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098A -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098A
KR20050031098A KR1020050020628A KR20050020628A KR20050031098A KR 20050031098 A KR20050031098 A KR 20050031098A KR 1020050020628 A KR1020050020628 A KR 1020050020628A KR 20050020628 A KR20050020628 A KR 20050020628A KR 20050031098 A KR20050031098 A KR 2005003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eeve body
repair
guide pin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981B1 (ko
Inventor
김의석
Original Assignee
김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석 filed Critical 김의석
Priority to KR102005002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재가 도수관의 내경에 긴밀한 상태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100)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를 코일상태로 구비하는 슬리브바디(101)와; 상기 슬리브바디(101)에는 보수를 위하여 팽창수단에 의하여 팽창되어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축소방지수단(102)과; 상기 슬리브바디(101)가 폭방향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허는 유동방지수단(103)을 구비하고;
상기 축소방지수단(102)은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형성하는 체결공(105,106)과; 상기 체결공(105,106)의 대향측에 형성하여 확대되면서 걸림되는 체결돌기(107)로 구성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103)은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핀(110)과; 상기 가이드핀(110)의 대향측에 가이드핀(110)을 삽입하여 가이드핀(110)을 따라 팽창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홀(111)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Sleeve of reparing for water supply ducts}
본 발명은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의 균열이나 파손을 굴착없이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개선한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은 대부분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시멘트성형체, 점토성형체,철관체, 스테인레스관체, 동관체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도수관은 장기간 사용함으로서 지면으로 부터의 충격, 계절변화에 따른 열팽창, 부식, 지층변동에 의한 어긋난 연결,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부분파손, 연결부의 파손이 유발된다.
상기와 같이 손상된 도수관의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나 툴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2003년에 특허(38711)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의 내용을 도 11을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의 경우,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압압팽창지지구(10)의 외방측에 탄성판재로 코일상태에서 팽창된 경우 직경이 축소되는 축경을 금지하는 수단을 1개소 이상 구비하는 슬리브(30)를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30)의 외표면에 보수경화를 위한 보수재(15)를 도포하고, 상기 압압팽창지지구(10)를 보수 대상의 도수관(1)의 내방으로 밀어,
상기 도수관(1)의 파손부(C)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압압팽창지지구(10)를 팽창시킴으로서 상기 보강슬리브(30) 및 그 표면에 도포된 보수재(15)를 확대직경하여 도수관(1)의 내벽면에 밀착하고,
상기 내벽면 밀착 상태에서 상기 압압팽창지지구(10)를 수축시켜 도수관(1)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보수재(15)를 슬리브(30)와 함께 경화되도록 하여 보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보강슬리브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지 않음으로서 실제 작업현장에서 보강슬리브 개발의 본래 목적 중 하나인 보수작업시간의 단축에는 효과가 없게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슬리브에 형성하는 축경금지수단이 일치하지 못함으로서 압입팽창지지구가 팽창하여 보수재가 도수관의 내경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 후 압입팽창지지구가 축소되면 슬리브의 직경이 축소되어, 슬리브와 보수재가 도수관의 내경에 긴밀한 상태로 밀착되지 않아 원활한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수관을 보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슬리브를 개선하여 보수재가 도수관의 내경에 긴밀한 상태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여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1실시예를 도시한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코일링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2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3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4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5실시예를 도시한 코일링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이용한 보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이용한 보수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100)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를 코일상태로 슬리브바디(101)를 구비한다.
상기 슬리브바디(101)에는 보수를 위하여 팽창수단에 의하여 팽창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소방지수단(102)과, 상기 슬리브바디(101)가 폭방향에 대한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방지수단(10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소방지수단(102)은,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형성하는 체결공(105,106)과 상기 체결공(105,106)의 대향측에 형성하는 체결돌기(107)로 구성한다.
상기 체결공(105,106)은 도수관(108)의 직경에 대응하면서 최적의 팽창으로 보수재(109)를 도수관(108) 내경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유동방지수단(103)은,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핀(110)과 상기 가이드핀(110)의 대향측에 가이드핀(110)을 삽입하여 가이드핀(110)을 따라 팽창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홀(111)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홀(111)의 일측에는 가이드핀(1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핀(110)의 헤드(112)가 삽입할 수 있는 헤드홀(113)을 더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체결공(105,106)과 체결돌기(107)는 단일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복수라인을 가지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핀(110)과 가이드홀(111)은 단일의 라인보다는 복수라인으로 구성하는 것이 슬리브바디(101)가 팽창될 때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가이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축소방지수단(102)과 유동방지수단(103)의 위치는 자유롭게 가변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슬리브바디(101)의 크기(폭)에 따라 단일의 라인 보다는 복수라인으로 형성하는 것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보수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슬리브바디(101)의 외측면 양측에는 보수재(109)를 보호하기 위한 약제보호림(115)을 더 형성하여 보수과정 또는 보수후, 도수관의 세정시 발생할 수 있는 보수재(109)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약제보호림(115)은 슬리브바디(101)가 중복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손상된 도수관(108)을 굴착없이 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코일상태를 유지하는 슬리브(100)에 팽창수단(120)을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100)의 외경에는 보수재(109)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팽창수단(120)을 도수관(108)내부에 보수하고자 하는 위치에 삽입시킨 후 팽창수단(120)을 팽칭시키면, 팽창수단(120)의 팽창에 의하여 슬리브(100)가 직경이 확대되고, 슬리브(100)의 외경에 구비되는 부수약제(109)가 도수관(108)의 내경과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리브(100)가 최대한 팽창되도록 한 후 팽창수단(120)은 축소시킨 후 이탈시킴으로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는 슬리브(100)가 보수재(109)를 유지하여 줌으로서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100)가 팽창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슬리브바디(101)에 구비되는 축소방지수단(102)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즉,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는 체결공(105,106)을 형성하고 그 대향측에 체결돌기(107)를 형성하여 초기상태에는 코일상태에 있는 직경이 축소되어 있고 팽창수단(120)에 의하여 직경이 확대되면서 체결돌기(107)가 체결공(105,106)에 걸림되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바디(101)에 함께 구비되는 유동방지수단(103)에 의하여 슬리브(100)가 폭방향으로 변형되는 현상없이 안정되게 슬라이딩 확대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장공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홀(111)에 슬리브바디(101)의 다른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핀(110)이 삽입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슬리브(100)의 직격이 확대되더라도 폭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배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보수재의 종류에 따라 슬리브바디(101)의 외면 양측에 도수관(108)의 보수를 위하여 사용하는 보수재(109)를 보호하기 위한 약제보호림(115)을 더 형성하고 있으므로 보수과정에서 보수재(109)가 손실될 우려성이 없고, 보수가 완료된 후 도수관을 고압의 세정수로 세정하더라도 고압수의 침투로 인한 보수재(109)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슬리브(100)는 도수관(108)의 연결부위에 손상이 있고, 연결부위가 완전하게 치합되지 못하고 단차를 가지는 경우에는 양측의 도수관(108)에 슬리브(100)가 위치하도록 하고, 슬리브(100)상간에 보수재(109)를 위치시켜 용이하게 보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수관을 보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슬리브를 개선하여 보수재가 도수관의 내경에 긴밀한 상태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여 보수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1실시예를 도시한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코일링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2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3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4실시예의 전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도시한 5실시예를 도시한 코일링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이용한 보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이용한 보수상태를 도시한 다른 단면도.
도 11은 종래 기술의 적용된 도수관 보수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보수용 슬리브
101; 슬리브바디
102; 축소방지수단
103; 유동방지수단
105,106; 체결공
107; 체결돌기
110; 가이드핀
111; 가이드홀

