 부재(8)와; 상기 돌출부(10)의 후방 상면과 계단형 지지부(4)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신축할 수 있게 연결한 커버(12)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REAR ARM RES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전방에 컵 홀더를 부설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를 이용한 장거리 여행이 보편화함에 따라 실내에서 음료 등을 섭취하기 위하여 실내에 컵 홀더를 부설하고 있고, 리어 시트는 중형 승용차 이상급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시트백(40)의 중앙에 요부(41)를 형성하여, 상기 요부(41)에 리어 암레스트 본체(42)의 하단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리어 암레스트 본체(42)를 펼쳤을 때의 전방 상면에 개방형 또는 은폐형 컵 홀더(43)를 부설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럽 등에서는 리어 시트백에 센터 헤드 레스트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추세에 있고, 또한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 등의 다목적 자동차는 시트를 평면으로 접는 즉 시트를 풀 플랫(Full Flat)형으로 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요부(41)에 리어 암레스트 본체(4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전방 상면에 컵 홀더(43)를 부설하면 팔의 휴식면적이 작기 때문에 컵 홀더(43)에 컵 등을 삽입 보관하면서 팔의 휴식을 취할 때 손 부분이 컵 등에 간섭되기 때문에 팔을 리어 암레스트 본체(42)에 직선으로 올려놓기가 불편하여 컵 홀더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고, 더구나 리어 시트백(40)에 센터 헤드레스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리어 헤드레스트의 스테이가 요부(41)의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리어 시트백을 풀 플랫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요부(41)의 높이가 작게 됨으로써 리어 암레스트의 길이를 축소할 수밖에 없음으로 길이가 축소된 리어 암레스트의 전방 상면에 컵 홀더를 부설하면 팔의 휴식이 더욱더 불편하고, 팔의 휴식 또는 컵 등의 보관 지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야 함으로써 효용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길이를 신축식으로 형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간편하고, 리어 암레스트와 컵 홀더를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요부를 형성한 시트백과; 상기 요부에 하방을 힌지 결합하고, 전방 상면에 계단형 지지부를 형성하며, 하방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리어 암레스트 본체와; 상면 전방에 컵 홀더를 설치하고, 후방에 상기 계단형 지지부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하방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를 고정한 컵 홀더 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후방 상면과 계단형 지지부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신축할 수 있게 연결한 커버로 구성한 것이다.
1은 리어 시트백으로서, 상기 리어 시트백(1)의 중앙에는 세로로 요부(2)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리어 암레스트 본체(3)와 컵 홀더 부재(8)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서 수납 보관하는 것이다.
3은 리어 암레스트 본체로서, 상기 리어 암레스트 본체(3)는 전방 상면에 계단형 지지부(4)를 형성하고, 하방 양측에 가이드 부재(5)(5')를 설치하여서, 하방을 상기 요부(2)의 하방에 힌지 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계단형 지지부(4)의 하부에는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한 지지판(6)을 전방은 지지편(7)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5)(5')를 지지시켜 설치하고, 후방은 계단형 지지부(4)의 내측면에 위치시켜서 계단형 지지부(4)의 강성을 유지하고, 가이드 부재(5)(5')의 지지를 견고하게 한 것이다.
8은 컵 홀더 부재로서, 상기 컵 홀더 부재(8)는 상기 리어 암레스트 본체(3)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그 상면 전방에 컵 홀더(9)를 형성하고, 후방에 돌출부(10)를 형성하여 상기 계단형 지지부(4)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하방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바(11)(11')를 고정한 것이다.
12는 커버로서, 상기 커버(12)는 상기 리어 암레스트 본체(3) 및 컵 홀더 부재(8)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여, 일단은 상기 돌출부(10)의 상면에 파스너(13)로 고정하고, 타단은 상기 계단형 지지부(4)의 내측면의 지지판(6) 사이에 수평으로 신축할 수 있게 연결한 것이다.
상기 커버(12)의 타단을 지지판(6)에 연결할 때 지지판(6)의 후방 양측에 지지편(1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지지편(14) 상단 사이에 가이드 롤러(15)를 설치하여 커버(12)의 타측을 안내함으로써 수평을 유지토록 하며, 커버(12)의 타단과 지지판(6) 사이에 스프링(16)을 연결하여 컵 홀더 부재(8)가 신축될 때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편평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11)(11')에 스톱퍼(110)을 설치하여 컵 홀더 부재(8)의 신축시에 움직임을 방지하며, 상기 스톱퍼(110)는 가이드 바(11)(11')에 일정간격(신축길이)으로 걸림홈(111)(111')을 형성하고, 가이드 부재(5)(5')의 입구에 홈(112)을 형성하여 판 스프링(113)과 구멍(114')을 형성한 걸림판(114)을 내장하여서, 가이드 바(11)(11')가 가이드 부재(5)(5')를 슬라이딩할 때 걸림홈(111)(111')이 걸림판(114)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컵 홀더 부재(8)의 후방에 형성한 돌출부(10)를 리어 암레스트 본체(3)의 전방 상면에 형성한 계단형 지지부(4)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면 커버(12)는 스프링(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스프링(16) 측으로 잡아당겨져서 계단형 지지부(4)의 내측면에 삽입되고, 걸림홈(111)은 걸림판(11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컵 홀더 부재(8)는 리어 암레스트 본체(3) 측으로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컵 홀더 부재(8)를 축소된 상태로 시트 백(1)에 형성한 요부(2)에 삽입하여 두거나, 상기와 같이 컵 홀더 부재(8)가 축소된 상태로 요부(2)에 삽입하지 않고 시트 쿠션 위에 펼쳐진 상태로 두고 주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행하다가 리어 시트에 탑승자가 탑승하여 팔의 휴식을 취하려고 할 때에는 리어 암레스트가 요부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힌지를 지점으로 시트 쿠션 측으로 펴고, 리어 암레스트가 시트 쿠션 측으로 펼쳐져 있을 때에는 펼져친 상태로 리어 암레스트 본체(3) 및 컵 홀더 부재(8)의 돌출부(10)에 팔을 올려놓고 팔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팔의 길이가 긴 탑승자가 팔의 휴식을 취할 때에는 탑승자가 시트 쿠션에 탑승한 상태로 컵 홀더(9)를 잡고 컵 홀더 부재(8)를 전방으로 밀면 가이드 바(11)(11')는 가이드 부재(5)(5')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지지홈(111')이 걸림판(114)에 삽입되어 컵 홀더 부재(8)는 신장되고 커버(12)도 인출되어 리어 암레스트 전체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탑승자는 리어 암레스트 본체(3), 커버(12) 및 컵 홀더 부재(8)의 돌출부(10)에 팔을 올려놓고 편안하게 팔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장거리 주행시 등에 실내에 리어 시트 탑승자가 섭취할 음료 등을 준비할 때에는 컵 홀더 부재(8)가 신장된 상태에서 컵 홀더(9)에 컵 등을 삽입 보관함으로써 휴식을 하는 팔이 컵 등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음료 등의 보관과 팔의 휴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리어 암레스트 본체(3)에 컵 홀더 부재(8)를 신축식으로 설치함으로써 팔의 길이가 긴 탑승자도 팔의 휴식을 편안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리어 시트백에 센터 헤드레스트를 설치하거나, 리어 시트백을 풀 플랫형으로 형성하여 요부(2)의 체적이 작아질 경우에도 리어 암레스트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팔의 편안한 휴식과 함께 컵 홀더에 음료 등의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리어 암레스트 본체의 전방에 컵 홀더 부재를 신축식으로 설치함으로써 리어 암레스트와 컵 홀더를 동시에 사용할 때에도 팔이 컵 등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또한 리어 시트백에 센터 헤드레스트를 설치하거나, 리어 시트백을 풀 플랫형으로 형성하여도 팔의 휴식과 컵 등의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펼친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컵 홀더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펼친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요부 3 : 리어 암레스트 본체 4 : 계단형 지지부
5, 5' : 가이드 부재 6 : 지지판 8 : 컵 홀더 부재
9 : 컵 홀더 10 : 돌출부 11, 11' : 가이드 바
12 : 커버

