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512A -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512A
KR20050031512A KR1020030067675A KR20030067675A KR20050031512A KR 20050031512 A KR20050031512 A KR 20050031512A KR 1020030067675 A KR1020030067675 A KR 1020030067675A KR 20030067675 A KR20030067675 A KR 20030067675A KR 20050031512 A KR20050031512 A KR 2005003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light
ecu
turn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이형재
신동수
김병태
Original Assignee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512A/ko
Publication of KR2005003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와,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온/오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 지시등 스위치와, 비상등 스위치 또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온에 따라 설정된 주기로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램프 점등 주기를 제어하는 ECU와, ECU의 제어에 따라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점등 주기가 결정되어 점등/점멸하는 좌/우 램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래셔 유닛을 제거하고 ECU에서 직접 차량 후방의 좌/우측 램프의 점등 주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점등 장치의 집적화를 이루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ZARD LIGHT / TURN SIGNAL LAMP ON/OF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후방에 있는 좌/우측 램프의 점등 주기를 직접 ECU에서 제어하도록 한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등 스위치(Hazard Switch)는 운전자의 자발적인 생각 및 행동에 의하여 사고방지를 위한 방편으로 혹은 도로 상에서의 잠시 주차 등 상대방 운전자에게 위협의 의미, 방어 운전 혹은 경각심의 의미로써 자동차의 비상등을 점등/점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위험한 사태, 방어 운전 혹은 경각심의 상황이 종결되었을 경우 비상등의 해제는 운전자의 자발적인 행동을 위한 비상등 스위치를 다시 한번 누름으로써 점등이 소멸된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의 자발적인 행동으로 인한 번거러움 또한 사고에 의해 부자유스러운 운전자의 행동에 대한 부담 그리고 1차 사고에 의한 제 2차 사고의 발생 확대 등의 대처에 대한 기능이 오직 운전자의 자발적인 비상등 스위치 작동 여부에 집결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은 차선을 바꿀 때 좌측 또는 우측 후방 램프를 일정 간격으로 점등시켜 후방 차량에게 자신의 주행 방향을 알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 비상등/ 방향 지시등 점등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점등 장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10)와, 비상등 스위치(20)와, ECU(Electric CONtrol Unit)(30)와, 플래셔 유닛(flasher unit)(40)과, 차량 후방에 있는 좌/우 램프(50)로 구성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은 차량 후방에 위치한 좌/우 램프(50)인데, 이들의 구동은 릴레이를 포함한 플래셔 유닛(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약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장착된 비상등 스위치(20)가 온(ON)되면 ECU(30)에서는 플래셔 유닛(40)을 구동시키고 플래셔 유닛(40)에서는 좌측 및 우측 램프(50)를 함께 점등시켜 후방 차량에게 알려준다.
반면에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에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combinatiON switch)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10)를 밑으로 내리면 ECU(30)에서는 플래셔 유닛(40)을 구동시키고 플래셔 유닛(40)에서는 차량 후방의 좌측 램프(50)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방향 지시등 스위치(10)가 위로 올라가게 되면 ECU(30)에서는 플래셔 유닛(40)을 구동시키고 플래셔 유닛(40)에서는 차량 후방의 우측 램프(50)를 점등시킨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점등 장치는 반드시 플래셔 유닛을 통해 차량 후방에 위치한 좌/우측 램프를 일정 주기로 점등시키기 때문에 전체 장비가 집적화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래셔 유닛을 제거하고 ECU에서 직접 차량 후방의 좌/우측 램프의 점등 주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점등 장치의 집적화를 이루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와,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온/오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 지시등 스위치와, 비상등 스위치 또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온에 따라 설정된 주기로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램프 점등 주기를 제어하는 ECU와, ECU의 제어에 따라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점등 주기가 결정되어 점등/점멸하는 좌/우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상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차량의 ECU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ECU에서 설정된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우 램프를 함께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ECU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에 차량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ECU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ECU에서 설정된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측 또는 우측 램프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100)와, 비상등 스위치(110)와, ECU(120)와, 차량 후방에 있는 좌/우 램프(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ECU(120)는 비상등 스위치(110) 또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110)의 온(ON)에 따라 설정된 주기로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좌/우 램프(130) 점등 주기를 직접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ECU(120)는 비상등 스위치(110)가 온되었을 경우 좌/우 램프 플래그(lamp flag)가 세트되었으면 설정 시간으로 토글(toggle)한 후에 좌/우 램프(130)를 함께 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ECU(120)는 방향 지시등의 좌측 또는 우측 램프 스위치(100)가 온되었을 경우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으면 설정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측 또는 우측 램프(130)를 온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등 스위치(110)는 푸시락(push lock) 또는 푸시푸시(push push) 방식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은 다음과 같이 점등된다.
우선, ECU(120)는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110)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0) 이에 비상등 스위치(110)가 온(ON)으로 검출되면, ECU(120)는 좌/우 램프 플래그(lamp flag)가 세트(set)되었는지 판단한다.(S102)
만약 S102의 단계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ECU(120)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5초)으로 토글(toggle)한다.(S104) 그리고 다시 S100 단계로 복귀된 후에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된 상태가 아니므로 ECU(120)는 차량 후방에 위치한 좌/우 램프(130)를 함께 온시킨다.(S106) 그 다음 ECU(120)는 좌/우 램프 플래그를 세트하고, 다시 S100 단계로 복귀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 좌/우 램프가 플래셔 유닛이 아닌 ECU(120)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그리고 S100 단계에서 비상등 스위치가 온(ON)이 되지 않으면 ECU(120)는 키 전원 스위치(무엇이죠?)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 S110의 판단 결과, 키 전원 스위치가 온(ON)되었을 경우 ECU(120)는 좌/우 램프 플래그를 리세트(reset)한 후(S112)에 차량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100)가 온(ON)되었는지 판단한다. 즉, ECU(120)는 방향 지시등의 좌측 램프 스위치가 온되었는지 혹은 우측 램프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4, S128)
예를 들어,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100)를 밑으로 내려 좌측 램프 스위치가 온되었다면, ECU(120)는 좌측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판단한다.(S116) 만약 S116의 단계에서 좌측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ECU(120)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5초)으로 토글(toggle)한다.(S118) 그리고 다시 S100 단계로 복귀된 후에는 좌측 램프 플래그가 세트된 상태가 아니므로 ECU(120)는 차량 후방에 위치한 좌측 램프(130)를 온시키고 좌측 램프 플래그를 세트한 후에 다시 S100 단계로 복귀한다.(S120∼S122)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좌측 방향 지시등의 램프가 플래셔 유닛이 아닌 ECU(120)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만약 S128 단계에서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100)를 위로 올려 우측 램프 스위치가 온되었다면, ECU(120)는 역시 마찬가지로 우측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판단한다.(S130) 만약 S130 단계에서 우측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ECU(120)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5초)으로 토글(toggle)한다.(S132) 그리고 다시 S100 단계로 복귀된 후에 우측 램프 플래그가 세트된 상태가 아니므로 ECU(120)는 차량 후방에 위치한 우측 램프(130)를 온시키고 우측 램프 플래그를 다시 세트한 후에 S100 단계로 복귀한다.(S134∼S136)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우측 방향 지시등의 램프또한 플래셔 유닛이 아닌 ECU(120)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한편, S110의 판단 결과, 키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되었을 경우 ECU(120)는 차량 후방에 위치한 좌/우 램프(130)를 점등하지 않고 좌/우 램프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에 S100으로 복귀한다.(S124∼S12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셔 유닛을 제거하고 ECU에서 직접 차량 후방의 좌/우측 램프의 점등 주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점등 장치의 집적화를 이루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점등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향 지시등 스위치
110 : 비상등 스위치
120 : ECU
130 : 좌/우 램프