Claims (4)

  1. 손상된 도수관을 굴착없이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0)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를 코일상태로 구비하는 슬리브바디(101)와;
    상기 슬리브바디(101)에는 보수를 위하여 팽창수단에 의하여 팽창되어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축소방지수단(102)과;
    상기 슬리브바디(101)가 폭방향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103)을 구비하고;
    상기 축소방지수단(102)은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형성하는 체결공(105,106)과;
    상기 체결공(105,106)의 대향측에 형성하여 확대되면서 걸림되는 체결돌기(107)로 구성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103)은 슬리브바디(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핀(110)과;
    상기 가이드핀(110)의 대향측에 가이드핀(110)을 삽입하여 가이드핀(110)을 따라 팽창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홀(11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05,106)은 다수개를 형성하여 도수관(108)의 직경에 대응하면서 최적의 팽창으로 보수재(109)를 도수관(108) 내경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11)의 일측에는 가이드핀(110)의 헤드(112)가 삽입할 수 있는 헤드홀(113)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바디(101)의 외측면 양측에는 슬리브바디(101)가 중복되는 않는 부위에 보수재(109)를 보호하기 위한 약제보호림(115)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KR1020050020628A 2005-03-11 2005-03-11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KR10064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628A KR100648981B1 (ko) 2005-03-11 2005-03-11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628A KR100648981B1 (ko) 2005-03-11 2005-03-11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98A true KR20050031098A (ko) 2005-04-01
KR100648981B1 KR100648981B1 (ko) 2006-11-27

Family

ID=3723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628A KR100648981B1 (ko) 2005-03-11 2005-03-11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41B1 (ko) * 2006-12-22 2007-06-25 탑환경주식회사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KR102261181B1 (ko) * 2020-10-07 2021-06-07 유라이닝(주) 관로 보수 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555B2 (ja) * 1989-08-15 1996-03-27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管路の漏水防止方法および漏水防止用被覆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41B1 (ko) * 2006-12-22 2007-06-25 탑환경주식회사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KR102261181B1 (ko) * 2020-10-07 2021-06-07 유라이닝(주) 관로 보수 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981B1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4994Y1 (ko)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패커
KR101354120B1 (ko) 비굴착보수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648981B1 (ko)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KR102309446B1 (ko) 비굴착 관로의 강도 보강용 내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 공법
KR100621651B1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
KR200414823Y1 (ko)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KR100791318B1 (ko) 상하수관 비굴착 전체보수 갱생관의 현장 경화 공법
JP4833607B2 (ja) 補修用被覆体
JP3769367B2 (ja)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方法
JP2016141930A (ja) 更生管の支持部材
KR20120085398A (ko) 비굴착식 파형강관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팩커
KR100849372B1 (ko) 노후화되어 변형된 상수도강관의 원형복귀방법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KR100378208B1 (ko) 터널의 누수방지용 보수재 및 보수공법
KR101249599B1 (ko) 평면 및 종단 선형을 유지하기 위한 강관 추진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7553Y1 (ko)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기
KR200399666Y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JP4500636B2 (ja) 補修用被覆体構造と管路の補修方法
KR100576259B1 (ko) 상수도 곡선관의 이탈 방지 장치
KR100594397B1 (ko)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하수관 또는 전선관용 보강장치
KR100735063B1 (ko) 관로갱생공법 및 그 보수재
KR100977316B1 (ko) 공동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48108B1 (ko) 분기관의 개구 라이닝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986701B1 (ko) 콘크리트 관로의 보수 방법
JP6802563B2 (ja) 更生管の固定具及び更生管の固定具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