Claims (5)

  1. 중앙에 요부를 형성한 시트백과; 상기 요부에 하방을 힌지 결합하고, 전방 상면에 계단형 지지부를 형성하며, 하방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리어 암레스트 본체와; 상면 전방에 컵 홀더를 설치하고, 후방에 상기 계단형 지지부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하방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를 고정한 컵 홀더 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후방 상면과 계단형 지지부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신축할 수 있게 연결한 커버로 구성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계단형 지지부의 하부에 지지판을, 전방은 지지편을 수직을 형성하여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후방은 계단형 지지부의 내측면에 위치토록 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의 타단은 계단형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판의 후방에 지지편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그 상단에 설치한 가이드 롤러에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판에 스프링으로 연결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에 스톱퍼를 설치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스톱퍼는 가이드 바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가이드 부재의 입구에 홈을 형성하여 판 스프링과 상기 걸림홈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판을 내장한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KR10-2003-0069162A 2003-10-06 2003-10-06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KR10052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162A KR100521684B1 (ko) 2003-10-06 2003-10-06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162A KR100521684B1 (ko) 2003-10-06 2003-10-06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194A true KR20050033194A (ko) 2005-04-12
KR100521684B1 KR100521684B1 (ko) 2005-10-17

Family

ID=3723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162A KR100521684B1 (ko) 2003-10-06 2003-10-06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489A (zh) * 2022-09-02 2022-11-01 宁波劳伦斯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中央通道内饰总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180B1 (ko) * 2007-10-23 2009-10-28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팔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489A (zh) * 2022-09-02 2022-11-01 宁波劳伦斯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中央通道内饰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1684B1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5895094A (en)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9862296B2 (en) Cup hold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080007079A1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CN111746366B (zh) 车辆结构
KR100521684B1 (ko)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KR200293779Y1 (ko)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JPS6023224Y2 (ja) 車両用シ−トにおける物品塔載機構
JP2000125980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00003312U (ko) 센터 암레스트의 위치 조절 장치
JP2557498Y2 (ja) 自動車用リアシート
KR0174417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차량의 리어 아암레스트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4192721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取付構造
KR200174496Y1 (ko) 콘솔 내장형 보조 테이블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0120079Y1 (ko) 자동차용 다용도 헤드레스트
KR0135661Y1 (ko)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컵 홀더
KR19980021053A (ko) 자동차용 시이트(Seat)의 헤드 레스트(Head rest)구조
JP2001321244A (ja) テーブル付きアームレスト
KR970036627A (ko)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KR19990031782U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구조
KR19980022830U (ko)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KR19990018601A (ko)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KR20020030914A (ko) 펜 홀더를 가지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