Claims (5)

  1. 차량의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온/오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 지시등 스위치;
    상기 비상등 스위치 또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온에 따라 설정된 주기로 상기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램프 점등 주기를 제어하는 ECU; 및
    상기 E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상등 또는 방향 지시등의 점등 주기가 결정되어 점등/점멸하는 좌/우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비상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상기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으면 설정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우 램프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방향 지시등의 좌측 또는 우측 램프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상기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으면 설정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측 또는 우측 램프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
  4. 차량의 비상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온/오프(ON/OFF)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상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상기 차량의 ECU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상기 ECU에서 설정된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우 램프를 함께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
  5.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ECU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에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상기 ECU에서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우 램프 플래그가 세트되었을 경우 상기 ECU에서 설정된 시간으로 토글한 후에 좌측 또는 우측 램프를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
KR1020030067675A 2003-09-30 2003-09-30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20050031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75A KR20050031512A (ko) 2003-09-30 2003-09-30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75A KR20050031512A (ko) 2003-09-30 2003-09-30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512A true KR20050031512A (ko) 2005-04-06

Family

ID=3723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675A KR20050031512A (ko) 2003-09-30 2003-09-30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15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6240B2 (en) 2018-01-11 2021-06-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 indicator unit having wipe effect and flashing hazard light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6240B2 (en) 2018-01-11 2021-06-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 indicator unit having wipe effect and flashing hazard ligh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3526B1 (en) Brake light system for a vehicle
KR20050031512A (ko) 차량 비상등/방향 지시등 제어장치와 그 방법
WO2004082996A1 (en) Brake warning system
JP2004306954A (ja) 自動車の警報器連動発光装置、および車外音連動警報装置
KR20060096248A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KR20040082110A (ko)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및 점멸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200203557Y1 (ko) 자동차의 램프 점검장치
KR200423378Y1 (ko) 차량의 유턴 표시 장치
KR100517696B1 (ko) 자동차의 비상등과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0138000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 장치
KR200210584Y1 (ko) 차량용 비상등의 점멸장치
KR101595555B1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27350B1 (ko) 자동차의 비상등/방향지시등 제어방법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200374375Y1 (ko) 자동차의 경음기 사용 제한 장치
KR19980012224U (ko) 차량의 혼 사용시 비상등 동시작동 장치
KR19980046027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20010016435A (ko) 비상등 작동시 방향 지시 제어 장치
KR20030030484A (ko) 램프 점등 및 소멸 확인 플레셔유닛
KR19990050623A (ko) 방향지시등과 비상등의 동시 사용시 구별되도록 하는 장치
KR20010112758A (ko) 차량의 안전 정지등
KR980007485U (ko) 차량 운전중 위험 상태 외부알림장치
KR19980036319U (ko) 자동차 등화장치의 차폭등 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